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439A -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439A
KR20240048439A KR1020220146959A KR20220146959A KR20240048439A KR 20240048439 A KR20240048439 A KR 20240048439A KR 1020220146959 A KR1020220146959 A KR 1020220146959A KR 20220146959 A KR20220146959 A KR 20220146959A KR 20240048439 A KR20240048439 A KR 20240048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ousing
guide
slid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종
Original Assignee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태종 filed Critical (주)아이테오솔루션즈
Publication of KR2024004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4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5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terconnection devices, e.g. bus-connected or in-lin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제키 장치는, 일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키; 키를 움직이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서로 다른 면으로 각각 노출되도록 설치된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제2 슬라이드 유닛을 구비하며,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제2 슬라이드 유닛이 모두 동일한 키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제키 장치는 키를 움직이는 슬라이드가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해제키 장치의 방향에 구애되지 않고 슬라이드를 보다 편안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의 선단으로 키 가이드가 길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에 의해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키가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Unlocking key device for port locking device with improved usability and operational stability}
본 발명은 컴퓨터의 각종 포트에 삽입된 포트 잠금장치를 빼낼 때 사용하는 해제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종래에 비하여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크게 개선된 해제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보안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컴퓨터에 설치된 각종 포트와 카드 삽입용 슬롯(이하, 모두 '포트'로 통칭한다)을 물리적으로 폐쇄하거나 접근을 제한할 수 있는 포트 보안장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물리적 포트 보안장치는 포트에 빠지지 않게 삽입 장착되는 포트 잠금장치와 필요시 포트 잠금장치를 빼낼 수 있는 해제키 장치를 포함한다.
포트 잠금장치의 종류는 용도나 잠금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용도에 따라서는, USB포트용, LAN포트용, SFP포트용, SATA 포트용, PCMCIA슬롯용, Express 슬롯용 등으로 구분되며,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다.
다른 예로서, 잠금 방식에 따라서는, 포트 내부에 억지로 밀어 넣는 억지끼움식 잠금장치, 포트의 내벽에 걸리는 후크를 구비하는 후크식 잠금장치, 포트 내부의 단자대에 박히는 스파이크를 구비한 스파이크식 잠금장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컴퓨터(1)의 USB포트(30)에 삽입 장착된 억지끼움식 포트 잠금장치(10)를 예시한 것으로서, 포트 잠금장치(10)가 USB포트(3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임의로 빼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해당 포트는 물리적으로 폐쇄된 상태가 된다.
도 2는 USB포트(30)에 삽입된 포트 잠금장치(10)를 빼낼 때 사용하는 해제키 장치(20)를 예시한 것으로서, 해제키 장치(20)는 한 쌍의 고정키(21,22)와, 한 쌍의 고정키(21,22)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키(24)와, 사용자가 손으로 이동키(24)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슬라이드(26)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 잠금장치(10)를 빼내기 위해서는, 먼저 한 쌍의 고정키(21,22)를 포트 잠금장치(10)의 키홀(12)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동키(24)를 고정키(21,22)의 사이로 밀어 넣어 고정키(21,22)에 구비된 걸림돌부가 키홀(12)의 내벽에 구비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되도록 해야 한다. 이 상태에서 해제키 장치(20)를 뒤로 당기면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 있던 포트 잠금장치(10)가 고정키(21,22)의 걸림돌부에 걸려서 USB포트(30)에서 빠지게 된다. (특허문헌 1 참조)
도 3은 USB포트용 스파이크식 포트 잠금장치(10a)와 해제키 장치(20)를 예시한 것으로서, 포트 잠금장치(10a)는 USB포트(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포트삽입부(11)와 포트삽입부(11)의 후단에 형성된 전용포트(14)를 구비하며, 포트삽입부(11)의 내부에는 UDB포트(30)의 단자대에 박힐 수 있는 스파이크(16)가 설치된다. 또한 권한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전용포트(14)에 전용젠더를 연결하여 해당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스파이크식 포트 잠금장치(10a)를 USB포트(30)에서 빼내기 위해서는 해제키 장치(20)의 키를 키홀(12)에 삽입하여 UDB포트(30)의 단자대에 박힌 스파이크(16)를 하강시키면 된다. (특허문헌 2 참조)
도 4는 LAN포트 잠금장치(50)와 해제키 장치(20a)를 예시한 것으로서, LAN포트 잠금장치(50)는 LAN포트(40)에 장착된 랜커넥터(60)를 둘러싸는 커넥터 결합유닛(50)과, 랜커넥터(60)의 누름레버(62)의 하강을 저지하기 위해 누름레버(62)의 하부로 삽입되어 커넥터 결합유닛(50)의 내부에 결합되는 쐐기유닛(54)을 구비하며, 쐐기유닛(54)의 후단에는 해제키 장치(20a)의 키를 삽입할 수 있는 한 쌍의 키홀(56)이 형성된다.
LAN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20a)는 도 2와 도 3에 예시한 해제키 장치(20)와는 달리 한 쌍의 고정키(21,22)의 바깥쪽에 각각 이동키(24)가 설치될 수 있다. (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4는 도 4와 다른 구조로 설계된 LAN포트 잠금장치와 해제키 장치가 개시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포트 잠금장치(10,10a,50)를 포트(30,40)에서 빼내기 위해서는 전용 해제키 장치(20,20a)를 사용해야 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해제키 장치(20,20a)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이동키(24)의 전후진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슬라이드(26)가 한쪽면에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현장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드(26)를 조작할 수 없거나 조작이 매우 불편한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해제키 장치(20)를 어떤 방향으로 잡고 키를 삽입해도 포트 잠금장치(10)를 빼낼 수 있다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겠지만, 대부분의 해제키 장치(20)는 슬라이드(26)가 특정한 방향(예, 위쪽)을 향하는 상태에서 키홀(12)에 삽입해야만 이동키(24)가 키홀(12)의 내부로 끝까지 진입할 수 있고, 만일 반대 방향으로 뒤집어서 해제키 장치(20)의 키를 삽입하면 이동키(24)가 키홀(12)의 내부로 끝까지 진입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키(24)의 선단에 포트 잠금장치(10)의 키홀(12)의 선단벽에 형성된 패턴과 맞물리는 특유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특정한 방향으로 해제키 장치(20)를 삽입해야만 패턴이 서로 맞물리면서 이동키(24)가 키홀(12)의 내부로 끝까지 진입할 수 있고, 만일 해제키 장치(20)를 뒤집어서 키를 삽입하면 패턴이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이동키(24)가 키홀(12)의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지 못하여 포트 잠금장치(10)를 빼낼 수 없게 된다.
일 예로서, 서버용 대형 컴퓨터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머리보다 훨씬 높은 곳에 설치된 포트가 많이 있으며, 이러한 포트에 장착된 포트 잠금장치(10)에 해제키 장치(20)의 키를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부에 위치한 슬라이드(26)를 조작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있다.
다른 예로서, 컴퓨터가 벽면에 매우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해제키 장치(20)의 키를 삽입할 때 슬라이드(26)가 벽면을 향함에 따라 사용자가 슬라이드(26)를 조작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둘째, 해제키 장치(20,20a)에 구비된 슬라이드(26)를 작동시킬 때 이동키(24)가 고정키(21,22)와 동일 평면상에서 고정키(21,22)의 측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동키(24)와 고정키(21,22)는 모두 0.5mm 정도의 매우 얇은 금속판재를 가공한 것이어서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이동키(24)가 이동할 때 고정키(21,22)와 동일 평면을 유지하지 못하고, 고정키(21,22)의 상부나 하부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서로 겹쳐지거나 이동키(24)가 키홀(12)의 내부로 제대로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의 해제키 장치(20)는 고정키(21,22)와 이동키(24)의 돌출 길이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 기종에 따라서는 포트 잠금장치의 키홀(12)의 내부에 고정키(21,22)와 이동키(24)를 완전히 진입시킬 수 없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종에 따라서는 포트가 컴퓨터 본체의 표면에서 약간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된 경우도 있고, 포트가 일반적인 경우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포트 잠금장치가 포트의 내부로 더 깊이 삽입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해제키 장치(20,20a)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고정키(21,22)와 이동키(24)의 길이를 종래 제품보다 길게 제작할 수도 있지만, 고정키(21,22)와 이동키(24)의 돌출 길이가 길어질수록 이동키(24)의 동작 안정성이 저하되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키(24)가 고정키(21,22)와 서로 겹쳐지는 현상이 더 자주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넷째, 실제 현장에서는 컴퓨터 주변에 조명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제키 장치(20,20a)의 고정키(21,22)와 이동키(24)를 포트 잠금장치(10,50)의 키홀(12)에 정확하게 삽입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기존의 해제키 장치(20,20a)는 크기가 너무 작아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슬라이드(26)를 조작하기가 다소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해제키 장치(20,20)는 슬라이드(26)를 밀면 고정키(21,22)의 일측을 따라 이동키(24)가 직선 이동하는 방식인데 특허문헌 5에는 이와 다른 방식으로 동작하는 포트 잠금장치와 해제키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해제키 장치(20b)는 패턴키(28)와 패턴키(28)의 양측에 배치되는 걸쇠키(29)를 포함하며, 슬라이드(26)를 선단쪽으로 전진시키면 고정된 패턴키(28)의 양측에서 걸쇠키(29)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걸쇠키(29)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포트 잠금장치의 키홀 내벽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해제키(20b)도 슬라이드(26)가 하우징의 일측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은 곳이나 구석진 곳에 설치된 포트 잠금장치를 빼내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걸쇠키(29)가 얇게 제작된 경우 쉽게 구부러져 수평을 유지하지 못함에 따라 키홀 내벽의 걸림홈에 제대로 걸리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79470호(2015.12.22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806794호(2017.12.08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621454호(2016.05.16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2292313호(2021.08.24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2382958호(2022.04.05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해제키 장치의 방향에 구애되지 않고 슬라이드를 보다 편안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트 잠금장치의 내부로 삽입되는 키가 쉽게 구부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해제키 장치가 이동키와 고정키를 구비하는 경우에 이동키가 고정키와 동일 평면상에서 고정키의 측면을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제키 장치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키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해제키 장치의 키를 포트 잠금장치의 키홀에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해제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일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키; 키를 움직이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서로 다른 면으로 각각 노출되도록 설치된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제2 슬라이드 유닛을 구비하며,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제2 슬라이드 유닛이 모두 동일한 키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해제키 장치에서,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은, 키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제1 슬라이드 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키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타면으로 돌출되는 제2 슬라이드 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해제키 장치는, 상면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의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키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드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해제키 장치에서, 상기 키는, 일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고정키와, 고정키의 일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모두 이동키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은, 일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키; 키가 통과하는 가이드 슬릿을 구비하며, 선단은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되고 후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된 키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키 가이드에 대해 선단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해제키 장치에서, 상기 키 가이드의 양측에는 각각 제1 후방 돌출부와 제2 후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선단이 제1 후방 돌출부와 제2 후방 돌출부에 각각 결합된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해제키 장치에서, 상기 키 가이드는, 키를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둘러싸는 상부가이드 및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와 하부가이드의 선단에 결합되는 프런트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은 프런트 가이드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릿과 상부 가이드와 하부 가이드 사이에 형성되고 제1 가이드 슬릿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해제키 장치에서, 상기 키는, 일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고정키와, 고정키의 일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키를 포함하며, 고정키와 이동키는 상기 키 가이드의 가이드 슬릿을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양상에 따른 해제키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선단 또는 후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키 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선단과 후단에는 키 캡을 결합하기 위한 선단 캡결합부와 후단 캡결합부가 형성되고, 선단 캡결합부와 후단 캡결합부는 각각 하우징보다 폭과 높이가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단 캡결합부의 내부에는 배터리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양상에 따른 해제키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는 조명용 엘이디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제키 장치는 키를 움직이는 슬라이드가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해제키 장치의 방향에 구애되지 않고 슬라이드를 보다 편안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의 선단으로 키 가이드가 길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에 의해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키가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지거나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해제키 장치가 고정키와 고정키의 일측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키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키 가이드로 인해 이동키가 고정키와 동일 평면상에서 고정키의 측면을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키 가이드가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탄성 결합되어 있으므로 포트가 컴퓨터 본체의 표면에서 안쪽에 위치하거나 포트 잠금장치가 포트의 내부로 깊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해제키 장치를 진입시키면 키 가이드가 후단쪽으로 밀리면서 선단으로 돌출되는 키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포트 잠금장치의 키홀의 내부로 키를 완전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제키 장치의 선단에는 엘이디(LED)와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두운 환경에서도 편안하게 해제키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제키 장치를 사용할 때는 키 캡을 하우징의 후단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해제키 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크게 개선된다.
도 1은 USB포트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해제키 장치를 이용하여 USB 포트에서 포트잠금장치를 빼내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다른 유형의 USB포트용 잠금장치와 이를 위한 해제키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LAN포트용 잠금장치와 이를 위한 해제키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다른 유형의 해제키 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키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키 장치의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키 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 9과 도 10은 각각 슬라이드를 밀어서 이동키를 전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
도 11은 하우징의 후단에서 키 캡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하우징의 선단에 키 캡을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배터리 캡을 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키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이동키/고정키에 슬라이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슬라이드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이동키가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이동키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이동키/고정키에 키 가이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키 가이드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키 가이드의 단면도
도 22와 도 23은 각각 키 가이드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24와 도 25는 각각 키 가이드가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는 중간에 다른 요소 없이 연결, 결합,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다면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 후, 좌, 우, 위, 아래 등의 표현은 보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해당 표현으로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실제와 다른 치수 또는 비율로 나타낸 부분이 있는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이하 '해제키 장치'라 한다)(100)는 도 6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의 저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130)와, 후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선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한 쌍의 고정키(121,122)와, 한 쌍의 고정키(121,122)의 사이에 배치되고 슬라이드(130)에 결합된 이동키(도 9의 124)와, 하우징(110)의 선단에 결합되어 한 쌍의 고정키(121,122)와 이동키(124)를 모두 둘러싸는 키 가이드(140)와, 하우징(110)의 선단이나 후단에 결합되는 키 캡(150)과, 하우징(110)의 선단에 설치된 조명용 엘이디(160)와, 엘이디(160)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162)를 포함한다.
슬라이드(130)는 하우징(110)의 상부로 돌출된 제1 슬라이드 노브(131)와 하우징(120)의 하부로 돌출된 제2 슬라이드 노브(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노브(131)와 제2 슬라이드 노브(132) 중에서 어느 하나를 밀면 슬라이드(130) 전체가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슬라이드(130)에 결합된 이동키(124)가 고정키(121,122)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키 가이드(140)의 선단부는 하우징(110)의 선단쪽으로 돌출되고 후단부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키 가이드(140)의 내부에는 선단쪽으로 개방된 가이드 슬릿(148)이 형성되며, 가이드 슬릿(148)의 천정과 바닥은 이동키(124)가 이동할 때 고정키(121,122)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도록 상하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이드 슬릿(148)의 높이는 고정키(121,122)와 이동키(124)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동키(124)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만 미세하게 큰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키 캡(150)은 해제키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하우징(110)의 선단에 결합되어 고정키(121,122)와 이동키(12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해제키 장치(100)를 사용할 때는 하우징(1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한다.
도 6는 키 캡(150)을 하우징(110)의 후단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해제키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1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캡(150)을 하우징(110)의 후단에서 분리하여 선단에 결합하면 된다.
키 캡(150)은 하우징(110)과 함께 손잡이 역할을 해야 하므로 하우징(110)과 동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 캡(150)을 결합하였을 때 하우징(110)과 키 캡(150)의 경계부에 단차가 발생하면 사용감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하우징(110)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키 캡(150)을 결합할 수 있는 선단 결합부(111)와 후단 결합부(112)가 형성되며, 선단 결합부(111)와 후단 결합부(112)는 각각 하우징(110)보다 작은 폭과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단 결합부(112)의 내부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부(115)가 형성되고, 공간부(115)에는 엘이디(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후단 결합부(112)의 후단에는 공간부(115)를 개폐하는 배터리 캡(114)이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 캡(114)의 내측에는, 도 14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용 기판(116)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배터리용 기판(116)과 엘이디(1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제키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4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110a), 하부 하우징(110b), 및 보강 하우징(110c)을 포함하며,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은 고정키(121,122), 이동키(124), 슬라이드(130), 키 가이드(140) 등을 둘러싸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하우징(110a)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선단 결합부(111a)와 후단 결합부(112a)가 형성되며,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181)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홈(181)의 중앙에는 관통홀(182)이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110a)의 슬라이드홈(181)에는 슬라이드(130)의 제1 슬라이드 유닛(도 16의 130a)이 삽입되며, 제1 슬라이드 유닛(130a)의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도 16의 135)가 관통홀(182)을 통과하여 하부의 연결부재(도 16의 130c)에 결합된다.
상부 하우징(110a)의 슬라이드홈(181)은 슬라이드(13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 슬라이드 유닛(130a)이 선단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슬라이드홈(181)의 선단벽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고, 후단쪽으로 이동할 때는 슬라이드홈(181)의 후단벽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하부 하우징(110b)의 바닥에는 한 쌍의 고정키(121,122)와 이동키(124)를 삽입할 수 있는 키 장착부(118)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키 장착부(118)의 양측에는 각각 제1 스프링 장착부(117a)와 제2 스프링 장착부(117b)가 형성되고, 제1 스프링 장착부(117a)와 제2 스프링 장착부(117b)에는 각각 제1 스프링(171)과 제2 스프링(172)이 삽입 장착된다.
제1 스프링(171)과 제2 스프링(172)은 각각 키 가이드(140)의 후단에 결합되어 키 가이드(140)가 후단쪽으로 이동하였을 때 선단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 하우징(110b)의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선단 결합부(111b)와 후단 결합부(112b)가 형성되며, 이들은 각각 상부 하우징(110a)의 선단 결합부(111a)와 후단 결합부(112a)의 하부에 결합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110b)의 선단에는 엘이디(160)와 스위치(162)를 장착할 수 있는 엘이디 장착부(119)가 형성되며, 선단 결합부(111b)에는 엘이디(160)를 선단쪽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절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하우징(110c)은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b)을 둘러싸서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보강 하우징(110c)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130)는, 도 15의 사시도와 도 16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유닛(130a), 제2 슬라이드 유닛(130b), 및 연결부재(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유닛(130a)은 상부하우징(110a)의 슬라이드홈(181)에 삽입되며, 상부로 돌출된 제1 슬라이드 노브(131)와 하부로 돌출된 결합돌부(135)를 포함한다.
제2 슬라이드 유닛(130b)은 하부하우징(110a)의 내부 바닥에 형성된 슬라이드홈(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에 삽입되며, 하부로 돌출된 제2 슬라이드 노브(132)를 포함한다. 제2 슬라이드 유닛(130b)의 제2 슬라이드 노브(132)는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10b)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연결부재(130c)는 제1 슬라이드 유닛(130a)과 제2 슬라이드 유닛(130b)의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상면에는 제1 슬라이드 유닛(130a)의 결합돌부(135)가 삽입되는 결합홈(136)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결합돌부(137)가 하부로 돌출된다.
연결부재(130c)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돌부(137)는 이동키(124)의 관통홀(124a)을 통과하여 하부에 위치한 제2 슬라이드 유닛(130b)에 구비된 결합홈(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유닛(130a)의 결합돌부(135)가 연결부재(130c)에 결합되고, 연결부재(130c)의 결합돌부(137)가 이동키(124)를 관통한 상태로 제2 슬라이드 유닛(130b)에 결합되면, 제1 슬라이드 유닛(130a)과 제2 슬라이드 유닛(130b)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도 슬라이드(130) 전체가 이동할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130c)에 결합된 이동키(124)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도면에는 제1 슬라이드 유닛(130a)과 제2 슬라이드 유닛(130b)의 사이에 이동키(120)는 물론이고 고정키(121,124)도 삽입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각 고정키(121,124)는 슬라이드(130)의 양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7과 도 18은 상부 하우징(110a)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슬라이드(130)를 후단쪽으로 끝까지 이동시키면 이동키(124)의 선단이 키 가이드(14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슬라이드(130)를 선단쪽으로 끝까지 이동시키면 이동키(124)의 선단이 고정키(121,122)의 사이로 이동하여 고정키(121,122)와 이동키(124)의 선단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키 가이드(140)는, 도 19의 사시도, 도 20의 분해사시도, 및 도 21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이드(140a), 하부가이드(140b), 및 프런트가이드(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가이드(140a)와 하부가이드(140b)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된다.
상부가이드(140a)와 하부가이드(140b)는 가장자리의 양측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측벽이 형성되며 양 측벽의 사이에는 이동키(124)와 고정키(121,122)가 놓이는 안착면(146)이 형성된다. 안착면(146)과 측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이동키(124)와 고정키(121,122)가 통과하는 가이드 슬릿(149)으로 제공된다.
상부가이드(140a)와 하부가이드(140b)의 선단에는 프런트가이드(140c)에 결합하는 전방 돌출부(145a,145b)가 각각 형성되고, 후단에는 하부하우징(110b)의 제1 스프링 장착부(117a)와 제2 스프링 장착부(117b)의 내부로 각각 연장된 제1 후방 돌출부(141)와 제2 후방 돌출부(142)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 후방 돌출부(141)와 제2 후방 돌출부(142)의 후단에는 각각 스프링(171,172)을 결합할 수 있는 스프링 결합부(143,14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가이드(140a)와 하부가이드(140b)의 양 측면에는 키 가이드(140)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우징(110)에 걸리는 걸림턱(147)이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가이드(140c)는 상부가이드(140a)와 하부가이드(140b)의 선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이동키(124)와 고정키(121,122)가 통과하는 가이드 슬릿(148)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슬릿(148)의 후단에는 상부가이드(140a)와 하부가이드(140b)의 선단에 형성된 전방 돌출부(145a,145b)가 함께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가이드(140c)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48)과 상부가이드(140a)와 하부가이드(140b)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49)의 높이는 고정키(121,122)와 이동키(124)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동키(124)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만 미세하게 큰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런트가이드(140c)의 가이드 슬릿(148)과 상부가이드(140a)와 하부가이드(140b)의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149)은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해야 함은 물론이다.
도 22와 도 23은 키 가이드(14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2은 상부 하우징(110a)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3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스프링(171,172)의 선단은 각각 키 가이드(140)의 제1, 제2 후방 돌출부(141,142)의 후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 하우징(110b)의 내벽에 고정된다.
따라서 키 가이드(140)는 걸림턱(147)에 의해 선단쪽으로 이동할 수는 없지만 제1, 제2 스프링(171,172)에 의해 항상 선단쪽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키 가이드(140)에 후단쪽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가이드(140)가 제1 및 제2 스프링(171,172)을 압축하면서 후단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정키(121,122)와 이동키(124)가 키 가이드(140)의 선단쪽으로 더 길게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포트가 컴퓨터 본체의 표면에서 약간 안쪽에 설치되어 있거나 포트 잠금장치가 포트의 내부에 깊이 삽입된 경우에는, 해제키 장치(100)의 선단을 밀어 넣으면 키 가이드(140)가 컴퓨터 본체나 포트 하우징에 걸리면서 후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정키(121,122)와 이동키(124)가 더 길게 돌출되므로 포트 잠금장치(10)의 키홀(12)의 내부에 고정키(121,122)와 이동키(124)를 완전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도 키 가이드(140)가 고정키(121,122)와 이동키(124)를 안정적으로 둘러싸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이동키(124)가 고정키(121,122)의 상부나 하부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해제키 장치(100)가 고정키(121,122)와 고정키(121,122)의 사이에서 직선 운동하는 이동키(124)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해제키 장치(10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26)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걸쇠키(29)를 선단쪽으로 이동시키면 걸쇠키(29)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경우에도, 걸쇠키(29)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26)를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유닛(130a)과 제2 슬라이드 유닛(130b)을 포함하는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해제키 장치(100)가 고정키와 이동키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2개의 고정키(121,122) 중에서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해제키 장치(100)가,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패턴키(28)와 걸쇠키(29)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패턴키(28)의 일측에만 걸쇠키(29)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해제키 장치가 슬라이드를 조작하여 키를 움직이는 것이기만 하면, 구체적인 동작 원리가 무엇이든 관계없이, 또는 키의 구체적인 움직임이 직선운동, 곡선운동, 회전운동, 승강운동 중 어느 것이든 관계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1 슬라이드 유닛(130a)과 제2 슬라이드 유닛(130b)을 포함하는 슬라이드(130)를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130)의 제1 슬라이드 노브(131)와 제2 슬라이드 노브(132)를 해제키 장치(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하였으나 슬라이드 노브의 개수와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해제키 장치(100)의 측면에 슬라이드 노브를 추가할 수도 있고, 측면과 상면 또는 측면과 하면에 각각 하나씩의 슬라이드 노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130)가 제1 슬라이드 유닛(130a), 제2 슬라이드 유닛(130b) 및 연결부재(130c)의 조립체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인서트 몰딩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제1 슬라이드 유닛(130a), 제2 슬라이드 유닛(130b) 및 연결부재(130c)를 이동키(124)와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이동키(124)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슬라이드 유닛(130a)와 연결부재(130c)를 일체로 제작하거나, 이동키(124)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슬라이드 유닛(130b)을 연결부재(130c)와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키 가이드(140)가 상부 가이드(140a), 하부 가이드(140b) 및 연결부재(140c)의 조립체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일체로 성형 제작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해제키 장치(100)가 한 쌍의 고정키(121,122)의 사이에 이동키(124)가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키(121,122)의 바깥쪽에 한 쌍의 이동키(124)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해제키 장치(100)가 컴퓨터 본체의 포트에 삽입된 포트 잠금잠치를 빼내는 용도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해제키 장치(100)의 용도는 컴퓨터 본체에 장착된 포트 잠금장치를 빼내는 용도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컴퓨터 주변 기기나 관련 부품에 구비된 포트는 물론이고 케이블이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어댑터, 젠더, 커넥터, 허브 등에 설치된 포트에 삽입된 잠금장치를 빼내는 용도로 본 발명에 따른 해제키 장치(10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0: 해제키 장치 110: 하우징 110a: 상부 하우징
110b: 하부 하우징 110c: 보강 하우징 111: 선단 결합부
112: 후단 결합부 113: 절개부 114: 배터리 캡
115: 공간부 116: 배터리용 기판
117a, 117b: 제1, 제2 스프링 장착부 118: 키 장착부
119: 엘이디 장착부 121, 122: 고정키 124: 이동키
130: 슬라이드 130a: 제1 슬라이드 유닛 130b: 제2 슬라이드 유닛
130c: 연결부재 131: 제1 슬라이드 노브
132: 제2 슬라이드 노브 135: 결합돌부 136: 결합홈
137: 결합돌부 140: 키 가이드 140a: 상부가이드
140b: 하부가이드 140c: 프런트가이드
141, 142: 제1, 제2 후방 돌출부 143, 144: 스프링 결합부
145a, 145b: 전방 돌출부 146: 안착면 147: 걸림턱
148, 149: 가이드 슬릿 150: 키 캡 152: 공간부
160: 엘이디 162: 스위치
171, 172: 제1, 제2 스프링 181: 슬라이드홈 182: 관통홀

Claims (11)

  1. 일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키;
    키를 움직이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의 서로 다른 면으로 각각 노출되도록 설치된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제2 슬라이드 유닛을 구비하며,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제2 슬라이드 유닛이 모두 동일한 키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를 포함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은, 키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제1 슬라이드 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키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우징의 타면으로 돌출되는 제2 슬라이드 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면에는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의 결합돌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키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슬라이드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부가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일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고정키와, 고정키의 일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제2 슬라이드 유닛은 모두 이동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
  5. 일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키;
    키가 통과하는 가이드 슬릿을 구비하며, 선단은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되고 후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된 키 가이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키 가이드에 대해 선단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가이드의 양측에는 각각 제1 후방 돌출부와 제2 후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선단이 제1 후방 돌출부와 제2 후방 돌출부에 각각 결합된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 가이드는, 키를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둘러싸는 상부가이드 및 하부가이드와, 상부가이드와 하부가이드의 선단에 결합되는 프런트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슬릿은 프런트 가이드에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릿과 상부 가이드와 하부 가이드 사이에 형성되고 제1 가이드 슬릿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제2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는, 일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고정키와, 고정키의 일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키를 포함하며,
    고정키와 이동키는 상기 키 가이드의 가이드 슬릿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선단 또는 후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키 캡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선단과 후단에는 키 캡을 결합하기 위한 선단 캡결합부와 후단 캡결합부가 형성되고,
    선단 캡결합부와 후단 캡결합부는 각각 하우징보다 폭과 높이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캡결합부의 내부에는 배터리 설치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는 조명용 엘이디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 잠금 장치의 해제키 장치
KR1020220146959A 2022-10-06 2022-11-07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 KR202400484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454 2022-10-06
KR20220127454 2022-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439A true KR20240048439A (ko) 2024-04-15

Family

ID=9071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959A KR20240048439A (ko) 2022-10-06 2022-11-07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43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70B1 (ko) 2014-12-04 2015-12-22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KR101621454B1 (ko) 2015-07-08 2016-05-16 (주)아이테오솔루션즈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KR101806794B1 (ko) 2016-09-30 2017-12-08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KR102292313B1 (ko) 2020-05-11 2021-08-24 (주)아이테오솔루션즈 랜 포트 잠금 장치
KR102382958B1 (ko) 2020-07-17 2022-04-05 (주)컴엑스아이 전자기기의 포트락 해제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70B1 (ko) 2014-12-04 2015-12-22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KR101621454B1 (ko) 2015-07-08 2016-05-16 (주)아이테오솔루션즈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KR101806794B1 (ko) 2016-09-30 2017-12-08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KR102292313B1 (ko) 2020-05-11 2021-08-24 (주)아이테오솔루션즈 랜 포트 잠금 장치
KR102382958B1 (ko) 2020-07-17 2022-04-05 (주)컴엑스아이 전자기기의 포트락 해제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2287B2 (en) Drive carrier with pivoting handle
DE69231353T2 (de) Elektronisches Gerät verwendet mit einem kartenartigen elektronischen Bauelement
EP1653327B1 (en) Docking station
US8758033B2 (en) Blockout device for USB port
US6916196B2 (en) Push button de-latch mechanism for pluggable electronic module
KR930009776B1 (ko) 착탈 가능한 코넥터가 부착된 부분유닛을 갖는 휴대형 전자기기 및 그 부분 유닛의 부착방법
KR101768190B1 (ko) Usb 포트 잠금장치
JPH06119082A (ja) 情報処理装置
US10135191B1 (en) Apparatus for locking USB port
KR20090117706A (ko) 수축 가능 커넥터와 보호용 도어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전자 디바이스
KR102062845B1 (ko) 포터블 전자기기 락 장치
CA2237531C (en) Smart card adaptor latch
US20070121285A1 (en) Moun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KR101961922B1 (ko) 네트웍 포트 커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웍 포트 락 장치
US20140001940A1 (en) Enclosure of electronic device
US6760228B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removable circuit card in a computing system
KR101865165B1 (ko) 잠금 기능을 가지는 보안 usb 허브
KR20240048439A (ko)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
KR101965588B1 (ko)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US20230155313A1 (en) Port blocking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and port loc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US20230146856A1 (en) Unlocking key for port lock of electronic device
US7371086B2 (en) Anti-unplugging unit and transmission cord
KR102292313B1 (ko) 랜 포트 잠금 장치
JPH11194852A (ja) 電子機器システム
CN112153843B (zh) 具有门盖的电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