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765B1 - 스텝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스텝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765B1
KR101806765B1 KR1020170042195A KR20170042195A KR101806765B1 KR 101806765 B1 KR101806765 B1 KR 101806765B1 KR 1020170042195 A KR1020170042195 A KR 1020170042195A KR 20170042195 A KR20170042195 A KR 20170042195A KR 101806765 B1 KR101806765 B1 KR 101806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ing member
motion transmitting
lead screw
cover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0156A (ko
Inventor
이홍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765B1/ko
Publication of KR2017004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0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24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mechanica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스텝 액츄에이터가 개시된다. 상기 스텝 액츄에이터는 고정자에 결합된 커버에 지지브라켓을 적절하게 위치시킨 후, 지지브라켓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브라켓이 커버에 결합된다. 즉, 커버와 지지브랏켓의 결합시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내부의 부품들이 전혀 유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품들의 중심이 불일치 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지지브라켓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브라켓이 커버에 결합되므로, 부품들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브라켓과 커버의 조립 공정이 간편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스텝 액츄에이터{STEP ACTUATOR}
실시예는 스텝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스텝 액츄에이터는 경량, 소형 및 슬림하면서 고성능을 발휘하는 기기로 정밀한 제어를 요하는 장치에 널리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를 구성하는 하우징(11)의 내부에 회전자(미도시)가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자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자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는 리드스크류(13)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1)의 상면에는 커버(15)가 결합되고, 커버(15)에는 리드스크류(13)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지지브라켓(17)이 결합된다. 커버(15)와 지지브라켓(17)은 커버(15)의 상단면(上端面)에 형성된 돌기(15a)를 내측으로 벤딩하여 상호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텝 액츄에이터는 외력을 가하여 돌기(15a)를 벤딩 하므로, 커버(15)와 지지브라켓(17)의 결합시, 부품들이 유동하게 된다. 이로인해, 부품들의 중심이 불일치하여 오류가 발생하는 등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돌기(15a)의 벤딩시 부품들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돌기(15a)를 하나하나 벤딩하여야 하므로 조립 공정이 번거롭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시예의 목적은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텝 액츄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부품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텝 액츄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텝 액츄에이터는, 하우징을 가지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자와 작용하여 정역회전하는 회전자; 일측은 상기 회전자 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자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회전자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는 리드스크류; 상기 고정자에 결합된 커버;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리드스크류의 타측을 지지하여 상기 리드스크류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텝 액츄에이터는, 하우징 및 보빈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 내에 배치되며, 마그네트와 운동전달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와 결합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운동전달부재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전달부재는 상기 리드스크류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잇다.
상기 운동전달부재는 상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테 및 중앙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면(端面)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단면은 상기 베어링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잇다.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지지테는 상기 베어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의 상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텝 액츄에이터는,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보빈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 내에 배치되며, 마그네트와 운동전달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와 결합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커버;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커버와 결합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전달부재는 상기 리드스크류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테와 상기 지지테와 마주보는 단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전달부재는 상단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테 및 중앙부측 외주면에 형성된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의 내륜은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상기 지지테와 상기 단턱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의 상면 내륜측은 상기 지지테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의 하면 내륜측은 상기 단면과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텝 액츄에이터는 고정자에 결합된 커버에 지지브라켓을 적절하게 위치시킨 후, 지지브라켓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브라켓이 커버에 결합된다. 즉, 커버와 지지브랏켓의 결합시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내부의 부품들이 전혀 유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품들의 중심이 불일치 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지지브라켓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브라켓이 커버에 결합되므로, 부품들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브라켓과 커버의 조립 공정이 간편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버와 지지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6b는 커버에 지지브라켓을 결합하는 것을 보인 요부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 액츄에이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텝 액츄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텝 액츄에이터는 상대적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호 결합된 제 1 및 제 2 고정자(110,120)를 가지는 원통형의 고정자가 마련된다.
이하, 고정자를 포함한 다른 구성요소들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제 1 고정자(110)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 제 2 고정자(120)측을 인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이라 한다.
제 1 및 제 2 고정자(110,120)는 제 1 및 제 2 하우징(111,121), 제 1 및 제 2 요크(113,123), 제 1 및 제 2 보빈(115,125), 제 1 및 제 2 코일(118,128)을 각각 가진다.
제 1 하우징(111)은 하면이 개방된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는데, 내부의 관은 상호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투스(Tooth)(111a)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 1 요크(113)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하우징(111)의 하면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제 1 하우징(111)의 투스(111a)와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되는 복수의 투스(113a)가 형성된다.
제 1 보빈(115)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하우징(111)과 제 1 요크(113) 사이에 삽입 설치되고, 제 1 코일(118)은 제 1 보빈(115)에 권선된다.
제 2 하우징(121)은 상면이 개방된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는데, 내부의 관은 상호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투스(Tooth)(121a)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 2 하우징(121)의 상단면(上端面)은 제 1 하우징(111)의 하단면(下端面)에 접촉 결합된다.
제 2 요크(123)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하우징(121)의 상면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제 2 하우징(121)의 투스(121a)와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되는 복수의 투스(123a)가 형성된다.
제 1 하우징(111)과 제 2 하우징(121)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칭을 이루면서 설치되고, 제 1 요크(113)와 제 2 요크(123)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대칭을 이루면서 설치된다.
제 2 보빈(125)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하우징(121)과 제 2 요크(123) 사이에 삽입 설치되고, 제 2 코일(128)은 제 2 보빈(125)에 권선된다. 제 2 보빈(125)의 내부에는 수직관(125a)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수직관(125a)에는 후술한 리드스크류(140)의 하부측이 삽입 지지된다.
제 1 및 제 2 보빈(115,125)에는 제 1 및 제 2 코일(118,128)로 외부의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단자(116,126)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고정자(110,1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 1 및 제 2 단자(116,126)는 상호 접촉 결합되는 제 1 하우징(111)의 하단면 및 제 2 하우징(121)의 상단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함몰홈(111b,121b)을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고정자의 내부에는 마그네트(130)로 마련된 링형상의 회전자가 정역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마그네트(130)의 내부에는 마그네트(130)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직선왕복운동하는 리드스크류(140)가 설치된다. 리드스크류(140)의 하부측은 수직관(125a)에 삽입 지지되고, 상부측은 상기 고정자의 상부 외측으로 노출된다.
마그네트(130)와 리드스크류(140) 사이에는 마그네트(130)의 회전운동을 리드스크류(140)로 전달하여 리드스크류(140)를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운동전달부재(150)가 결합된다. 운동전달부재(150)의 외주면은 마그네트(13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내주면은 리드스크류(140)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이때, 운동전달부재(150)의 내주면과 리드스크류(140)의 외주면에는 상호 맞물리는 나사선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하여, 제 1 및 제 2 코일(118,128)에 선택적으로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고정자와 마그네트(130)의 작용에 마그네트(130) 및 운동전달부재(150)가 일체로 정역회전한다.
리드스크류(140)와 운동전달부재(150)는 상기 나사선에 의하여 맞물려 있으므로, 리드스크류(14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속하면, 운동전달부재(150)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리드스크류(140)가 직선왕복운동한다.
리드스크류(140)의 직선운동은 지지브라켓(170)에 의하여 안내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고정자(110)의 상면에는 부품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160)가 결합되고, 커버(160)에는 지지브라켓(170)이 결합된다.
이때, 리드스크류(140)의 상부측 외주면은 지지브라켓(170)에 삽입되어 지지되는데, 리드스크류(140)의 상부측 외주면 및 리드스크류(140)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브라켓(170)의 내주면은 비원형인 "D"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운동전달부재(150)의 상기 나사선과 리드스크류(140)의 상기 나사선이 맞물린 상태에서, 운동전달부재(150)가 정역회전하면, 리드스크류(140)는 회전하지 않고 직선왕복운동하면서 승강한다.
커버(160)의 중앙부측에는 운동전달부재(150)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180)이 설치된다. 베어링(180)의 상면 내륜측 및 하면 내륜측은 운동전달부재(150)의 상단부측 외주면 및 중앙부측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지지테(151) 및 단면(段面)(153)에 걸리고, 상면 외륜측 및 하면 외륜측은 후술할 커버(160)에 걸린다. 이로인해, 베어링(180)이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운동전달부재(150)는 합성수지제를 사출하여 형성하는데, 지지테(151)는 운동전달부재(150)의 상단부 외주면측을 용융시켜 형성한다.
커버(160)에 지지되는 베어링(180)의 설치구조 및 리드스크류(140)와 지지브라켓(170)의 결합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텝 액츄에이터는 상기 고정자에 결합된 커버(160)에 지지브라켓(170)을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커버(160)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브라켓(170)을 위치시킨 후, 지지브라켓(170)을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브라켓(170)이 커버(160)에 결합되고, 지지브라켓(170)을 반시계방향인 역방향으로 역회전시키면 지지브라켓(170)이 커버(160)로부터 분리된다.
커버(160)와 지지브라켓(170)의 결합구조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버와 지지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리드스크류(14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 반경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반경방향", 원주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원주방향"이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0)는 결합테(161), 지지편(163), 회전방지돌기(165), 제 1 접촉편(167) 및 결합관(169)을 가진다.
결합테(161)는 소정 폭을 가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이 제 1 하우징(111)의 상면에 결합된다.
지지편(163)은 결합테(161)의 외주면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리드스크류(140)의 상단부측을 향하며, 상호 간격을 가지는 복수개로 마련된다. 이때, 지지편(163)을 연결한 가상의 선은 대략 원형을 이룬다.
회전방지돌기(165)는 지지편(163)의 상단면(上端面)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원주방향 일단면(一端面) 및 타단면(他端面)에, 후술할 지지브라켓(170)의 걸림편(175) 및 걸림돌기(177)가 각각 걸린다. 그러면, 지지브라켓(170)이 커버(160)에 결합되었을 때, 지지브라켓(17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회전방지돌기(165)의 원주방향 일단면 및 타단면에는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어 걸림편(175) 및 걸림돌기(177)가 각각 걸리는 제 1 및 제 2 벤딩편(165a,165b)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벤딩편(165a,165b)은 걸림편(175) 및 걸림돌기(177)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걸림편(175) 및 걸림돌기(177)가 견고하게 걸리도록 지지한다.
제 1 접촉편(167)은 지지편(163)의 상단면(上端面)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후술할 제 2 접촉편(179)과 접촉하여 지지브라켓(170)이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관(169)은 결합테(161)의 내주면에서 리드스크류(140)의 상단부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베어링(180)이 삽입 지지된다. 이때, 결합관(169)의 상단면(上端面) 및 하단면(下端面)에는 베어링(180)의 상면 외륜측 및 하면 외륜측에 각각 접촉되어 베어링(18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테(169a) 및 복수의 스토퍼(169b)가 형성된다. 스토퍼(169b)는 90°벤딩되어 베어링(180)의 하면에 접촉된다.
스토퍼(169b)는 운동전달부재의 단면(段面)(153)과 대향되게 형성되고, 걸림테(169a)는 지지테(151)와 대향되게 형성된다.
지지브라켓(170)은 지지관(171), 연장테(173), 걸림편(175), 걸림돌기(177) 및 제 2 접촉편(179)을 가진다.
지지관(171)은 제 1 지지관(171a)과 제 1 지지관(171a)의 상단면(上端面)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 2 지지관(171b)을 가진다. 제 2 지지관(171b)의 직경은 제 1 지지관(171a)의 직경 보다 작게 마련되어, 제 1 지지관(171a)의 내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그러므로, 제 1 지지관(171a)과 제 2 지지관(171b)의 경계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단면(段面)(171c)이 형성된다.
제 1 지지관(171a)은 하부측이 지지편(163)과 결합관(169)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1 지지관(171a)의 하부측 외주면은 지지편(163)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내주면은 결합관(169)의 외주면과 접촉한다.
제 2 지지관(171b)의 상부측 내주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140)의 상부측 외주면의 형상인 "D"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리드스크류(140)의 상부측 외주면이 삽입 지지된다. 따라서, 리드스크류(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지지관(171b)에 지지되어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결합관(169)의 상단면에 형성된 걸림테(169a)는 제 1 지지관(171a)과 제 2 지지관(171b)의 경계부위에 형성된 단면(171c)과 접촉한다.
연장테(173)는 지지관(171)의 제 1 지지관(171a)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링형상을 이루며, 하면이 회전방지돌기(165) 및 제 1 접촉편(167)의 상면과 대향한다.
걸림편(175)은 연장테(173)의 외주면에서 하측으로 벤딩 형성되어 리드스크류(140)의 하단부측을 향한다. 걸림편(175)은 상호 간격을 가지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내주면이 결합테(161)의 외주면과 대향한다.
그리고, 걸림편(175)은 상호 인접하는 지지편(163)과 지지편(163) 사이에 위치되었다가, 지지브라켓(170)을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주방향 일단면(一端面)이 회전방지돌기(165)의 원주방향 일단면(一端面)에 걸린다. 그러면, 지지브라켓(170)이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걸림돌기(177)는 걸림편(175)과 걸림편(175) 사이의 연장테(173)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탄성을 가진다. 걸림돌기(177)는 걸림편(175)의 원주방향 타단면(他端面)에서 연장테(173)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외팔보 형태를 이루며, 자유단부측이 회전방지돌기(165)의 원주방향 타단면에 걸린다.
즉, 걸림돌기(177)는 상호 인접하는 지지편(163)과 지지편(163) 사이에 위치되었다가, 지지브라켓(170)이 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방지돌기(165)의 상면을 타고 넘어서 회전방지돌기(165)의 원주방향 타단면(他端面)에 걸린다. 그러면, 지지브라켓(170)이 반시계방향인 정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이때, 걸림편(175)의 타단면과 걸림돌기(177)의 자유단부측 사이의 간격은 회전방지돌기(165)의 원주방향 폭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걸림돌기(177)가 원활하게 회전방지돌기(165)의 상면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리드스크류(140)의 하단부측을 향하는 걸림돌기(177)의 자유단부측의 하면은 고정단으로 갈수록 리드스크류(140)의 상단부측과 점점 더 가까워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 2 접촉편(179)은 걸림편(175)의 하단면(下端面)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벤딩 형성되어 상면이 제 1 접촉편(167)의 하면과 접촉한다.
지지브라켓(170)은 커버(160)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런데, 지지브라켓(170)에 일체로 형성된 제 2 접촉편(179)의 상면이 커버(160)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접촉편(167)의 하면과 접촉하므로, 지지브라켓(170)이 커버(160)에 결합되면, 축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는다.
커버(160)와 지지브라켓(170)이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접촉편(167)의 하면에는 제 2 접촉편(179)의 상면에 밀착되는 엠보싱(167a)이 형성된다. 엠보싱(167a)은 지지브라켓(170)이 회전하여 걸림편(175) 및 걸림돌기(177)가 회전방지돌기(165)에 각각 걸렸을 때, 제 2 접촉편(179)에 밀착되어 제 2 접촉편(179)을 리드스크류(140)의 하단부측으로 지지한다.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지지브라켓(170)을 커버(160)에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6b는 커버에 지지브라켓을 결합하는 것을 보인 요부 확대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70)의 제 1 지지관(171a)을 커버(160)의 지지편(163)와 결합관(169) 사이에 삽입하면서, 지지브라켓(170)의 걸림편(175)과 걸림돌기(177)를 커버(160)의 회전방지돌기(165)와 회전방지돌기(165) 사이에 위치시킨다.
도 5a에 도시된 상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0)의 제 1 접촉편(167)과 지지브라켓(170)의 제 2 접촉편(179)이 축방향으로 겹쳐진 상태가 아니므로, 제 1 접촉편(167)의 하면과 제 2 접촉편(179)의 상면은 접촉하지 않는다.
도 5a 및 도 5b의 상태에서, 지지브라켓(170)을 시계방향측인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75)의 원주방향 일단면은 제 1 벤딩편(165a)에 접촉 지지되고, 걸림돌기(177)는 회전방지돌기(165)의 상면을 타고 넘어 자유단부가 제 2 벤딩편(165b)에 접촉 지지된다. 따라서, 지지브라켓(170)은 정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도 6a에 도시된 상태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촉편(167)과 제 2 접촉편(179)이 축방향으로 겹쳐진 상태이므로, 제 1 접촉편(167)의 하면과 제 2 접촉편(179)의 상면이 접촉한다. 그런데, 제 1 접촉편(167)의 하면에는 엠보싱(167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엠보싱(167a)이 제 2 접촉편(179)의 상면에 밀착되어 제 2 접촉편(179)을 하측으로 밀어서 지지한다. 그러면, 지지브라켓(170)이 하측으로 지지되므로, 커버(160)와 지지브라켓(170)이 축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지지브라켓(17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걸림돌기(177)의 자유단부측을 상측으로 들어 올린 후, 지지브라켓(170)을 반시계방향측인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상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120 : 제 1,2 고정자 130 : 마그네트
140 : 리드스크류 150 : 운동전달부재
160 : 커버 170 : 지지브라켓

Claims (16)

  1. 하우징 및 보빈을 포함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 내에 배치되며, 마그네트와 운동전달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와 결합되는 리드스크류;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상기 운동전달부재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전달부재는 상기 리드스크류와 상기 마그네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운동전달부재는 상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지지테 및 중앙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면(端面)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단면은 상기 베어링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지지테는 상기 베어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베어링의 상면의 일부를 지지하는 스텝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상기 지지테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걸림테; 및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상기 단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의 외륜은 상기 커버의 상기 걸림테 및 상기 스토퍼 사이에 배치된 스텝 액츄에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마그네트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리드스크류의 외주면에 상호 맞물리는 나사선이 형성되는 스텝 액츄에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테는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상단부 외주면측이 용융되어 형성되는 스텝 액츄에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결합관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관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삽입되는 스텝 액츄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부재는 상기 지지테와 상기 단면을 포함하며 일체로 형성된 스텝 액츄에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베어링의 내륜과 결합하는 스텝 액츄에이터.
  8. 삭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부재는 상기 단면 하측의 일부에 상기 나사선이 형성된 스텝 액츄에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상기 나사선이 형성된 영역의 내주면은 상기 나사선이 없는 영역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은 스텝 액츄에이터.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와 상기 운동전달부재는 상기 나사선에 의하여 맞물려 상기 운동전달부재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리드스크류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스텝 액츄에이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삽입 지지되어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텝 액츄에이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테 및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베어링과 접촉하는 스텝 액츄에이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베어링의 하면에 접촉하는 스텝 액츄에이터.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제1지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관의 내주면은 상기 결합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스텝 액츄에이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리드스크류와 접촉하는 제2지지관을 포함하는 스텝 액츄에이터.
KR1020170042195A 2017-03-31 2017-03-31 스텝 액츄에이터 KR101806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195A KR101806765B1 (ko) 2017-03-31 2017-03-31 스텝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195A KR101806765B1 (ko) 2017-03-31 2017-03-31 스텝 액츄에이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782A Division KR101725016B1 (ko) 2016-08-16 2016-08-16 스텝 액츄에이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820A Division KR101903616B1 (ko) 2017-11-30 2017-11-30 스텝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156A KR20170040156A (ko) 2017-04-12
KR101806765B1 true KR101806765B1 (ko) 2018-01-10

Family

ID=5858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195A KR101806765B1 (ko) 2017-03-31 2017-03-31 스텝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7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752A (ja) * 2003-10-06 2005-04-28 Mitsubishi Material Cmi Kk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05304159A (ja) * 2004-04-09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タ装置用カバー及びモータ装置
WO2006134800A1 (ja) * 2005-06-17 2006-12-21 Tokyo Micro Inc. ステッピング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7752A (ja) * 2003-10-06 2005-04-28 Mitsubishi Material Cmi Kk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05304159A (ja) * 2004-04-09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モータ装置用カバー及びモータ装置
WO2006134800A1 (ja) * 2005-06-17 2006-12-21 Tokyo Micro Inc. ステッピング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0156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563B1 (ko) 스텝 액츄에이터
US10982741B2 (en) Step actuator
KR101610554B1 (ko) 스텝 액츄에이터
KR101903616B1 (ko) 스텝 액츄에이터
KR101806765B1 (ko) 스텝 액츄에이터
KR101971544B1 (ko) 스텝 액츄에이터
JP2013027302A (ja) リニアステップモーター
KR101650662B1 (ko) 스텝 액츄에이터
KR101725016B1 (ko) 스텝 액츄에이터
KR100916270B1 (ko) 스테핑 모터
CN110268612B (zh) 直线运动执行元件
KR20110051406A (ko) 리니어 스테핑 모터
KR100892317B1 (ko) 스테핑 모터
KR100888239B1 (ko) 스테핑 모터
JP7219138B2 (ja) モータおよび弁体駆動装置
KR20140042073A (ko) 모터
KR20160098159A (ko) 렌즈 구동용 모터, 카메라 및 디지털기기
KR20180041488A (ko) 보빈 및 이를 구비하는 스테핑 모터
JP2013150401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20100041620A (ko) 스텝 액츄에이터
JP2002125358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12244760A (ja) ロータおよびモータ
KR20080097292A (ko) 스테핑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