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877B1 -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 - Google Patents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877B1
KR101806877B1 KR1020150165676A KR20150165676A KR101806877B1 KR 101806877 B1 KR101806877 B1 KR 101806877B1 KR 1020150165676 A KR1020150165676 A KR 1020150165676A KR 20150165676 A KR20150165676 A KR 20150165676A KR 101806877 B1 KR101806877 B1 KR 10180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alt
reinforcing
seawater
suppor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917A (ko
Inventor
고영옥
Original Assignee
최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록 filed Critical 최상록
Priority to KR102015016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8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5/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industrial 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염전시설을 구획하는 염전둑의 외표면을 보강프레임에 의해 견고하고, 안정적이며, 깔끔하게 마감처리되도록 하여, 자연현상에 의한 집중호우 또는 각종 어패류등에 의해 염전둑이 훼손되거나 무너지는 현상을 예방하고, 아울러, 상기 보강프레임과 더불어, 해수유도프레임 및 이음매차단 바닥판넬에 의해 염전시설 전체구성을 마감 시공되게 하여, 그 염전시설내의 해초류 서식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함으로서, 천일염 생산환경을 개선시키고, 그에 따라, 생산되는 천일염의 품질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평면지지판넬과, 한쌍의 측면지지판넬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내측 측면지지판넬 하부면에 밀착연결되는, 배출유도홈과, 설치유도편으로 이루어진 해수유도프레임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설치유도편과 체결스크류에 의해 결합 연결되는 이음매차단 바닥판넬을 형성되게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Salt dam reinforcement member facilities}
본 발명은 염전용 보강설비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염전둑에 의해 격자형 구조로 구획 형성되는 염전시설에 있어, 상기 염전시설을 구획하는 염전둑과, 천일염의 석출작업이 이루어지는 염전의 바닥면을 견고하고, 안정되며, 깔끔하게 마감처리되도록 한 둑 무너짐 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전(saltern)이라 함은, 태양과 풍력 등의 자연력을 이용하여 바닷물을 증발,농축하여 천일염을 생산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이러한, 염전시설에서 생산된 천일염은 미가공 상태의 굵고 반투명한 육각 결정체, 즉, 흔히 말하는 소금이라 지칭되는 것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수심이 깊지 않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서해안 또는 남해안 등지에서 널리 생산 공급되고 있는 실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일염을 생산하는 염전시설은, 만조시 수문을 열어 해수를 유입 저장토록 하는 저수지와, 태양열과 바람에 의한 해수 증발작용에 의해 염도를 높이는 증발지와, 염도가 높아진 해수로부터 소금결정체를 석출하여, 이를 고무래 등을 이용, 채염하는 결정지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지는 염전시설은 그 각각의 구성들이 소정의 높이를 갖는 염전둑에 의해 바둑판과 같이 분할된 격자형 구조로 구획형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염전을 구획하는 종래의 염전둑은, 통상 갯벌 흙을 일정한 높이로 쌓고, 이를 단단하게 다진 형태, 예컨대, 단순한 흙더미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염전둑은 장마철 등의 집중호우 또는 각종어패류(게 등) 등에 의해 쉽게 파헤쳐져 훼손되거나 무너지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함초 등의 해초류가 염전둑은 물론 염전바닥면 전체에 이르기까지 서식하며, 소금 생산환경에 상당한 악영향을 주게됨은 물론, 특히, 일부 염전시설에서는, 상기 염전둑 및 염전바닥면에 서식하는 함초 등의 해초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농약을 살포하는 경우 또한 종종 발생함에 따라 생산되는 소금에 농약성분이 유입되어 소비자 건강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문제점을 또한 갖는 것이었다.
한편, 근래에 있어서는, 전술한 염전둑의 무너짐 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염전둑에 부직포를 덮어씌우는 방법이 일부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 다르게,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등록된 "친환경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특허등록 제1450392호) 등이 창안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염전둑 무너짐 방지를 위해 이용되는 수단에 있어, 먼저 상기 부직포는 직물재라는 재질특성상 내구성이 매우 취약하고, 그 구조 또한 체계화되지 못한 형태를 취함에 따라, 사용수명이 매우 짧으며, 취급효율성 또한 극히 저조할 수밖에 없는 임시방편적 수단에 불과한 것임을 알 수 있고;
또 다르게, 상기 선등록 기술로서의 "친환경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단지, 염전시설의 바닥면을 보강하는 수단에 한정된 것일 뿐, 그외 염전둑을 보강하거나 마감하는 기능은 전혀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국, 이러한 선등록 기술은, 종래의 염전둑과 같이 외부의 환경적 유해 요인, 예컨대, 자연현상으로 발생되는 집중호우 내지 각종 어패류 및 해초류 자생에 따른 염전둑 무너짐 현상의 문제점을 그대로 상존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염전시설의 시공마감수단 및 염전둑 무너짐 방지수단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전시설을 구획하는 염전둑의 외표면을 보강프레임에 의해 견고하고, 안정적이며, 깔끔하게 마감처리되도록 하여, 자연현상에 의한 집중호우 또는 각종 어패류등에 의해 염전둑이 훼손되거나 무너지는 현상을 예방하고, 아울러, 상기 보강프레임과 더불어, 해수유도프레임 및 이음매차단 바닥판넬에 의해 염전시설 전체구성을 마감 시공되게 하여, 그 염전시설내의 해초류 서식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함으로서, 천일염 생산환경을 개선시키고, 그에 따라, 생산되는 천일염의 품질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갯벌로 이루어진 염전의 바닥면을 이음매차단 바닥판넬에 의해 마감처리되도록 하여, 각종 이물질, 예컨대, 갯벌의 흙, 또는, 갯벌에 서식하는 각종 유해충 등이 염전바닥 시공소재의 연결틈새를 통해 염전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되게 함으로서, 염전시설의 환경을 위생적으로 개선시키고, 그에 따라, 보다 청결하고, 깨끗하며, 맛좋은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평면지지판넬과, 한쌍의 측면지지판넬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내측 측면지지판넬 하부면에 밀착연결되는, 배출유도홈과, 설치유도편으로 이루어진 해수유도프레임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설치유도편과 체결스크류에 의해 결합 연결되는 이음매차단 바닥판넬을 형성되게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는
염전시설을 구획하는 염전둑의 외표면을 보강프레임에 의해 견고하고, 안정적이며, 깔끔하게 마감처리함에 따라, 집중호우 또는 각종 어패류등에 의해 염전둑이 훼손되거나 무너지는 현상을 예방되게 한 것임은 물론, 상기 보강프레임과 더불어, 해수유도프레임 및 이음매차단 바닥판넬에 의해 염전시설 전체구성 또한 마감 되게 하여, 염전시설내의 해초류 등의 서식을 원천적으로 방지되게 한 것으로서, 생산되는 천일염의 품질을 향상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 다르게, 본 발명은 염전시설의 바닥면을 이음매차단 바닥판넬에 의해 마감처리하여, 각종 이물질, 예컨대, 갯벌바닥의 흙, 또는, 갯벌바닥에 서식하는 각종 유해충 등이 염전바닥 시공소재의 연결틈새를 통해 염전내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되게 한 것으로서, 이는, 염전시설의 환경을 위생적으로 개선시키고, 그에 따라, 청결하고, 깨끗하며, 맛좋은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의 결합 설치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의 결합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음매차단 바닥판넬의 확대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음매차단 바닥판넬의 조립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해수유도 모서리연결구의 확대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보강프레임(1)과, 해수유도 프레임(2)과, 틈새차단 바닥판넬(3)과, 보강모서리 연결구(4)와, 해수유도 모서리연결구(5)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보강프레임(1)은, 갯벌흙을 쌓아올려 만든 염전둑의 외표면을 마감 및 보호하기 위해 마련된 수단인바, 이와 같은, 보강프레임(1)은, 소정길이의 구성으로서,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111)가 돌출구비된 평면지지판넬(11)을 형성하고, 상기 평면지지판넬(11)을 기초 중심구성으로 하여, 그 평면지지판넬(11)의 좌,우 양측 하부면에, 평면지지판넬(11)과 일체화 구조로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측면지지판넬(12)(12')을 더 연장 형성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보강프레임(1)은 전체적인 형상과 모양이 도 1 내지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보강프레임(1)에 있어, 평면지지판넬(11) 하부 내측면으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간격 구성으로 배치된 소정길이의 수직 돌출구성, 예컨대, 수직고정핀(112)이 더 형성되고, 또 다르게, 보강프레임(1)에 있어, 좌,우 한쌍의 측면지지판넬(12) 내측면으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향해 다수개의 간격구성을 배치된 소정길이의 돌출구성, 예컨대 다수개의 수평고정핀(121)(121')이 좌,우 대향 구조로 더 형성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해수유도프레임(2)은, 햇빛과 바람에 의한 증발작용에 의해 염전시설바닥면에 일정량의 천일염 결정체가 생성될 경우, 그 천일염 결정체로부터 유출되는 간수, 또는, 염전바닥을 청소한 세척수 또는 이물질 등을 흐름 유도되게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인바, 이와 같은, 해수유도프레임(2)은, 소정길이의 구성으로서, 일면에 직사각 요홈구조를 이루는 배출유도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도홈(21) 일측 상단면에 수평구조로 연장되는 평판구조의 설치유도편(22)을 일체로 더 형성토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23은 프레임 체결공)
또한, 상기 틈새차단 바닥판넬(3)은, 갯벌로 이루어진 염전시설의 바닥면을 마감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와 같은, 틈새차단 바닥판넬(3)은, 가로방향 일측면과, 세로방향 일측면이 도 4 및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층계형태로 어긋나며 다단 적층구조로 일체화 결합되는 직사각 평판구조의 하부판재(31) 및 상부판재(32)로 형성하고, 상기 적층결합된 하부판재(31)와 상부판재(32)의 어긋난 부위를 조립연결면(33)으로 형성되게 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34는 판넬설치공)
또한, 상기 보강모서리 연결구(4)는, 전술한 보강프레임(1)을 복수개 이상 상호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와 같은, 보강모서리 연결구(4)는, 상기 보강프레임(1)과 상이함이 없는 동일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지되, 다만, 그 외형적 형상에 있어,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절곡된 짧은 길이의 블럭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상기 해수유도 모서리연결구(5)는, 전술한 해수유도프레임(2)을 복수개이상 상호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와 같은, 해수유도 모서리연결구(5)는, 도 1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일면에 직각 절곡구조의 보조유도홈(51)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유도홈(51)의 직각 절곡부위 상단면에 판체구조로 연장되는 보조설치 유도편(52)을 더 형성토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와 같은, 해수유도 모서리연결구(5)는, 상기 해수유도프레임(2)과 상이함이 없는 동일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것으로,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동일구성요소들의 명칭만을 달리하여 표현한 것이고, 단지, 그 외형적 형상에 있어서만, 도 1 또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절곡된 짧은 길이의 블럭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의 설치 결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 작용기능을 살펴보면;
먼저, 갯벌흙으로 이루어진 염전둑의 외표면을, 보강프레임(1)에 의해,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덮어 씌워 마감하는 형태로 설치하되, 그 설치되는 보강프레임(1)을 격자형태를 취하는 염전시설의 구조에 대응하는 형태, 예컨대, 도 1 및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절곡구조를 취하는 보강모서리 연결구(4)에 의해 상기 보강프레임(1)을 다수개의 구성으로 연결하여, 직사각틀 형상의 설치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1)이 염전둑의 외표면을 마감하는 형태로 설치될 경우, 그 보강프레임(1)으로 형성된 수직고정핀(112)과, 수평고정핀(121)(121')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갯벌흙으로 이루어진 염전둑으로 깊숙히 박히며, 상기 설치된 보강프레임(1)에 견고한 설치고정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이 설치된 보강프레임(1)의 내측 일면, 즉, 보강프레임(1)으로 마련된 좌,우 한쌍의 측면지지판넬(12)(12')에 있어, 염전의 내측면으로 위치하는 측면지지판넬(12')의 하부면 둘레를 따라,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유도프레임(2)을 밀착 결합시키는 구조로 설치하되, 그 설치되는 해수유도프레임(2) 또한 상기 설치된 보강프레임(1)의 설치형상과 일치되도록, 직각 절곡구조를 취하는 해수유도 모서리연결구(5)에 의해 상기 해수유도프레임(1)을 다수개의 구성으로 연결하여, 직사각 배치 결합형태를 갖도록 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해수유도프레임(2)이 설치될 경우, 그 설치된 해수프레임(2)의 배출유도홈(21) 내측 임의의 위치, 예컨대, 시공자가 필요로하는 위치에 별도 타공작업을 통해 배수공(도시생략)을 더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후, 마무리 과정으로서, 해수유도프레임(2)의 설치유도편(22)을 조립연결수단으로하여, 그 설치유도편(22)에 틈새차단 바닥판넬(3)을 체결스크류(S)를 이용 조립연결하고, 상기 설치유도편(22)과 결합된 틈새차단 바닥판넬(3)을 기초로, 다수개의 틈새차단 바닥판넬(3)을 도 2로 도시된 바와같이, 염전시설 바닥면 전체에 바둑판과 같은 격자형 구조로 연결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염전시설의 바닥면으로 설치되는 틈새차단 바닥판넬(3)은, 도 4 또는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재(31)와 상부판재(32)의 어긋난 부위, 예컨대, 조립연결면(33)이 상호 맞대어지는 형태의 결합관계를 갖음에 따라, 그 연결부위의 틈새(벌어짐 현상)발생을 차단하며, 갯벌흙으로 이루어진 염전 바닥면으로부터, 각종 이물질 및 유해충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되게 하는 기능을 행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결합 설치관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를 구현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는, 그 사용용도가 단지 염전둑에 한정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육상 농경지, 예컨대, 밭두렁 또는 논두렁의 무너짐 방지수단으로 또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단순한 설치장소의 변경에 불과할 뿐, 기능 및 구조의 변경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인바, 따라서, 이러한 사용용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가 논두렁 또는 밭두렁 등에 적용됨에 있어서는, 틈새차단 바닥판넬(3)은 배제시킨 형태로 보강프레임(1)과 해수유도프레임(2)만을 선택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1 : 보강프레임 2 : 해수유도프레임 3 : 틈새차단 바닥판넬
4 : 보강모서리 연결구 5 : 해수유도 모서리연결구
11 : 평면지지판넬 12,12' : 측면지지판넬 21 : 배출유도홈
22 : 설치유도편 31 : 하부판재 32 : 상부판재
51 : 보조유도홈 52 : 보조설치유도펴 111 : 미끄럼 방지돌기
112 : 수직고정핀 121,121' : 수평고정핀

Claims (4)

  1. 상부면에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돌기(111)가 돌출구비된 평면지지판넬(11)과, 상기 평면지지판넬(11) 좌,우 양측 하부면에 대칭 절곡되며, 일체화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측면지지판넬(12)로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취하는 보강프레임(1)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측면지지판넬(12) 하부면에 밀착연결되는 배출유도홈(21)과, 상기 배출유도홈(21) 일측 상단면으로 수평 연장되는 설치유도편(22)으로 형성되는 해수유도프레임(2)을 형성하되, 상기 해수유도프레임(2)은, 직각으로 절곡된 해수유도 모서리연결구(5)에 의해 직사각틀 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해수유도 모서리연결구(5)는 내측 일면에 직각 절곡구조의 보조유도홈(51)과, 보조유도홈(51)의 직각 절곡부위 상단면에 판체구조로 연장되는 보조설치 유도편(52)을 더 형성하고;
    상기 설치유도편(22)과 체결스크류(S)에 의해 결합 연결되는 이음매차단 바닥판넬(3)을 구성하되, 상기 이음매차단 바닥판넬(3)은 가로방향 일측면과, 세로방향 일측면이 층계형태로 어긋나며 다단 적층구조로 결합되는 하부판재(31) 및 상부판재(32)와, 상기 하부판재(31)와 상부판재(32)의 어긋난 부위를 조립연결면(33)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65676A 2015-11-25 2015-11-25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 KR101806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676A KR101806877B1 (ko) 2015-11-25 2015-11-25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676A KR101806877B1 (ko) 2015-11-25 2015-11-25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917A KR20170060917A (ko) 2017-06-02
KR101806877B1 true KR101806877B1 (ko) 2017-12-07

Family

ID=5922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676A KR101806877B1 (ko) 2015-11-25 2015-11-25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8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2918B (zh) * 2018-10-20 2021-06-15 陈进辉 创新农业多功能种植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655A (ja) * 2003-07-02 2005-01-27 Yoshimitsu Nakano 畔カバー
KR100978392B1 (ko) * 2010-02-18 2010-08-30 김동수 간척지 제염답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655A (ja) * 2003-07-02 2005-01-27 Yoshimitsu Nakano 畔カバー
KR100978392B1 (ko) * 2010-02-18 2010-08-30 김동수 간척지 제염답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917A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1970B2 (en) Gabion
US9932716B2 (en) Foldable barrier structure
KR101806877B1 (ko) 둑 무너짐 방지수단을 갖는 염전용 보강설비부재
DE60125950T2 (de) Segment für hochwasserschutzwand, das auf einem besonderen, mit wasser gefüllten sack beruht
KR100636085B1 (ko) 조립식 옹벽 구조체
KR20180041033A (ko) 스톤네트 및 그 시공방법
KR200461004Y1 (ko) 화단기능이 구비된 도로가각 진지
KR200185613Y1 (ko) 호안용 블록
KR20160109206A (ko) 콘크리트 구조물과 철망조립체의 경합으로 이루어진 개비온
KR100433496B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200409161Y1 (ko)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WO2018012986A1 (en) Free-standing module-based wall construction for retaining wall, fence, noise-deflection wall, windbreak or similar
WO2010059246A3 (en) Erosion control panels
CN205742075U (zh) 一种边坡生态挡土墙的砌块
KR100883049B1 (ko) 생태활성형 호안 방틀
KR101375232B1 (ko) 하천제방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제방구조
US1179121A (en) Revetment composed of flanged units.
KR100649392B1 (ko) 친환경적인 하천호안시설
KR200226344Y1 (ko) 하부 골조에 단위 소파블럭이 계지 조립되는 호안구조
JP5408725B2 (ja) 生物共生用護岸パネル材及び生物共生型護岸
KR100959677B1 (ko) 친환경 매트리스형 돌망태 및 그 설치 방법
KR101772311B1 (ko) 조립식 호안 블록 유닛
ES2299394B2 (es) Elemento modular antirreflectante.
JP6893381B2 (ja) 壁面の汚れ防止方法
KR20110033479A (ko) 통나무 돌바구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