KR20240048738A -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738A
KR20240048738A KR1020220128418A KR20220128418A KR20240048738A KR 20240048738 A KR20240048738 A KR 20240048738A KR 1020220128418 A KR1020220128418 A KR 1020220128418A KR 20220128418 A KR20220128418 A KR 20220128418A KR 20240048738 A KR20240048738 A KR 20240048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attachment
checker
crown
correct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삼
최규옥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738A/ko
Priority to PCT/KR2023/012438 priority patent/WO2024075975A1/ko
Publication of KR2024004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부가 가상의 체커가 부착된 치아 모델의 교정 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전 치아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치아 모델의 교정 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후 치아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교정 전 치아 모델과 상기 교정 후 치아 모델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교정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교정력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체커에 대응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정에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Method,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ttachments used for orthodontics}
본 개시는 치아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치아 이동을 위해 요구되는 교정력에 기초하여 부착물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 분야와 관련된다.
치아 교정을 목적으로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종래 다양한 방식들이 개발, 이용되어 왔다.
그 중에는 치아에 장치(예: 브라켓)를 고정시키고, 이 장치에 힘(예: 와이어의 탄성)을 가하여 치아가 서서히 이동되는 것을 기본적인 원리로 하는 고정식 치료 방식이 있다. 그러나, 해당 방식은 환자의 구강 내 장기간 다수의 장치를 고정하는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고정식 치료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치아에 고정된 브라켓에 와이어의 탄성을 이용하는 대신, 마우스 피스와 같은 투명 소재의 장치를 치아에 착용하도록 하여 치아를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가철식 치료 방식이 도입되었다. 가철식 치료는 환자가 장치를 탈부착하기 용이 하여 기존 고정식 치료를 통한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가철식 치료 방식은 투명 소재 장치로 치아를 덮고 장치가 직접 치아를 미는 힘을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의 치아 이동을 구현한다. 이 때,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를 직접적으로 미는 힘이 부족하게 되면, 원하는 위치로의 치아 이동이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가철식 치료 방식에서 치아 표면에 특정 형태를 가지는 부착물(Attachment)을 부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종래 방식들의 한계를 극복했으나, 사용자 경험에 의거한 부착물 사용 방식은 일괄적인 부착물 제작이 어렵고, 부착물의 오용은 예상된 치아 이동을 저해하고 부착물의 남용은 가철식 교정 치료의 편리함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80943호(2020.11.13.), 다이나믹 기능을 이용한 투명 교정 모델 설정 장치, 그 방법 및 프로그램(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아 모델의 교정 전 및 교정 후 모델에 기초하여 획득된 교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정에 대한 부착물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아마다 상이하게 나타나는 교정력 데이터를 획득 및 분석하여 부착물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를 포함한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디바이스가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수신부가 가상의 체커가 부착된 치아 모델의 교정 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전 치아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치아 모델의 교정 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후 치아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교정 전 치아 모델과 상기 교정 후 치아 모델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교정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교정력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체커에 대응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정에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출력부가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체커에 대응하는 교정력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모델에 포함되는 상기 체커와 크라운 중 상기 크라운에 대응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를 상기 교정력 데이터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체커 교정력 데이터 및 상기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커 교정력 데이터 및 상기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체커에 대응되는 교정력인 체커 교정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크라운에 대응되는 교정력인 크라운 교정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부착물이 불필요하다고 결정하고,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부착물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체커에 대응되는 교정력의 크기 및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교정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각진 형상인 상기 체커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대응되는 교정력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커는 크라운의 협측 또는 순측에 부착되고, 제 1 모서리 인접 영역 내지 제 4 모서리 인접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모서리 인접 영역 내지 상기 제 4 모서리 인접 영역 중 상기 교정력이 대응되는 영역에 따라 상기 교정력의 방향을 원심방향 (디스털, Distal), 근심방향 (메지얼, Mesial), 치근방향 (서비컬, Cervical) 및 교합방향 (어클루절, Occlusal)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교정 전 치아 모델과 상기 교정 후 치아 모델이 정합되었을 때 이격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교정력이 대응되는 영역 및 상기 교정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력 데이터는 상기 교정력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교정력의 분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는, 가상의 체커가 부착된 치아 모델의 교정 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전 치아 모델 및 상기 치아 모델의 교정 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후 치아 모델을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교정 전 치아 모델과 상기 교정 후 치아 모델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교정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교정력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체커에 대응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정에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아 모델에 포함되는 상기 체커와 크라운 중 상기 크라운에 대응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를 상기 교정력 데이터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체커 교정력 데이터 및 상기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체커에 대응되는 교정력인 체커 교정력을 결정하고, 상기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크라운에 대응되는 교정력인 크라운 교정력을 결정하고,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부착물이 불필요하다고 결정하고,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부착물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각진 형상인 상기 체커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대응되는 교정력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제 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아 교정 전 후 모델의 비교를 통해 획득되는 교정력을 이용하여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에 필요한 부착물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투명 교정 시 부착물 이용 여부의 판단을 교정력에 근거한 시스템 계산을 통해 제공 되므로 치료 계획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근거 및 부착물을 이용한 교정 결과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검토하도록 함으로써 부착물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투명 교정 장치를 통한 교정에 따른 적응증(indication)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투명 교정 시 부착물 이용 여부의 판단에 대한 사용자 의존도를 최소화하여 치료 계획의 수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부착물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착물 예시 모델이 디스플레이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커 및 크라운에 가해지는 각 방향 별 교정력에 기초하여 교정에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가 결정됨을 나타내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커 및 크라운에 가해지는 각 방향 별 교정력에 기초하여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가 결정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는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치아 교정 전/후의 교정력을 도출하고, 도출된 교정력을 이용하여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치아 교정 시 부착물의 필요 여부 등을 포함하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실시 예들이 개시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복수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수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부(110)는, 교정력을 검토하기 위해 부착물 형태의 장치인 가상의 체커(Checker)가 부착된 치아 모델의 교정 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전 치아 모델 및 그 치아 모델의 교정 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후 치아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체커는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중에 치아 모델의 크라운(Crown, 치관)에 가해지는 교정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치아 모델 상에 부착되는 물체이다.
일 실시 예에서, 수신부(110)는 가상의 체커가 부착되지 않은 교정 전 치아 모델 및 교정 후 상태를 나타내는 치아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수신부(110)는 획득한 교정 전 치아 모델과 교정 후 치아 모델에 기초하여 치아의 이동 여부와 이동 거리 및 방향 등을 더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가 교정 전 치아 모델과 교정 후 치아 모델을 비교하여 차이를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차이 정보의 크기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수치화된 차이 정보는 지정된 색으로 변환하여 교정 전 치아 모델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수치화된 차이 정보가 획득된 치아에 선택적으로 가상의 체커를 부착한 치아 모델을 획득하고, 가상의 체커에 하기 실시 예들에 따라 획득되는 교정력을 반영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1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수신부(110)는 외부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하거나 신호 처리 모듈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100) 또는 외부 구성요소(미도시)와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커는 각진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체커는 제 1 모서리 인접 영역 내지 제 4 모서리 인접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체커는 크라운의 순측 또는 협측 표면에 크라운의 치축과 대응되도록 부착된 형태로 치아 모델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치아 모델은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 대상 환자의 치아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교정 전 치아 모델은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이 시작되기 전 시점의 치아 상태를 나타낼 수 있고, 교정 후 치아 모델은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의 치아 이동이 완료된 시점에서 예상되는 치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치아 모델은 단순히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의 전/후에 대한 모델 이외에도, 다수의 교정 과정 중 어느 한 교정 단계에서의 교정 전 치아 모델 및 교정 후 치아 모델을 포함할 수 있고, 디바이스(100)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교정 전 치아 모델 및 교정 후 치아 모델은 교정에 의한 치아 이동에 따라서 크라운의 위치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교정 전 치아 모델과 교정 후 치아 모델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교정에 요구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교정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정력 데이터는 교정 전 치아 모델 및 교정 후 치아 모델 간의 크라운이 이동된 정도에 대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교정력 데이터는 치아 모델에 포함되는 체커와 크라운 중 크라운에 작용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 체커에 작용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체커 교정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교정력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고, 체커에 대응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체커 교정력 데이터 및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교정에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따른 체커 교정력이 교정력 데이터에 포함되는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체커 교정력이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 부착물이 불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고, 체커 교정력이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경우, 부착물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체커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대응되는 교정력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체커의 모서리 인접 영역은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버컬(Buccal) 시점에서 각각 디스털 영역(610, 원심방향, Distal), 메지얼 영역(620, 근심방향, Mesial), 서비컬 영역(630, 치근방향, Cervical) 및 어클루절 영역(640, 교합방향, Occlusal)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부(130)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아래의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고, 수신부(110) 및 출력부(130) 외에 생략되어 도시되지 않은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20)는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명세서 전반에서 기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부착물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부착물은 교정 과정에서 치아에 부착되어 치아에 가해지는 교정력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부착물 관련 정보는 부착물과 관려된 정보를 전반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착물 관련 정보는 교정에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교정에 요구되는 교정력이 기설정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부착물이 필요 없을 수 있으나, 교정력이 기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부착물이 필요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10 및 단계 S220에서 디바이스(100)는 가상의 체커가 부착된 치아 모델의 교정 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전 치아 모델 및 가상의 체커가 부착된 치아 모델의 교정 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후 치아 모델을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 교정 전 치아 모델(301) 및 교정 후 치아 모델(302)은 가상의 체커(310)가 부착된 형태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교정 후 치아 모델(302)은 교정에 의해 크라운(320) 및 체커(310)가 교정 전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정 후 치아 모델(30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크라운(320) 및 체커(310)는, 교정에 따른 크라운(320) 및 체커(310)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도록 교정 전 치아 모델(301) 상에 디스플레이된 크라운(320) 및 체커(310)의 위치에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교정 후 치아 모델(302)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체커(310)는 교정에 따른 크라운(320)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도록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교정 전 치아 모델(301) 및 교정 후 치아 모델(302)은 체커(310)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수행되는 교정의 전/후 치아 모델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교정 전 치아 모델(301)에 디스플레이된 체커(310)는 크라운(320)의 위치 및 크라운(320)의 치축에 대응되도록 크라운(32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교정 후 치아 모델(302)은 교정에 따른 크라운(320)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크라운(320)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각 교정 전 치아 모델(301)과 교정 후 치아 모델(302)에 체커(310)를 생성/배치할 수 있다. 체커(310)는 각 크라운의 치축과 평행하게, 크라운 형상 상에 배치되며, 특히, 체커의 방향과 크라운의 방향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크라운의 방향은 버컬(Buccal), 디스털(Distal), 메지얼(Mesial), 서비컬(Cervical) 및 어클루절(Occlusal) 방향으로 구분/결정될 수 있고, 체커(310)가 생성/배치되는 단계에서부터 체커(310)의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배치되는 체커(310)의 위치는 교정 전 치아 모델(301)과 교정 후 치아 모델(302) 상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교정 전 치아 모델(301) 및 교정 후 치아 모델(302)은 일부의 크라운(320) 및 체커(310)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내용에 반드시 제한되지는 않으며, 전체 크라운(320) 및 체커(310)가 도시된 경우에 대해서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예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디바이스(100)는 교정 전 치아 모델(301)과 교정 후 치아 모델(302)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교정에 요구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교정력 데이터(304)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교정력은 크라운(320)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미는 힘(push force)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교정 전 치아 모델(301)과 교정 후 치아 모델(302)의 비교 결과는 도 3을 참조하면, 교정 전 치아 모델(301)과 교정 후 치아 모델(302)을 기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정합하였을 때 획득되는 정합 모델(303) 상에 나타나는 각 크라운(320) 및 체커(310)의 이격 정도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교정력이 대응되는 영역 및 교정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교정력이 대응되는 영역은 교정력이 인가되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로 교정력이 기설정 비율 이상 인가되는 영역이 해당 교정력에 대해서 교정력이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정합 모델(303) 상에 나타나는 교정 후 치아 모델(302) 상의 각각의 크라운(320) 및 체커(310)의 이격 정도에 기초하여 교정력이 대응되는 영역 및 교정 전 치아 모델(301)과 교정 후 치아 모델(302) 간의 이동 거리를 컬러 맵(color map)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크라운(320) 및 체커(310) 상에 나타나는 컬러 맵의 영역, 분포 및 색상 등에 기초하여 이동 거리에 대한 데이터 및 교정력의 분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교정력 데이터(304)를 획득할 수 있다. 컬러 맵은 기설정 단위(예: 픽셀)에 기초하여 영역, 분포 및 색상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컬러 맵이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이동 거리마다 상이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거리가 기설정 제 1 범위(예: 0mm 이상 0.1mm 미만)에 포함되는 경우, 이동 거리에 대응되는 영역의 색상은 제 1 색상(예: yellow)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동 거리가 기설정 제 2 범위(예: 0.1mm 초과 0.2mm 미만)에 포함되는 경우, 이동 거리에 대응되는 영역의 색상은 제 2 색상(예: orange)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동 거리가 기설정 제 3 범위(예: 0.2mm 초과 Nmm 미만)에 포함되는 경우, 이동 거리에 대응되는 영역의 색상은 제 3 색상(예: red)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컬러 맵의 색상은 교정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컬러 맵의 영역 및 분포에 대응되도록 교정력이 대응되는 영역이 결정될 수 있고, 컬러 맵의 색상이 짙거나 옅은 정도는 교정력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맵이 제 1 크라운(340)의 제 1 영역에 분포되어 있고, 제 1 영역에 대한 컬러 맵의 색상의 짙은 정도가 제 1 레벨을 나타내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제 1 영역에 기초하여 교정력이 대응되는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제 1 레벨에 기초하여 교정력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바이스(100)는 교정력이 대응되는 영역 및 교정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교정력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 및 교정력의 분포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교정력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 및 교정력의 분포에 대한 데이터는 교정력 데이터(304)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디바이스(100)는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정에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체커 교정력 데이터는 교정력 데이터(304)로부터 획득될 수 있고, 체커(310)에 대응하는 교정력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교정력은 체커 교정력 데이터 및 교정력 데이터(304)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또한, 교정력은 크라운(32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교정력 데이터(304)에 포함된 체커(310)로부터 획득되는 교정력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 및 교정력의 분포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커 교정력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교정력 데이터(304)에 포함된 교정력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 및 교정력의 분포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커(310)에 대응되는 교정력인 체커 교정력을 결정할 수 있고,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크라운(320)에 대응되는 교정력인 크라운 교정력를 결정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체커 교정력이 있는지 여부 또는 체커 교정력이 크라운 교정력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체커 교정력이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응되는 경우는 예를 들면 체커 교정력이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 가능한 경우일 수 있다. 체커 교정력이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 가능한 경우는, 예를 들면 체커(310)의 순측 또는 협측 면에 대응하는 교정력이 크라운 교정력과 대응되는 경우일 수 있다. 체커 교정력이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 가능한 경우, 체커 교정력이 없어도 크라운 교정력만으로 정상적인 치아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어 이 경우 디바이스(100)는 부착물이 불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체커 교정력이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될 수 없는 경우는 크라운(320)에 가해지는 교정력만으로는 원하는 치아 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어, 이 경우 디바이스(100)는 부착물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체커 교정력이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될 수 없는 경우는, 예를 들어 체커(310)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대응되는 교정력이 크라운(320)에 가해지지 않아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될 수 없는 경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교정력은 교정 장치와 크라운(320) 간의 압력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교정 장치? 크라운(320)에 교정력을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체커(310)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대응되는 교정력이 있거나 교정력이 기설정 수준 이상인 경우 부착물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체커(310)에 대응되는 교정력이 있고, 크라운 교정력이 없는 경우 부착물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반대로, 디바이스(100)는 체커(310)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대응되는 교정력이 없거나 기설정 수준 미만인 경우, 체커(310)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대응되는 교정력이 없거나 기설정 수준 미만이면서 크라운 교정력이 기설정 수준 이상인 경우, 체커(310)의 모서리 인접 영역을 제외한 면(예: 체커(310)의 순측 또는 협측 면)에만 교정력이 있는 경우, 체커(310)의 모서리 인접 영역을 제외한 면에만 교정력이 있으면서 크라운 교정력이 기설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부착물이 불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1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단계 S250에서 디바이스(100)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부착물 관련 정보는, 부착물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부착물 필요 여부에 대한 근거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부착물 예시 모델(305) 및 도 4, 도 6, 도 8,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도표(또는, 텍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첫 번째로 부착물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부착물의 속성을 정의하고,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시할 수 있는 체커 교정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부착물의 속성에는 체커(310)에 작용하는 교정력, 체커(310) 부착 시 부착 방향, 체커(310) 부착 시 크기 변환 여부, 방향 변경 여부가 포함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디바이스(100)는 치아(크라운)의 교정에 따른 이동 전과 치아 이동 후의 차이가 나타나는 정도를 시각화(거리 차이에 대한 수치 정보를 지정된 색으로 변환하여 치아 이동 전 모델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가철식 교정 장치가 치아를 미는 힘을 이용하여 치아 이동을 구현하는 원리에 기반하여 치아 이동 후의 거리 차이를 미는 힘으로 활용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정에 따른 치아의 이동 전, 후의 차이가 나타나는 정도를 시각화하는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의 교정력 데이터(30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세 번째로, 디바이스(100)는 치아 이동의 미는 힘을 부여하는 데 필요 교정력이 치아에 발현되지 않는 치아와 그 영역을 검출해야 하므로 치아에 추가적인 체커(예: 교정력 검토 장치용)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바이스(100)는 추가적인 체커에 반영된 교정력과 해당 치아에 반영된 교정력을 함께 검토하여 최종적으로 부착물의 필요성을 결정할 수 있다.
네 번째로, 디바이스(100)는 필요 시 한정 부착물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획된 가철식 교정 치료가 구강 내 적정하게 발현되게 하기 위해, 가철식 교정 치료가 가지는 편한 치료 과정의 장점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서 교정력 보강이 필요한 치아에 한정하여 사전에 정의된 부착물을 필요한 개별 치아의 위치에 디바이스(100)가 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치아 교정 전 후 모델의 비교를 통해 획득되는 교정력을 이용하여 투명 교정 장치를 이용한 교정에 필요한 부착물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고,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 및 이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검토하도록 함으로써 부착물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착물 예시 모델(305)이 디스플레이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부착물(330)은 크라운 등에 부착됨으로서 크라운 등에 인가되는 교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교정 전 치아 모델(301) 및 교정 후 치아 모델(302)을 획득하고, 기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교정 전 치아 모델(301)과 교정 후 치아 모델(302)을 서로 정합한 정합 모델(303)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디바이스(100)는 크라운(320) 및 체커(310)에 대한 교정 전 후의 이동 정도에 기초하여 교정 전 치아 모델(301)과 교정 후 치아 모델(302)에 대한 비교 결과를 정합 모델(303)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크라운 교정력 및 체커 교정력을 획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획득된 크라운 교정력 및 체커 교정력에 기초하여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부착물 예시 모델(305)을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물 관련 정보에 따라 제 1 크라운(340)에 부착물(330)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고, 제 1 크라운(340)에 대응되는 기설정 방향에 대한 체커 교정력이 있거나 기설정 수준 이상인 것으로 결정되고, 제 1 크라운(340)에 대응되는 기설정 방향에 대한 크라운 교정력이 없거나 기설정 수준 미만인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디바이스(100)는 부착물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체커 교정력에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는 부착물이 제 1 크라운(340) 상에 부착된 상태인 부착물 예시 모델(305)을 획득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커(310) 및 크라운(320)에 가해지는 각 방향 별 교정력에 기초하여 교정에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가 결정됨을 나타내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체커(310) 및 크라운(320)에 대해 기설정된 방향인 디스털(Distal), 메지얼(Mesial), 서비컬(Cervical) 및 어클루절(Occlusal) 방향으로 가해지는 교정력이 있는지 여부 및 교정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부착물 필요 여부 및 필요 근거를 포함하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이를 도표 또는 텍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디스털 및 메지얼 방향에 대한 체커(310) 및 크라운(320)에 가해지는 교정력, 서비컬 및 어클루절 방향에 대한 체커(310) 및 크라운(320)에 가해지는 교정력을 결정하고, 각 방향에 대한 체커(310) 및 크라운(320)에 가해지는 교정력의 여부, 교정력 크기에 기초하여 부착물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실시 예들은 아래 도 5 내지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커(310) 및 크라운(320)에 가해지는 각 방향 별 교정력에 기초하여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가 결정되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 7, 9 및 11은 크라운(320)에 가해지는 각 방향 별 크라운 교정력의 분포, 크기(또는, 교정에 따른 이동 거리), 각 방향 별 크라운 교정력의 곡률을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크라운 교정력의 곡률은 크라운(320)의 표면 상에서 교정력이 인가되는 영역인 교정력 분포 영역과 치축 간의 거리가 균일한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정력 분포 영역과 치축 간의 거리가 균일한 경우의 크라운 교정력의 곡률은 교정력 분포 영역과 치축 간의 거리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의 크라운 교정력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크라운 교정력의 곡률이 클수록 교정 장치가 크라운(320)의 표면에서 쉽게 미끄러지기 때문에, 크라운 교정력의 곡률에 따라 부착물 필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라운 교정력의 곡률이 기설정값 이상인 경우, 부착물이 필요하다고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 8, 10 및 12는 도 5, 7, 9 및 11에 도시된 정보에 추가적으로 크라운(320) 상에 부착된 체커(310), 체커(310) 상에 나타나는 체커 교정력의 분포, 체커 교정력의 크기(또는, 교정에 따른 이동 거리), 부착물 필요 여부에 대한 근거를 나타내는 정보 및 부착물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 8, 10 및 12에 도시된 부착물 필요 여부에 대한 근거를 나타내는 정보는 일 측의 도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표에는 체커(310)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에 대응되는 체커(310) 상의 영역에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체커 교정력이 발생되는 경우, 도표에 부착물이 필요할 가능성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의미는 “O”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반대로, 기준값 미만의 체커 교정력이 발생되는 경우, 부착물이 불필요할 가능성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의미는 “X”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커 교정력이 기준값 이상으로 발생되는 경우, 부착물에 의한 교정이 가능하므로 크라운 교정력에 따른 부착물 필요 여부에 따라 부착물이 필요할 수 있고, 체커 교정력이 기준값 미만으로 발생되는 경우, 부착물에 의한 교정이 불가능하여 부착물이 불필요할 수 있다.
또한, 도표에는 체커 교정력이 발생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이 발생되는지 여부, 해당 크라운 교정력이 해당 방향에서 크라운(320)의 전체 영역에 분포되도록 발생되는 경우 및 인접 치아 또는 잇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일 때, 부착물이 불필요함을 나타내는 의미는 “X”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라운(320)의 전체 영역에 크라운 교정력이 분포되는 경우 크라운 교정력의 곡률이 낮기 때문에 교정 장치가 곡률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부착물 없이 정상적인 교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부착물이 불필요할 수 있다.
또한, 도표에는 체커 교정력이 발생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이 발생되는지 여부, 해당 크라운 교정력이 해당 방향에서 크라운(320)의 일부 영역에만 분포하는 경우, 크라운 교정력의 곡률이 작은 경우(예: 크라운 교정력 영역의 외곽과 치축 간의 각 거리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및 인접 치아에 영향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일 때, 부착물 필요 여부에 대해서는 이용되지 않는 경우로 볼 수 있어 이를 나타내는 의미는 “-“ 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라운(320)의 일부의 영역에만 크라운 교정력이 분포하는 경우는 크라운 교정력이 약하거나 교정에 필요한 위치에 크라운 교정력이 가해지지 않아 부착물이 필요할 수 있으나, 크라운 교정력의 곡률이 작은 경우는 교정 장치가 미끄러지지 않아 크라운 교정력이 크라운(320)에 정상적으로 가해지므로 부착물이 불필요할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대한 부착물 필요 여부는 제외될 수 있고, 다른 시점에서의 체커 교정력 및 크라운 교정력에 따른 부착물 필요 여부에 대해 결정된 결과에 따라 부착물 필요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외의 나머지 경우(예: 크라운 교정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인접 치아 또는 잇몸에 의해 크라운 교정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등)에는 부착물이 필요하다는 의미는 “O”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도 5 내지 도 12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크라운(320)의 각 방향으로 가해지는 크라운 교정력에 따라 버컬(Buccal) 시점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의 교정력이 요구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해당 교정력은 버컬 시점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면에 추가적으로 체커(310) 및 체커 교정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버컬 시점에서의 크라운(320) 상에 도시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교정력이 체커(310)의 모서리 인접 영역(버컬 시점에서 체커(310)의 좌측 및 하측 모서리 인접 영역)에 체커 교정력으로 대응되도록 가해지고 있음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6에서 체커(310)의 모서리 인접 영역은 각각 디스털 영역(610), 메지얼 영역(620), 서비컬 영역(630) 및 어클루절 영역(640)을 나타낼 수 있다.
도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디스털 방향 및 메지얼 방향 중 디스털 방향에서의 체커 교정력은 기설정 수준 이상이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O”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비컬 방향 및 어클루절 방향 중 어클루절 방향에서의 체커 교정력이 기설정 수준 이상이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O”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스털 방향 및 메지얼 방향 중 디스털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은 인접 치아에 의해 크라운(320)에 가해지지 않고 있고, 메지얼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은 일부의 영역에 가해지고 크라운 교정력의 곡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O”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비컬 방향 및 어클루절 방향 중 서비컬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 또한 잇몸에 의해 크라운 교정력이 가해지지 않고 있고, 어클루절 방향의 크라운 교정력은 곡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O”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크라운 교정력 및 체커 교정력에 대해 결정된 결과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크라운(320)에는 부착물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부착물이 필요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도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면에 도시된 크라운(320)에 부착물이 필요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털 및 메지얼 방향에서의 체커 교정력은 기설정 수준 이상이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O”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비컬 방향 및 어클루절 방향에서의 체커 교정력은 기설정 수준 미만이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X”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스털 방향 및 메지얼 방향 중 디스털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은 기설정 수준 미만이면서 인접 치아에 의해 크라운(320)에 가해지지 않고 있고, 메지얼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 또한 기설정 수준 미만이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O”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비컬 방향 및 어클루절 방향 중 서비컬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은 잇몸에 의해 크라운(320)에 가해지지 않고 있고, 어클루절 방향의 크라운 교정력은 일부의 영역에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 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바이스(100)는 도표에 나타나는 정보인 부착물 필요 근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크라운(320)에 부착물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면에 도시된 크라운(320)에 부착물이 불필요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털 방향 및 메지얼 방향에서의 체커 교정력은 기설정 수준 미만이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X”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비컬 방향 및 어클루절 방향 중 어클루절 방향에서의 체커 교정력은 기설정 수준 이상이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O”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스털 방향 및 메지얼 방향 중 디스털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은 크라운(320)의 일부 영역에 기설정 수준 미만으로 가해지고 있고 대부분의 크라운 교정력은 인접 치아에 의해 크라운(320)에 가해지지 않고 있다. 메지얼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 또한 크라운(320)의 일부 영역에 기설정 수준 미만으로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 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비컬 방향 및 어클루절 방향 중 서비컬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은 잇몸에 의해 크라운(320)에 가해지지 않고 있고, 어클루절 방향의 크라운 교정력은 크라운(320)의 전체 영역에 분포되도록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X”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바이스(100)는 도표에 나타나는 정보인 부착물 필요 근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크라운(320)에 부착물이 불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면에 도시된 크라운(320)에 부착물이 불필요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털 방향 및 메지얼 방향 중 디스털 방향에서의 체커 교정력은 기설정 수준 이상이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O”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비컬 방향 및 어클루절 방향에서의 체커 교정력은 기설정 수준 미만이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X”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스털 방향 및 메지얼 방향 중 디스털 방향에서의 크라운 교정력은 크라운(320) 전체에 기설정 수준 이상으로 가해지고 있고, 크라운 교정력이 가해지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인접 치아에 영향이 적다고 볼 수 있어,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X”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서비컬 방향 및 어클루절 방향 중 서비컬 방향의 크라운 교정력은 잇몸에 의해 크라운(320)에 가해지지 않고, 어클루절 방향의 크라운 교정력은 크라운(320)의 일부의 영역에 가해지고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100)는 도표의 해당하는 칸에 “-“ 표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버컬 방향으로 가해지는 체커 교정력 또한 일정 수준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해당 크라운(320)에는 부착물이 불필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바이스(100)는 도표에 나타나는 정보인 부착물 필요 근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크라운(320)에 부착물이 불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디바이스(100)는 체커(310) 및 크라운(320)에 가해지는 각 방향 별 교정력에 기초하여 부착물 필요 근거 정보를 결정하고, 부착물 필요 근거 정보에 기초하여 부착물 필요 여부를 결정 및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검토하도록 함으로써 부착물 필요 여부에 대한 판단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 및 조합은 일 실시 예이고,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요소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서, 조합, 분기, 기능 및 그 수행 주체가 추가, 생략 또는 변형된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제공'은 대상이 특정 정보를 획득하거나 직간접적으로 특정 대상에게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요구되는 관련 동작의 수행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120)(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바이스
110: 수신부 120: 프로세서
130: 출력부
301: 교정 전 치아 모델
302: 교정 후 치아 모델
303: 정합 모델
304: 교정력 데이터
305: 부착물 예시 모델
310: 체커 320: 크라운
330: 부착물 340: 제 1 크라운
610: 디스털 영역 620: 메지얼 영역
630: 서비컬 영역 640: 어클루절 영역

Claims (16)

  1. 디바이스가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상의 체커가 부착된 치아 모델의 교정 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전 치아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치아 모델의 교정 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후 치아 모델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교정 전 치아 모델과 상기 교정 후 치아 모델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교정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교정력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체커에 대응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정에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체커에 대응하는 교정력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치아 모델에 포함되는 상기 체커와 크라운 중 상기 크라운에 대응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를 상기 교정력 데이터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체커 교정력 데이터 및 상기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 교정력 데이터 및 상기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체커에 대응되는 교정력인 체커 교정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크라운에 대응되는 교정력인 크라운 교정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부착물이 불필요하다고 결정하고,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부착물이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체커에 대응되는 교정력의 크기 및 분포에 기초하여 상기 교정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각진 형상인 상기 체커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대응되는 교정력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커는 크라운의 협측 또는 순측에 부착되고, 제 1 모서리 인접 영역 내지 제 4 모서리 인접 영역을 포함하는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모서리 인접 영역 내지 상기 제 4 모서리 인접 영역 중 상기 교정력이 대응되는 영역에 따라 상기 교정력의 방향을 원심방향 (디스털, Distal), 근심방향 (메지얼, Mesial), 치근방향 (서비컬, Cervical) 및 교합방향 (어클루절, Occlusal)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정력의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교정 전 치아 모델과 상기 교정 후 치아 모델이 정합되었을 때 이격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교정력이 대응되는 영역 및 상기 교정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력 데이터는 상기 교정력의 크기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교정력의 분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11.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가상의 체커가 부착된 치아 모델의 교정 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전 치아 모델 및 상기 치아 모델의 교정 후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 후 치아 모델을 획득하는 수신부;
    상기 교정 전 치아 모델과 상기 교정 후 치아 모델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교정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교정력 데이터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체커에 대응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교정에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아 모델에 포함되는 상기 체커와 크라운 중 상기 크라운에 대응하는 교정력을 나타내는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를 상기 교정력 데이터로부터 획득하고,
    상기 체커 교정력 데이터 및 상기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부착물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체커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체커에 대응되는 교정력인 체커 교정력을 결정하고,
    상기 크라운 교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크라운에 대응되는 교정력인 크라운 교정력을 결정하고,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에 대응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경우 상기 부착물이 불필요하다고 결정하고,
    상기 체커 교정력이 상기 크라운 교정력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부착물이 필요하다고 결정하는, 디바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각진 형상인 상기 체커의 모서리 인접 영역에 대응되는 교정력이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부착물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16. 제 1 항 내지 제 10 항의 방법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20128418A 2022-10-07 2022-10-07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20240048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418A KR20240048738A (ko) 2022-10-07 2022-10-07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PCT/KR2023/012438 WO2024075975A1 (ko) 2022-10-07 2023-08-22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418A KR20240048738A (ko) 2022-10-07 2022-10-07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738A true KR20240048738A (ko) 2024-04-16

Family

ID=9060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418A KR20240048738A (ko) 2022-10-07 2022-10-07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8738A (ko)
WO (1) WO202407597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943B1 (ko) 2018-08-06 2020-11-1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이나믹 기능을 이용한 투명 교정 모델 설정 장치, 그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936B1 (ko) * 2016-07-25 2018-07-13 주식회사 디오코 치아 교정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유니버셜 치아 어탯치먼트
KR101891289B1 (ko) * 2017-11-03 2018-08-24 비즈텍코리아 주식회사 투명 교정기 데이터 생성 장치
KR102351684B1 (ko) * 2020-05-28 2022-01-17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 이미지의 처리 방법,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구강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402786B1 (ko) * 2020-09-16 2022-05-27 (주)티에네스 투명 교정기 제조용 치아 모델 생성 장치
KR20220118276A (ko) * 2021-02-18 2022-08-25 주식회사 메디트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943B1 (ko) 2018-08-06 2020-11-1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이나믹 기능을 이용한 투명 교정 모델 설정 장치, 그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5975A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50272A1 (en) Monitoring of dentition
EP3243482B1 (en) Method for guiding dental implant plan, apparatus for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11534275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restoration
JP5154955B2 (ja) 口腔スキャニング用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099268B2 (en) Tooth modeling
JP6757671B2 (ja) 歯肉モデルの仮想二次加工方法
US201201661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struction of orthodontic reference objects
EP2774577A2 (en) Method and system for dental implant path planning
EP3288487B1 (fr) Système et procédé pour former des dentistes à des techniques de traitement endodontique.
KR20080048562A (ko) 3차원 역공학 기술을 이용한 치아 이동 자동측정 방법
KR101590140B1 (ko) 다중 방향에서의 치아 교합을 확인하기 위한 3차원 치아 영상 표시 방법, 장치 및 3차원 치아 영상 표시 방법용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N114302690A (zh) 用于正畸治疗计划的方法和系统
US202203310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margin line
KR20220118074A (ko) 치과 교정치료 계획 수립방법 및 그 장치
KR20240048738A (ko) 교정에 이용되는 부착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US202302332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orthodontic aligned teeth shape
KR20200083823A (ko) 교정 치아 형상 생성 방법 및 장치
EP43289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dical images for identifying regions of interest
KR102334435B1 (ko) 치료계획 수립을 위한 투명 교정기 설계방법 및 그 장치
KR102268433B1 (ko) 치아교정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230158160A (ko) 보더 라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72700B1 (ko) 삽입체 제작에 이용되는 구강 모델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20240043506A (ko) 컬러 맵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688481B1 (ko) 지대치 마진라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KR102573907B1 (ko) 아치라인 수정방법 및 그 치아 배열 디자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