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794B1 -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794B1
KR101806794B1 KR1020170017560A KR20170017560A KR101806794B1 KR 101806794 B1 KR101806794 B1 KR 101806794B1 KR 1020170017560 A KR1020170017560 A KR 1020170017560A KR 20170017560 A KR20170017560 A KR 20170017560A KR 101806794 B1 KR101806794 B1 KR 101806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edge
substrate
usb port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종
Original Assignee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태종 filed Critical (주)아이테오솔루션즈
Priority to PCT/KR2017/0105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6278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6Secure or tamper-resistant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단자대를 구비하는 USB포트에 삽입되는 USB 포트잠금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는, 다수의 USB단자와 관통부를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에 대해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파이크가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쐐기유닛; 상기 쐐기유닛이 진입한 후에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는, USB포트의 단자대에 스파이크를 박아서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USB표준에 의하면 모든 USB포트의 내부에는 반드시 단자대가 존재하므로 적어도 동일 타입의 USB포트이면 제조사에 상관없이 하나의 USB 포트잠금장치를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종래처럼 다양한 종류의 포트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편의성의 높아지고,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생산성 향상과 이를 통한 제조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USB port locking device having spikes}
본 발명은 컴퓨터 등의 USB포트에 삽입되는 USB 포트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USB포트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대에 스파이크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USB 포트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USB 저장장치를 통한 불법적인 정보유출, 바이러스 전파 등과 같은 컴퓨터 보안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컴퓨터 USB포트의 보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USB포트 보안 방법에는 서버에서 각 컴퓨터의 USB포트 사용상태를 감시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과, 포트잠금장치를 컴퓨터의 USB포트에 삽입하여 해당 USB포트를 폐쇄하는 물리적 보안방법이 있다.
물리적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포트잠금장치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일 예로서, 도 1(a)에 나타낸 포트잠금장치(30a)는 컴퓨터(20)의 USB포트(10)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서, 장착된 이후에는 후단에 형성된 키홀(38)에 전용 키를 삽입하여 뺄 수 있는 유형이다.
다른 예로서, 도 1(b)에 나타낸 포트잠금장치(30b)는 컴퓨터(20)의 USB포트(10)에 삽입되는 USB플러그(31)에 후크(35)가 형성된 것으로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35)가 USB포트(10)의 하우징(11)에 구비된 홀(15)에 걸리면서 포트잠금장치(30b)가 빠지지 않게 결합되는 유형이다.
이러한 후크식 포트잠금장치(30b)에는 한번 장착되면 뺄 수 없는 유형과 후크(35)를 승강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하면 빼낼 수 있는 유형이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에 젠더결합부(32)를 구비하는 유형과 젠더결합부(32)가 없는 유형이 있다. 젠더결합부(32)는 USB 표준커넥터와 다른 단자 배열을 가지므로 전용 젠더(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만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포트잠금장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억지끼움식 포트잠금장치(30a)는 USB포트(10)에 삽입된 후 외부에서 바이트 공구 등을 이용하여 강제로 빼내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또한 억지끼움식 포트잠금장치(30a)는 외부에서 잡아 당길 수도 없도록 USB포트(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므로 후크식 포트잠금장치(30b)와 같이 젠더를 연결할 수 있는 젠더결합부를 후단에 형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둘째, 후크식 포트잠금장치(30b)는 USB포트(10)의 하우징(11)에 후크(35)가 걸리는 홀이 없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부분의 USB포트 하우징(11)은 내측으로 돌출된 탄성편을 구비하며, 탄성편의 주변에 홀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홀에 포트잠금장치의 후크를 걸 수 있다.
그런데 USB 표준은 USB포트('USB 리셉터클'이라고도 한다)의 단자(receptacle contact)의 위치, 단자의 폭, 단자의 간격, 단자대의 크기, 하우징의 크기, 재질 등에 대한 규격은 명시하고 있으나, 탄성편의 형상이나 탄성편 주변의 홀 크기에 대한 규격은 명시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USB포트(USB 리셉터클)의 하우징에 형성된 홀의 위치와 크기는 제조사마다 다른 경우가 많고, 심지어는 홀이 없는 제품도 있다. 특히, 보안 필요성이 매우 큰 고가의 서버용 컴퓨터에 사용되는 USB포트의 경우 하우징에 홀이 없는 제품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USB포트의 하우징에 형성된 홀의 위치와 크기가 제품마다 다르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후크식 포트잠금장치(30b)를 범용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제품군을 구매하고 관리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제품군이 다양해짐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USB포트 하우징에 홀이 없는 경우에는 후크식 포트잠금장치(30b)를 아예 사용할 수 없으므로 억지끼움식 포트잠금장치(30a)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억지끼움식 포트잠금장치(30a)를 사용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후단에 젠더 등을 연결하기 어렵고 도구를 이용하여 빼내는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억지끼움식이나 후크식이 아닌 새로운 잠금방식을 갖는 포트잠금장치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9470호(2015.12.22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580572호(2015.12.28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USB포트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서 고정하거나 USB포트 하우징의 홀에 후크를 걸어 고정하는 방식이 아닌 새로운 잠금방식을 갖는 USB 포트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USB포트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USB표준에 규격이 명시된 부품을 활용함으로써 모든 USB포트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USB포트 잠금장치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내부에 단자대를 구비하는 USB포트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USB단자와 관통부를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에 대해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파이크가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쐐기유닛; 상기 쐐기유닛이 진입한 후에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쐐기유닛이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로 진입하면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기판의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USB포트의 상기 상기 단자대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기판의 상기 관통부는 Vbus 단자와 D- 단자의 사이, D+ 단자와 GND 단자의 사이 중에서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기판의 상기 관통부는 Vbus 단자에 인접한 기판 가장자리, 및 GND단자에 인접한 기판 가장자리 중에서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된 에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고정부의 양 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기판고정클립과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고정클립과 상기 측벽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쐐기유닛은,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탄성부를 밀어 올리는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쐐기유닛은 상기 쐐기부의 후단으로 연장된 키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삽입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벽과 선단벽에 의해 둘러싸인 키홀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벽에서 상기 스토퍼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걸림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스토퍼는 후단이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쪽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쐐기유닛은,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탄성부를 밀어 올리는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쐐기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삽입되는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기판에는 USB표준 커넥터가 아닌 젠더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USB포트에 삽입되는 플러그하우징과, 상기 플러그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하우징과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메인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과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플러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플러그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내부에 단자대를 구비하는 USB포트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플러그바디; 상기 플러그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플러그바디에 대해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파이크가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쐐기유닛; 상기 쐐기유닛이 진입한 후에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쐐기유닛이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로 진입하면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플러그바디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USB포트의 상기 단자대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스토퍼는 후단이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쪽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쐐기유닛에는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플러그바디는 후단에서 상부로 돌출된 후벽과 상기 후벽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가 상기 플러그바디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쐐기유닛은,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탄성부를 밀어 올리는 쐐기바디와. 상기 쐐기바디의 상면에 형성되어 후단으로 개구된 키홀을 포함하고, 상기 키홀의 선단벽은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 또는 다른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스토퍼는 후단이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쪽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쐐기유닛에는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 또는 다른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스파이크는 밑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 또는 다른 양상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에서,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탄성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브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한 쌍의 브랜치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USB 포트잠금장치는, USB포트의 단자대에 스파이크를 박아서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USB표준에 의하면 모든 USB포트의 내부에는 반드시 단자대가 존재하므로 적어도 동일 타입의 USB포트이면 제조사에 상관없이 하나의 USB 포트잠금장치를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종래처럼 다양한 종류의 포트잠금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편의성의 높아지고,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생산성 향상과 이를 통한 제조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USB 포트잠금장치의 여러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후크식 포트잠금장치가 USB포트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각각 쐐기유닛을 뺀 상태와 밀어 넣은 상태의 포트잠금장치의 단면도
도 7은 기판이 잠금유닛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잠금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잠금유닛에 기판지지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에서 플러그하우징과 캡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쐐기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가 USB포트에 고정되는 과정을 서로 다른 단면에서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는 스파이크가 USB포트의 단자대에 박히는 과정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15 내지 도 18은 키유닛을 이용하여 포트잠금장치의 쐐기유닛을 빼내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에서 플러그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도 20에서 쇄기유닛을 밀어 넣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플러그바디의 저면 사시도
도 23은 플러그바디에 잠금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플러그바디에 잠금유닛과 쐐기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쐐기유닛을 빼냈을 때 잠금유닛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쐐기유닛을 밀어 넣었을 때 잠금유닛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쐐기유닛에 의한 잠금유닛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가 USB포트에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는 중간에 다른 요소 없이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다면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실제와 다른 치수 또는 비율로 나타낸 부분이 있는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은 물론이다.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포트잠금장치(100)에서 컴퓨터의 USB포트에 삽입되는 쪽을 선단이라 하고 그 반대쪽을 후단이라 하며, 선단에서 후단에 이르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100a)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10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130)과, 메인하우징(130)에서 선단쪽으로 돌출된 USB플러그(110)와, 메인하우징(130)의 후단쪽에 형성된 젠더결합부(120)와, 메인하우징(130)의 후단에서부터 USB플러그(110)의 내부까지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면에 키홀(155)이 형성된 쐐기유닛(150)을 포함한다.
쐐기유닛(150)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잠금장치(10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도 있고, 키홀(155)에 키유닛(도 15의 400)을 삽입하여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쪽으로 빼낼 수도 있다.
젠더결합부(120)는 전용 젠더(도 4의 200a, 200b)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형(female) 일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수형(male)일 수도 있다. 다만, 젠더결합부(120)가 USB표준 커넥터이면 누구든지 포트잠금장치(100)에 USB장치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젠더결합부(120)의 단자 배열, 단자 개수, 및/또는 단자 크기는 USB표준 커넥터와는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포트잠금장치(100)의 젠더결합부(120)에 다양한 형태의 젠더(200a,200b)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각 젠더(200a,200b)의 선단에는 젠더결합부(120)에 대응하는 제1 결합부(210)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제2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젠더결합부(120)가 USB표준 커넥터가 아니므로 젠더(200a,200b)의 제1 결합부(210)도 USB표준 커넥터가 아니어야 하며, 다만 제2 결합부(220)는 USB표준 커넥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젠더(200a,200b)를 소지한 자는 비록 컴퓨터의 USB포트(10)에 포트잠금장치(100)가 장착되어 있더라도 젠더(200a,200b)에 원하는 USB장치(USB키보드, USB마우스, USB메모리, USB허브, USB리더기, USB충전케이블 등)를 연결하여 해당 USB포트(1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젠더(200a,200b)에 전자회로를 설치하여 사용범위 등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특허문헌 2)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1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와 도 6은 포트잠금장치(100)의 종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 쐐기유닛(150)이 뒤로 빠진 상태와 밀어 넣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130)은 선단에서 후단까지 관통된 통 형상이며, 선단에는 USB플러그(110)의 플러그하우징(111)의 후단이 결합되고, 후단에는 캡(131)이 결합된다. 캡(131)에는 젠더결합부(120)에 대응하는 위치 및 쐐기유닛(150)이 통과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다.
메인하우징(130)과 플러그하우징(111)은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되며, 연통된 내부공간에 기판(112)이 설치된다.
기판(112)의 상면에는 USB표준 규격에 따른 USB단자(Vbus,D-,D+,GND)와 젠더결합부(120)가 각각 실장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기판(112)의 상면에는 각 USB단자(Vbus,D-,D+,GND)와 젠더결합부(120)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패턴이 형성된다. 그 밖에도 기판(112)에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반도체 칩과 주변 부품 등이 실장될 수도 있다.
USB단자(Vbus,D-,D+,GND)는 플러그하우징(111)의 내부에 위치하고, 젠더결합부(120)는 메인하우징(13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7에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12)에는 Vbus 단자와 D- 단자 사이, D+ 단자와 GND단자 사이에 각각 관통홀(113)이 형성되고, Vbus 단자에 인접한 측면 가장자리 및 GND 단자에 인접한 측면 가장자리에는 각각 내측으로 에지홈(114)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D- 단자와 D+ 단자의 사이에는 관통홀(113)을 형성하지 않았는데, 이는 USB표준에 의하면 D- 단자와 D+ 단자의 사이의 간격이 다른 단자간 간격보다 훨씬 좁기 때문에 관통홀(113)을 형성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본 발명이 D- 단자와 D+ 단자의 사이에 관통홀(113)을 형성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러한 관통홀(113)과 에지홈(114)의 용도는 기판(112)의 하부에 위치하는 잠금유닛(140)의 스파이크(145)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관통홀(113)과 에지홈(114)을 포괄하는 용어로서 관통부라는 명칭을 혼용하기로 한다.
스파이크(145)는 이러한 관통부를 통과하여 컴퓨터의 USB포트(10)에 구비된 단자대(12)에 박혀서 포트잠금유닛(100)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기판(112)은 플러그하우징(111)과 메인하우징(130)의 내부공간을 대략 반분하는 높이에 설치된다.
플러그하우징(111)의 내부에서 기판(112)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단자대삽입공간(1102)으로서 컴퓨터의 USB포트에 형성된 단자대(도 12의 12 참조)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또한 메인하우징(130)에서 플러그하우징(111)까지 형성된 기판(112)의 하부공간은 쐐기삽입공간(1104)으로서 쐐기유닛(150)이 삽입되는 공간이다.
플러그하우징(111)은 컴퓨터(20)의 USB포트(12)에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USB표준 규격을 갖춰야 하며, 기판(112)에 형성된 USB단자(Vbus,D-,D+,GND) 및 기판(112)의 상부에 형성되는 단자대삽입공간(1102)도 USB표준 규격을 갖춰야 한다.
기판(112)의 하부에는 제1 기판지지부재(161)와 제2 기판지지부재(162)가 위치한다. 제1 기판지지부재(161)는 기판(112)의 선단에서부터 USB단자(Vbus,D-,D+,GND)의 후단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기판 하부를 지지하는 저면지지부와, 기판(112)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부를 포함한다.
제1 기판지지부재(161)의 저면지지부에는 기판(112)의 관통부(113,114)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이와 동일하거나 더 큰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후술하는 스파이크(145)는 제1 기판지지부재(161)와 기판(112)을 통과하여 상부의 USB단자대(12)에 박히게 된다.
제2 기판지지부재(162)는 제1 기판지지부재(161)의 저면지지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며, 기판(112)의 후단에서부터 USB단자(Vbus,D-,D+,GND)가 형성된 부분의 후단에 이르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판(112)은 제1 기판지지부재(161)와 제2 기판지지부재(162)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는 한편, 제1 기판지지부재(161)의 측면지지부에 의해 측면이 지지된다.
한편 기판(112)의 하부에는 잠금유닛(140)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유닛(140)의 상부에 기판(112)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잠금유닛(14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된 기판고정클립(149)을 이용하여 잠금유닛(140)에 기판(112)을 결합한다.
잠금유닛(14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12)에 고정되는 고정부(141)와, 고정부(141)의 선단으로 연장되며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스파이크(145)를 구비하는 탄성부(142)를 포함한다. 잠금유닛(140)은 전체적으로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한다면 적어도 스파이크(145)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41)는 기판(112)에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는 부분으로서 기판(112)과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41)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 가장자리에는 기판고정클립(149)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부로 돌출되고, 고정부(141)의 후단에는 측벽(148)이 돌출 형성된다.
기판고정클립(149)은 기판(112)의 측면 또는 상면을 눌러서 기판(112)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며, 측벽(148)은 기판(112)의 길이 방향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기판(112)의 가장자리에 기판고정클립(149)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잠금유닛(140)의 고정부(141)는 기판(112)에 대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고정부(141)는 스토퍼(147)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147)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유닛(150)의 걸림홀(153)이나 걸림턱(157)에 걸리는 부분으로서 쐐기유닛(150)이 후단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147)는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고정부(141)에 형성된 관통홀(146)의 후단쪽 가장자리에서부터 선단쪽으로 연장된다. 또한 스토퍼(147)는 고정부(141)와 평행하지 않으며, 선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 경사를 가진다. 따라서 스토퍼(147)를 위로 밀어 올리면 스토퍼(147)는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탄성부(142)는 후단이 고정부(141)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 경사를 가지며, 따라서 고정부(141)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부(142)를 밀어 올리면 탄성부(142)는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한편 탄성부(142)는 기판에 형성된 관통홀(113)과 에지홈(114)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스파이크(145)를 구비한다.
스파이크(145)는 기판(112)에 형성된 USB단자(Vbus,D-,D+,GND)와의 간섭이 절대적으로 방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각 스파이크(145)는 기판(112)의 관통홀(113) 및 에지홈(114)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그 중앙을 통과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각 스파이크(145)는 기판(112)의 관통홀(113) 및 에지홈(114)의 폭에 비해 훨씬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파이크(145)는 USB포트의 단자대(12)에 충분한 깊이로 박힐 수 있어야 하고, 포트잠금장치(1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높은 지지력을 발휘해야 한다. 포트잠금유닛(100)을 억지로 잡아 당겼을 때 스파이크(145)가 변형되면 포트잠금유닛(100)이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스파이크(145)를 포트잠금장치(100)의 길이 방향의 밑변을 갖는 삼각형으로 형성하는 한편, 각 관통홀(113) 및 에지홈(114)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2개씩의 스파이크(145)를 길이 방향으로 이격시켜 형성하였다.
다만 스파이크(145)의 형상이나 개수가 반드시 도면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그 형상이나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탄성부(142)가 서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브랜치(143)를 포함하고, 각 브랜치(143)의 양 측단마다 스파이크(145)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브랜치(143)를 형성하지 않고 플레이트 펀칭을 통해 직접 스파이크(145)를 상부로 돌출시킬 수도 있다.
기판(112)은 이러한 잠금유닛(140)의 고정부(14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판(112)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절연을 위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141)의 상부에 제2 기판지지부재(162)를 위치시키고, 이어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기판지지부재(162)의 상부에 기판(112)을 위치시킨다.
이를 위해 고정부(141)에 형성된 측벽(148)은 기판(112)과 제2 기판지지부재(162)의 두께를 모두 합한 것보다 크거나 같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판고정클립(149)도 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기판지지부재(162)는 스파이크(145)를 가리지 않도록 설치되며, 제2기판지지부재(162)의 선단면은 제1 기판지지부재(161)의 후단면과 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파이크(145)는 제1 기판지지부재(161)에 형성된 관통부와 기판(112)의 관통부(113,114)를 통과하게 된다.
도 10은, 잠금유닛(140)의 상부에 제2 기판지지부재(162)와 기판(112)을 순차적으로 위치시키고 기판고정클립(149)으로 제2 기판지지부재(162)와 기판(112)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기판지지부재(161)를 이용하여 기판(112)의 선단과 측면을 지지한 후 메인하우징(130)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기판(112)과 잠금유닛(140)의 고정부(141)는 메인하우징(13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기판(112)은 제1 기판지지부재(161)에 의해 선단과 측면이 지지되는 한편 제1 및 제2 기판지지부재(161,162)에 의해 저면이 지지된다.
그리고 메인하우징(130)의 선단에 플러그하우징(111)을 결합하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12)의 상부와 하부에 단자대삽입공간(1102)와 쐐기삽입공간(1104)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쐐기유닛(150)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부(151)와 쐐기부(152)의 후단에 형성된 키삽입부(152)를 포함하며, 메인하우징(130)의 후단에서부터 쐐기삽입공간(1104)으로 삽입된다.
쐐기부(151)는 잠금유닛(140)의 스토퍼(147)와 탄성부(142)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기판(112)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쐐기부(151)는 플러그하우징(111)과 잠금유닛(140) 사이에 형성된 쐐기삽입공간(1104)으로 삽입되며, 쐐기삽입공간(1104)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진다.
또한 쐐기부(151)는 플러그하우징(111)의 내부로 최대한 밀어 넣었을 때 잠금유닛(140)의 선단 하부에 도달할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쐐기부(151)가 잠금유닛(140)의 스파이크(145)를 위로 밀어 올린 상태에서 강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쐐기부(151)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걸림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홀(153)에는 잠금유닛(140)에서 하부로 돌출된 스토퍼(147)가 삽입된다. 걸림홀(153)에 스토퍼(147)가 삽입되면 쐐기유닛(150)을 후방으로 당기더라도 걸림홀(153)의 선단벽에 스토퍼(147)가 걸리기 때문에 쐐기유닛(150)을 메인하우징(130)의 외부로 완전히 뺄 수 없게 된다. 쐐기유닛(150)을 완전히 뺄 수 있게 하려면 걸림홀(153)을 생략하면 된다.
한편 걸림홀(153)과 스토퍼(147)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스토퍼(147)가 걸릴 수 있다면 걸림홀(153)은 관통홀이 아닌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키삽입부(152)는 쐐기유닛(150)을 후단으로 빼기 위한 키유닛(400)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키삽입부(152)의 상면에는 키홀(155)이 형성되고 키홀(115)의 후단은 개방된다. 키홀(115)의 양 측에는 서로 평행하게 가이드벽(1551)이 형성되고, 가이드벽(1551)의 선단에는 걸림홈부(1555)가 형성된다. 걸림홈부(1555)는 후술하는 키유닛(400)의 고정키(410)에 형성된 걸림돌부(41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키홀(115)의 내부에는 선단벽(1553)에서 후단쪽으로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패턴돌부(1552)가 형성되고, 패턴돌부(1552)는 후술하는 키유닛(400)이 진입할 때 키유닛(400)의 패턴홈부(422)와 맞물리게 된다.
키홀(115)의 선단쪽에 형성된 선단벽(1553)의 높이는 키유닛(400)의 고정키(410) 및 이동키(4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단벽(1553)에서 고정유닛(140)의 스토퍼(147)가 이동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은 스토퍼(147)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157)으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걸림턱(15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패턴돌부(1552)는 그 선단을 걸림턱(157)으로부터 이격시켜야 한다. 또한 걸림턱(157)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패턴돌부(1552)의 선단에는 스토퍼(147)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스토퍼(147)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면(158)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157)에 스토퍼(147)의 선단이 걸리면 쐐기유닛(150)은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쐐기유닛(15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려면, 스토퍼(147)의 선단을 밀어 올려서 걸림턱(157)에 걸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키유닛(400)을 이용하여 걸림턱(157)에 걸린 스토퍼(147)를 걸림턱(157) 보다 높은 위치로 밀어 올리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걸림턱(157)의 높이는 키유닛(400)의 이동키(420)의 두께보다는 작아야 한다. 그래야만 이동키(420)가 스토퍼(147)의 하부로 진입하여 스토퍼(147)의 선단을 밀어 올리면, 스토퍼(147)의 선단이 걸림턱(157)보아 높아져서 쐐기유닛(150)이 스토퍼(157)에 걸리지 않고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쐐기유닛(150)의 걸림턱(157)과 걸림홀(153)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걸림턱(157)의 높이가 선단벽(1553)의 다른 부분보다 낮으므로 걸림턱(157)과 걸림홀(153)의 사이에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한 단차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쐐기유닛(150)의 저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5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59)는 쐐기유닛(150)을 선단쪽으로 이동시킬 때 메인하우징(130)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32)에 걸려서 쐐기유닛(150)이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는 쐐기유닛(150)을 후방으로 빼냈을 때 잠금유닛(140)의 스토퍼(147)가 쐐기유닛(150)의 걸림홀(153)의 선단벽에 걸려서 더 이상 빠지지 않게 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쐐기유닛(150)의 쐐기부(151)가 잠금유닛(140)의 탄성부(142)의 하부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탄성부(142)는 본래대로 하향 경사져 있으며, 따라서 스파이크(145)는 기판(112)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쐐기유닛(150)을 선단쪽으로 밀어 넣으면, 먼저 걸림홀(153)의 후단벽이 전진하면서 잠금유닛(140)의 스토퍼(147)를 들어 올리게 되고, 이어서 쐐기부(151)가 잠금유닛(140)의 탄성부(142)의 하부로 진입하게 된다.
쐐기부(151)가 잠금유닛(140)의 탄성부(142)의 하부로 진입하면, 탄성부(142)가 상승하면서 스파이크(145)가 기판(112)에 형성된 관통부(113, 114)을 통과하여 기판(112)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어서 잠금유닛(140)의 스토퍼(147)가 쐐기유닛(150)의 걸림턱(157)에 걸리면, 쐐기유닛(150)이 후방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100)가 컴퓨터의 USB포트(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2와 도 13은 길이 방향의 종단면도인데, 도 12는 스파이크(145)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스토퍼(147)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폭 방향의 횡단면도이다.
포트잠금장치(100)를 컴퓨터의 USB포트(10)의 내부로 삽입할 때는 도 12(a) 및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유닛(150)을 후방으로 빼낸 상태에서 삽입해야 한다. 그래야만 스파이크(145)가 기판(112)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단자대(12)에 불필요한 손상을 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포트잠금장치(100)를 컴퓨터의 USB포트(10)의 내부로 삽입하면, USB포트(10)에 구비된 단자대(12)가 포트잠금장치(100)의 단자대삽입공간(도 5의 1102)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포트잠금장치(100)의 내부는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포트잠금장치(100)의 후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쐐기유닛(150)을 밀어 넣으면, 쐐기부(151)가 잠금유닛(140)의 탄성부(142)의 하부로 진입하면서 스파이크(145)를 밀어 올린다.
밀어 올려진 스파이크(145)는 기판(112)에 형성된 관통홀(113)과 에지홈(114)을 통과한 후,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대(12)에 구비된 USB단자(Vbus,D-, D+, GND)의 사이를 통과하여 단자대(12)의 저면에 박히게 된다. USB표준에 의하면 단자대(12)는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금속재질의 스파이크(145)이 충분한 깊이로 박힐 수 있다.
쐐기유닛(150)을 밀어 넣을 때 잠금유닛(140)에 구비된 스토퍼(147)는 선단이 위로 밀어 올려지므로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받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토퍼(147)가 쐐기유닛(150)의 키홀(155)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57)을 통과하면, 스토퍼(147)의 선단이 탄성력으로 인해 아래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걸림턱(157)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쐐기유닛(150)은 후방으로 당기더라도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스파이크(145)를 이용하여 USB포트(10)에 고정시킨 포트잠금장치(100)를 빼내기 위해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키유닛(400)을 이용하여 쐐기유닛(15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키유닛(400)은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 고정키(410)와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키(420)을 포함하며, 고정키(410)는 그 일단이 하우징의 외부로 나란하게 돌출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키(410)는 선단 부근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걸림돌부(412)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부(412)는 쐐기유닛(150)의 키홀(155)에 형성된 걸림홈부(1555)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동키(420)는 하우징에 구비된 슬라이딩버튼(43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고정키(410)의 사이로 진입하여 고정키(410)가 서로를 향해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키(420)의 선단에는 패턴홈부(422)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패턴홈부(422)는 쐐기유닛(150)에 형성된 패턴돌부(1552)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패턴홈부(422)와 패턴돌부(1552)의 개수, 크기 등을 다양화시키면 이들이 정확히 매칭되는 키유닛(400)을 사용해야만 포트잠금장치(100)를 빼낼 수 있으므로 보안성을 더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키유닛(400)을 이용하여 포트잠금장치(100)를 USB포트(10)에서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유닛(400)의 이동키(420)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키(410)를 키홀(155)의 내부로 끝까지 진입시킨다.
이어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버튼(430)을 이용하여 이동키(420)를 선단쪽으로 이동시켜 고정키(410)의 사이로 진입시키면, 고정키(410)에 형성된 걸림돌부(412)가 키홀(155)의 걸림홈부(도 11의 1555)에 삽입되는 한편, 이동키(420)의 선단은 스토퍼(147)를 걸림턱(153)보다 높은 위치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키유닛(400)을 후방으로 당기면, 고정키(410)의 걸림돌부(412)가 쐐기유닛(150)의 걸림홈부(1555)의 내벽에 접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쐐기유닛(15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쐐기부(151)는 잠금유닛(140)의 탄성부(142)의 하부에서 후단으로 물러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부(142)가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면서 단자대(12)에 박혀 있던 스파이크(145)도 기판(112)의 하부로 하강하게 되어 포트잠금장치(100)와 USB포트(10)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후에는 포트잠금장치(100)를 후방으로 당기면 USB포트(10)의 외부로 쉽게 빠지게 된다.
한편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특허문헌 1)에는 키유닛(400)의 구체적인 동작원리와 다양한 변형 예가 설명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이를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100)는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스파이크(145)가 통과하는 관통부(113,114)를 USB단자(Vbus,D-,D+, GND)의 측부에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기판(112)의 다른 위치에 관통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쐐기유닛(150)의 이동을 막기 위한 스토퍼(147)를 잠금유닛(140)에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기판지지부재(162)의 저면에 이러한 형상의 스토퍼(147)를 장착하거나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쐐기유닛(150)의 하부에 선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스토퍼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이러한 스토퍼 구조물을 메인하우징(130)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키유닛(400)이 삽입되는 키홀(155)을 쐐기유닛(150)의 저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포트잠금유닛(100)의 쐐기유닛(150)이 키홀(155)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키홀(155)을 생략함으로써 한번 장착되면 절대로 뺄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쐐기유닛(150)에는 스토퍼(147)가 걸리는 걸림턱(15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는 걸림턱(157)이 스토퍼(147)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 또는 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는 USB포트(receptacle) 중에서 A 타입 포트에 대응하는 포트잠금장치(100)를 설명하였다. 그런데 USB표준은 B 타입 등과 같이 A 타입과 다른 형상의 USB포트를 명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는 이러한 USB포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전술한 포트잠금장치(100)를 컴퓨터(20)의 USB포트(10)에 장착하면 후단에 젠더(200a,200b)를 결합하여 해당 USB포트(10)를 사용할 수 있으나, USB포트(10)를 물리적으로 완전히 폐쇄하는 경우에는 포트잠그장치(100)에 젠더(200a,200b)를 위한 젠더결합부(120)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젠더결합부가 없는 포트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500)의 사시도이고, 도 20과 도 21은 각각 플러그하우징(510)을 제거한 상태에서 쇄기유닛(530)을 후방으로 빼낸 상태와 밀어 넣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2는 플러그바디(520)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500)는 플러그하우징(510)과. 플러그하우징(510)에 의해 둘러싸인 플러그바디(520)와, 플러그바디(520)의 후단에서부터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면에 키홀(533)이 형성된 쐐기유닛(530)과, 플러그바디(5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쐐기유닛(530)에 의해 승강하는 스파이크(545)를 구비하는 잠금유닛(540)을 포함한다.
플러그하우징(510)은 컴퓨터의 USB포트(1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USB표준에 따른 규격을 갖는다.
플러그바디(520)는 다수의 관통홀(525)을 구비하는 베이스(521)와, 베이스(521)의 후단에서 상부로 돌출된 후벽(523)을 포함한다.
플러그바디(520)의 베이스(521)는 플러그하우징(5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베이스(521)의 상면과 플러그하우징(510) 사이의 공간은 선단으로 개구되어 컴퓨터의 USB포트에 형성된 단자대(도 28의 12)가 삽입되는 단자대삽입공간(도 28의 511)이다. 베이스(521)의 저면과 플러그하우징(510) 사이의 공간은 후단으로 개구되어 쐐기유닛(530)이 삽입되는 쐐기삽입공간(529)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500)는 USB포트(10)의 사용을 아예 차단하는 것이므로 플러그바디(52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단자를 구비하지 않는다.
플러그바디(520)의 베이스(52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525)은 잠금유닛(540)의 스파이크(545)가 통과하는 통로로 제공된다.
플러그바디(520)의 후벽(523)의 하단에는 쐐기유닛(530)이 이동할 수 있는 개구부(524)가 형성된다.
플러그바디(520)는 개구부(524)의 내측에서 후벽(523)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527,528)을 구비하며, 다수의 결합홈(527,528)은 잠금유닛(540)의 결합돌부(도 25의 548,549)가 삽입되어 잠금유닛(540)을 지지 또는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결합홈(527,528)에서 바깥쪽의 결합홈(527)에는 잠금유닛(540)에 형성된 후크형 결합돌부(도 25의 548)가 삽입될 수 있고, 내측의 결합홈(528)에는 후크가 없는 결합돌부(549)가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방식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잠금유닛(540)과 플러그바디(520)의 결합 구조가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쐐기유닛(530)은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잠금장치(50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도 있고, 키홀(533)에 키유닛을 삽입하여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쪽으로 빼낼 수도 있다.
쐐기유닛(530)은 쐐기바디(531)와 쐐기바디(531)의 상면에 형성되어 후단으로 개구된 키홀(533)을 포함할 수 있다. 키홀(533)은 쐐기바디(531)의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후단쪽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쐐기바디(531)는 플러그하우징(510)과 잠금유닛(540)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 쐐기삽입공간(529)에 최대한 밀어 넣었을 때 쐐기바디(531)의 선단이 플러그바디(521)의 선단 하부에 도달할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쐐기바디(531)가 잠금유닛(540)의 스파이크(545)를 위로 밀어 올린 상태에서 강하게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키홀(533)은 쐐기바디(531)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벽(539)의 내측에 형성되며, 키홀(533)의 선단에는 선단벽이 돌출된다. 따라서 키홀(533)은 쐐기유닛(530)의 후방으로 개구된다.
또한 키홀(533)의 내부에는 다수의 패턴돌부(535)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패턴돌부(53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100)에 구비된 패턴돌부(1552)와 마찬가지로 키유닛(400)이 진입할 때 키유닛(400)의 패턴홈부(422)와 맞물리게 된다. 패턴돌부(535)의 선단은 키홀(533)의 선단벽에 접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키홀(533)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벽(539)과 선단에 형성된 선단벽은 키유닛(400)의 고정키(410) 및 이동키(4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키홀(533)의 선단에 형성된 선단벽에서 잠금유닛(540)의 스토퍼(547)가 이동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은 스토퍼(547)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537)이 된다.
또한 걸림턱(53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패턴돌부(535)는 그 선단을 걸림턱(537)으로부터 이격시켜야 한다. 또한 걸림턱(537)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패턴돌부(535)의 선단에는 스토퍼(547)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스토퍼(547)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537)에 스토퍼(547)의 선단이 걸리면 쐐기유닛(530)은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며, 쐐기유닛(53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려면 키유닛(400)을 이용하여 걸림턱(537)에 걸린 스토퍼(547)를 걸림턱(537) 보다 높은 위치로 밀어 올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걸림턱(537)의 높이는 키유닛(400)의 이동키(420)의 두께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쐐기유닛(530)의 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5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38)는 쐐기유닛(530)을 선단쪽으로 이동시킬 때 플러그하우징(510)이나 플러그바디(520)에 걸려서 더 이상 전진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잠금유닛(540)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바디(520)의 하부에 위치하며, 플러그바디(520)에 결합되는 고정부(541)와, 고정부(541)의 선단으로 연장되며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스파이크(545)를 구비하는 탄성부(543)를 포함한다.
스파이크(545)는 플러그바디(521)의 관통홀(525)을 통과하여 컴퓨터의 USB포트(10)에 구비된 단자대(12)에 박혀서 포트잠금유닛(500)이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잠금유닛(540)은 전체적으로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합성수지 재질을 사용한다면 적어도 스파이크(545)는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유닛(540)의 하부에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유닛(530)이 위치한다. 도 25 및 도 26은 각각 쐐기유닛(530)을 빼냈을 때와 밀어넣었을 때 잠금유닛(540)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잠금유닛(540)의 고정부(541)는 플러그바디(520)에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는 부분이다. 고정부(541)의 후단에는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크형 결합돌부(548)와 후크없는 결합돌부(549)가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부(548,549)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바디(52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527,528)에 각각 삽입되어 잠금유닛(540)을 플러그바디(52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잠금유닛(540)의 탄성부(543)는 후단이 고정부(541)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 경사를 가진다. 따라서 고정부(541)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부(543)를 밀어 올리면 탄성부(543)는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한편 탄성부(543)에는 플러그바디(520)에 형성된 관통홀(525)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다수의 스파이크(545)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스파이크(545)는 쐐기유닛(530)에 상승하여 USB포트(10)의 단자대(12)에 박히는 것이다. 스파이크(545)는 단자대(12)에 형성된 USB단자(Vbus,D-,D+,GND)와 접하지 않을 정도의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단자대(12)에 박힌 상태에서 포트잠금장치(500)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 높은 지지력을 발휘해야 한다.
각 스파이크(545)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개수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잠금유닛(540)의 스토퍼(547)는 쐐기유닛(530)이 진입하였을 때 쐐기유닛(530)의 걸림턱(537)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쐐기유닛(530)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547)는 후단이 고정부(541)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쪽으로 연장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 경사를 가진다. 따라서 스토퍼(547)를 위로 밀어 올리면 스토퍼(547)는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걸림턱(537)의 내측에 삽입된 스토퍼(547)는 키홀(533)을 통해 삽입된 키유닛(400)의 이동키(420)에 의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으며, 스토퍼(547)의 선단이 걸림턱(537) 보다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지면 쐐기유닛(530)을 후방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5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쐐기유닛(530)을 후방으로 빼낸 상태에서는, 도 2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유닛(530)의 쐐기바디(531)가 잠금유닛(540)의 탄성부(543)의 하부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탄성부(543)는 본래대로 하향 경사져 있으며, 따라서 스파이크(545)는 플러그바디(521)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쐐기유닛(530)을 선단쪽으로 밀어 넣으면, 도 2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바디(531)가 잠금유닛(540)의 탄성부(543)의 하부로 진입함에 따라 탄성부(543)를 상승하면서 스파이크(545)가 플러그바디(521)에 형성된 관통홀(525)을 통과하여 플러그바디(521)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어서 잠금유닛(540)의 스토퍼(547)가 쐐기유닛(530)의 걸림턱(537)에 걸리면, 쐐기유닛(530)이 후방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500)가 컴퓨터의 USB포트(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포트잠금장치(500)를 컴퓨터의 USB포트(10)의 내부로 삽입할 때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유닛(530)을 후방으로 빼낸 상태에서 삽입해야 한다. 그래야만 스파이크(545)가 플러그바디(521)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USB포트(10)의 단자대(12)에 불필요한 손상을 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어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트잠금장치(500)를 컴퓨터의 USB포트(10)의 내부로 삽입하면, USB포트(10)에 구비된 단자대(12)가 포트잠금장치(500)의 단자대삽입공간(511)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포트잠금장치(500)의 내부는 도 27(a)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포트잠금장치(500)의 후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쐐기유닛(530)을 밀어 넣으면,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바디(531)가 잠금유닛(540)의 탄성부(543)의 하부로 진입하면서 스파이크(545)를 밀어 올린다.
밀어 올려진 스파이크(545)는 플러그바디(521))에 형성된 관통홀(525)를 통과한 후, 단자대(12)에 구비된 USB단자(Vbus,D-, D+, GND)의 사이를 통과하여 단자대(12)의 저면에 박히게 된다.
한편 쐐기유닛(530)을 충분히 밀어 넣으면 잠금유닛(540)의 스토퍼(547)가 쐐기유닛(53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537)의 내측에 걸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쐐기유닛(530)은 후방으로 당기더라도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500)도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쐐기유닛(530)의 이동을 막기 위한 스토퍼(547)를 잠금유닛(540)에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러그바디(521)의 저면에 이러한 형상의 스토퍼(547)를 장착하거나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쐐기유닛(530)의 하부에 선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스토퍼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키유닛(400)이 삽입되는 키홀(535)을 쐐기유닛(530)의 저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포트잠금유닛(500)의 쐐기유닛(530)이 키홀(533)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키홀(533)을 생략함으로써 한번 장착되면 절대로 뺄 수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쐐기유닛(530)에는 스토퍼(547)가 걸리는 걸림턱(53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는 걸림턱(537)이 스토퍼(547)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 또는 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트잠금장치(500)도 다양한 타입의 USB포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USB포트 11: 포트하우징
12: 단자대 100: 포트잠금장치
110: USB플러그 111: 플러그하우징
1102: 단자대삽입공간 1104: 쐐기삽입공간
112: 기판 113: 관통홀
114: 에지홈 120: 젠더결합부
130: 메인하우징 131: 캡
132: 걸림턱 140: 잠금유닛
141: 고정부 142: 탄성부
143: 브랜치 145: 스파이크
147: 스토퍼 148: 측벽
149: 기판고정클립 150: 쐐기유닛
151; 쐐기부 152: 키삽입부
153: 걸림홀 154: 단차부
155: 키홀 1551: 가이드벽
1552: 패턴돌부 1553: 선단벽
1555: 걸림홈부 157: 걸림턱
158: 경사면 159: 돌출부
161: 제1 기판지지부재 162: 제2 기판지지부재
200a, 200b: 젠더 400: 키유닛
410: 고정키 420: 이동키
422: 패턴홈부 430: 슬라이딩버튼
500: 포트잠금장치 510: 플러그하우징
511: 단자대삽입공간 520: 플러그바디
521: 베이스 523: 후벽
524: 개구부 525: 관통홀
527, 528: 결합홈 529: 쐐기삽입공간
530: 쐐기유닛 531: 쐐기바디
533: 키홀 535: 패턴돌부
537: 걸림턱 538: 돌출부
539: 가이드벽 540: 잠금유닛
541: 고정부 543: 탄성부
545: 스파이크 547: 스토퍼
548: 후크 549: 결합돌부

Claims (14)

  1. 내부에 단자대를 구비하는 USB포트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USB단자와 관통부를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에 대해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파이크가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쐐기유닛;
    상기 쐐기유닛이 진입한 후에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의 상기 관통부는 Vbus 단자와 D- 단자의 사이, D+ 단자와 GND 단자의 사이 중에서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고,
    상기 쐐기유닛이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로 진입하면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기판의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USB포트의 상기 단자대에 구비된 USB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단자대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2. 삭제
  3. 내부에 단자대를 구비하는 USB포트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USB단자와 관통부를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에 대해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파이크가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쐐기유닛;
    상기 쐐기유닛이 진입한 후에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의 상기 관통부는 Vbus 단자에 인접한 기판 가장자리, 및 GND단자에 인접한 기판 가장자리 중에서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된 에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쐐기유닛이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로 진입하면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기판의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USB포트의 상기 단자대에 구비된 USB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단자대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4. 내부에 단자대를 구비하는 USB포트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USB단자와 관통부를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에 대해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파이크가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쐐기유닛;
    상기 쐐기유닛이 진입한 후에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고정부의 양 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기판고정클립과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기판고정클립과 상기 측벽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쐐기유닛이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로 진입하면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기판의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USB포트의 상기 단자대에 구비된 USB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단자대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유닛은,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탄성부를 밀어 올리는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의 후단으로 연장된 키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삽입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벽과 선단벽에 의해 둘러싸인 키홀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벽은 상기 스토퍼가 걸리는 걸림턱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후단이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쪽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쐐기유닛은,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탄성부를 밀어 올리는 쐐기부와. 상기 쐐기부의 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쐐기부에는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삽입되는 걸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USB표준 커넥터가 아닌 젠더결합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8. 내부에 단자대를 구비하는 USB포트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USB단자와 관통부를 구비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판에 대해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파이크가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쐐기유닛;
    상기 쐐기유닛이 진입한 후에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토퍼;
    상기 USB포트에 삽입되는 플러그하우징;
    상기 플러그하우징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하우징과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메인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과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플러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내부에 걸쳐 설치되고,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플러그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쐐기유닛이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로 진입하면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기판의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USB포트의 상기 단자대에 구비된 USB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단자대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9. 내부에 단자대를 구비하는 USB포트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플러그바디;
    상기 플러그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플러그바디에 대해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파이크가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쐐기유닛;
    상기 쐐기유닛이 진입한 후에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USB포트의 내부에 구비된 단자대는 Vbus 단자, D- 단자, D+ 단자 및 GND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바디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관통홀은, 상기 USB포트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Vbus 단자와 상기 단자대 일측 가장자리의 사이, 상기 Vbus 단자와 상기 D- 단자의 사이, 상기 D+ 단자와 상기 GND 단자의 사이, 상기 GND단자와 상기 단자대 타측 가장자리의 사이 중에서 적어도 한 곳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쐐기유닛이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로 진입하면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플러그바디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USB포트의 상기 단자대에 구비된 USB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단자대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10. 내부에 단자대를 구비하는 USB포트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플러그바디;
    상기 플러그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플러그바디에 대해 고정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파이크가 형성된 탄성부를 포함하는 잠금유닛;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쐐기유닛;
    상기 쐐기유닛이 진입한 후에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바디는 후단에서 상부로 돌출된 후벽과 상기 후벽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고정부의 후단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가 상기 플러그바디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쐐기유닛이 상기 잠금유닛의 하부로 진입하면 상기 스파이크가 상기 플러그바디의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USB포트의 상기 단자대에 구비된 USB 단자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단자대에 박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유닛은,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탄성부를 밀어 올리는 쐐기바디와. 상기 쐐기바디의 상면에 형성되어 후단으로 개구된 키홀을 포함하고, 상기 키홀의 선단벽은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12.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후단이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쪽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되고,
    상기 쐐기유닛에는 상기 스토퍼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13.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밑변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14.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의 상기 탄성부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브랜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한 쌍의 브랜치마다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KR1020170017560A 2016-09-30 2017-02-08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KR101806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0527 WO2018062785A1 (ko) 2016-09-30 2017-09-25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6356 2016-09-30
KR1020160126356 2016-09-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277A Division KR101965588B1 (ko) 2016-09-30 2017-09-19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794B1 true KR101806794B1 (ko) 2017-12-08

Family

ID=609200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560A KR101806794B1 (ko) 2016-09-30 2017-02-08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KR1020170120277A KR101965588B1 (ko) 2016-09-30 2017-09-19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277A KR101965588B1 (ko) 2016-09-30 2017-09-19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806794B1 (ko)
WO (1) WO201806278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313B1 (ko) * 2020-05-11 2021-08-24 (주)아이테오솔루션즈 랜 포트 잠금 장치
KR20210137675A (ko) * 2020-05-11 2021-11-18 (주)아이테오솔루션즈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KR20240048439A (ko) 2022-10-06 2024-04-15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59Y1 (ko) 2006-11-27 2008-06-24 박수성 슬라이딩 커버를 갖는 usb 메모리 장치
US20130029505A1 (en) * 2011-07-27 2013-01-31 Panduit Corp. Blockout Device for USB Port
KR101406202B1 (ko) * 2013-02-01 2014-06-12 안창훈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580572B1 (ko) * 2014-12-18 2015-12-28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에스비포트 보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스 접근 제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364B1 (ko) * 2011-10-24 2013-10-30 안창훈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KR101579470B1 (ko) 2014-12-04 2015-12-22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KR20160067723A (ko) * 2015-10-01 2016-06-14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59Y1 (ko) 2006-11-27 2008-06-24 박수성 슬라이딩 커버를 갖는 usb 메모리 장치
US20130029505A1 (en) * 2011-07-27 2013-01-31 Panduit Corp. Blockout Device for USB Port
KR101406202B1 (ko) * 2013-02-01 2014-06-12 안창훈 Usb 포트 잠금장치
KR101580572B1 (ko) * 2014-12-18 2015-12-28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에스비포트 보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스 접근 제한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313B1 (ko) * 2020-05-11 2021-08-24 (주)아이테오솔루션즈 랜 포트 잠금 장치
KR20210137675A (ko) * 2020-05-11 2021-11-18 (주)아이테오솔루션즈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KR102351174B1 (ko) 2020-05-11 2022-01-14 (주)아이테오솔루션즈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KR20240048439A (ko) 2022-10-06 2024-04-15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540A (ko) 2018-04-09
WO2018062785A1 (ko) 2018-04-05
KR101965588B1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588B1 (ko)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US7264510B2 (en) Latching medical patient parameter safety connector and method
US5437558A (en) Connector having skirt with holes to receive plug pins and alignment pin
US7448912B1 (en) Multi-in-one card connector that allows insertion of only one single card at a time
EP1855360A1 (en) Connector boot and connector assembly
US20090047818A1 (en) Plug Locking Assembly
US9331428B2 (en) Connector mateable with mating connector and having lock structure including lock member and operation member which is operable to move lock member
KR101621454B1 (ko)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KR101961922B1 (ko) 네트웍 포트 커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웍 포트 락 장치
US8424931B2 (en) Locking apparatus for locking hard disk to electronic device
US8449319B2 (en) Connector
CN103296532A (zh) 连接器锁固装置
US20130309892A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Locking Arm
KR101076472B1 (ko) 잠금형 유에스비 소켓장치
US8696370B1 (en) Card connector
JP2007287438A (ja) カードコネクタ
US7946875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n improved retainer
KR101865165B1 (ko) 잠금 기능을 가지는 보안 usb 허브
US8662907B1 (en) Card connector having a cover with an elastic slice engaging a blocking face of a blocking block
US7001225B2 (en) Connector
KR101419955B1 (ko) 커넥터
US10439312B2 (en) Flat-conductor connector having flat-conductor retaining structure in housing itself
KR102292313B1 (ko) 랜 포트 잠금 장치
JP2005302482A (ja) コネクタ
KR102351174B1 (ko)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