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305B1 -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305B1
KR101806305B1 KR1020160027691A KR20160027691A KR101806305B1 KR 101806305 B1 KR101806305 B1 KR 101806305B1 KR 1020160027691 A KR1020160027691 A KR 1020160027691A KR 20160027691 A KR20160027691 A KR 20160027691A KR 101806305 B1 KR101806305 B1 KR 101806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tting means
hitting
bombardment target
target
dro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812A (ko
Inventor
신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센스
Priority to KR1020160027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305B1/ko
Priority to PCT/KR2017/001593 priority patent/WO2017155218A1/ko
Priority to US16/082,726 priority patent/US20190072962A1/en
Publication of KR2017010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00Wings
    • B64C3/38Adjustment of complete w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7/00Arrangements of military equipment, e.g. armaments, armament accessories, or military shielding, in aircraft; Adaptations of armament mounting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25Fixed-w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7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64U80/8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by vehicles
    • B64U80/84Waterborne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2Anti-aircraft or anti-guided missile or anti-torpedo defence installation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365Projectiles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remote location using optical or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5/00Self-propelled projectiles or missiles, e.g. rockets; Guided missiles
    • F42B15/10Missiles having a trajectory only in the air
    • F42B15/105Air torpedoes, e.g. projectiles with or without propulsion, provided with supporting air foil surfa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94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involving pointing a payload, e.g. camera, weapon, sensor, towards a fixed or moving targ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17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 G08G5/0021Arrangements for implementing traffic-related aircraft activities, e.g. arrangements for generating, displaying, acquiring or managing traffic information located in the aircra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9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specially adapted for an unmanned aircraft
    • B64C2201/021
    • B64C2201/102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1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conventional or electronic warf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15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conventional or electronic warfare
    • B64U2101/18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conventional or electronic warfare for dropping bombs; for firing ammu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2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use as communications relays, e.g. high-altitud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10Wings
    • B64U30/12Variable or detachable wings, e.g. wings with adjustable swe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2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or capturing UAVs in flight by another airc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5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 F42B12/58Cluster or cargo ammunition, i.e. projectiles containing one or more submissiles
    • F42B12/60Cluster or cargo ammunition, i.e. projectiles containing one or more submissiles the submissiles being ejected rad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투기, 공격기, 폭격기로부터 폭격 표적지로 이동하여 상기 폭격 표적지를 타격하는 항공 무장인 타격수단; 및 상기 폭격 표적지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상기 타격수단이 도달될 때, 상기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타격수단에 의해 타격된 상기 폭격 표적지의 영상을 획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드론; 및 상기 타격수단과 상기 드론을 연결하며, 상기 폭격 표적지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상기 타격수단이 도달될 때 폭발하여 상기 드론을 상기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은, 위치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상기 GPS 모듈 및 상기 카트리지와 각각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드론을 상기 타격수단의 이동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폭발하여, 상기 폭격 표적지에 도달되는 상기 드론의 위치를 조절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수단에 부착되는 제1접착부와, 상기 분리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드론에 부착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모듈에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부를 폭파시키는 공대지 무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AIR-TO-GROUND WEAPONRY SYSTEM INCLUDING DRONE COLLECTING AND FURNISHING IMAGE DATA FOR BOMB DAMAGE ASSESSMENT}
본 발명은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루어지고 있는 폭격피해평가(BDA; Bomb Damage Assessment)는, 전투기, 공격기, 또는 폭격기 등이 지상표적들에 무장을 투하한 후, 후속전력으로 투입된 전술 정찰기 등이 촬영한 지상표적 지역의 영상을 판독하여 그 피해 수준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폭격피해평가 방법은 투입된 전술 정찰기 등의 피해를 전제로 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최소한의 희생으로 적의 전쟁의지를 약화시키기 위한 작전개념으로 전력이 발전되고 있고, 지상표적에 대한 공격 전력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 장거리정밀공대지유도무기 개발이 보편화 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폭격피해평가 방법은, 전술 정찰기 등의 전력 피해 최소화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의 발전 추세에 부합되지 않는다.
그런데 폭격피해평가는 지속적인 전력운영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임무로서 어떤 형태로든 수행되어야 하는 바, 가능한 전술 정찰기 등의 피해 없이 폭격피해평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게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6-0038343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력의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폭격피해평가(BDA; Bomb Damage Assessment)를 할 수 있는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대지 무장 시스템은, 전투기, 공격기, 폭격기로부터 폭격 표적지로 이동하여 상기 폭격 표적지를 타격하는 항공 무장인 타격수단; 및 상기 폭격 표적지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상기 타격수단이 도달될 때, 상기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타격수단에 의해 타격된 상기 폭격 표적지의 영상을 획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드론; 및 상기 타격수단과 상기 드론을 연결하며, 상기 폭격 표적지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상기 타격수단이 도달될 때 폭발하여 상기 드론을 상기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은, 위치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상기 GPS 모듈 및 상기 카트리지와 각각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드론을 상기 타격수단의 이동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폭발하여, 상기 폭격 표적지에 도달되는 상기 드론의 위치를 조절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수단에 부착되는 제1접착부와, 상기 분리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드론에 부착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모듈에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부를 폭파시킨다.
상기 드론은 날개가 접힌 상태로 상기 타격수단에 부착되고, 상기 폭격 표적지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상기 타격수단이 도달될 때 상기 드론은 상기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된 후 펼쳐질 수 있다.
상기 드론은, 상기 GPS 모듈이 설치되는 유선형인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폭격 표적지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바디에 접힐 수 있도록 결합된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대지 무장 시스템은, 상기 바디에 설치된 자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폭부는 상기 촬영부가 상기 타격수단에 의해 타격된 상기 폭격 표적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면 폭발할 수 있다.
상기 자폭부는 외부의 신호에 의해 폭발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은, 폭격 표적지를 폭격함과 동시에 폭격 표적지의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은, 타격 수단이 폭격 표적지를 타격하기 전에 타격 수단으로부터 이탈되어, 폭격 표적지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지점에 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대지 무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공대지 무장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공대지 무장 시스템의 타격수단과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의 결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공대지 무장 시스템의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의 부분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공대지 무장 시스템의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이 원래의 형상으로 환원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의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폭격 표적지의 폭격 및 촬영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과 이를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대지 무장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공대지 무장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공대지 무장 시스템의 타격수단과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의 결합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공대지 무장 시스템의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의 부분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공대지 무장 시스템의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이 원래의 형상으로 환원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의 카트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폭격 표적지의 폭격 및 촬영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대지 무장 시스템(100)은 타격수단(110)과 드론(120, 이하,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이라고 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격수단(110)은 폭격 표적지(10)를 타격할 수 있다. 상기 폭격 표적지(10)는 공격의 대상이 되는 타켓(Target)을 의미한다.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자동 또는 원격 조정을 통해 비행하는 무인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를 의미하며, 상기 타격수단(110)에 의해 타격된 상기 폭격 표적지(10)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이하 “영상 정보”)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공대지 무장 시스템(100)은, 상기 타격수단(110)으로 상기 폭격 표적지(10)를 타격하고,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며, 수집된 영상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원형으로 회복되었을 때, 20m/s 전진 속도에서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의 자중에 해당되는 양력을 발생할 수 있는 크기의 날개를 갖는다.
상기 공대지 무장 시스템(100)은 통신 중계기(1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중계기(130)는 위성, 이동 중계기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를 의미하며,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으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정보는 폭격피해평가(BDA; Bomb Damage Assessment)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타격수단(110)은, 전투기(50), 공격기 또는 폭격기 등으로부터 상기 폭격 표적지(10)로 이동하여 상기 폭격 표적지(10)를 타격하는 모든 항공 무장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타격수단(110)은, 공대지폭탄(AIR-TO-GROUND BOMB)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상기 타격수단(11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카트리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121)는 상기 타격수단(110)과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폭격 표적지(10)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상기 타격수단(110)이 도달될 때, 상기 카트리지(121)는 폭발하여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을 상기 타격수단(11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폭격 표적지(10)로부터 설정된 위치는 상기 폭격 표적지(10)으로부터 떨어진 임의의 지점을 의미한다.
상기 폭격 표적지(10)로부터 설정된 위치는 상기 타격수단(110)의 속도, 폭격규모, 기온, 습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상기 타격수단(110)의 비행 성능에 가해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타격수단(110)의 후미 측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날개가 접힌 상태로 상기 타격수단(110)에 부착되고, 상기 폭격 표적지(10)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상기 타격수단(110)이 도달될 때 상기 타격수단(110)으로부터 이탈된 후 펼쳐진 뒤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된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상기 타격수단(110)에 의해 타격된 상기 폭격 표적지(10)의 영상을 획득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바디(122)와, 촬영부(123), 날개(124), GPS 모듈(125), 제어부(126), 및 배터리(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22)는 유선형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22)에는 상기 촬영부(123), 상기 날개(124), 상기 GPS 모듈(125), 상기 제어부(126), 및 상기 배터리(127)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부(123)는 상기 바디(122)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폭격 표적지(10)를 촬영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날개(124)는 상기 바디(122)에 접힐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날개(124)가 상기 바디(122)에서 접혀있을 때,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의 선두측은 상기 촬영부(123)에 의해 반원형이 될 수 있다.
상기 날개(124)는 상기 바디(122)에 압착 압력에 의해 접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이 상기 타격수단(110)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압착 압력은 해제되어 상기 날개(124)는 상기 바디(122)에서 펼쳐질 수 있다.
상기 GPS 모듈(125)은 상기 바디(122)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GPS 모듈(125) 및 상기 카트리지(12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GPS 모듈(125)에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폭격 표적지(10)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상기 타격수단(110)이 도달될 때, 상기 카트리지(121)를 폭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121)는, 분리부(1211)와, 제1접착부(1212)와, 제2접착부(1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211)는 상기 제어부(126)에 의해 폭발하여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접착부(1213)는 상기 분리부(12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수단(110)에 부착되고, 상기 제2접착부(1212)는 상기 분리부(1211)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에 부착된다.
상기 분리부(1211)는,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을 상기 타격수단(110)의 이동 방향(X)과 경사진 방향(X1, X2)으로 타격수단(11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도록 폭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리부(1211)가 상기 타격수단(110)의 이동방향(X)과 경사진 제1방향(X1)으로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폭발할 경우, 상기 타격수단(110)이 상기 폭격 표적지(10)를 타격하는 시점에,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상기 폭격 표적지(10)와 가까운 제1지점(P1)에 도달 할 수 있다(도 2참조).
반면에, 상기 분리부(1211)가 상기 타격수단(110)의 이동방향(X)과 경사진 제2방향(X2)으로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에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폭발할 경우, 상기 타격수단(110)이 상기 폭격 표적지(10)를 타격하는 시점에,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상기 폭격 표적지(10)와 먼 제2지점(P2)에 도달 할 수 있다(도 2참조).
여기서 상기 제1지점(P1)과 상기 폭격 표적지(10)와의 거리는 상기 제2지점(P2)과 상기 폭격 표적지(10)와의 거리보다 짧다.
한편,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자폭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폭부(128)는 상기 바디(122)에 설치되고, 폭발하여 바디(122), 촬영부(123), GPS 모듈(125), 및 배터리(127) 등을 훼손할 수 있다.
이러한 자폭부(128)는 상기 촬영부(123)가 상기 타격수단(110)에 의해 타격된 상기 폭격 표적지(10)를 촬영하여 상기 영상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126)에 의해 폭파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자폭부(128)는 상기 제어부(126)에 의해 상기 배터리(127)의 용량이 설정된 수준 이하로 떨어졌을 때 폭파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폭부(128)는 외부의 신호에 의해 폭파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에는 통신부(129)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통신부(129)는 상기 제어부(126)를 통해 상기 자폭부(128)와 연결되고, 상기 통신부(129)가 외부로부터 자폭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제어부(126)는 상기 자폭부(128)가 폭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공대지 무장 시스템의 작동 방법(이하, “폭격 표적지의 폭격 및 촬영방법”이라 함.)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공대지 무장 시스템(100)의 타격수단(110)이 상기 전투기(50)에 설치되는 상기 항공무장일 때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폭격 표적지의 폭격 및 촬영방법은, 항공무장 발사단계(S100), 항공무장 중간항법단계(S120), 및 항공무장 최종유도단계(S1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항공무장 발사단계(S100)에서는 비행하는 전투기(50) 등에서 상기 항공무장이 발사될 수 있다.
상기 전투기(50) 등은 폭격 표적지(10)로부터 수백km 떨어진 적의 지대공 무기의 위협 사거리 밖에서 상기 항공무장을 발사한 후 이탈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항공무장 중간항법단계(S120)에서는, 상기 항공무장이 자체 항법으로 상기 폭격 표적지(10)에 접근한다. 즉 상기 항공무장은, 관성항법장치(Inertial Navigation System), 위성항법장치(GPS) 및 기 입력된 영상정보 등 항법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폭격 표적지(10)로 접근한다.
그리고, 상기 항공무장은 은밀한 침투를 위해 저고도 스텔스 순항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항공무장 최종유도단계(S130)에서는, 상기 항공무장이 상기 폭격 표적지(10)에 접근하면, 상기 항공무장은 영상적외선 탐지센서(IIR Seeker sensor)로 상기 폭격 표적지(10)을 식별하여 최종 타격지점을 보정한 후 상기 폭격 표적지(10)에 홈밍(Homing)한다.
상기 항공무장 최종유도단계(S130)에서 상기 영상자료 수집 및 제공 드론(120)은, 상기 폭격 표적지(10)와 1km 내지 2km 이격된 지점에서 상기 항공무장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이며, 상기 촬영부(123)는 상기 항공무장에 의해 타격된 상기 폭격 표적지(10)를 촬영한다.
상기 촬영부(123)에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통신 중계기(130)로 전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공대지 무장 시스템
110: 타격수단
120: 드론
121: 카트리지
122: 바디
123: 촬영부
124: 날개
125: GPS 모듈
126: 제어부
127: 배터리

Claims (10)

  1. 전투기, 공격기, 폭격기로부터 폭격 표적지로 이동하여 상기 폭격 표적지를 타격하는 항공 무장인 타격수단; 및
    상기 폭격 표적지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상기 타격수단이 도달될 때, 상기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타격수단에 의해 타격된 상기 폭격 표적지의 영상을 획득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드론; 및
    상기 타격수단과 상기 드론을 연결하며, 상기 폭격 표적지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상기 타격수단이 도달될 때 폭발하여 상기 드론을 상기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론은,
    위치를 수신하는 GPS 모듈과,
    상기 GPS 모듈 및 상기 카트리지와 각각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드론을 상기 타격수단의 이동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폭발하여, 상기 폭격 표적지에 도달되는 상기 드론의 위치를 조절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타격수단에 부착되는 제1접착부와,
    상기 분리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드론에 부착되는 제2접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GPS 모듈에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부를 폭파시키는 공대지 무장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날개가 접힌 상태로 상기 타격수단에 부착되고, 상기 폭격 표적지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상기 타격수단이 도달될 때 상기 드론은 상기 타격수단으로부터 이격된 후 펼쳐지는 공대지 무장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GPS 모듈이 설치되는 유선형인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폭격 표적지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바디에 접힐 수 있도록 결합된 날개를 더 포함하는 공대지 무장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설치된 자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폭부는 상기 촬영부가 상기 타격수단에 의해 타격된 상기 폭격 표적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면 폭발하는 공대지 무장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폭부는 외부의 신호에 의해 폭발할 수 있는 공대지 무장 시스템.
KR1020160027691A 2016-03-08 2016-03-08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KR101806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691A KR101806305B1 (ko) 2016-03-08 2016-03-08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PCT/KR2017/001593 WO2017155218A1 (ko) 2016-03-08 2017-02-14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 및 이를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US16/082,726 US20190072962A1 (en) 2016-03-08 2017-02-14 Drone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image material for bomb damage assessment and air-to-ground armament system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691A KR101806305B1 (ko) 2016-03-08 2016-03-08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812A KR20170104812A (ko) 2017-09-18
KR101806305B1 true KR101806305B1 (ko) 2017-12-07

Family

ID=5979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691A KR101806305B1 (ko) 2016-03-08 2016-03-08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072962A1 (ko)
KR (1) KR101806305B1 (ko)
WO (1) WO20171552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3203C1 (ru) * 2020-01-23 2020-06-09 Андрей Вячеславович Агарков Многоцелевой БПЛА-перехватчи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494B1 (ko) * 2017-12-21 2019-05-14 주식회사 한화 무인 항공기에 장착 가능한 유도 미사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RU2743401C1 (ru) * 2020-04-22 2021-02-1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ТИЛСОФТ" Способ противодействия беспилотным летательным аппаратам
CN112284195B (zh) * 2020-09-19 2022-11-22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洛阳电光设备研究所 一种基于相对卫星导航的对地精确打击设计方法
CN113443140B (zh) * 2021-07-08 2023-06-20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定向反制的无人机
KR102656635B1 (ko) * 2023-06-30 2024-04-11 (주)다츠 자폭무인기 운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8041A (en) * 1994-08-02 1995-10-17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Air defense destruction missile weapon system
US5537909A (en) * 1995-04-17 1996-07-23 Hughes Missile System Company All-aspect bomb damage assessment system
US6000340A (en) * 1997-01-07 1999-12-14 Raytheon Company Rocket launching system employing thermal-acoustic detection for rocket ignition
US7868276B2 (en) * 2007-10-24 2011-01-1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irborne vehicle emulation system and method
US9074852B2 (en) * 2007-11-12 2015-07-07 The Boeing Company Surveillance image denial verification
KR101005134B1 (ko) * 2008-07-29 2011-01-06 김영태 포(砲)를 통해 발사되는 적진(敵陣)정찰장치
US8146855B2 (en) * 2008-09-03 2012-04-03 Anvar Ismailov Unmanned air vehicle
WO2010079361A1 (en) * 2009-01-09 2010-07-15 Mbda Uk Limited Missile guidance system
US10836483B2 (en) * 2009-09-11 2020-11-17 Aerovironment, Inc. Ad hoc dynamic data link repeater
KR20110092753A (ko) * 2010-02-10 2011-08-18 임재욱 포탄형 관측장치
KR20140044952A (ko) * 2012-07-12 2014-04-1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저가형 고속 무인 항공기
KR20150088642A (ko) * 2014-01-24 2015-08-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포발사 시스템
US9969491B2 (en) * 2015-09-02 2018-05-15 The Boeing Company Drone launch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3203C1 (ru) * 2020-01-23 2020-06-09 Андрей Вячеславович Агарков Многоцелевой БПЛА-перехватчик
WO2021150149A1 (ru) * 2020-01-23 2021-07-29 Андрей Вячеславович АГАРКОВ Многоцелевой бпла-перехватчи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5218A1 (ko) 2017-09-14
KR20170104812A (ko) 2017-09-18
US20190072962A1 (en)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305B1 (ko)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JP6921147B2 (ja) マルチモードの無人航空機
US20220325985A1 (en) Advanced cooperative defensive military tactics, armor, and systems
KR102043175B1 (ko) 야포 탄환 격추용 그물을 가지는 군사용 드론 및 그 군집 비행을 이용한 드론 방공망 시스템
US20220170725A1 (en) Visual guidance system for barrel-fired projectiles
KR20080037434A (ko) 카메라를 장착한 자폭형 무인 소형 비행 장치와 그를 위한원격 조정 장치
KR101756103B1 (ko) 폭발물 탑재형 무인비행체 및 무인비행체 제어 시스템
KR101188294B1 (ko)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
US9410783B1 (en) Universal smart fuz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or other remote armament systems
US20190195601A1 (en) A method for neutralizing a threat
US6510776B2 (en) Immediate battle damage assessment of missile attack effectiveness
US9541350B1 (en) Coordinating waves of long-range strike weapons (LRSWs) to attack a target set by passing observational sensor data from lead LRSWs to follower LRSWs
US64745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nition impact assessment
KR101978494B1 (ko) 무인 항공기에 장착 가능한 유도 미사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92753A (ko) 포탄형 관측장치
KR20150088642A (ko) 포발사 시스템
RU105422U1 (ru) Разведывательно-огневой комплекс вооружения танка
JP5547435B2 (ja) 着弾観測システム
KR102296963B1 (ko) 재사용 가능한 비행 시험용 표적기를 이용한 표적기 구동 시스템 및 방법
RU2681826C2 (ru) Беспилотный ударный комплекс
KR101076232B1 (ko)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
Pilch et al. Survey of the Status of Small Armed and Unarmed Uninhabited Aircraft
JP2016065669A (ja) 無誘導弾システムとその使用方法
WO2022196597A1 (ja) 誘導飛翔体ハードキルシステム
KR102616347B1 (ko) 유도 무기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