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454B1 -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1454B1 KR101621454B1 KR1020150097077A KR20150097077A KR101621454B1 KR 101621454 B1 KR101621454 B1 KR 101621454B1 KR 1020150097077 A KR1020150097077 A KR 1020150097077A KR 20150097077 A KR20150097077 A KR 20150097077A KR 101621454 B1 KR101621454 B1 KR 1016214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unit
- lan
- key
- we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7—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us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포트에 결합된 랜커넥터를 분리할 수 없게 잠그는 랜(LAN) 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랜잠금유닛은, 랜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결합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걸림부와, 상기 랜커넥터의 누름레버가 통과하는 상단절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결합유닛; 상기 누름레버의 하강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랜커넥터의 상기 누름레버의 하부로 삽입되며 상기 커넥터결합유닛의 상기 탄성걸림부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구비하는 쐐기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의 랜포트에 장착된 랜커넥터를 전용의 키유닛을 사용하지 않고는 뺄 수 없게 되므로 불법적인 목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려는 시도를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컴퓨터의 지속적인 감시가 가능해져 보안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의 랜포트에 장착된 랜커넥터를 전용의 키유닛을 사용하지 않고는 뺄 수 없게 되므로 불법적인 목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려는 시도를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컴퓨터의 지속적인 감시가 가능해져 보안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랜(LAN)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LAN포트에 연결된 랜커넥터가 분리되지 않도록 잠그는 랜잠금유닛과, 랜잠금유닛을 분리하기 위한 키유닛을 포함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컴퓨터를 다른 컴퓨터 또는 주변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LAN(local-area network)을 사용하며, 컴퓨터를 랜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에 구비된 랜포트(LAN port)(10)에 랜커넥터(LAN connector)(20)를 삽입 장착해야 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랜포트(10)는 삽입홀(13)을 둘러싸는 포트하우징(11)과, 포트하우징(11)의 천정 후단에서 선단쪽으로 형성된 상단절개부(15)와, 상단절개부(15)의 폭방향으로 마주보는 내벽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멈춤돌기(17)를 포함한다. 또한 랜커넥터(20)는 커넥터하우징(22)과, 커넥터하우징(22)의 상면 선단에서부터 후단쪽으로 상향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된 누름레버(24)와, 누름레버(26)의 양측으로 돌출된 포트걸림턱(26)을 포함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랜커넥터(20)의 후단에는 랜케이블이 연결되고, 랜커넥터(20)의 선단에는 랜케이블과 랜포트(10)의 내부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단자가 다수 구비된다.
이러한 랜커넥터(20)를 랜포트(1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랜커넥터(20)의 누름레버(24)를 누른 상태에서 커넥터하우징(22)을 랜포트(10)의 삽입홀(13)에 삽입해야 한다. 랜커넥터(20)를 삽입한 후 눌려있던 누름레버(24)를 놓으면 누름레버(24)가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면서 후단이 포트하우징(11)의 상단절개부(1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한편, 누름레버(24)의 양측에 형성된 포트걸림턱(26)이 랜포트(10)의 멈출돌기(17)의 선단측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랜커넥터(20)를 후단쪽으로 잡아당기더라도 포트걸림턱(26)이 랜포트(10)의 멈춤돌기(17)에 걸려서 빠지지 않으며, 누름레버(17)를 눌러 멈출돌기(17)에 걸리지 않는 위치로 포트걸림턱(26)을 하강시켜야만 랜커넥터(20)를 빼낼 수 있다.
한편 최근 공공기관이나 영리사업장의 업무용 컴퓨터를 통한 정보유출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컴퓨터에 설치된 보안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리서버가 각 컴퓨터의 상황을 감시하는 컴퓨터 보안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보안시스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네트워크 통신이 전제되는 것이므로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감시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의 랜포트에서 랜커넥터를 빼낸 후에 불법적인 접속을 하는 경우에는 서버에서 이를 제대로 감시할 수 없다.
물론 서버가 네트워크 연결여부를 감시하고, 연결이 끊어지면 관리자에게 소정의 경보를 할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의 단순 오작동으로 인해 네트워크 통신이 잠시 끊어지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는데다 정당 사용자가 랜커넥터를 분리했다가 다시 연결하는 경우도 빈번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연결이 해제되었다는 것만으로는 불법적인 접속시도가 있다고 단정하기 어려운 것이 한계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유에스비(USB)메모리를 이용한 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과 같이 유에스비포트에 잠금장치를 장착하고, 잠금장치의 분리여부를 관리서버에서 감시하는 보안방법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감시방법도 관리서버와 해당 컴퓨터간의 네트워크 통신이 필요하므로 만일 랜커넥터를 빼낸 상태에서 불법적으로 유에스비 잠금장치를 제거하고 유에스비 포트에 접속하였다가, 유에스비 잠금장치와 랜커넥터를 다시 정상적으로 연결해 두는 경우에는 유에스비 잠금장치의 제거 시도가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의 랜(LAN) 포트에 결합된 랜커넥터를 뺄 수 없도록 잠그고, 관리자나 정당한 사용자만이 키유닛을 이용하여 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랜커넥터를 분리한 상태에서 불법적으로 컴퓨터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안효과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랜포트에 결합된 랜커넥터를 분리할 수 없게 잠그는 랜(LAN) 잠금유닛에 있어서, 상기 랜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결합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걸림부와, 상기 랜커넥터의 누름레버가 통과하는 상단절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결합유닛; 상기 누름레버의 하강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랜커넥터의 상기 누름레버의 하부로 삽입되며 상기 커넥터결합유닛의 상기 탄성걸림부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구비하는 쐐기유닛을 포함하는 랜잠금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랜잠금유닛에서, 상기 커넥터결합유닛은 상기 랜커넥터가 상기 커넥터결합홀을 통해 후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저지하는 커넥터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랜잠금유닛에서, 상기 탄성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인접 설치되고, 후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선단은 후단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랜잠금유닛에서, 상기 쐐기유닛은, 상기 누름레버의 저면과 상기 랜커넥터의 상면에 접하는 쐐기부; 상기 커넥터결합유닛의 상기 탄성걸림부의 선단에 걸리는 부분으로서 상기 쐐기부의 후단에서 적어도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턱; 상기 걸림턱의 후단에 구비되는 상부판과 하부판;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공간을 양측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걸림부는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양측 공간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양측 공간은 키삽입홀로 제공되고,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측에는 제1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키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키유닛에 구비된 제2 결합수단과 상기 제1 결합수단이 서로 빠지지 않도록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쐐기유닛을 상기 커넥터결합유닛에서 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랜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결합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걸림부 및, 상기 랜커넥터의 누름레버가 통과하는 상단절개부를 구비하는 커넥터결합유닛과, 상기 누름레버의 하부에 삽입되는 쐐기부, 상기 탄성걸림부의 선단에 걸리는 부분으로서 상기 쐐기부의 후단에서 적어도 일측으로 돌출된 걸림턱, 상기 걸림턱의 후단에 구비되는 키삽입홀을 구비하는 쐐기유닛을 포함하는 랜잠금유닛; 상기 쐐기유닛을 상기 커넥터결합유닛에서 빼낼 때 상기 키삽입홀에 삽입되는 키유닛을 포함하는 랜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랜잠금장치에서, 상기 쐐기유닛의 상기 키삽입홀은 후단과 측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키유닛은 상기 키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걸림부를 바깥쪽으로 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쐐기유닛의 상기 키삽입홀은 격벽에 의해 구획된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측에는 제1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키유닛은 상기 제1 결합수단에 대응하는 제2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고정키와, 상기 고정키의 바깥쪽에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이동키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키는 상기 고정키가 상기 키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키삽입홀에 진입하여 상기 고정키의 바깥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상기 제2 결합수단을 서로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한편 상기 탄성걸림부를 상기 걸림턱에 걸리지 않도록 바깥쪽으로 밀어 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의 랜포트에 장착된 랜커넥터를 전용의 키유닛을 사용하지 않고는 뺄 수 없게 되므로 불법적인 목적으로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려는 시도를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컴퓨터의 지속적인 감시가 가능해져 보안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랜포트와 랜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유닛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커넥터결합유닛의 부분 절개 사시도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유닛이 랜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쐐기유닛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유닛이 랜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9는 키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키유닛을 랜잠금유닛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키유닛을 이용하여 랜잠금유닛을 빼내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유닛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커넥터결합유닛의 부분 절개 사시도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유닛이 랜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쐐기유닛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유닛이 랜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9는 키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키유닛을 랜잠금유닛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키유닛을 이용하여 랜잠금유닛을 빼내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LAN) 잠금장치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랜잠금유닛(10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랜잠금유닛(100)과 랜포트(10) 및 랜커넥터(2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장치는 랜커넥터(20)에 결합되는 랜잠금유닛(100)과, 랜잠금유닛(100)을 랜커넥터(20)에서 분리할 때 사용하는 키유닛(200)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랜잠금유닛(100) 또는 키유닛(200)에서 랜포트(10)를 향하는 쪽을 선단이라 하고 반대쪽을 후단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랜포트(10)가 독립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들 도면에는 랜포트(10)가 설치된 컴퓨터장치나 통신장치가 편의상 생략된 것임을 미리 밝혀 둔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잠금유닛(100)은, 랜커넥터(20)를 둘러싸는 커넥터결합유닛(110)과, 커넥터결합유닛(110)의 내부에서 랜커넥터(20)의 누름레버(24)의 하부로 삽입되는 쐐기유닛(120)을 포함한다.
랜잠금유닛(100)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도 3 및 도 4 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결합유닛(110)의 후단에서부터 랜커넥터(20)를 결합한 상태에서 랜커넥터(20)의 선단을 랜포트(10)에 삽입 장착한다. 랜커넥터(20)를 랜포트(10)에 먼저 장착한 후에 커넥터결합유닛(110)을 랜커넥터(20)의 후단에서부터 결합할 수도 있다.
랜커넥터(20)를 랜포트(10)에 삽입하면,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누름레버(24)의 양측에 위치한 포트걸림턱(26)이 랜포트(10)의 멈출돌기(17)에 걸리면서 누름레버(24)를 누르지 않고는 랜커넥터(20)를 빼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어서 쐐기유닛(120)을 커넥터결합유닛(110)의 후단에서부터 내부로 삽입하여 랜커넥터(20)의 누름레버(24)의 하부로 밀어 넣는다.
이때 쐐기유닛(120)에 구비된 걸림턱(123)의 후단이 커넥터결합유닛(110)에 구비된 탄성걸림부(116)의 선단에 걸리게 되면 쐐기유닛(120)을 빼낼 수 없는 상태가 되고, 쐐기유닛(120) 때문에 누름레버(24)를 누를 수도 없기 때문에 랜커넥터(20)를 랜포트(10)로부터 빼내는 것이 불가능해지며, 따라서 악의적인 의도로 랜커넥터(20)를 분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넥터결합유닛(110)은, 랜커넥터(20)가 삽입되는 커넥터결합홀(114)이 선단에서 후단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하우징(112)과, 하우징(112)의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탄성걸림부(116)와, 하우징(112) 상면의 후단에서부터 선단쪽으로 형성된 상단절개부(118)를 포함한다.
도 5의 부분 절개 사시도와 평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탄성걸림부(116)는 하우징(112)의 내부에서 마주보는 내벽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고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각 탄성걸림부(116)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며 후단부가 하우징(112)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112)의 선단까지 연장되고, 대략 중간부터 선단까지는 하우징(112)의 중심을 향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면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양 탄성걸림부(116) 간의 간격은 후단에서 대략 중간부분까지는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선단부근에서는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한편 커넥터결합유닛(110)의 선단에는 저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커넥터걸림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걸림부(119)는 랜커넥터(20)의 하우징 저면에 형성된 하단걸림턱(28)이 걸리는 부분으로서, 커넥터결합유닛(110)을 후단쪽으로 뺄 수 없도록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넥터걸림부(119)가 없으면 랜커넥터(20)에 커넥터결합유닛(110)과 쐐기유닛(120)을 장착하더라도 커넥터결합유닛(110)과 쐐기유닛(120)을 후단쪽으로 당겨서 랜커넥터(2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커넥터걸림부(119)는 대부분의 랜커넥터(20)의 하단에 구비된 하단걸림턱(28)에 걸리도록 형성된 것일 뿐이고, 그 위치나 형상이 반드시 도면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랜커넥터(20)의 다른 위치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떻게 형성하든, 커넥터걸림부(119)는 커넥터결합유닛(110)과 쐐기유닛(120)을 조립한 이후에 커넥터결합유닛(110)이 랜커넥터(20)의 후단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저지해야 함은 물론이다.
상단절개부(118)는 랜커넥터(20)의 누름레버(24)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도면에 나타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단절개부(118)를 통과하여 랜커넥터(20)가 빠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하우징(112)의 후단에서 선단까지 완전히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쐐기유닛(120)은 랜커넥터(20)의 누름레버(24)의 하강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6의 결합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랜커넥터(20)가 결합된 커넥터결합유닛(110)의 내부에서 누름레버(24)의 하부로 삽입된다.
도 4 및 도 7의 부분 절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유닛(120)은 후단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쐐기부(121)와, 쐐기부(121)의 후단에서 양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 쌍의 걸림턱(123)과, 걸림턱(123)의 후단쪽에 구비된 상부판(124a) 및 하부판(124b)과, 상부판(124a)과 하부판(124b)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판(124a)과 하부판(124b) 사이의 공간을 양분하는 격벽(127)을 포함한다.
격벽(127)의 양측에 형성된 공간은 각각 키삽입홀(125a,125b)로 제공되며, 따라서 각 키삽입홀(125a,125b)은 쐐기유닛(120)의 후단과 측방으로 개방된다.
격벽(127)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키유닛(200)의 결합돌부(도 9의 232)가 삽입되는 결합홈(129)이 형성된다.
후술하는 키유닛(200)의 고정키(도 9의 230a, 230b)와 이동키(240)는 키삽입홀(125a, 125b)의 후단에서부터 삽입된다. 또한 각 키삽입홀(125a, 125b)의 측방에는 전술한 커넥터결합유닛(110)의 탄성걸림부(116)가 각각 위치하며, 각 탄성걸림부(116)는 적어도 일부분이 각 키삽입홀(125a, 125b)에 삽입될 수 있다.
쐐기부(121)는 랜커넥터(20)에서 커넥터하우징(22)과 누름레버(24)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저면은 커넥터하우징(22)의 상면에 접하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누름레버(24)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각 걸림턱(123)은 상부판(124a)과 하부판(124b)의 선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평면을 기준으로 측면이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즉, 격벽(127)의 중심을 통과하는 길이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 걸림턱(123)의 후단면은 중심축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고, 양 측면은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중심축에 가까워지는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하면, 쐐기유닛(120)을 커넥터결합유닛(110)에 삽입하였을 때,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23)의 경사진 측면이 탄성걸림부(116)의 선단부 내측면을 바깥쪽으로 밀면서 부드럽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탄성걸림부(116)를 통과한 후에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각 걸림턱(123)의 후단면에 커넥터결합유닛(110)의 각 탄성걸림부(116)가 걸리면 걸림턱(123)이 강한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결합유닛(110)의 각 탄성걸림부(1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탄성을 가진다. 따라서 쐐기유닛(20)의 양 걸림턱(123) 사이의 거리를 양 탄성걸림부(116)간의 최소거리보다 더 크게 하고, 쐐기유닛(120)을 커넥터결합유닛(110)의 후단에서부터 양 탄성걸림부(116)의 사이로 삽입하면 각 탄성걸림부(116)의 선단부가 쐐기유닛(120)의 걸림턱(123)에 밀려서 바깥쪽으로 점차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쐐기유닛(120)이 계속 진입함에 따라 탄성걸림부(116)가 걸림턱(123)의 경사진 선단면을 통과하면, 탄성걸림부(116)가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하면서 탄성걸림부(116)의 선단이 걸림턱(123)의 후단면을 지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쐐기유닛(120)을 후단쪽으로 빼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도 8은 랜커넥터(20)가 결합된 커넥터결합유닛(110)에 이러한 방식으로 쐐기유닛(12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유닛(200)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유닛(200)은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에 고정된 제1 및 제2 고정키(230a, 230b)와,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이동키(24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고정키(230a, 230b)는 하우징(210)의 외부로 나란히 돌출되고, 각각의 일측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된 결합돌부(232)가 형성된다. 이때 각 결합돌부(232)는 쐐기유닛(120)의 격벽(127)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부(129)의 위치와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제1 및 제2 고정키(230a, 230b)는 쐐기유닛(120)의 격벽(127)의 양측에 구비된 키삽입홀(125a, 125b)에 각각 삽입되며, 한 쌍의 이동키(240)는 각 고정키(230a, 230b)의 바깥쪽에서 키삽입홀(125a, 125b)에 각각 삽입된다.
제1 및 제2 고정키(230a, 230b)의 간격은 쐐기유닛(120)의 격벽(127)의 폭과 대략 동일하거나 미세하게 큰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키(230a, 230b)를 각 키삽입홀(125a, 125b)에 삽입하면 제1 및 제2 고정키(230a, 230b)의 각 내측면은 격벽(127)에 접한 상태에서 이동한다.
각 고정키(230a, 230b)는 바깥쪽으로 벌어졌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원할 수 있는 탄성을 가져야 한다. 각 고정키(230a, 230b)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된 결합돌부(2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고정키(230a, 230b)는 격벽(127)을 사이에 두고 약간 벌어진 상태로 키삽입홀(125a, 125b)에 진입해야 하고, 결합돌부(232)가 격벽(127)의 결합홈부(129)에 도달하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면서 결합돌부(232)가 결합홈부(129)에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각 고정키(230a, 230b)는 하우징(210)에 각각 고정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고정키(230a, 230b)의 후단을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연결부(도 9의 234)로 연결한 상태에서 연결부(234)를 하우징(2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이동키(240)는 제1 고정키(230a)와 제2고정키(230b)의 바깥쪽에 각각 배치되며, 각 고정키(230a, 230b)의 바깥쪽을 지지함으로써 쐐기유닛(120)을 빼내는 과정에서 고정키(230a, 230b)의 결합돌부(232)가 쐐기유닛(120)의 결합홈부(129)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과, 각 키삽입홀(125a, 125b)의 측방에 위치하는 탄성걸림부(116)를 쐐기유닛(120)의 걸림턱(123)보다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동키(240)의 슬라이딩 운동을 위하여, 하우징(210)의 내부에 레일(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을 형성하고, 레일에 결합된 슬라이딩버튼(220)에 이동키(240)을 결합할 수 있다. 슬라이딩버튼(220)은 하우징(210)에 구비된 관통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슬라이딩버튼(220)을 손으로 밀고 당기는 식으로 이동키(240)를 왕복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랜커넥터(20)에 결합된 랜잠금유닛(100)을 키유닛(200)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랜포트(10)에 결합된 랜커넥터(2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결합유닛(110)과 쐐기유닛(120)을 결합하면, 쐐기부재(120)에 의해 누름레버(24)의 하강이 저지되므로 랜커넥터(20)를 랜포트(10)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키유닛(200)의 이동키(240)를 슬라이딩버튼(220)을 이용하여 뒤로 후퇴시키고 키유닛(200)의 선단부로 돌출된 제1 및 제2고정키(230a,230b)만을 쐐기유닛(120)의 후단에서부터 격벽(127) 양측의 키삽입홀(125a, 125b)에 삽입한다. 제1 및 제2고정키(230a,230b)를 계속 밀어넣으면 각 고정키(230a,230b)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232)가 격벽(127)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부(129)에 삽입된다. (도 11(a))
이서서 사용자가 슬라이딩버튼(220)을 이용하여 이동키(240)를 전진시키면, 한 쌍의 이동키(240)가 각 고정키(230a,230b)의 바깥측에 접한 상태로 키삽입홀(125a, 125b)의 내부로 진입하며, 이에 따라 각 고정키(230a,230b)의 결합돌부(232)가 결합홈부(129)의 내벽에 강하게 밀착된다. (도 11(b))
이어서 각 이동키(240)를 끝까지 밀어 넣으면 각 이동키(240)는 키삽입홀(125a, 125b)의 측방에 위치하는 커넥터결합유닛(110)의 탄성걸림부(116)를 쐐기유닛(120)의 걸림턱(123)보다 바깥쪽으로 밀어낸다.(도 11(c))
이와 같이 탄성걸림부(116)가 바깥쪽으로 벌어지고 각 고정키(230a,230b)의 결합돌부(232)가 결합홈부(129)의 내벽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유닛(200)을 후단으로 당기면 결합돌부(232)가 결합홈부(129)의 내벽에 대해 바깥쪽으로의 힘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쐐기유닛(120)이 커넥터결합유닛(110)의 밖으로 빠지게 된다. 쐐기유닛(120)이 분리되면 랜커넥터(20)의 누름레버(24)를 누를 수 있으므로 랜포트(10)로부터 랜커넥터(20)를 빼낼 수 있다. (도 11(d))
키유닛(200)에 결합된 쐐기유닛(120)은 이동키(240)를 다시 후진시켜서 고정키(230a, 230b)의 결합돌부(232)와 결합홈부(129)의 걸림작용을 해제시킴으로써 키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상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쐐기유닛(120)의 결합홈부(129)와 이에 대응하는 고정키(230a, 230b)의 결합돌부(232)는 구체적인 위치, 형상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127)의 일측에만 결합홈부(129)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키에만 결합돌부(23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키유닛(200)의 고정키를 한 쌍으로 형성하지 않고 결합돌부(232)가 형성된 키삽입홀(125a)에 삽입될 수 있는 하나의 고정키(230)만을 설치할 수도 있고, 나머지 키삽입홀(125b)에는 이동키(240)만을 삽입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쐐기유닛(120)의 격벽(127)에는 결합홈부(129)가 아닌 결합돌부를 형성하고, 고정키(230a, 230b)에 이에 대응하는 결합홈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어떠한 방식으로 변형하든, 키유닛(200)의 고정키(230a, 230b)를 키삽입홀(125a,125b)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키(230a, 230b)의 바깥측을 따라 이동키(240)를 진입시켰을 때, 서로 대응하는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강하게 밀착하여 쐐기유닛(120)을 밖으로 빼내는 과정에서 충분한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쐐기유닛(120)의 격벽(127)에 결합홈부를 형성하든 결합돌부를 형성하든, 어떠한 경우에도 외부에서 삽입한 클립 등이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도록 결합홈부 또는 결합돌부를 비교적 완만한 경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쐐기유닛(120)을 장착하면 걸림턱(126)이 커넥터결합유닛(110)의 탄성걸림부(116)에 걸리는 상태가 되므로 쐐기유닛(120)을 클립 등으로 쉽게 빼낼 수는 없지만, 클립 등이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생기지 않도록 하면 무단으로 쐐기유닛(120)을 빼내려는 시도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커넥터결합유닛(120)에 구비된 탄성걸림부(116)가 반드시 한 쌍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탄성걸림부(116)는 하우징(112)의 내부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쐐기유닛(120)의 걸림턱(123)도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쐐기유닛(120)의 격벽에 키유닛(200)을 위한 결합홈부(129) 또는 결합돌부를 형성하지 않고, 쐐기유닛(120)에는 걸림턱(123)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쐐기유닛(120)의 키삽입홀(125a,125b)의 내부로 이동키를 밀어넣어 탄성걸림부(116)를 벌린 상태에서 손으로 쐐기유닛(120)을 빼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랜포트 11: 포트하우징
13: 삽입홀 15: 상단절개부
17: 멈춤돌기 20: 랜커넥터
22: 커넥터하우징 24: 누름레버
26: 포트걸림턱 28: 하단걸림턱
100: 랜잠금장치 110: 커넥터결합유닛
112: 하우징 114: 커넥터결합홀
116: 탄성걸림부 118: 상단절개부
119: 커넥터걸림부 120: 쐐기유닛
121: 쐐기부 123: 걸림턱
124a: 상부판 124b: 하부판
125a, 125b: 키삽입홀 127: 격벽
129: 결합홈 200: 키유닛
210: 키유닛하우징 220: 슬라이딩버튼
230a. 230b: 고정키 232: 결합돌부
240: 이동키
13: 삽입홀 15: 상단절개부
17: 멈춤돌기 20: 랜커넥터
22: 커넥터하우징 24: 누름레버
26: 포트걸림턱 28: 하단걸림턱
100: 랜잠금장치 110: 커넥터결합유닛
112: 하우징 114: 커넥터결합홀
116: 탄성걸림부 118: 상단절개부
119: 커넥터걸림부 120: 쐐기유닛
121: 쐐기부 123: 걸림턱
124a: 상부판 124b: 하부판
125a, 125b: 키삽입홀 127: 격벽
129: 결합홈 200: 키유닛
210: 키유닛하우징 220: 슬라이딩버튼
230a. 230b: 고정키 232: 결합돌부
240: 이동키
Claims (8)
- 랜포트에 결합된 랜커넥터를 분리할 수 없게 잠그는 랜(LAN) 잠금유닛에 있어서,
상기 랜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결합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걸림부와, 상기 랜커넥터의 누름레버가 통과하는 상단절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결합유닛;
상기 누름레버의 하강을 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랜커넥터의 상기 누름레버의 하부로 삽입되며 상기 커넥터결합유닛의 상기 탄성걸림부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을 구비하는 쐐기유닛
을 포함하는 랜잠금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결합유닛은 상기 랜커넥터가 상기 커넥터결합홀을 통해 후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저지하는 커넥터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잠금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벽에 인접 설치되고, 후단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선단은 후단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잠금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유닛은,
상기 누름레버의 저면과 상기 랜커넥터의 상면에 접하는 쐐기부;
상기 커넥터결합유닛의 상기 탄성걸림부의 선단에 걸리는 부분으로서 상기 쐐기부의 후단에서 적어도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턱;
상기 걸림턱의 후단에 구비되는 상부판과 하부판;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의 공간을 양측으로 구획하는 격벽
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걸림부는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양측 공간의 측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잠금유닛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된 양측 공간은 키삽입홀로 제공되고,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측에는 제1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키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키유닛에 구비된 제2 결합수단과 상기 제1 결합수단이 서로 빠지지 않도록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쐐기유닛을 상기 커넥터결합유닛에서 빼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잠금유닛 - 랜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결합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걸림부 및, 상기 랜커넥터의 누름레버가 통과하는 상단절개부를 구비하는 커넥터결합유닛과, 상기 누름레버의 하부에 삽입되는 쐐기부, 상기 탄성걸림부의 선단에 걸리는 부분으로서 상기 쐐기부의 후단에서 적어도 일측으로 돌출된 걸림턱, 상기 걸림턱의 후단에 구비되는 키삽입홀을 구비하는 쐐기유닛을 포함하는 랜잠금유닛;
상기 쐐기유닛을 상기 커넥터결합유닛에서 빼낼 때 상기 키삽입홀에 삽입되는 키유닛
을 포함하는 랜잠금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유닛의 상기 키삽입홀은 후단과 측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키유닛은 상기 키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걸림부를 바깥쪽으로 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잠금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유닛의 상기 키삽입홀은 격벽에 의해 구획된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의 적어도 일측에는 제1 결합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키유닛은 상기 제1 결합수단에 대응하는 제2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고정키와, 상기 고정키의 바깥쪽에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이동키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키는 상기 고정키가 상기 키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키삽입홀에 진입하여 상기 고정키의 바깥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상기 제2 결합수단을 서로 빠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한편 상기 탄성걸림부를 상기 걸림턱에 걸리지 않도록 바깥쪽으로 밀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잠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7077A KR101621454B1 (ko) | 2015-07-08 | 2015-07-08 |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97077A KR101621454B1 (ko) | 2015-07-08 | 2015-07-08 |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1454B1 true KR101621454B1 (ko) | 2016-05-16 |
Family
ID=5610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7077A KR101621454B1 (ko) | 2015-07-08 | 2015-07-08 |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1454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3993A (ko) * | 2017-01-13 | 2018-07-24 |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 망 혼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KR101925837B1 (ko) * | 2017-10-19 | 2018-12-06 | (주)아이테오솔루션즈 | 설치가 편리한 랜포트 잠금장치 |
KR101954741B1 (ko) * | 2018-10-10 | 2019-03-06 | 키플레이주식회사 | 인터넷 사용 제어장치 |
KR102067747B1 (ko) * | 2019-01-28 | 2020-01-17 | (주)컴엑스아이 | 랜 케이블 락장치 |
KR102292313B1 (ko) | 2020-05-11 | 2021-08-24 | (주)아이테오솔루션즈 | 랜 포트 잠금 장치 |
KR20210137675A (ko) | 2020-05-11 | 2021-11-18 | (주)아이테오솔루션즈 |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
KR20230167850A (ko) * | 2022-06-03 | 2023-12-12 | (주)컴엑스아이 | 접속케이블 라킹장치 |
KR20240048439A (ko) | 2022-10-06 | 2024-04-15 | (주)아이테오솔루션즈 |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34858A (ja) | 2004-11-02 | 2006-05-25 | Siemon Co | 軸方向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
JP2008511106A (ja) | 2004-08-19 | 2008-04-10 | パンデュイ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閉止カバー及び取り外し工具 |
JP2015041469A (ja) | 2013-08-21 | 2015-03-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コネクタ嵌合方法及びコネクタ嵌合治具 |
-
2015
- 2015-07-08 KR KR1020150097077A patent/KR1016214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11106A (ja) | 2004-08-19 | 2008-04-10 | パンデュイ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 閉止カバー及び取り外し工具 |
JP2006134858A (ja) | 2004-11-02 | 2006-05-25 | Siemon Co | 軸方向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
JP2015041469A (ja) | 2013-08-21 | 2015-03-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コネクタ嵌合方法及びコネクタ嵌合治具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3993A (ko) * | 2017-01-13 | 2018-07-24 |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참모총장) | 망 혼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KR102125072B1 (ko) * | 2017-01-13 | 2020-06-23 | 대한민국 | 망 혼용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KR101925837B1 (ko) * | 2017-10-19 | 2018-12-06 | (주)아이테오솔루션즈 | 설치가 편리한 랜포트 잠금장치 |
KR101954741B1 (ko) * | 2018-10-10 | 2019-03-06 | 키플레이주식회사 | 인터넷 사용 제어장치 |
KR102067747B1 (ko) * | 2019-01-28 | 2020-01-17 | (주)컴엑스아이 | 랜 케이블 락장치 |
US10637189B1 (en) | 2019-01-28 | 2020-04-28 | Comxi Co., Ltd. | Locking apparatus for LAN cable |
EP3687005A1 (en) * | 2019-01-28 | 2020-07-29 | Comxi Co., Ltd. | Locking apparatus for lan cable |
KR102292313B1 (ko) | 2020-05-11 | 2021-08-24 | (주)아이테오솔루션즈 | 랜 포트 잠금 장치 |
KR20210137675A (ko) | 2020-05-11 | 2021-11-18 | (주)아이테오솔루션즈 |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
KR20230167850A (ko) * | 2022-06-03 | 2023-12-12 | (주)컴엑스아이 | 접속케이블 라킹장치 |
KR102711386B1 (ko) | 2022-06-03 | 2024-09-27 | (주)컴엑스아이 | 접속케이블 라킹장치 |
KR20240048439A (ko) | 2022-10-06 | 2024-04-15 | (주)아이테오솔루션즈 | 사용 편의성과 동작 안정성이 개선된 포트 잠금장치용 해제키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1454B1 (ko) |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 |
US8287191B2 (en) | Locking optical and/or electrical connectors and cable assemblies | |
KR101406202B1 (ko) | Usb 포트 잠금장치 | |
KR101391975B1 (ko) | Usb 포트 잠금장치 | |
US9608375B2 (en) | LAN port lock device | |
EP2639895A1 (en) | Electrical plug retainer outlet | |
KR101883661B1 (ko) | Usb 포트 잠금장치 | |
KR101865165B1 (ko) | 잠금 기능을 가지는 보안 usb 허브 | |
KR101925837B1 (ko) | 설치가 편리한 랜포트 잠금장치 | |
AU2013273627B2 (en) | A releasing mechanism for disengagement of patch chord and individual port member | |
KR20160067723A (ko) |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 | |
US20120270429A1 (en) | Lock structure of plug of cable | |
US6752653B1 (en) | Electrical extension cord with capability for multi-positional fixed mounting | |
KR101965588B1 (ko) |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 |
US10971858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KR102292313B1 (ko) | 랜 포트 잠금 장치 | |
KR20180032157A (ko) | Usb 케이블 잠금장치 | |
KR101939072B1 (ko) | 레버타입 커넥터 | |
US20060077634A1 (en) | Protecting device for connectors of computer | |
KR20170102455A (ko) | 유에스비 포트 잠금장치의 키유닛 | |
JP2012141392A (ja) | 光コネクタ | |
JP3338786B2 (ja) | 機器筐体の壁掛け構造 | |
TW202220298A (zh) | 用於連接埠之保護蓋以及相關的連接埠裝置 | |
KR102351174B1 (ko) |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 |
KR200469556Y1 (ko) | 개선된 커넥터 소켓 잠금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