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294B1 -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 - Google Patents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294B1
KR101188294B1 KR1020110075820A KR20110075820A KR101188294B1 KR 101188294 B1 KR101188294 B1 KR 101188294B1 KR 1020110075820 A KR1020110075820 A KR 1020110075820A KR 20110075820 A KR20110075820 A KR 20110075820A KR 101188294 B1 KR101188294 B1 KR 101188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ial vehicle
unmanned aerial
jet engine
flight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천
감민규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5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 F42B12/7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for dispensing radar chaff or infrar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5/00Attitude, flight direction, or altitude control by jet reaction
    • B64C15/02Attitude, flight direction, or altitude control by jet reaction the jets being propulsion j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2Anti-aircraft or anti-guided missile or anti-torpedo defence installation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방의 감시 레이더를 기만하면서 목표물까지 원격비행이 가능한 자폭형 무인기 및 상대방의 미사일을 기만하여 함정이나 군기지 등을 보호하는 기만기로 운용이 가능한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트엔진을 통해 추력을 얻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트엔진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화시켜 비행방향을 조절하는 추력제어장치와, 상기 기체에 교체장착이 가능하게 탑재된 영상센서와, 상기 기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센서가 촬영한 영상을 지상관제소의 원격제어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비행명령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와, 상기 기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대방의 레이더나 미사일에서 발사하는 주파수 신호 수신하여 기만신호를 방사하는 기만장치가 실장되며, 자폭을 위한 폭약이 실장될 공간이 확보된 페이로드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비행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추력제어장치 및 기만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캐니스터의 내부에 장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체의 전방에 설치된 날개고정편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날개와, 캐니스터의 내부에 장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체의 후방에 설치된 날개고정편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날개와, 상기 기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날개고정편에 설치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전방날개와 후방날개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이동블럭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방날개와 후방날개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전개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for electronic warfare which uses jet engine}
본 발명은 제트엔진의 추력으로 비행하는 무인 항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방의 감시 레이더를 기만하면서 목표물까지 원격비행이 가능한 자폭형 무인기 및 상대방의 미사일을 기만하여 함정이나 군기지 등을 보호하는 기만기로 운용이 가능한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사 목적으로 목표물을 파괴하는 수단으로서 미사일이나 곡사화기가 이용되지만, 이러한 무기들은 수직면에 존재하는 동굴이나 산의 비탈진 곳 또는 산의 뒷면에 갱도를 파서 숨겨진 목표물을 타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영상센서와 비행제어유닛을 장착한 미사일이 개발되어 있지만 음속으로 비행하는 미사일의 속도가 너무 빨라 지상관제소에서 미사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보면서 정밀하게 비행을 제어하지 못한다.
이와 유사한 장비로서, 최첨단의 영상센서와 비행제어유닛을 탑재한 무인 자폭 항공기(Harpy, Harop)가 개발되어 있기는 하나, 고가이므로 수량이 한정되어 있고 자폭용으로만 사용하기에는 가격대비 그 활용도가 크게 떨어져 운용상에 큰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대방 레이더의 무선주파수를 기만하면서 저속으로 비행하면서 정밀한 원격 비행제어가 가능하고 자폭용도 이외의 다른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저가로 제작이 가능한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는 제트엔진을 통해 추력을 얻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트엔진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화시켜 비행방향을 조절하는 추력제어장치와, 상기 기체에 교체장착이 가능하게 탑재된 영상센서와, 상기 기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센서가 촬영한 영상을 지상관제소의 원격제어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비행명령을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와, 상기 기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대방의 레이더나 미사일에서 발사하는 주파수 신호 수신하여 기만신호를 방사하는 기만장치가 실장되며 자폭을 위한 폭약이 실장될 공간이 확보된 페이로드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비행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추력제어장치 및 기만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체의 후단에 추진체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추진체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진체는 캐니스터에 장착되어 발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체에는 상기 전방날개와 후방날개는 캐니스터 내부에 장입이 가능하도록 접이식으로 전방날개와 후방날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비행명령은 상기 기체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명령, 상기 기체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비행제어명령, 기만신호 발생명령, 촬영명령, 목표물과의 자폭명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행명령은 인접한 다른 무인항공기와 무선 WAN(wide area network)를 구성하는 집단자율 군집비행명령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는 다른 항공기나 무인항공기의 데이터 전송장치를 통해 영상센서가 촬영한 영상을 지상의 원격제어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비행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제트엔진을 동력으로 하며 음속보다 저속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지상관제소에서 미사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보면서 정밀한 비행제어가 가능하며 그 결과 목표물에 대한 비행명령수행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트엔진을 동력으로 하며 음속보다 저속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고가의 최첨단의 영상센서와 비행제어유닛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미 상용화된 제트엔진을 저가로 쉽게 구매하여 제작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제작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목표물을 공격하거나 상대적으로 고가의 미사일과 자폭하는 등의 비용대비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은 제트엔진 전용의 벡터 쓰러스트를 이용하여 매우 자유롭고 용이하게 비행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내부에 탑재된 기만장치를 통해 전자전을 하면서 비행명령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 미사일을 기만하거나 중계항공기나 주변의 다른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비행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의 내부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추력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기체 후단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의 조종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4b는 각각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방날개의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의 조종 중계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의 집단자율 군집비행 조종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의 기만비행 조종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트엔진(107)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항공기(100)는 제트엔진(107)을 통해 추력을 얻는 기체(101)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체(101)에는 비행에 필요한 양력을 얻을 수 있는 전방날개(102)와 기체(101)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후방날개(10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체(101)의 전방에는 영상센서(104)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영상센서(104)는 사용환경에 교체장착이 가능한 저조도 CCD(Charge-Coupled Device),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체(101) 내부에는 상대방의 레이더나 미사일에서 발사하는 주파수 신호 수신하여 기만신호를 방사하는 기만장치(105a)가 실장되고 자폭을 위한 폭약(105b)이 실장될 공간이 확보된 페이로드(105)가 마련된다. 상기 폭약(105b)은 임무수행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100)가 적기를 유인하는 기만기로 운용이 되는 경우나 정찰비행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반드시 폭약(105b)을 실장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기만장치(105a)는 기본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발생기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신호를 출력하여 출력부에 제공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출력된 신호와 상기 발생된 기본 클럭 신호를 곱하여 저주파수의 클럭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기만신호를 발생하는 기만신호 발생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만신호 발생부는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100)를 감시하는 레이더가 무인항공기(100)로 다른 목표물(T)로 오인하게 하거나 탐지가 불가능하도록 교란시키거나 상기 감지된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상대방 레이더로 반사함으로써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100)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아울러, 상기 기체(101)가 비행할 수 있는 연료가 채워지는 연료통(106)이 탑재되며, 기체(101)의 후방에는 상기 연료통(106)으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기체(101)를 구동시키는 제트엔진(107)이 탑재된다.
이와 함께, 기체(101)의 후단에는 상기 제트엔진(107)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화시켜 비행방향을 조절하는 추력제어장치(120)가 구비되고, 기체(101)의 일측으로는 제트엔진(107)에 외부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입구(108)가 마련된다. 상기 추력제어장치(120)는 벡터 쓰러스트(121)(Vector Thrust)와 상기 벡터 쓰러스트(121)를 구동시키는 서버모터(122)로 단순하게 구성되어 고가의 비행제어유닛을 적용하지 않고도 매우 수월하게 비행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벡터 쓰러스트(121)는 기체(101)의 후단에 마련된 제트엔진(107)의 배기구(107a)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기체(101)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복수의 베인(121a)과, 상기 베인(121a)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버모터(122)를 통해 기체(10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구간을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베인(121a)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베인로드(121b)로 구성된다. 상기 베인로드(121b)들은 서버모터(122)를 통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므로 각 베인(121a)들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각 베인(121a)의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서 제트엔진(107)의 배기구(107a)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방향이 전환되고 그 결과 기체(101)의 추력방향이 변화되므로 기체(101)는 원하는 방향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100)는 제트엔진(107)을 동력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음속보다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비행하게 된다. 따라서, 고속비행환경에서 기능하는 최첨단의 영상센서와 비행제어유닛이 요구되지 않으며, 상기 제트엔진(107)은 상용화된 제품으로 저가로 쉽게 구매가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제작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체(101)의 일측에 상기 영상센서(104)가 촬영한 영상을 지상관제소의 원격제어기(130)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제어기(130)로부터 전송되는 비행명령을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109)가 설치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109)는 다른 항공기나 무인항공기(100)의 데이터 전송장치를 통해 영상센서(104)가 촬영한 영상을 지상관제소의 원격제어기(130)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제어기(130)로부터 전송되는 비행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기체(101)의 내부에는 전원모듈, 제어모듈, 영상 및 데이터송수신 모듈로 구성된 제어부(110)와, 상기 제어부(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111)가 탑재된다. 상기 제어부(110)는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109)를 통해 수신되는 비행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추력제어장치(120) 및 기만장치(105a)를 제어하며, 기체(101)의 위치확인, 영상 및 데이터 송수신, 타 무인항공기(100)간의 네트워킹, 비행제어 및 목표물(T)과 접촉시 폭약(105b)의 폭발제어 등을 담당한다.
상기 비행명령신호로는 상기 기체(101)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명령, 상기 기체(101)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비행제어명령, 기만신호 발생명령, 촬영명령, 목표물(T)과의 자폭명령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행명령신호는 인접한 다른 무인항공기(100)와 무선 WAN(wide area network)를 구성하는 집단자율 군집비행명령일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항공기(100)의 후단에는 추진체(14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추진체 연결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진체(140)는 캐니스터(C)에 장착되어 발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체(101)에 구비된 전방날개(102)와 후방날개(103)는 캐니스터(C) 내부에 장입이 가능하도록 접이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방날개(102)와 후방날개(103)는 추진체(140)와 분리되면 기체(101)로부터 펼쳐지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날개(102)와 후방날개(103)는 접이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체(101)의 전방과 후방에는 전방날개(102)와 후방날개(103)에 접혀져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인 장입홈(101a)이 형성되고, 상기 각 장입홈(101a)의 내측에 날개고정편(115)이 설치된다. 상기 전방날개(102)와 후방날개(103)는 각 날개고정편(115)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고정편(115)의 중앙에는 기체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블럭(116)이 설치되며, 상기 이동블럭(116)의 양측으로 해당날개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이동블럭(116)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방날개(102)와 후방날개(103)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된 전개로드(117)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고정편(115)의 중앙에는 상기 이동블럭(116)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부(115a)가 형성되어 있다.
도 4a는 전방날개가 펼쳐진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이동블럭(116)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전개로드(117)가 이동블럭(116)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날개(102)가 전개로드(117)에 의해 날개고정편(11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체로부터 펼쳐지게 된다. 후방날개(103)의 전개동작 역시 상술한 전방날개(102)의 전개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장치들이 탑재된 무인항공기(100)는 지상관제소의 원격제어기(13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원격제어기(130)는 무인항공기(100)와 데이터 또는 비행명령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31)와, 무인항공기(100)의 방향과 비행속도를 조정하는 조이스틱(132) 그리고 무인항공기(100)의 영상센서(104)가 촬영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33)와, 목표물(T)의 위치정보, 목표물(T)과 자폭, 영상촬영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항공기(100)의 조종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100)는 캐니스터(C)로부터 점화 및 분리되어 발사된다. 따라서 별도의 발사대를 제작할 필요없이 기존에 제작된 캐니스터(C)를 이용하여 발사되므로 설치의 용이성과 비용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 발사된 무인항공기(100)는 기체(101)의 후미에 장착된 추진체(140)에 의해 일정속도 이상으로 비행하다가 추진체(140)의 연료가 소진되면 추진체(140)가 기체(101)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무인항공기(100)는 전방날개(102)와 후방날개(103) 및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109)가 펼쳐지고 제트엔진(107)이 점화되면서 비행명령을 수행한다. 상기 무인항공기(100)는 전방날개(102)에 의해 양력을 얻고 후방날개(103)와 벡터쓰러스트(121)에 의해 비행방향이 자유롭게 조종된다.
그 결과 무인항공기(100)는 원격제어기(130)로부터 조종되어 정찰, 목표물(T)과의 충돌 후 폭파, 또는 동굴이나 산의 비탈진 곳에 갱도를 파서 숨겨진 포와 같은 곡사화기로는 제거하기 힘든 목표물(T)을 파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100)는 상대방의 레이더로부터 송출된 탐지신호를 감지하면 탑재된 기만장치를 통해 이를 재밍하여 상대방의 레이더의 추적을 따돌리면서 목표물(T)까지 성공적으로 비행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제어기(130)와 무인항공기(10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해 주는 중계항공기(200)를 통해 무인항공기(100)가 원격제어기(130)의 영역을 벗어난 경우에도 정밀한 비행제어가 가능하다.
즉, 원격제어기(130)를 통해 무인항공기(100)를 조종하여 정찰, 목표물(T) 파괴 등의 비행명령을 수행하는 중에 무인항공기(100)가 원격제어기(130)의 제어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무인항공기(100)와 원격제어기(130)의 중간에 위치한 중계항공기(200)가 서로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수신하도록 중계해준다. 상기 중계항공기(200)는 하나 이상의 무인항공기(100)를 지휘하는 유인항공기일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100)는 인접한 다른 무인항공기(101,102)와 무선 WAN(wide area network)를 구성하는 집단자율 군집비행도 가능하다. 즉, 원격제어기(130)가 무인항공기(100)에 집단자율 군무비행명령을 전송하면, 무인항공기(100)는 수신된 명령을 인접한 다른 무인항공기(100a,100b)들 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명령은 상기 기체(101)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명령, 상기 무인항공기(100)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비행제어명령, 기만신호 발생명령, 촬영명령, 목표물(T)과의 자폭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원격제어기(130)는 무인항공기(100,100a,100b)들을 각각 제어하거나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100)는 기만기로도 운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무인항공기(100)의 페이로드(105)에는 자폭을 위한 폭약(105b)이 실장되어 있지 아니하여도 무방하다.
먼저, 전함 또는 군기지 내의 레이더에서 상대방 미사일이 접근하고 있음을 감지하면, 본 발명의 무인항공기(100)가 캐니스터(C)로부터 신속하게 발사된다. 발사된 무인항공기(100)는 공중에서 선회비행하게 되는데, 제트엔진(107)의 추력과 벡터 쓰러스트(121)을 통해 자세제어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므로 공중에서 장시간 선회비행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원격제어기(130)의 기만신호 발생명령이 송출되는데, 무인항공기(100)는 기만장치(105a)에서 상대방 미사일이 송출하는 무선신호(RF주파수)를 증폭시키면서 전함이나 군기지로부터 멀리 날아가게 되며 이를 목표물(T)로 오인한 상대방 미사일(M)이 무인항공기(100)측으로 비행을 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전함이나 군기지는 위험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무인항공기(100)는 자폭신호가 수신되면, 상대방의 미사일(M)에 기만신호를 방사하여 상대방 미사일이 무인항공기(100)를 함정이나 군기지로 오인하도록 한 다음 상대방 미사일(M)과 자폭하거나 격추당함으로써 전함이나 군기지가 위험에서 벗어나도록 돕는다.
100: 무인항공기 101: 기체
104: 영상센서 105: 페이로드
105a: 기만장치 105b: 폭약
107: 제트엔진 107a: 배기구
108: 흡입구 109: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
110: 제어부 115: 날개고정편
116: 이동블럭 117: 전개로드
120: 추력제어장치 121: 벡터 쓰러스트
122: 서버모터 121a: 베인
121b: 베인로드 130: 원격제어기
140: 추진체 150: 연결부
C: 캐니스터 T: 목표물

Claims (9)

  1. 제트엔진을 통해 추력을 얻는 기체와, 상기 기체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트엔진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화시켜 비행방향을 조절하는 추력제어장치와, 상기 기체에 교체장착이 가능하게 탑재된 영상센서와, 상기 기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센서가 촬영한 영상을 지상관제소의 원격제어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비행명령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와, 상기 기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대방의 레이더나 미사일에서 발사하는 주파수 신호 수신하여 기만신호를 방사하는 기만장치가 실장되며, 자폭을 위한 폭약이 실장될 공간이 확보된 페이로드와, 상기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비행명령신호에 따라 상기 추력제어장치 및 기만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와, 캐니스터의 내부에 장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체의 전방에 설치된 날개고정편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날개와, 캐니스터의 내부에 장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체의 후방에 설치된 날개고정편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날개와, 상기 기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날개고정편에 설치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전방날개와 후방날개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이동블럭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방날개와 후방날개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전개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비행명령신호는 상기 기체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이동명령, 상기 기체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비행제어명령, 기만신호 발생명령, 촬영명령, 목표물과의 자폭명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함과 동시에 인접한 다른 무인항공기와 무선 WAN(wide area network)를 구성하는 집단자율 군집비행명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항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후단에는 추진체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추진체의 연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항공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체는 캐니스터에 장착되어 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항공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는 다른 항공기나 무인항공기의 데이터 전송장치를 통해 영상센서가 촬영한 영상을 지상의 원격제어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제어기로부터 전송되는 비행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항공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제어장치는 벡터 쓰러스트와 상기 벡터 쓰러스트를 구동하는 서버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항공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벡터 쓰러스트는
    기체의 후단에 마련된 제트엔진의 배기구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기체의 후단에 힌지 결합된 복수의 베인과,
    상기 베인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버모터를 통해 기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베인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베인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항공기.
KR1020110075820A 2011-07-29 2011-07-29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 KR101188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820A KR101188294B1 (ko) 2011-07-29 2011-07-29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820A KR101188294B1 (ko) 2011-07-29 2011-07-29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294B1 true KR101188294B1 (ko) 2012-10-08

Family

ID=4728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820A KR101188294B1 (ko) 2011-07-29 2011-07-29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29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07B1 (ko) * 2013-02-07 2014-07-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송수신 신호 격리 방식 기반 미사일 기만기
KR101420299B1 (ko) * 2013-02-07 2014-07-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관성 모멘트를 이용하여 자세를 안정화하는 미사일 기만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497838B1 (ko) * 2013-11-01 2015-03-0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상에서의 협업을 통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502396B1 (ko) * 2013-03-21 2015-03-13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 외부장착물 제어 시스템
KR101688951B1 (ko) * 2016-07-29 2016-12-22 국방과학연구소 날개 대칭전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
US10401873B2 (en) 2015-11-23 2019-09-03 Almog Rescuesystems Ltd. System and method for payload dispersion using UAVs
US11325706B2 (en) 2014-08-11 2022-05-10 Almog Rescue Systems Ltd Unmanned glider system for payload dispersion
US11443651B2 (en) 2020-02-13 2022-09-13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Avionics electronic signals intelligence warfare integ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0417A1 (en) * 2001-10-17 2003-04-17 Plumpe William Henry Apparatus and method for thrust vector control
US20070288132A1 (en) * 2006-06-07 2007-12-13 Raytheon Company Cooperative swarm of unmanned veh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0417A1 (en) * 2001-10-17 2003-04-17 Plumpe William Henry Apparatus and method for thrust vector control
US20070288132A1 (en) * 2006-06-07 2007-12-13 Raytheon Company Cooperative swarm of unmanned vehicle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07B1 (ko) * 2013-02-07 2014-07-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송수신 신호 격리 방식 기반 미사일 기만기
KR101420299B1 (ko) * 2013-02-07 2014-07-1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관성 모멘트를 이용하여 자세를 안정화하는 미사일 기만기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502396B1 (ko) * 2013-03-21 2015-03-13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 외부장착물 제어 시스템
KR101497838B1 (ko) * 2013-11-01 2015-03-04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상에서의 협업을 통한 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US11325706B2 (en) 2014-08-11 2022-05-10 Almog Rescue Systems Ltd Unmanned glider system for payload dispersion
US10401873B2 (en) 2015-11-23 2019-09-03 Almog Rescuesystems Ltd. System and method for payload dispersion using UAVs
US11573578B2 (en) 2015-11-23 2023-02-07 Almog Rescue Systems Ltd. System and method for payload dispersion using UAVs
KR101688951B1 (ko) * 2016-07-29 2016-12-22 국방과학연구소 날개 대칭전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
US11443651B2 (en) 2020-02-13 2022-09-13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Avionics electronic signals intelligence warfare integ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294B1 (ko)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
US11753160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JP7237070B2 (ja) 航空装置の形状を有する遠隔操作可能な兵器
US9074858B2 (en) Projectile-deployed countermeasure system
US8899513B1 (en) Active maple seed flyer
US9725172B2 (en) Surveillance system
US20220170725A1 (en) Visual guidance system for barrel-fired projectiles
KR101806305B1 (ko) 폭격피해평가를 위한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드론을 구비한 공대지 무장 시스템
ES2452068T3 (es) Arma guiada con múltiples modos de espoleta conmutables en vuelo
KR20080037434A (ko) 카메라를 장착한 자폭형 무인 소형 비행 장치와 그를 위한원격 조정 장치
US20240083579A1 (en) Projectile delivery systems and weaponized aerial vehicles and methods including same
RU2558528C1 (ru) Беспилотный ударный комплекс
KR20150088642A (ko) 포발사 시스템
US20220097843A1 (en) Incoming threa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076232B1 (ko)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
RU44811U1 (ru) Многоцелевая управляемая ракета в пусковом контейнере
Bosma Lighter-Than-Air (LTA)‘Aircraft Carriers' of Persistent, Cheap Micro-Weaponized UAV Swarms for Fleet BMD Overwatch, EW, and Wide-Area ASW/Surveillance
RU124783U1 (ru) Управляемая ракета в транспортно-пусковом контейнере
AU2017228525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JP2023532299A (ja) 到来脅威防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00068654A (ko) 로켓 점화를 위해 열-음향 검출을 이용하는 로켓 발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