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675A -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 Google Patents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675A
KR20210137675A KR1020200055773A KR20200055773A KR20210137675A KR 20210137675 A KR20210137675 A KR 20210137675A KR 1020200055773 A KR1020200055773 A KR 1020200055773A KR 20200055773 A KR20200055773 A KR 20200055773A KR 20210137675 A KR20210137675 A KR 20210137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
unit
adapter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174B1 (ko
Inventor
유태종
Original Assignee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태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유태종 filed Critical (주)아이테오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0005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174B1/ko
Publication of KR20210137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랜(LAN) 포트에 결합되는 어댑터와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랜 포트 보안 장치는, 선단에는 랜(LAN) 단자를 구비하고, 후단에는 LAN 표준이 아닌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링커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댑터의 선단이 랜 포트에서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어댑터 잠금 장치; 선단에는 어댑터의 링커 연결 단자부에 대응하는 어댑터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고, 후단에는 랜 포트를 구비하는 전용 링커; 전용 링커의 랜 포트에 삽입된 랜 커넥터를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랜 포트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랜 포트에 어댑터를 뺄 수 없게 장착함으로써 전용 링커가 없으면 해당 랜 포트에 접속할 수 없어 사용자가 랜 포트를 혼동하거나 불법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랜 포트에 장착된 어댑터를 뺄 수 없도록 잠그는 한편 전용 링커에 장착된 랜 커넥터도 뺄 수 없도록 잠금으로써 랜 포트의 보안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Adapter for preventing from confusing LAN port and LAN port securit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LAN 포트에 대한 불법적인 접근과 이로 인한 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랜 포트 보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랜 포트에 어댑터를 뺄 수 없도록 장착하고 어댑터에 맞는 전용 링커(linker)가 없으면 해당 LAN 포트에 접속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보다 강화한 랜 포트 보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등의 컴퓨터를 랜(LAN, local-area network)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30)이 연결된 랜 커넥터(LAN connector)(20)를 네트워크 장비와 컴퓨터의 랜 포트(10)에 장착해야 한다.
랜 커넥터(20)는 커넥터 바디(22)와, 커넥터 바디(22)의 상면 선단에서부터 후단 쪽으로 상향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된 레버(24)와, 레버(24)의 양측으로 돌출된 포트 걸림턱(26)과, 커넥터 바디(22)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28)을 포함한다.
랜 케이블(30)은 랜 커넥터(20)의 후단에서부터 랜 커넥터(20)의 내부로 삽입되며, 랜 커넥터(20)의 내부 선단에서 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랜 포트(10)는 랜 커넥터(20)의 선단이 삽입되는 홀과, 레버(24)의 포트 걸림턱(26)이 걸리는 멈춤 돌기(17)를 포함한다.
한편 랜 포트(10)는 기본적으로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것이므로 랜 포트(10)에 메모리 카드를 연결하거나 무선 랜 장치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유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보안이 요구되는 시설에서는 랜 포트에 대한 불법적인 접근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장비나 대형 서버 등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랜 포트(10)를 구비한 멀티 포트(10a)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멀티 포트(10a)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실수나 고의로 랜 커넥터(20)를 엉뚱한 포트(10)에 장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을 위해 내부망과 외부망을 분리하는 경우에 내부망 포트와 외부망 포트가 서로 혼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별마크 등을 부착해 두더라도 사용자가 부주의 또는 고의로 내부망의 랜 커넥터(20)를 외부망 포트에 장착하면 내부망과 외부망이 연결되는 보안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포트(10a)에서 각 포트(10)의 용도가 엄격히 구분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부주의로 랜 포트를 혼동하거나 보안 포트에 불법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21454호(2016.05.16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1925837호(2018.12.06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고안된 것으로서, 멀티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부주의로 랜 포트를 혼동하거나 보안 포트에 불법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랜 포트에 장착된 어댑터나 랜 커넥터를 무단으로 빼낼 수 없도록 잠금으로써 랜 포트의 보안성을 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내부에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선단이 랜(LAN)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와, 커넥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와, 커넥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랜(LAN) 단자와, 커넥터 바디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제1 유닛; 내부에 제2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되어 제1 유닛의 제1 공간으로 삽입되며 제1 유닛의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돌부를 구비하는 제2 유닛; 랜(LAN) 커넥터가 아닌 전용 링커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유닛의 후단으로 노출되는 링커 연결 단자부; 랜 단자와 링커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에서, 상기 전기적 연결수단은, 링커 연결 단자부가 실장되는 기판; 제1 유닛의 랜 단자에 대응하여 기판의 선단 저면에 형성된 단자 패턴; 기판에 형성되어 단자 패턴과 링커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회로 패턴을 포함하며, 기판의 선단이 제1 유닛의 랜 단자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랜 단자가 상승하여 랜 단자의 상단에 구비된 스파이크가 대응하는 단자 패턴에 박히면 랜 단자와 링커 연결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에서, 상기 제2 유닛의 하우징은, 제1 유닛의 내부에서 기판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 기판지지부재가 선단으로 돌출된 상부 하우징과, 후단이 상부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고, 제1 유닛의 내부에서 기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 기판지지부재가 선단으로 돌출된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제1 유닛의 고정부재가 하부 기판지지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하부 하우징이 상부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에서, 상기 전기적 연결수단은, 링커 연결 단자부가 실장되는 기판; 제1 유닛의 랜 단자에 대응하여 기판에 형성된 단자 패턴; 기판에 형성되어 단자 패턴과 링커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회로 패턴; 선단은 제1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고 후단은 기판의 단자 패턴에 땜납으로 고정되는 랜 케이블을 포함하며, 랜 케이블의 선단이 제1 유닛의 랜 단자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랜 단자가 상승하여 랜 단자의 상단에 구비된 스파이크가 대응하는 랜 케이블에 박히면 랜 단자와 링커 연결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에서, 상기 링커 연결 단자부는 랜 단자보다 많은 개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된 회로 패턴은 링커 연결 단자부의 단자 중에서 선택된 단자와 랜 단자를 일대일로 연결함으로써 링커 연결 단자부에 연결할 수 있는 전용 링커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에서, 상기 제1 유닛의 고정부재는, 커넥터 바디에 연결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사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를 중심으로 돌출부를 회전시키면, 제2 연결부가 끊어진 후 회전하여 제2 유닛의 결합홈의 내부로 삽입되고, 돌출부의 단부가 회전하여 제2 연결부가 끊어진 내벽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내부에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선단이 랜(LAN)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와, 커넥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와, 커넥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랜(LAN)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유닛; 내부에 제2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과, 기판에 실장되며 LAN 표준이 아닌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링커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 선단은 제1 유닛의 내부에서 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은 제2 유닛의 내부에서 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링커 연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랜 케이블을 포함하는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선단에는 랜(LAN) 단자를 구비하고, 후단에는 LAN 표준이 아닌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링커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댑터의 선단이 랜 포트에서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어댑터 잠금 장치; 선단에는 어댑터의 링커 연결 단자부에 대응하는 어댑터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고, 후단에는 랜 포트를 구비하는 전용 링커; 전용 링커의 랜 포트에 삽입된 랜 커넥터를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랜 포트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랜 포트 보안 장치에서, 상기 어댑터의 후단에는 제1 매칭 패턴을 구비하는 링커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용 링커의 선단에는 제1 매칭 패턴에 대응하는 제2 매칭 패턴을 구비하는 어댑터 연결부가 형성되며, 제1 매칭 패턴과 맞물리는 제2 매칭 패턴을 구비한 전용 링커만을 상기 어댑터의 후단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랜 포트 보안 장치에서, 상기 어댑터는, 내부에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선단이 랜(LAN)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와, 커넥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와, 커넥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랜(LAN) 단자와, 커넥터 바디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제1 유닛; 내부에 제2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되어 제1 유닛의 제1 공간으로 삽입되며 제1 유닛의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돌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링커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는 제2 유닛; 랜 단자와 링커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랜 포트 보안 장치에서, 상기 어댑터는, 내부에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선단이 랜(LAN)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와, 커넥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와, 커넥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랜(LAN)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유닛; 내부에 제2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과, 기판에 실장되며 LAN 표준이 아닌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링커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 선단은 제1 유닛의 내부에서 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은 제2 유닛의 내부에서 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링커 연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랜 포트 보안 장치에서, 상기 어댑터 잠금 장치는, 커넥터 바디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측벽과, 양 측벽의 상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고 측벽과의 경계를 따라 틈새가 형성된 제1 결합돌부 및 제2 결합돌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유닛;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 몰드와, 제1 결합돌부와 제2 결합돌부가 각각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지지 몰드의 상부에서 선단으로 개구된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과, 일단은 지지 몰드의 상면과 하우징 사이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쐐기부재와, 지지 몰드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지 몰드를 관통하여 승강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탄성결합부재와, 탄성결합부재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 부재와, 잠금 부재가 진입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잠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유닛의 제1 결합돌부와 제2 결합돌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저면에는 상기 잠금 유닛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쐐기부재는, 지지 몰드의 상면과 하우징 사이에 삽입되고 상면에 하우징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결합부; 하우징 결합부의 선단으로 돌출되고 하우징 결합부보다 폭이 적은 연장부; 연장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의 커넥터 바디와 레버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레버의 하강을 저지하는 쐐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삽입홀과 제2 삽입홀은 상기 쐐기부재의 연장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유닛의 제1 결합돌부와 제2 결합돌부의 사이에는 선단에서 후단까지 연속적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 유닛을 랜 커넥터의 상면을 따라 선단 쪽으로 이동시키면 쐐기부재의 연장부가 상기 절개부의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랜 포트 보안 장치에서, 상기 전용 링커는, 상기 어댑터 연결 단자부와 상기 랜 포트가 각각 실장되고, 어댑터 연결 단자부와 랜 포트의 랜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패턴을 구비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연결 단자부는 랜 단자보다 많은 개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패턴은 링커 연결 단자부의 단자 중에서 선택된 단자와 랜 단자를 일대일로 연결함으로써 어댑터 연결 단자부에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랜 포트 보안 장치에서, 상기 랜 포트 잠금 장치는, 랜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관통부를 둘러싸는 양 측벽과, 양 측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연결부와, 양 측벽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 연결부와, 상단 연결부에서 선단 쪽으로 돌출되어 랜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와 레버의 사이로 진입하는 쐐기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유닛; 하우징 유닛을 전용 링커의 후단으로 돌출된 잠금 장치 안착부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하단 연결부를 잠금 장치 안착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단 연결부의 저면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된 제1 경사면과, 후단 연결부의 상면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사이의 최단 간격(D)은, 상단 연결부의 최저면과 하단 연결부의 최고면 사이의 수직 높이(H)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연결부의 후단은 측벽의 후단 보다 선단 쪽에 위치하고, 상기 후단 연결부의 선단은 측벽의 선단 보다 후단 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랜 포트에 어댑터를 뺄 수 없게 장착함으로써 전용 링커가 없으면 해당 랜 포트에 접속할 수 없어 사용자가 랜 포트를 혼동하거나 불법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랜 포트에 장착된 어댑터를 뺄 수 없도록 잠그는 한편 전용 링커에 장착된 랜 커넥터도 뺄 수 없도록 잠금으로써 랜 포트의 보안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
도 1은 멀티 포트에 랜 커넥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보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보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어댑터의 제2 유닛의 분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단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어댑터의 조립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어댑터의 고정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용 링커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용 링커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링커 하우징과 기판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용 링커의 단면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다양한 매칭 패턴을 예시한 도면
도 15는 어댑터와 전용 링커의 다양한 매칭 회로 패턴을 예시한 도면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랜 포트에 어댑터를 설치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잠금 장치의 하우징 유닛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
도 18은 하우징 유닛에 잠금 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어댑터 잠금 장치의 잠금 유닛의 사시도
도 20은 잠금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잠금 유닛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지지 몰드와 탄성결합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3은 지지 몰드의 하부에 탄성결합부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잠금 부재의 사시도
도 25는 잠금 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6은 잠금 부재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27은 어댑터에 잠금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8은 랜 포트에 장착된 어댑터에 전용 링커를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9a 내지 도 29d는 어댑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키 유닛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0은 전용 링커에 장착된 랜 포트 잠금 장치를 해제하기 위해 키 유닛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보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보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보안장치에서 랜 포트 잠금 장치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잠금 장치의 하우징 유닛의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잠금 장치가 랜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의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잠금 장치에 랜 커넥터를 삽입하는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잠금 장치의 하우징 유닛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는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하나의 구성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는 중간에 다른 요소 없이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다면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위, 아래, 앞, 뒤, 선단, 후단 등의 표현은 보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해당 표현으로 제한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 또는 이미지에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실제와 다른 치수 또는 비율로 표시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2의 사용 상태도 및 도 3의 분해 사시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보안 장치(1000)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랜 포트 보안 장치(1000)에서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의 랜 포트(10)에 결합되는 쪽을 선단으로 그 반대쪽을 후단으로 칭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보안장치(1000)는, 선단이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의 랜 포트(10)에 장착되는 어댑터(200), 어댑터(200)가 랜 포트(10)에서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어댑터 잠금 장치(100a), 선단에는 어댑터(200)에 결합되는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를 구비하고 후단에는 랜 포트(350)를 구비하는 전용 링커(300), 전용 링커(300)의 랜 포트(350)에 장착된 랜 커넥터(20)가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랜 포트 잠금 장치(100b)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보안장치(1000)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1. 어댑터
도 4의 사시도 및 도 5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200)는, 제1 유닛(210)과, 제1 유닛(210)의 후단에 빠지지 않게 결합된 제2 유닛(220)과, 제1 유닛(210)의 선단에 구비된 랜 단자(217)와 제2 유닛(220)의 후단에 구비된 링커 연결 단자부(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230)을 포함한다.
제1 유닛(210)은, 선단이 랜 포트(10)에 삽입되며 저면 으로 노출된 랜 단자(217)를 구비하는 커넥터 바디(211)와, 커넥터 바디(211)의 상면 선단에서부터 후단 쪽으로 상향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된 레버(212)와, 레버(212)의 양측으로 돌출된 포트 걸림턱(213)과, 커넥터 바디(211)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218)과, 제1 유닛(210)과 제2 유닛(220)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는 고정부재(215)를 포함한다.
제1 유닛(2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상적인 랜 커넥터(20)의 커넥터 바디(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중에 판매되는 커넥터 바디(22)를 구입하여 제1 유닛(210)으로 활용할 수 있고, 커넥터 바디(22)에 구비된 랜 단자(217)와 고정부재(215)를 활용하여 제2 유닛(220)과 기판(230)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닛(210)은 기존의 커넥터 바디(22)를 구매하여 활용하고, 제2 유닛(220)만 제작하여 제1 유닛(210)에 결합하면 되므로 어댑터(200)의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제2 유닛(220)은, 상면과 측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229)를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221)과, 상부 하우징(221)의 저면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222)을 포함하며, 공간(229)의 내부에는 기판(230)의 후단부와 링커 연결 단자부(240)가 설치된다.
상부 하우징(221)의 후단에는 전용 링커(300)의 선단과 결합하는 링커 결합부(280)가 형성되며, 상부 하우징(221)의 내부에는 링커 결합부(280)와 공간(229)의 사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격벽(225)이 형성되며, 격벽(224)에는 선단 쪽의 공간(229)와 후단 쪽의 링커 결합부(280)의 내부를 연통하는 관통부(225)가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221)은 선단 쪽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결합돌부(226)를 포함하고, 각 결합돌부(226)의 저면에는 제1 유닛(210)의 고정부재(215)가 삽입되는 고정부재 결합홈(228)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221)은 한 쌍의 결합돌부(226)의 사이에서 각각 선단 쪽으로 돌출된 2개의 상부 기판지지부재(227a)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222)의 선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측벽(223)이 형성되고 측벽(223)의 상단에는 선단 쪽으로 2개의 하부 기판지지부재(227b)가 돌출된다. 또한 각 하부 기판지지부재(227b)의 저면에는 제1 유닛(210)의 고정부재(215)가 삽입되는 고정부재 결합홈(228)이 형성된다.
상부 하우징(221)의 결합돌부(226)에 형성된 고정부재 결합홈(228)과 하부 기판지지부재(227b)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 결합홈(228)은,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고정부재(215)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링커 결합부(280)의 내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돌기(282)가 형성되며, 가이드 돌기(282)는 전용 링커(300)의 선단에 형성된 가이드 홈(382)에 삽입되어 전용 링커(390)의 길이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어댑터(200)의 링커 결합부(280)의 내벽에는 다수의 매칭 홈(284)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매칭 홈(284)에는 전용 링커(300)의 매칭돌기(384)가 삽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200)에 형성된 매칭 홈(284)을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하면 동일한 패턴의 매칭돌기(384)를 구비한 전용 링커(300)만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기판(230)은 한 쌍의 결합돌부(226)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부 기판지지부재(227a)와 하부 기판지지부재(227b)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판(230)의 양 측면에 소정 길이의 절개홈(236)을 형성하고, 각 결합돌부(226)의 일측이 절개홈(236)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면 기판(230)의 전후 방향 유동이 방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기판(23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의 단면 사시도를 참조하면, 기판(230)은 후단이 제2 유닛(220) 내부의 격벽(224)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부 기판지지부재(227a)와 하부 기판지지부재(227b)의 사이에서 지지된다.
또한 기판(230)의 선단은 제1 유닛(210)의 내부에서 랜 단자(217)의 상부에 위치하며, 랜 단자(217)의 상단에 형성된 스파이크(217a)가 기판(230)의 저면에 형성된 단자 패턴(232)에 박힘으로써 랜 단자(217)와 기판(230)의 단자 패턴(2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링커 연결 단자부(240)는 기판(230)의 저면 후단에 결합되어 관통부(225)를 통해 링커 결합부(280)의 내부로 노출되며, 회로 패턴을 통해 기판(230)의 단자 패턴(2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링커 연결 단자부(240)의 단자 배열, 단자 개수, 및/또는 단자 크기는 LAN 포트 표준과는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터(200)의 후단에서 링커 연결 단자부(240)에 통상의 랜 커넥터(20)를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면 어댑터(200)의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링커 연결 단자부(240)와 이에 대응하는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의 형상 또는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안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시중에 없는 새로운 형상과 구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링커 연결 단자부(240)는 암형(female) 포트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는 수형(male) 커넥터로 형성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와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유닛(210)과 제2 유닛(22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커 연결 단자부(240)가 실장된 기판(230)을 사이에 두고 제2 유닛(200)의 상부 하우징(211)과 하부 하우징(222)을 결합한다.
이어서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230)과 제2 유닛(220)의 선단부를 제1 유닛(210)의 공간(219)의 내부로 삽입한다.
이때 제2 유닛(220)의 하부 하우징(222)은 후단부가 상부 하우징(221)의 관통부(225)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턱에 의해 후단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222)의 선단에 형성된 하부 기판지지부재(227b)는 제1 유닛(210)의 공간(219)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15)에 의해 제1 유닛(210)에 대해 고정된다.
고정부재(215)는 기존의 랜 커넥터(20)에서는 내부로 삽입된 케이블(30)을 눌러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단에서 삽입된 제2 유닛(220)의 결합돌부(226)와 하부 기판지지부재(227b)에 결합하여 이들이 후단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나사,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기성품인 커넥터 바디(22)에 제2 유닛(220)을 결합하여 어댑터(200)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기판(230)에는 선단의 단자 패턴(232)과 후단의 링커 연결 단자부(2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다. 링커 연결 단자부(240)는 랜 단자보다 많은 개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로 패턴은 링커 연결 단자부(240) 중에서 선택된 단자와 랜 단자를 일대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어댑터(200)에 연결되는 전용 링커(300)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기판(230)은 제1 유닛(210)의 공간(219)에서 내부로 더 연장된 기판삽입홈(219a)의 내부까지 삽입되며, 저면에 형성된 단자 패턴(232)이 랜 단자(217)의 상부에 위치할 때까지 삽입되어야 한다.
기판삽입홈(219a)은 기존의 랜 커넥터(20)에서는 케이블(30)에 포함된 8가닥의 랜 선이 삽입되는 부분이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판(230)을 삽입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기판(230)과 제2 유닛(220)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랜 단자(217)를 밀어 올려서 상단의 스파이크(217a)를 기판(230)의 단자 패턴(232)에 박으면 랜 단자(217)와 후단의 링커 연결 단자부(24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유닛(210)의 고정부재(215)를 밀어 올려서 제2 유닛(220)의 결합돌부(226)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 결합홈(228)과 하부 기판지지부재(227b)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 결합홈(228)에 삽입하면 제1 유닛(210)과 제2 유닛(220)이 서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된다.
도 9a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고정부재(215)는 제1 유닛(210)의 저면에 형성된 홈(214)의 내부에 위치하며, 대략 삼각 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삼각 형의 세 변 중에서 한 변은 공간(219)의 내벽에 해당하고, 나머지 두 변은 홈(214)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고정부재(215)는 삼각형의 선단 쪽 꼭지점에 대응하는 제1 연결부(A)와 후단 쪽 꼭지점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C)에 의해 커넥터 바디(211)에 연결되고, 나머지 꼭지점에 대응하는 돌출부(B)는 홈(214)의 내부에서 하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돌출부(B)에 부근에 힘을 가하여 고정부재(215)를 제1 연결부(A)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제2 연결부(C)가 끊어지면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간(219)의 내부로 밀려 올라간 후 고정부재 결합홈(228)에 삽입되는 한편 아래 쪽에 있던 돌출부(B)가 상승한 후 돌출부(B)의 단부가 홈(214)의 내벽 상단에 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돌출부(B)의 단부가 내벽 상단에 걸린 상태이므로 저절로 원위치로 복귀하지는 않으며, 결합홈(228)에 삽입된 고정부재(215)에 의해 제1 유닛(210)과 제2 유닛(220)이 서로 분리되지 않게 잠긴 상태가 된다.
2. 전용 링커
도 10의 사시도 및 도 11의 분해 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용 링커(200)는, 선단에 어댑터 결합부(380)가 형성된 링커 하우징(310)과, 링커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370)과, 기판(370)에 장착되며 어댑터 결합부(380)의 선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와, 기판(370)에 실장되어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랜 포트(350)를 포함한다.
링커 하우징(310)은 상부 하우징(320)과 하부 하우징(330)을 포함하며, 상부 하우징(320)은 서로 마주 보는 양 측벽(321)과, 양 측벽(321)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단 연결부(323)와, 선단 쪽에 형성되어 어댑터 결합부(380)의 상반부를 형성하는 상부 어댑터 결합부(380a)를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330)은, 베이스(331)와, 베이스(331)의 양측에 형성된 측벽(332)과, 베이스(331)의 선단으로 돌출되어 어댑터 결합부(380)의 하반부를 형성하는 하부 어댑터 결합부(380b)를 포함한다.
기판(370)에는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와 랜 포트(350)의 랜(LAN)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다.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는 랜 단자보다 많은 개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로 패턴은 어댑터 연결 단자부 중에서 선택된 단자와 랜 단자를 일대일로 매칭시킨다. 이렇게 하면 전용 링커(300)와 연결되는 어댑터(200)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기판(370)은 상부 하우징(320)과 하부 하우징(330)의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부하우징(320)의 측벽(321)의 하단에는 기판 고정돌기(327)가 하부로 돌출되고, 기판(37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기판 고정돌기(327)가 삽입되는 고정홈(377)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 고정돌기(327)가 기판(370)의 고정홈(377)에 삽입되면 기판(370)의 전후 방향 유동이 방지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기판(370)을 유지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20)과 하부 하우징(330)은 각각 다수의 볼트홀(324,326)(334,336)을 구비하며, 도 13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341,342)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이때 볼트(341)는 기판(370)에 형성된 볼트홀(376)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용 링커(200)는, 하부 하우징(330)의 후단으로 연장된 잠금 장치 안착부(338)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장치 안착부(338)는 후술하는 랜 포트 잠금 장치(400)가 안착되는 곳으로서, 랜 포트 잠금 장치(400)를 고정할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339)을 구비할 수 있다.
3. 어댑터와 전용 링커의 매칭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용 링커(200)의 어댑터 결합부(380)의 주변에는 어댑터(200)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82)와 매칭 홈(284)에 각각 대응하는 가이드 홈(382)과 매칭 돌기(384)가 형성된다.
이러한 매칭 홈(284)과 매칭 돌기(384)를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하면, 어댑터(200)의 매칭 홈(284)에 맞는 매칭 돌기(384)를 구비한 전용 링커(200)만을 해당 어댑터(200)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랜 포트에 대한 접근 권한을 더욱 제한할 수 있다.
도 14a와 도 14b는 어댑터(200)와 전용 링커(300)의 다양한 매칭 패턴을 예시한 것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4a의 전용 링커(300)는 매칭 패턴이 맞지 않기 때문에 도 14b의 어댑터(200)에는 장착할 수 없고, 도 14b의 전용 링커(300)도 매칭 패턴이 맞지 않기 때문에 도 14a의 어댑터(200)에는 장착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멀티 포트(10a)의 모든 랜 포트(10)에 각각 다른 매칭 홈(284)을 구비한 어댑터(200)를 장착하면, 각각의 랜 포트(10)에는 하나의 전용 링커(300)만 연결할 수 있으므로 포트 혼동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어댑터(200)와 전용 링커(300)를 선택적으로 매칭시키는 방법이 매칭 홈(284)과 매칭 돌기(384)와 같은 연결부분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어댑터(200)와 전용 링커(300)의 각 기판(230)(370)에 형성된 회로패턴을 이용하여 어댑터(200)와 전용 링커(300)를 선택적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어댑터(200)의 기판(230)의 선단에는 랜 단자(217)가 연결되고 후단에는 LAN 표준이 아닌 링커 연결 단자부(240)가 연결된다. 또한 전용 링커(300)의 기판(370)의 선단에는 링커 연결 단자부(240)에 대응하는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가 연결되고 후단에는 랜 포트 단자(356)가 연결된다.
랜 단자(217)와 랜 포트 단자(356)는 각각 LAN 표준을 따라야 하므로 각각 8개의 단자를 포함하지만, 링커 연결 단자부(240)와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는 LAN 표준을 따르면 안되므로 8개 보다 많은 개수의 단자를 포함해야 한다.
이 경우 어댑터(200)에서는 다수의 링커 연결 단자부(240) 중에서 임의로 8개의 단자를 선택해서 기판(230)의 회로 패턴을 통해 선단의 랜 단자(217)와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한다.
또한 전용 링커(200)에서는 다수의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 중에서 임의로 8개의 단자를 선택해서 기판(370)의 회로 패턴을 통해 후단의 랜 포트 단자(356)와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한다.
한편, 링커 연결 단자부(240)와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 중에서 사용할 8개의 단자를 어떤 방식으로 조합하든 간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커 연결 단자부(240)에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를 연결하였을 때 어댑터(200)의 랜 단자(217)와 전용 링커(300)의 랜 포트 단자(356)가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링커 연결 단자부(240)와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에서 사용되는 단자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해야 한다.
그런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댑터(200)의 링커 연결 단자부(240)에서 랜 단자(217)에 연결할 8개의 단자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가 매우 많고, 전용 링커 (300)의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에서 랜 포트(356)에 연결할 8개의 단자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도 매우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나 관리자가 원하는 대로 어댑터(200)와 전용 링커(300)를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
4. 어댑터 잠금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200)는 랜 포트(10)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 무단으로 뺄 수 없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200)의 선단에 형성된 제1 유닛(210)은 일반적인 랜 커넥터(20)의 커넥터 바디(22)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공지된 랜 포트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200)를 랜 포트(10)에서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등록특허 제10-1621454호와 등록특허 제10-1925837호를 통해 소개한 랜 포트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200)가 랜 포트(10)에서 빠지지 않도록 잠글 수 있다.
다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보안 장치(1000)에서는 새로운 구조의 어댑터 잠금 장치(100a)를 이용하여 어댑터(200)가 랜 포트(10)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잠금 장치(100a)는, 어댑터(200)를 둘러싸는 하우징 유닛(110)과, 하우징 유닛(110)이 어댑터(2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잠그는 잠금 유닛(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잠금 장치(100a)는, 도 16a 내지 도 1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110)에 어댑터(200)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어댑터(200)의 제1 유닛(210)의 선단을 랜 포트(10)에 삽입 장착하고, 어댑터(200)의 상면과 하우징 유닛(110)의 사이로 잠금 유닛(120)을 삽입하여 레버(212)의 하강을 저지함으로써 어댑터(200)를 뺄 수 없게 잠그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 유닛(110)은, 도 17의 사시도(a)와 저면 사시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부(111), 바닥부(111)의 양측에서 각각 상부로 형성된 측벽(112), 각 측벽(112)의 상단에서 서로를 향해 각각 돌출된 제1 결합돌부(113a)와 제2 결합돌부(113b), 제1 결합돌부(113a)와 측벽(112)의 경계를 따라 후단에서 선단 쪽으로 형성된 제1 틈새(114a), 제2 결합돌부(113b)와 측벽(112)의 경계를 따라 후단에서 선단 쪽으로 형성된 제2 틈새(114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결합돌부(113a)와 제2 결합돌부(113b)는 소정 폭의 절개부(115)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결합돌부(113a)와 제2 결합돌부(113b)의 저면에는 각각 다수의 걸림홈(116)이 형성된다.
또한 바닥부(111)의 선단에는 상부로 돌출된 걸림부(118)가 형성되며, 걸림부(118)는 어댑터 잠금 장치(100a)를 설치하였을 때 어댑터(20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218)의 선단에 걸림으로써 하우징 유닛(110)이 후단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결합돌부(113a)와 제2 결합돌부(113b)는 각각 잠금 유닛(120)의 선단으로 개구된 제1 삽입홀(138a)과 제2 삽입홀(138a)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 유닛(120)의 내부에 구비된 다수의 걸림돌기(166)를 제1 결합돌부(113a)와 제2 결합돌부(113b)의 걸림홈(116)에 삽입하면 하우징 유닛(110)과 잠금 유닛(120)이 서로 잠금 상태가 되어 잠금 유닛(120)을 하우징 유닛(110)의 후단 쪽으로 뺄 수 없게 된다.
하우징 유닛(110)의 내부에는 바닥부(111), 양 측벽(112), 제1 결합돌부(113a) 및 제2 결합돌부(113b)에 의해 둘러싸인 관통부(119)가 형성되며, 관통부(119)는 어댑터(200)의 커넥터 바디(211)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다.
다음으로, 잠금 유닛(120)은, 도 19의 사시도 및 도 20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30), 지지 몰드(150), 쐐기부재(140), 탄성결합부재(160), 잠금 부재(170) 등을 포함한다.
하우징(130)은 지지 몰드(150), 쐐기부재(140), 탄성결합부재(160) 및 잠금 부재(170)를 둘러싸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30)은 대략 사각 형상의 관통부(139)와,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홀(133)과, 양 측면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35)와, 양 측면의 후단에 형성된 고정홈(137)을 포함한다.
한 쌍의 결합홀(133)에는 쐐기부재(140)의 결합돌기(143)가 각각 삽입된다. 고정돌기(135)는 지지 몰드(150)의 측면에 형성된 하우징 고정홈(155)에 삽입되어 지지 몰드(150)가 하우징(130)의 후단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홈(137)은 지지 몰드(150)의 후단에서 측면으로 돌출된 하우징 고정돌기(157)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지지 몰드(150)가 하우징(130)의 선단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30)은 금속 재질이고, 폭, 길이 및 높이가 A타입 USB 플러그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몰드(150)는 하우징(130)의 내부에 고정되어 쐐기부재(140), 탄성결합부재(160) 및 잠금 부재(170)의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도 20 및 도 22을 참조하면, 지지 몰드(150)는 하우징(130)의 내부 평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베이스(151)와, 베이스(151)의 후단에서 상부로 돌출된 후단벽(153)과, 베이스(151)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공간(152)을 포함한다.
베이스(151)는,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걸림돌기 통과홀(156)과,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 고정홈(155)과, 양 측면의 후단에 각각 형성된 하우징 고정돌기(157)를 포함할 수 있다.
후단벽(153)은 키 홀(171)을 제외한 하우징(130)의 후단부를 밀폐하는 한편 쐐기부재(140)가 진입하였을 때 후단 쪽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부공간(152)은 베이스(151)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벽에 의해 둘러싸이며, 탄성결합부재(160)와 잠금 부재(17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하부공간(152)을 둘러싸는 벽 중에서 선단 쪽 벽은 하부로 더 돌출되어 잠금 부재(170)가 선단 쪽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막는 차단벽(154)의 역할을 한다.
또한 하부공간(152)을 둘러싸는 벽 중에서 후단 쪽 벽에는 개구부(159)가 형성되어 잠금 부재(170)의 키 홀(171)과 함께 키 유닛(500)이 진입하는 통로로 제공된다.
또한 하부공간(152)을 둘러싸는 벽 중에서 폭 방향의 양 측면에 형성된 벽의 후단에는 각각 멈춤돌부(1541,1542)가 하부로 더 돌출된다. 멈춤돌부(1541,1542)는 잠금 부재(170)가 후단 쪽으로 이동할 때 잠금 부재(170)의 양 측면으로 돌출된 측면돌기(178)가 걸리는 부분으로서, 잠금 부재(170)가 하우징(130)의 후단 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후단벽(153)의 저면에는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된 다수의 결합홈(158a,158b,158c)이 형성되며, 다수의 결합홈(158a,158b,158c)은 탄성결합부재(160)의 대응하는 결합돌부(168a,168b,168c)가 각각 삽입되어 탄성결합부재(160)를 지지 또는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후단벽(153)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158a,158b,158c) 중에서 바깥쪽의 결합홈(158b,158c)에는 탄성결합부재(160)의 결합돌부(168a,168b,168c)의 상단에 형성된 후크가 걸릴 수 있는 후크걸림홈(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이 형성될 수도 있다.
쐐기부재(140)는, 하우징 결합부(141)와, 하우징 결합부(141)의 선단으로 돌출된 연장부(142)와, 연장부(142)의 선단에 형성된 쐐기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쐐기부(144)는 어댑터(200)의 커넥터 바디(211)와 레버(212)의 사이로 진입하여 레버(212)의 하강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쐐기부(144)는 커넥터 바디(211)와 레버(212)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쐐기부(144)의 저면은 커넥터 바디(211)의 상면에 접하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레버(212)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 유닛(120)에서 하우징(13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 21을 참조하면, 하우징 결합부(141)와 연장부(142)는 지지 몰드(150)의 베이스(151)의 상면에 안착되며, 하우징 결합부(141)는 하우징(130) 내부의 관통부(139)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연장부(142)는 하우징 결합부(141)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연장부(142)를 하우징 결합부(141)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하면,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부재(140)의 하우징 결합부(141)를 하우징(130)에 고정하였을 때 연장부(142)의 양측에 하우징 유닛(110)의 제1 및 제2 결합돌부(113a,113b)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삽입홀(138a,138b)이 형성된다.
한편 쐐기부(144)는 전체적으로 연장부(142)와 같은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의 일부만 연장부(142)와 같은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장부(142)의 폭은 하우징 유닛(110)의 절개부(115)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하면 잠금 유닛(120)이 어댑터(200)의 상면과 하우징 유닛(110) 사이로 진입할 때 쐐기부재(140)의 연장부(142)가 하우징 유닛(110)의 절개부(115)의 내측에 삽입되므로 잠금 유닛(120)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결합부(141)의 상면에는 하우징(130)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결합돌기(143)가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결합돌기(143)는 하우징(130)의 상면에 형성된 한 쌍의 결합홀(133)에 각각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돌기(153)와 결합홀(133)를 각각 2개씩 형성하였으나 그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각 결합돌기(143)의 선단 쪽에는 직각면이 형성되고 후단 쪽에는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쐐기부재(140)의 하우징 결합부(141)를 하우징(130)의 내부에 억지 끼움 식으로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30)의 내부에 지지 몰드(150)가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130)의 선단 쪽에서 지지 몰드(150)의 베이스(151)와 하우징(130) 사이의 공간으로 하우징 결합부(141)를 억지 끼움 식으로 압입하면, 결합돌기(143)의 경사면에 밀려 하우징(130)이 탄성 변형되었다가 결합돌기(143)가 하우징(130)의 결합홀(133)에 삽입되면 하우징(130)이 복원되면서 결합이 완료된다.
쐐기부(144)의 저면부(145)는 연장부(142) 보다 하부로 돌출되고, 이로 인해 쐐기부(144)의 저면 후단에는 연장부(142)의 하부로 돌출된 걸림턱(147)이 형성될 수 있다.
쐐기부(144)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147)은 쐐기부재(140)를 하우징(130)에 결합하였을 때 지지 몰드(150)의 선단에 접함으로써 쐐기부재(14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쐐기부(144)의 저면부(145)는 하우징(130)의 저면과 같은 평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30)의 저면에 대해 약간의 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탄성결합부재(160)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몰드(1500)의 하부에 결합한다.
탄성결합부재(160)는, 지지 몰드(150)에 대해 고정되는 고정부(161)와, 고정부(161)의 양측에서 선단 쪽으로 각각 돌출 연장된 한 쌍의 탄성부(162)와, 고정부(161)의 중앙에서 선단 쪽으로 돌출 연장되는 스토퍼(163)와, 각 탄성부(162)의 선단 부근에서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걸림돌기(166)를 포함한다.
도면에는 스토퍼(163)가 양 측의 탄성부(162)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161)는 지지 몰드(150)에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는 부분이다. 고정부(161)의 후단에는 다수의 결합돌부(168a,168b,168c)가 상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부(168a,168b,168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몰드(150)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158a,158b,158c)에 각각 삽입되어 탄성결합부재(160)를 지지 몰드(15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만 탄성결합부재(160)를 설치하는 방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탄성결합부재(160)를 지지 몰드(150)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탄성부(162)는 후단이 고정부(161)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 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 경사를 가진다. 따라서 고정부(161)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부(162)를 밀어 올리면 탄성부(162)는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걸림돌기(166)는 지지 몰드(150)의 걸림돌기 통과홀(156)을 통과하여 하우징 유닛(110)의 제1 및 제2 결합돌부(113a,113b)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116)에 삽입되며, 잠금 유닛(120)이 하우징 유닛(110)의 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돌기(166)는 대략 삼각형의 톱니 형상으로서, 후단면은 직각면으로 형성되고 선단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체적인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걸림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166)는 탄성부(162)의 폭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체적인 위치나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걸림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탄성결합부재(160)는 금속 판재를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구체적인 재질이나 제조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토퍼(163)는 잠금 부재(170)가 하부로 완전히 진입하였을 때 잠금 부재(170)의 걸림턱(175)의 후단 쪽에 삽입되어 잠금 부재(170)가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163)는 후단이 고정부(161)에 연결된 상태에서 선단 쪽으로 연장되며, 선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 경사를 가진다. 따라서 스토퍼(163)를 위로 밀어 올리면 스토퍼(163)는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잠금 부재(170)의 걸림턱(175)의 후단 쪽에 삽입된 스토퍼(163)는 키 홀(171)을 통해 삽입된 키 유닛(500)의 이동키(520)에 의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질 수 있으며, 스토퍼(163)의 선단이 걸림턱(175) 보다 높은 위치로 들어 올려지면 잠금 부재(170)를 후방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잠금 부재(170)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72)와, 베이스(172)의 상면에 형성되어 후단으로 개방된 키 홀(171)과, 베이스(172)의 양 측면의 선단에서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된 측면돌기(178)를 포함한다.
키 홀(171)은 베이스(172)의 양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측벽(173)의 사이에 형성되며, 키 홀(171)의 선단에는 선단벽(174)이 상부로 돌출된다.
키 홀(171)의 내부에는 다수의 패턴 돌부(176)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패턴 돌부(176)는 키 유닛(500)이 진입할 때 키 유닛(500)의 이동키(520)에 형성된 패턴과 맞물린다.
이렇게 하면 패턴 돌부(176)에 대응하는 패턴을 가진 이동키(520)만이 키 홀(171)의 내부로 끝까지 진입할 수 있고 다른 패턴을 가진 이동키(520)는 키 홀(171)의 내부로 진입할 수 없으므로 키 유닛(500)의 보안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패턴 돌부(176)의 선단은 키 홀(171)의 선단벽(174)에 접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각 가이드 측벽(173)의 내측 선단에는 키 유닛(500)의 고정키(510)에 구비된 결합돌기(512)가 삽입되는 키 결합홈(177)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키 홀(171)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측벽(173)과 선단에 형성된 선단벽(174)은 키 유닛(500)의 고정키(510) 및 이동키(5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172)는 탄성결합부재(160)의 하부로 최대한 밀어 넣었을 때 선단이 지지 몰드(150)의 저면 선단에 형성된 차단벽(154)에 접하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베이스(172)의 가이드 측벽(173)이 탄성결합부재(160)의 탄성부(162)의 선단 하부까지 도달함으로써 걸림돌기(166)를 위로 강하게 밀어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키 홀(171)의 선단벽(174)에서 탄성결합부재(160)의 스토퍼(163)가 이동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은 스토퍼(163)의 선단이 걸리는 걸림턱(175)이 된다.
이때 걸림턱(17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패턴 돌부(176)는 그 선단이 걸림턱(175)으로부터 이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턱(175)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패턴 돌부(176)의 선단에는 스토퍼(163)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스토퍼(163)의 경사각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175)의 후단에 스토퍼(163)의 선단이 걸리면 잠금 부재(170)는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잠금 부재(17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려면 키 유닛(500)을 이용하여 스토퍼(163)의 선단을 걸림턱(175) 보다 높은 위치로 밀어 올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걸림턱(175)의 높이는 키 유닛(500)의 이동키(520)의 두께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와 도 26는 각각 잠금 유닛(100)의 잠금 부재(170)를 후단 쪽으로 최대한 이동시킨 상태(a)와 선단 쪽으로 최대한 이동시킨 상태(b)를 대비한 저면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25에서는 하우징(13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의 (a)와 도 2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부재(170)를 후단 쪽으로 최대한 이동시키면 잠금 부재(170)의 양측으로 돌출된 측면돌기(178)가 지지 몰드(150)의 후단 쪽에 형성된 멈춤돌부(1541,1542)에 걸려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탄성결합부재(160)의 탄성부(162)와 걸림돌기(166)가 하강한 상태이므로 잠금 유닛(120)을 하우징 유닛(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5의 (b)와 도 2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부재(170)를 선단 쪽으로 최대한 밀어 넣으면 잠금 부재(170)에 의해 탄성결합부재(160)의 탄성부(162)가 상승하여 걸림돌기(166)가 지지 몰드(150)의 상부로 돌출되고, 스토퍼(163)의 선단이 잠금 부재(170)의 걸림턱(175)의 후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163)로 인해 잠금 유닛(120)을 하우징 유닛(100)의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없으며, 키 유닛(500)을 이용하여 스토퍼(163)를 밀어 올려야만 잠금 유닛(120)을 빼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잠금 장치(100)를 설치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110)의 관통부(119)에 어댑터(200)의 커넥터 바디(211)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커넥터 바디(211)의 선단을 랜 포트(10)에 장착한다.
이어서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유닛(120)의 쐐기부재(140)를 어댑터(200)의 상면을 따라 하우징 유닛(110)의 내부로 진입시킨다.
이렇게 하면, 쐐기부재(140)의 쐐기부(144)가 어댑터(200)의 레버(212)의 하부로 진입하여 레버(212)의 하강을 저지하는 한편,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110)의 제1 및 제2 결합돌부(113a,113b)가 각각 잠금 유닛(120)의 제1 및 제2 삽입홀(138a,138b)에 삽입된다.
이어서 도 1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유닛(120)의 후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잠금 부재(170)를 밀어 넣는다.
이렇게 하면, 도 27의 단면도에 순서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부재(170)가 탄성결합부재(160)의 탄성부(162)의 하부로 진입하면서 걸림돌기(166)를 밀어 올린다.
밀어 올려진 걸림돌기(166)는 지지 몰드(150)에 형성된 걸림돌기 통과홀(156)을 통과한 후, 하우징 유닛(110)의 제1 및 제2 결합돌부(113a,113b)에 형성된 걸림홈(116)에 삽입된다.
한편 잠금 부재(170)를 충분히 밀어 넣으면 탄성결합부재(160)의 스토퍼(163)의 선단이 잠금 부재(170)의 선단벽(174)에 의해 들어 올려졌다가 잠금 부재(17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75)의 내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잠금 부재(170)를 후방으로 당기더라도 스토퍼(163)가 걸림턱(175)에 걸려서 잠금 부재(170)를 뺄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어댑터(200)의 레버(212)의 하부에 쐐기부재(140)가 진입한 상태이므로 레버(212)를 누를 수 없어 어댑터(200)를 랜 포트(10)에서 뺄 수 없다.
또한 어댑터 잠금 장치(100a)의 하우징 유닛(110)은 바닥에 형성된 걸림부(118)가 어댑터(200)의 걸림턱(218)에 걸린 상태이므로 하우징 유닛(110)을 후방으로 뺄 수도 없다.
또한 어댑터 잠금 장치(100a)의 잠금 유닛(110)은 걸림돌기(116)에 의해 하우징 유닛(110)에 걸린 상태이므로 잠금 유닛(110)을 후방으로 뺄 수도 없다.
또한 잠금 유닛(110)의 잠금 부재(170)는 걸림턱(175)에 스토퍼(163)가 걸린 상태이므로 잠금 부재(170)를 후방으로 뺄 수도 없다.
이와 같이 랜 포트(10)에 어댑터(200)가 장착되어 뺄 수 없게 잠긴 상태가 되면, 이후에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어댑터(200)에 맞는 어댑터 연결 단자부(390)을 구비하는 전용 링커(300)를 사용해야만 해당 랜 포트(10)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장착된 어댑터 잠금 장치(100a)를 분리하기 위한 키 유닛(500)과 그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29a 및 도 2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유닛(500)을 어댑터 잠금 장치(100a)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29c는 어댑터 잠금 장치(100a)의 키 홀(171)의 내부에 키 유닛(500)의 고정키(510)와 이동키(520)가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 유닛(500)은 어댑터 잠금 장치(100a)의 후단으로 개구된 키 홀(171)에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키(510)와, 고정키(510)가 키 홀(17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키(510)의 사이로 진입하는 이동키(520)를 포함한다.
각 고정키(510)의 바깥쪽 측면에는 잠금 부재(170)의 키 결합홈(177)에 삽입되는 결합돌기(512)가 형성된다.
키 유닛(500)을 키 홀(171)에 삽입할 때는 이동키(520)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고정키(510)만을 키 홀(171)에 삽입하며, 고정키(510)를 완전히 삽입한 후에는 도 2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키(510)의 사이로 이동키(520)를 진입시킨다.
이동키(520)는 키 홀(171)의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키(510)의 결합돌기(512)가 키 결합홈(177)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한편, 잠금 부재(170)의 걸림턱(175)에 걸려 있는 스토퍼(163)의 선단을 걸림턱(175)보다 높은 위치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동키(520)에는 잠금 부재(170)의 패턴 돌부(176)가 삽입되는 패턴 홈이 선단에서 후단 쪽으로 형성된다.
이동키(520)가 고정키(510)의 사이로 완전히 진입하면, 스토퍼(163)가 위로 들어 올려지고 고정키(510)의 결합돌기(512)가 키 결합홈(177)에서 빠지지 않는 상태이므로 키 유닛(500)을 후단 쪽으로 당기면 먼저 잠금 부재(170)가 도 2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단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 부재(170)가 후단 쪽으로 이동하면, 탄성결합부재(160)의 탄성부(162)가 복원력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걸림돌기(166)가 하우징 유닛(110)의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이어서 키 유닛(500)을 후단 쪽으로 계속 당기면, 도 2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유닛(120) 전체가 하우징 유닛(110)의 후단 쪽으로 빠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하우징 유닛(110)을 뺄 수도 있고 랜 커넥터(20)를 랜 포트(10)에서 뺄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1579470호에는 키 유닛(500)과 잠금 부재(170)의 결합 구조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가 설명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도 이를 참조하기로 한다.
5. 랜 포트 잠금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보안 장치(1000)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용 링커(300)의 랜 포트(350)에 장착된 랜 커넥터(20)를 뺄 수 없도록 잠그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어댑터 잠금 장치(100a)와 동일한 구조의 랜 포트 잠금 장치(100b)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200)에서 랜 포트(10)에 삽입되는 제1 유닛(110)은 일반적인 랜 커넥터(20)의 커넥터 바디(2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어댑터 잠금 장치(100a)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랜 포트 잠금 장치(100b)를 사용해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도 30은 전용 링커(300)의 랜 포트(350)에 장착된 랜 커넥터(20)가 어댑터 잠금 장치(100a)와 동일한 구조의 랜 포트 잠금 장치(100b)에 의해 잠긴 상태에서 키 유닛(500)을 이용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랜 포트 잠금 장치(100b)가 반드시 어댑터 잠금 장치(100a)와 동일한 구조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다른 구조의 랜 포트 잠금 장치를 이용하여 전용 링커(300)의 랜 포트(350)에 장착된 랜 커넥터(20)를 잠글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등록특허 제10-1621454호와 등록특허 제10-1925837호를 통해 소개한 랜 포트 잠금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랜 포트(10)에 어댑터(200)를 장착하여 뺄 수 없도록 잠근 이후에는 전용 링커(300)가 있어야만 해당 랜 포트(10)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전용 링커(300)에 연결된 랜 커넥터(2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다 간단한 구조의 랜 포트 잠금 장치(40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1 및 도 32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보안 장치(1000a)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용 링커(300)의 랜 포트(350)에 장착된 랜 커넥터(20)를 뺄 수 없도록 잠그는 랜 포트 잠금 장치(400)가 전술한 어댑터 잠금 장치(100a)와 다른 구조를 갖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잠금 장치(400)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랜 커넥터(20)가 삽입되는 하우징 유닛(400)과 하우징 유닛(400)을 전용 링커(300)의 후단에 구비된 잠금 장치 안착부(338)에 고정하는 볼트(490)를 포함한다.
하우징 유닛(400)은, 도 34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부(401)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411,412)과, 양 측벽(411,4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연결부(413)와, 양 측벽(411,412)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 연결부(415)와, 상단 연결부(413)에서 선단 쪽으로 돌출된 쐐기부(450)와, 하단 연결부(415)에 형성된 볼트홀(420)을 포함한다.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 연결부(413)의 저면은 쐐기부(450)의 저면과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 연결부(413)의 최저면과 하단 연결부(415)의 최고면 사이의 수직 높이(H)는 랜 커넥터(20)의 커넥터 바디(22)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렇게 형성하면, 커넥터 바디(22)의 상면으로 레버(24)가 돌출된 상태에서 관통부(401)의 내부로 통과시키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레버(24)가 달린 커넥터 바디(22)가 관통부(401)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단 연결부(413)와 하단 연결부(413)를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단 연결부(415)에는 후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416)을 형성하고, 상단 연결부(413)의 저면에도 후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419)을 형성한다.
이때, 상단 연결부(413)의 경사면(419)과 하단 연결부(415)의 경사면(416) 사이의 최단 간격(D)은 상단 연결부(413)의 최저면과 하단 연결부(415)의 최고면 사이의 수직 높이(H) 보다 훨씬 커야 한다.
이렇게 형성하면,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랜 커넥터(20)를 경사면(416,419)과 같은 각도로 기울이면 간격(D)가 관통부(401)의 수직높이(H) 보다 충분히 크기 때문에 레버(24)와 함께 커넥터 바디(22)가 관통부(401)를 통과할 수 있다.
레버(24)와 커넥터 바디(22)가 관통부(401)를 완전히 통과한 후에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랜 커넥터(20)를 수평으로 회전시킨 후에 후단 쪽으로 이동시켜서 레버(24)의 하부에 하우징 유닛(410)의 쐐기부(450)를 위치시켜야 한다.
한편 경사면(416)(419) 사이의 최단 간격(D)이 관통부(401)의 수직 높이(H) 보다 훨씬 커지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단 연결부(413)는 커넥터 바디(22)가 통과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측벽(411,412)의 선단에서부터 중간 정도 까지만 형성하고, 후단 연결부(415)는 측벽(411,412)의 후단에서부터 중간 정도 까지만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상단 연결부(413)의 후단(도 34의 413a)과 하단 연결부(415)의 선단(도 34의 415a)이 평면을 기준으로 볼 때 같은 위치에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평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단 연결부(413)의 후단(413a)이 하단 연결부(415)의 선단(415a) 보다 더 선단 쪽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단 연결부(413)의 후단(413a)이 하단 연결부(415)의 선단(415a) 보다 더 후단 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하단 연결부(415)의 경사면(416)의 후단에는 평탄한 지지면(417)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면(417)은 도 35 및 도 36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랜 포트 잠금 장치(400)를 설치하면 랜 커넥터(2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포트 잠금 장치(4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410)의 관통부(401)에 랜 커넥터(20)의 커넥터 바디(22)를 통과시키고 쐐기부(450)를 레버(24)의 하부에 진입시킨 상태에서, 커넥터 바디(22)의 선단을 전용 링커(300)의 랜 포트(350)에 삽입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하우징 유닛(410)의 양 측벽(411,412)과 하단 연결부(415)의 저면이 전용 링커(300)의 잠금 장치 안착부(338)에 놓여지며, 이어서 아래에서부터 잠금 장치 안착부(338)의 볼트홀(339)과 하단 연결부(415)의 볼트홀(220)을 통과하는 볼트(490)를 체결하면 하우징 유닛(410)이 전용 링커(300)에 대해 고정된다. 랜 커넥터(20)를 전용 링커(30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트(490)를 해제한 후 하우징 유닛(410)을 후단 쪽으로 당겨서 쐐기부(450)를 이동시키고 레버(24)를 눌러서 랜 커넥터(20)를 빼면 된다.
이상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댑터(200)의 후단에 형성된 링커 결합부(280)가 암형(female)이고 전용 링커(300)의 선단에 형성된 어댑터 결합부(380)가 수형(male)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와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어댑터(200)의 후단을 전용 링커(300)의 선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잠금 장치(100a)에서는 하우징 유닛(110)의 절개부(115)를 선단에서 후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 3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절개부(115)의 양측이 연결부(117)에 의해 연결된 하우징 유닛(110a)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랜 포트 잠금 장치(100b)에서는 하우징 유닛(110)의 절개부(115)를 선단에서 후단까지 연속적으로 형성하면 랜 포트(10)에서 랜 커넥터(20)를 빼지 않고도 랜 포트 잠금 장치(100b)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절개부(115)의 사이로 케이블(30)을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잠금 장치(100a)에서는, 하우징 유닛(110)의 제1 결합돌부(113a)와 제2 결합돌부(113b)의 저면에 모두 걸림홈(116)을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 결합돌부(113a)와 제2 결합돌부(113b)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걸림홈(116)을 형성하고 탄성결합부재(160)의 걸림돌기(166)도 대응하는 위치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잠금 장치(100a)에서는, 하우징 유닛(110)의 제1 결합돌부(113a)와 제2 결합돌부(113b)의 저면에 걸림홈(116)을 형성하고 여기에 잠금 유닛(120)의 걸림돌기(166)가 삽입되도록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우징 유닛(110)의 제1 결합돌부(113a)와 제2 결합돌부(113b)에 걸림홈(116)을 형성하지 않고 잠금 유닛(120)의 걸림돌기(166)가 제1 결합돌부(113a)와 제2 결합돌부(113b)의 저면에 스파이크처럼 박히게 설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잠금 장치(100a)에서는, 잠금 부재(170)의 이동을 막기 위한 스토퍼(163)를 탄성결합부재(160)에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탄성결합부재(160)에서는 스토퍼(163)를 생략하고 지지 몰드(150)의 저면에 이러한 형상의 스토퍼(163)를 장착하거나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잠금 장치(100a)에서는, 하우징 유닛(110)의 걸림부(118)가 바닥부(111)의 선단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걸림부(118)는 하우징 유닛(11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커넥터 바디(22)에 걸리는 부분이므로 커넥터 바디(22)에 형성된 걸림턱(28)의 위치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바디(22)에 걸림턱이 없고 걸림홈만 있다면 걸림부(118)는 걸림홈에 대응하는 걸림돌기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200)에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의 랜 단자(217)와 후단의 링커 연결 단자부(240)가 기판(230)에 형성된 회로패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9의 어댑터(200a) 및 도 40의 어댑터(200b)와 같이, 기판(230)에 링커 연결 단자부(240)를 실장 하되 기판(230)은 제2 유닛(220a)(220b)의 내부에만 설치하고, 기판(230)의 선단과 랜 단자(217)를 랜 케이블(30)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도 39에 나타낸 어댑터(200a)와 같이 제 1유닛(210)과 제2 유닛(220a)을 결합돌부(223a) 등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0에 나타낸 어댑터(200b)와 같이 제 1유닛(210)의 후단과 제2 유닛(220b)의 선단을 케이블(3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시킬 수도 있다.
먼저, 도 39의 어댑터(200a)를 살펴보면, 랜 케이블(30)을 구성하는 8가닥의 랜 선(30a)의 선단을 제1 유닛(210)의 내부에서 랜 단자(217)의 상부까지 삽입한 후에 랜 단자(217)를 상승시켜 스파이크(도 7의 217a)로 8개의 랜 단자(217)와 8가닥의 랜 선(30a)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8가닥 랜 선(30a)의 후단은 제2 유닛(230)의 내부에서 기판(230)에 땜납으로 고정한 후 기판(230)에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링커 연결 단자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하우징(221)의 선단으로 돌출된 결합돌부(도 5의 226)가 제1 유닛(210)의 공간(219)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부재(21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222)에 측벽(223)에서 선단으로 돌출된 결합돌부(223a)를 형성하고 이를 제1 유닛(210)의 공간(219)의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부재(215)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 내지 도 7에서 상부 하우징(221)과 하부 하우징(222)의 선단으로 돌출된 상부 기판지지부재(227a)와 하부 기판지지부재(227b)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0의 어댑터(200b)를 살펴보면, 제1 유닛(210)과 제2 유닛(220b)은 소정 길이의 랜 케이블(30)을 사이에 두고 물리적으로 서로 떨어진다.
또한 랜 케이블(30)의 선단으로 노출된 8가닥의 랜 선(30a)의 선단을 제1 유닛(210)의 내부에서 랜 단자(217)의 상부까지 삽입한 후에 랜 단자(217)를 상승시키면 스파이크(도 7의 217a)에 의해 8개의 랜 단자(217)와 8가닥의 랜 선(30a)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유닛(210)의 내부로 진입한 랜 케이블(30)의 외피는 제1 유닛(210)의 고정부재(215)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랜 케이블(30)의 후단으로 노출된 8가닥의 랜 선(30a)의 후단은 제2 유닛(220b)의 내부에서 기판(230)에 땜납으로 고정되며, 기판(230)에 형성된 회로 패턴을 통해 링커 연결 단자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20: 랜 커넥터 22: 커넥터 바디 24: 레버
26: 포트걸림턱 28: 걸림턱 30: 케이블
100a: 어댑터 잠금 장치 100b: 랜 포트 잠금 장치
110: 하우징 유닛 111: 바닥부 112: 측벽
113a: 제1 결합돌부 113b: 제2 결합돌부 114a: 제1 틈새
114b: 제2 틈새 115: 절개부 116: 걸림홈
117: 연결부 118: 걸림부 119: 관통부
120: 잠금 유닛 130: 하우징 133: 결합홀
135: 고정돌기 137: 고정홈 138a: 제1 삽입홀
138b: 제2 삽입홀 139: 관통부 140: 쐐기부재
141: 하우징 결합부 142: 연장부 143: 결합돌기
144: 쐐기부 145: 저면부 147: 걸림턱
150: 지지 몰드 151: 베이스 152: 하부공간
153: 후단벽 154: 차단벽 1541, 1542: 멈춤돌부
155: 하우징 고정홈 156: 걸림돌기 통과홀
157: 하우징 고정돌기 158a,158b,158c: 결합홈
159: 개구부 160: 탄성결합부재 161: 고정부
162: 탄성부 163: 스토퍼 166: 걸림돌기
168a,168b,168c: 결합돌부 170: 잠금 부재 171: 키 홀
172: 베이스 173: 가이드 측벽 174: 선단벽
175: 걸림턱 176: 패턴 돌부 177: 키 결합홈
178: 측면돌기 200: 어댑터 210: 제1 유닛
211: 커넥터 바디 212: 레버 213: 포트 걸림턱
214: 홈 215: 고정부재 217: 랜 단자
217a: 스파이크 218: 걸림턱 219: 공간
219a: 기판삽입홈 220: 제2 유닛 221: 상부 하우징
222: 하부 하우징 223: 측벽 224: 격벽
225: 관통부 226: 결합돌부 227a: 상부 기판지지부재
227b: 하부 기판지지부재 228: 고정부재 결합홈
229: 공간 230: 기판 232: 단자 패턴
236: 절개홈 240: 링커 연결 단자부 280: 링커 결합부
282: 가이드 돌기 284: 매칭 홈 300: 전용 링커
310: 링커 하우징 320: 상부 하우징 321: 측벽
323: 후단 연결부 324, 326: 볼트홀 327: 기판고정돌기
330: 하부 하우징 331: 베이스 332: 측벽
334, 336: 볼트홀 338: 잠금 장치 안착부 339: 볼트홀
341,342: 볼트 350: 랜 포트 352: 포트 홀
356: 랜 포트 단자 370: 기판 372: 랜포트 장착홀
376: 볼트홀 377: 고정홈 380: 어댑터 결합부
382: 가이드 홈 384: 매칭 돌기 390: 어댑터 연결 단자부
400: 랜 포트 잠금 장치 401: 관통부 410: 하우징 유닛
411, 412: 측벽 413: 상단 연결부 415: 하단 연결부
416: 경사면 417: 지지면 419: 경사면
420: 볼트홀 450: 쐐기부 490: 볼트
500: 키 유닛 510: 고정키 512: 결합돌기
520: 이동키 1000: 랜 포트 보안 장치

Claims (21)

  1. 내부에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선단이 랜(LAN)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와, 커넥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와, 커넥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랜(LAN) 단자와, 커넥터 바디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제1 유닛;
    내부에 제2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되어 제1 유닛의 제1 공간으로 삽입되며 제1 유닛의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돌부를 구비하는 제2 유닛;
    랜(LAN) 커넥터가 아닌 전용 링커를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유닛의 후단으로 노출되는 링커 연결 단자부;
    랜 단자와 링커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수단;
    을 포함하는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수단은,
    링커 연결 단자부가 실장되는 기판;
    제1 유닛의 랜 단자에 대응하여 기판의 선단 저면에 형성된 단자 패턴;
    기판에 형성되어 단자 패턴과 링커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회로 패턴
    을 포함하며, 기판의 선단이 제1 유닛의 랜 단자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랜 단자가 상승하여 랜 단자의 상단에 구비된 스파이크가 대응하는 단자 패턴에 박히면 랜 단자와 링커 연결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의 하우징은,
    제1 유닛의 내부에서 기판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부 기판지지부재가 선단으로 돌출된 상부 하우징과,
    후단이 상부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결합되고, 제1 유닛의 내부에서 기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부 기판지지부재가 선단으로 돌출된 하부 하우징
    을 포함하고, 제1 유닛의 고정부재가 하부 기판지지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하부 하우징이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수단은,
    링커 연결 단자부가 실장되는 기판;
    제1 유닛의 랜 단자에 대응하여 기판에 형성된 단자 패턴;
    기판에 형성되어 단자 패턴과 링커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회로 패턴;
    선단은 제1 유닛의 상부에 위치하고 후단은 기판의 단자 패턴에 땜납으로 고정되는 랜 케이블
    을 포함하며, 랜 케이블의 선단이 제1 유닛의 랜 단자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랜 단자가 상승하여 랜 단자의 상단에 구비된 스파이크가 대응하는 랜 케이블에 박히면 랜 단자와 링커 연결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 연결 단자부는 랜 단자보다 많은 개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 형성된 회로 패턴은 링커 연결 단자부의 단자 중에서 선택된 단자와 랜 단자를 일대일로 연결함으로써 링커 연결 단자부에 연결할 수 있는 전용 링커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고정부재는, 커넥터 바디에 연결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와,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사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를 중심으로 돌출부를 회전시키면, 제2 연결부가 끊어진 후 회전하여 제2 유닛의 결합홈의 내부로 삽입되고, 돌출부의 단부가 회전하여 제2 연결부가 끊어진 내벽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7. 내부에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선단이 랜(LAN)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와, 커넥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와, 커넥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랜(LAN)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유닛;
    내부에 제2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과, 기판에 실장되며 LAN 표준이 아닌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링커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
    선단은 제1 유닛의 내부에서 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은 제2 유닛의 내부에서 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링커 연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랜 케이블
    을 포함하는 어댑터
  8. 선단에는 랜(LAN) 단자를 구비하고, 후단에는 LAN 표준이 아닌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링커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어댑터;
    어댑터의 선단이 랜 포트에서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어댑터 잠금 장치;
    선단에는 어댑터의 링커 연결 단자부에 대응하는 어댑터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고, 후단에는 랜 포트를 구비하는 전용 링커;
    전용 링커의 랜 포트에 삽입된 랜 커넥터를 빠지지 않도록 잠그는 랜 포트 잠금 장치
    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후단에는 제1 매칭 패턴을 구비하는 링커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용 링커의 선단에는 제1 매칭 패턴에 대응하는 제2 매칭 패턴을 구비하는 어댑터 연결부가 형성되며,
    제1 매칭 패턴과 맞물리는 제2 매칭 패턴을 구비한 전용 링커만을 상기 어댑터의 후단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내부에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선단이 랜(LAN)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와, 커넥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와, 커넥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랜(LAN) 단자와, 커넥터 바디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제1 유닛;
    내부에 제2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되어 제1 유닛의 제1 공간으로 삽입되며 제1 유닛의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돌부를 구비하며, 내부에 링커 연결 단자부를 구비하는 제2 유닛;
    랜 단자와 링커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수단은,
    링커 연결 단자부가 실장되는 기판;
    제1 유닛의 랜 단자에 대응하여 기판의 선단 저면에 형성된 단자 패턴;
    기판에 형성되어 단자 패턴과 링커 연결 단자부를 연결하는 회로 패턴
    을 포함하며, 기판의 선단이 제1 유닛의 랜 단자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랜 단자가 상승하여 랜 단자의 상단에 구비된 스파이크가 대응하는 단자 패턴에 박히면 랜 단자와 링커 연결 단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내부에 제1 공간이 형성되고 선단이 랜(LAN) 포트에 삽입되는 커넥터 바디와, 커넥터 바디의 상면에 형성된 레버와, 커넥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된 랜(LAN)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유닛;
    내부에 제2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과, 기판에 실장되며 LAN 표준이 아닌 다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링커 연결 단자부를 포함하는 제2 유닛;
    선단은 제1 유닛의 내부에서 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단은 제2 유닛의 내부에서 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링커 연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랜 케이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잠금 장치는,
    커넥터 바디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바닥부와, 바닥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측벽과, 양 측벽의 상단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고 측벽과의 경계를 따라 틈새가 형성된 제1 결합돌부 및 제2 결합돌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유닛;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된 지지 몰드와, 제1 결합돌부와 제2 결합돌부가 각각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지지 몰드의 상부에서 선단으로 개구된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과, 일단은 지지 몰드의 상면과 하우징 사이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우징의 선단으로 돌출되는 쐐기부재와, 지지 몰드의 하부에 설치되며 지지 몰드를 관통하여 승강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탄성결합부재와, 탄성결합부재의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 부재와, 잠금 부재가 진입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잠금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의 제1 결합돌부와 제2 결합돌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저면에는 상기 잠금 유닛의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는,
    지지 몰드의 상면과 하우징 사이에 삽입되고 상면에 하우징의 결합홀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결합부;
    하우징 결합부의 선단으로 돌출되고 하우징 결합부보다 폭이 적은 연장부;
    연장부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의 커넥터 바디와 레버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여 레버의 하강을 저지하는 쐐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홀과 제2 삽입홀은 상기 쐐기부재의 연장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의 제1 결합돌부와 제2 결합돌부의 사이에는 선단에서 후단까지 연속적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 유닛을 랜 커넥터의 상면을 따라 선단 쪽으로 이동시키면 쐐기부재의 연장부가 상기 절개부의 사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링커는, 상기 어댑터 연결 단자부와 상기 랜 포트가 각각 실장되고, 어댑터 연결 단자부와 랜 포트의 랜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 패턴을 구비하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 연결 단자부는 랜 단자보다 많은 개수의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패턴은 링커 연결 단자부의 단자 중에서 선택된 단자와 랜 단자를 일대일로 연결함으로써 어댑터 연결 단자부에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랜 포트 잠금 장치는,
    랜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관통부를 둘러싸는 양 측벽과, 양 측벽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 연결부와, 양 측벽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 연결부와, 상단 연결부에서 선단 쪽으로 돌출되어 랜 커넥터의 커넥터 바디와 레버의 사이로 진입하는 쐐기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유닛;
    하우징 유닛을 전용 링커의 후단으로 돌출된 잠금 장치 안착부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하단 연결부를 잠금 장치 안착부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단 연결부의 저면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된 제1 경사면과, 후단 연결부의 상면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된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 사이의 최단 간격(D)은, 상단 연결부의 최저면과 하단 연결부의 최고면 사이의 수직 높이(H)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연결부의 후단은 측벽의 후단 보다 선단 쪽에 위치하고,
    상기 후단 연결부의 선단은 측벽의 선단 보다 후단 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KR1020200055773A 2020-05-11 2020-05-11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KR102351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73A KR102351174B1 (ko) 2020-05-11 2020-05-11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773A KR102351174B1 (ko) 2020-05-11 2020-05-11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675A true KR20210137675A (ko) 2021-11-18
KR102351174B1 KR102351174B1 (ko) 2022-01-14

Family

ID=78717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773A KR102351174B1 (ko) 2020-05-11 2020-05-11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17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801A (ko) * 1989-08-03 1991-03-29 타다미쯔 기시모토 인간 gp130 단백질
JP2010003659A (ja) * 2008-06-20 2010-01-07 Harmonet Kk 延長lanケーブル
US20160006200A1 (en) * 2014-05-09 2016-01-07 Panduit Corp. Arj45 to rj45 adapter
KR101621454B1 (ko) 2015-07-08 2016-05-16 (주)아이테오솔루션즈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KR101662118B1 (ko) * 2016-03-17 2016-10-05 이미애 보안 이더넷포트
KR101806794B1 (ko) * 2016-09-30 2017-12-08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US20180159272A1 (en) * 2016-11-29 2018-06-07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Limited power outlet with changeable protective bezel
KR101925837B1 (ko) 2017-10-19 2018-12-06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설치가 편리한 랜포트 잠금장치
KR102067747B1 (ko) * 2019-01-28 2020-01-17 (주)컴엑스아이 랜 케이블 락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801A (ko) * 1989-08-03 1991-03-29 타다미쯔 기시모토 인간 gp130 단백질
JP2010003659A (ja) * 2008-06-20 2010-01-07 Harmonet Kk 延長lanケーブル
US20160006200A1 (en) * 2014-05-09 2016-01-07 Panduit Corp. Arj45 to rj45 adapter
KR101621454B1 (ko) 2015-07-08 2016-05-16 (주)아이테오솔루션즈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KR101662118B1 (ko) * 2016-03-17 2016-10-05 이미애 보안 이더넷포트
KR101806794B1 (ko) * 2016-09-30 2017-12-08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US20180159272A1 (en) * 2016-11-29 2018-06-07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Limited power outlet with changeable protective bezel
KR101925837B1 (ko) 2017-10-19 2018-12-06 (주)아이테오솔루션즈 설치가 편리한 랜포트 잠금장치
KR102067747B1 (ko) * 2019-01-28 2020-01-17 (주)컴엑스아이 랜 케이블 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174B1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850B2 (en) Adapter module with a compliant press-fit mounting pins
US5791931A (en) Locking electrical outlet
US5915987A (en) Latched electrical connector
EP3148007B1 (en) Modular connector
JP3018284B2 (ja) 電気コネクタの接地シュラウド組立体
US7244138B2 (en) Docking connector with locking retractable guide pins
KR101621454B1 (ko) 랜잠금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
US11456553B2 (en) Low profile high voltage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ying thereof
US10693253B2 (en) Movable socket assembly
US5267873A (en) Inter-box coupling
TWI815170B (zh) 連接器
KR101961922B1 (ko) 네트웍 포트 커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네트웍 포트 락 장치
US8105097B2 (en) Blanking plug for telecommunications jack
JP3123437B2 (ja) コネクタ
KR101865165B1 (ko) 잠금 기능을 가지는 보안 usb 허브
US6168476B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351174B1 (ko) 랜 포트의 혼동을 방지하는 어댑터 및 이를 포함하는 랜 포트 보안 장치
JP2003243098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の誤嵌合防止方法
KR102292313B1 (ko) 랜 포트 잠금 장치
KR101965588B1 (ko) 스파이크를 구비하는 usb 포트잠금장치
US9331426B2 (en) Socket panel for receiving connector plugs with latch guards comprising a security cover plate
JP2541256Y2 (ja) 小型多極電気コネクタ
TWM621797U (zh) 可旋轉usb裝置
CN215343110U (zh) 插座
US7090536B2 (en) IC card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