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232B1 -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232B1
KR101076232B1 KR1020110015196A KR20110015196A KR101076232B1 KR 101076232 B1 KR101076232 B1 KR 101076232B1 KR 1020110015196 A KR1020110015196 A KR 1020110015196A KR 20110015196 A KR20110015196 A KR 20110015196A KR 101076232 B1 KR101076232 B1 KR 101076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manned
command
remote controller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감민규
윤기천
변승완
이득영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8Jamming means, e.g. producing false ec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365Projectiles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 remote location using optical or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38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racer type
    • F42B12/38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f tracer type emitting an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beam or infrared emission
    • F42B12/385Arrow or dart carrying a radio transmitter for signa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5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 F42B12/7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for dispensing radar chaff or infrar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무인 항공기를 감시하는 레이더의 무선 주파수를 기만하여 목표물과 자폭하는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센서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인 항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무인 항공기의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펠러와, 레이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기만 장치와 폭약이 탑재되는 페이로드 실장 공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DEVEIVING RADIO FREQUENCY OF UNMANNED AERIAL VIHICLE}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무인 항공기를 감시하는 레이더의 무선 주파수를 기만하여 목표물과 자폭하는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는 조종사의 조정력에 의하여 비행이 이루어지는 일반 항공기와 조종사의 조정력에 의존하지 않는 무인 항공기로 구분된다. 무인 항공기는 지상국이나 항공, 선박 등의 이동국에서 보내는 무선신호로 제어된다. 무인 항공기의 제어는 무선 조종용의 수신기를 탑재하고 주파수와 입력신호의 변화를 증폭하여 기계적인 변화로 무선 조종된다. 이와 같이, 무인 항공기는 무인 표적기와 무선유도탄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항공 촬영, 국가주요 기간시설 및 보안구역의 공중감시, 기상관측, 산불감시 등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정찰, 목표물 파괴 등 군사 목적으로도 이용된다.
군사 목적으로 목표물을 파괴하는 수단으로 미사일이 이용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미사일은 음속의 속도로 비행하면서 공격하기 때문에 미사일 비행을 제어하기 힘들다. 또한, 고속의 미사일을 제어하기 위해 고가의 영상센서와 미사일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등의 부품이나 유닛이 고가가 될 수 밖에 없다. 유사한 장비로 무인 자폭 항공기가(Harpy, Harop) 있지만 이 역시 고가의 장비이다. 또한, 이러한 고가의 미사일로는 수직면에 존재하는 동굴이나 산의 비탈진 곳에 갱도를 파서 숨겨진 포, 산의 뒷편 갱도를 공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미사일이 고가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도 사용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동굴이나 숨겨진 갱도를 파괴할 수 있는 파괴수단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저가이며, 비용대비 효과가 큰 무인 항공기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인 항공기에 영상 센서와 데이터 통신 장치를 탑재하고, 프로펠러를 엔진에 장착한 저속 비행 공격용 무인 항공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인 항공기를 감시하는레이더의 무선 주파수를 기만하여 목표물과 자폭하는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센서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인 항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무인 항공기의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펠러와, 레이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기만 장치와 폭약이 탑재되는 페이로드 실장 공간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 조종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명령을 수행하여 목표물을 포격하거나, 상기 목표물과 자폭하는 무인 항공기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통해 상기 무인 항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항공기는 레이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기만 장치와 폭약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인 항공기 조종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명령을 수행하여 목표물을 포격하거나, 상기 목표물과 자폭하는 무인 항공기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통해 상기 무인 항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와, 상기 원격 제어기와 상기 무인 항공기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기 또는 상기 무인 항공기에 중계하는 중계 항공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항공기는 레이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기만 장치와 폭약이 탑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정찰, 목표물을 파괴 또는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적국 레이더의 무선 주파수를 기만하는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저가의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목표물을 공격 또는 목표물과 자폭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적국으로부터 발사된 고가의 미사일과 자폭하여 비용대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 센서를 통해 목표물을 확인하기 때문에 목표물의 식별하고 목표물과 자폭하는 측면에서 초음속 미사일에 비해 정확한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를 이용하여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을 유도하여 자폭함으로써 저가의 무인 항공기로 고가의 미사일 및 노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무인 항공기들 간에 WAN을 통해 동시 공격 및 다양한 패턴 공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가 장착된 무인 항공기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조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신호 발생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조종 중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무인 항공기의 조종 중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가 장착된 무인 항공기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가 장착된 무인 항공기는 무인 항공기의 가장 앞단에 위치한 영상센서(101), 상기 영상 센서의 후단에 구비된 프로펠러(102), 상기 무인 항공기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103), 상기 엔진과 상기 무인 항공기에 공급할 전력을 생성하는 발전기(104), 상기 무인 항공기가 운항되기 위한 연료를 채우는 연료통(105), 목표물과 충돌시 상기 목표물을 폭파하기 위한 폭약 및 무인 항공기를 감시하는 레이더에 전송하기 위한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기만 장치를 탑재할 수 있는 페이로드 실장공간(106), 레이더에 전송하기 위한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107), 상기 무인 항공기 및 무인 항공기의 내부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8), 상기 무인 항공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목표물에 접촉시 탑재된 폭약의 폭발을 제어하고, 레이더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감지하고, 기만 신호를 생성 제어하는 제어부(109), 제어부의 제어하에 목표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부(110), 원격 제어기 및 중계 항공기와 데이터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111), 항공기 기체(112), 접이식 날개로서 무인 항공기의 양력을 발생시켜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전방 날개(113), 무인 항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후방 날개(114), 및 캐니스터에서 발사 시 무인항공기 기체와 추진체를 연결하는 부스터(115)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이 탑재된 무인 항공기를 제어하기 위해 원격 제어기(116)가 이용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가 장착된 무인 항공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 센서(101)는 무인 항공기의 가장 앞단에 위치하며, 사용 환경에 따라 교체 장착이 가능한 저조도 CCD(Charge-Coupled Device),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로펠러(102)는 상기 영상 센서의 뒷단에 위치하며 무인항공기의 비행을 가능하게 하며, 접이식으로 제작되고 캐니스터에서 발사가 가능하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펠러(102)는 무인 항공기가 캐니스터에서 발사된 후, 추진체와 분리되면, 무인 항공기 기체로부터 펼쳐지며, 동작된다.
그리고, 엔진(103)은 프로펠러를 구동시키면서 발전기를 가동시킨다. 발전기(104)는 엔진(103)의 회전에 따라 전기를 발생시켜 전원부(108)에 전원을 공급한다. 연료통(105)은 엔진에 연료를 공급한다. Paylod 실장 공간(106)은 payload를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이고, 이러한 Payload 실장 공간(106)에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또는 폭약을 탑재한다. 또한, Payload 실장 공간(106)은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폭약뿐만 아니라 무인 항공기의 목적에 맞는 장치를 탑재할 수 있다.
전원부(108)는 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다른 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09)는 무인 항공기의 위치확인, 영상 및 데이터 송수신, 타 무인 항공기간 네트워킹, 비행제어 및 목표물과 접촉시 무인 항공기에 탑재된 폭약의 폭발 제어를 담당한다.
영상부(110)는 영상센서(101)로부터 받은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로 전송하고, 데이터 송수신 안테나(111)는 지상의 원격 제어기(116)와 제어신호 송수신, 영상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기체(112)는 무인 항공기 몸체이다. 전방 날개(113)는 접이식 날개로 무인 항공기의 양력을 발생시켜 비행이 가능하게 하고, 후방 날개(114)는 접이식 날개로 제어 신호를 받아 무인 항공기의 방향을 조절한다.
부스터(115)는 캐니스터에서 발사 시 기체를 추진할 수 있는 1단 추진체와 무인 항공기를 연결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원격 제어기(116)는 지상에서 무인 항공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보면서 무인 항공기를 조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조종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는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해 캐니스터로부터 이탈되고 원격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비행한다. 상기 제어는 무인 항공기의 방향, 속도, 영상 촬영, 기만 신호 전송 및 목표물과 충돌시 탑재된 폭약 폭발을 포함한다. 그리고, 만일 무인 항공기를 탐지하기 위한 레이더로부터 송출된 무선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무선 신호의 주파수를 기만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기만 신호는 무인 항공기를 감시하는 레이더가 무인 항공기를 다른 비행체로 오인하게끔 하기 위한 신호이거나, 또는 상기 감지된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레이더로 반사함으로써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 조종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인 항공기 즉, 비행체는 캐니스터(201)로부터 점화 및 분리되어 발사된다. 비행체는 후미에 장착된 1단 추진체(202)에 의해 비행하고 일정 속도 이상으로 비행하거나 1단 추진체의 연료가 다 소모되면, 1단 추진체(202)는 비행체(203)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비행체는 기체 상단에 위치한 전방 날개, 접이식 프로펠러, 및 안테나를 펼치고, 엔진을 가동하여 무인 항공기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무인 항공기는 지상의 원격 제어기(205)의 제어하에 비행한다. 무인 항공기는 원격 제어기(205)로부터 조종되어 정찰, 목표물과 충돌 후 폭파, 또는 동굴이나 산의 비탈진 곳에 갱도를 파서 숨겨진 포와 같은 미사일로 제거되기 어려운 목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인 항공기는 무인 항공기를 감시하기 위한 레이터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무선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레이더로 반사함으로써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인 항공기와 무선 송수신하는 상기 원격 제어기(205)는 무인 항공기(204)와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06)와 무인 항공기를 원하는 방향 및 속도로 비행할 수 있도록 조종하는 조이스틱(207), 그리고, 무인 항공기의 영상 센서가 촬영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08)로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원격 제어기는 목표물의 위치 정보, 목표물과 자폭, 영상 촬영 명령등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미도시)도 포함한다.
이러한, 무인 항공기는 원격 제어기(205)의 제어 하에 목표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거나 파괴하고자 하는 목표물을 향해 비행하여 목표물을 파괴하거나 목표물과 자폭할 수 있거나 또는 목표물과 충돌시 페이로드 실장공간에 탑재된 폭약을 자동으로 폭발시켜 자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인 항공기는 비행 중에 무인 항공기를 감시하는 레이더로부터 송출된 레이더 신호를 통해 레이더에 포착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레이더가 무인 항공기(204)를 포착하기 위해 레이더 신호를 발사하면, 무인 항공기(204)는 레이더가 발사한 레이더 신호를 감지하고, 무인 항공기(204)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107)는 레이더를 교란시키기 위한 기만 신호를 레이더로 송출하거나,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함께 충돌하기 위한 기만 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기만 신호는 무인 항공기의 존재를 파악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신호이거나, 레이더로부터 송출된 레이더 신호가 감지되면, 자신에 반사되는 신호를 증폭하거나 위상을 변위시킨 기만 신호를 레이더로 전송하고,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신호이다. 이러한, 기만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는 아래 도 3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신호 발생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신호 발생 장치는 무인 항공기의 페이로드 실장 공간에 탑재된다. 이러한 무인 항공기는 기본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발생기(310)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마다 신호를 출력하여 출력부(330)에 제공하는 신호 처리부(320)와, 상기 신호 처리부(320)로부터 전송된 신호와 상기 발생된 기본 클럭 신호를 서로 곱한 후, 저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330)와, 기만 신호를 발생하는 기만 신호 발생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기만 신호 발생부(340)는 상기 저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5비트를 갖는 신호로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5비트를 갖는 신호들 중 4비트를 갖는 신호들의 주기를 나머지 1비트를 갖는 신호의 주기의 반이 되도록 제어하고, 4비트를 갖는 신호들의 주기를 점진적으로 주기를 작게 제어한다. 또한, 상기 기만 신호 발생부(340)는 무인 항공기를 감시하기 위한 레이더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와 주기가 작게 제어된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 또는 감소하는 방향으로 기만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기만 신호 발생부(340)는 감지된 신호의 위상을 1800 변이시켜 기만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기만 신호는 레이더로부터 송출된 레이더 신호가 감지되면, 자신에 반사되는 신호를 증폭하거나 위상을 변위시킨 기만 신호를 레이더로 전송하고,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신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조종 중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조종 중계 시스템은 무인 항공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원격 제어기(410)와, 상기 원격 제어기에 의해 방향, 속도, 목표물과 자폭등이 제어되는 무인 항공기(430)와, 상기 원격 제어기(410)와 무인 항공기(430)간에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중계해주는 중계 항공기(420)을 포함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 항공기의 조종 중계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 제어기(410)를 통해 무인 항공기(430)를 조종하여 정찰, 목표물 파괴등의 목적을 수행하는 중에 무인 항공기(430)는 원격 제어기(410)의 제어 영역을 벗어날 수 있다.
무인 항공기(430)가 원격 제어기(410)의 제어 영역을 벗어났는지에 대한 판단의 무인 항공기(430)와 원격 제어기(410)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통해 판단할 수 있거나, 별도의 신호를 송수신하여 파악할 수 있다.
만일, 무인 항공기(430)가 원격 제어기(410)의 제어 영역을 벗어난 경우, 무인 항공기(430)와 원격 제어기(410)는 중간에 위치한 중계 항공기(420)를 통해 서로 신호를 지속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중계 항공기(420)는 하나 이상의 무인 항공기(430)를 지휘 통제하는 유인 항공기일 수 있다. 무인 항공기(430)는 촬영된 영상을 중계 항공기(420)로 전송하고, 상기 중계 항공기(420)는 무인 항공기(43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다시 원격 제어기(410)로 전송한다. 상기 원격 제어기(410)는 중계 항공기(42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원격 제어기(410)는 조이스틱,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부를 통해 원격 제어기를 조종하는 사용자로부터 무인 항공기(430)를 조종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원격 제어기(410)는 입력된 명령을 중계 항공기(420)로 전송하고, 중계 항공기(420)는 원격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다시 무인 항공기로 전송한다. 무인 항공기는 수신된 명령에 따라 방향, 목표물과의 충돌, 영상 촬영,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충돌등이 제어된다.
상기 원격 제어기(410)로부터 무인 항공기(430)로 전송되는 명령은 무인 항공기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키기 위한 위치의 정보,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 전환 정보, 촬영 명령, 및 목표물과의 자폭 명령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무인 항공기의 조종 중계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무인 항공기의 조종 중계 시스템은 원격 제어기(5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인 항공기들 즉, 제1 무인 항공기(520)와, 제2 무인 항공기(540)와, 제3 무인 항공기(5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무인 항공기의 조종 중계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도 5에는 단지 5대의 무인 항공기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단지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은 적어도 2대 이상의 무인 항공기에서도 적용됨은 자명하다.
적어도 2대 이상의 무인 항공기는 무인 항공기들간에 무선 WAN(Wide Area Network)을 구성하고, 집단 자율 군집 비행을 하고, 지상의 운용자가 무인 항공기들을 특정 목표물(550)을 향해 동시에 공격하도록 제어된다.
즉, 원격 제어기(510)가 제1 무인 항공기(520)에 명령을 전송하면, 상기 제1 무인 항공기는 수신된 명령을 인접한 다른 무인 항공기들 즉, 제2 및 제3 무인 항공기들(530, 540)에게 전송한다. 상기 명령은 무인 항공기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키기 위한 위치의 정보,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 전환 정보, 촬영 명령, 및 목표물과의 자폭 명령등을 포함한다. 촬영 명령일 경우, 적어도 2대 이상의 무인 항공기는 각각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원격 제어기(510)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원격 제어기(510)는 무인 항공기들을 각각 제어하거나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즉, 자폭 명령의 경우는 무인 항공기를 각각 제어하거나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무인 항공기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센서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상기 무인 항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무인 항공기의 비행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펠러와,
    레이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기만 장치와 폭약이 탑재되는 페이로드 실장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기만 장치는
    기본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발생기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마다 신호를 출력하여 출력부에 제공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출력된 신호와 상기 발생된 기본 클럭 신호를 곱하여 저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된 저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5비트를 갖는 신호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5비트를 갖는 신호들 중 4비트를 갖는 신호들의 주기를 점진적으로 작게 제어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에 반사되는 레이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만 신호를 발생하는 기만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키기 위한 위치의 정보,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 전환 정보, 상기 영상 센서를 통해 촬영하기 위한 촬영 명령, 및 목표물과 자폭을 위한 자폭 명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
  4. 무인 항공기 조종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명령을 수행하여 목표물을 포격하거나, 상기 목표물과 자폭하는 무인 항공기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통해 상기 무인 항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항공기는
    레이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무인 항공기를 격추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기만 장치와 폭약이 탑재되는 페이로드 실장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기만 장치는
    기본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발생기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마다 신호를 출력하여 출력부에 제공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출력된 신호와 상기 발생된 기본 클럭 신호를 곱하여 저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된 저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5비트를 갖는 신호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5비트를 갖는 신호들 중 4비트를 갖는 신호들의 주기를 점진적으로 작게 제어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에 반사되는 레이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만 신호를 발생하는 기만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 조종 시스템.
  5. 삭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키기 위한 위치의 정보,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 전환 정보, 상기 영상 센서를 통해 촬영하기 위한 촬영 명령, 및 목표물과 자폭을 위한 자폭 명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 조종 시스템.
  7. 무인 항공기 조종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원격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명령을 수행하여 목표물을 포격하거나, 상기 목표물과 자폭하는 무인 항공기와,
    상기 촬영된 영상을 통해 상기 무인 항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기와,
    상기 원격 제어기와 상기 무인 항공기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기 또는 상기 무인 항공기에 중계하는 중계 항공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인 항공기는
    레이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무인 항공기를 격주하기 위해 발사된 미사일과 자폭하기 위한 기만 신호를 생성하는 기만 장치와 폭약이 탑재되며,
    상기 기만 장치는
    기본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발생기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마다 신호를 출력하여 출력부에 제공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출력된 신호와 상기 발생된 기본 클럭 신호를 곱하여 저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출력된 저주파수의 클럭 신호를 5비트를 갖는 신호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5비트를 갖는 신호들 중 4비트를 갖는 신호들의 주기를 점진적으로 작게 제어하여 상기 무인 항공기에 반사되는 레이더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기만 신호를 발생하는 기만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 조종 시스템.
  8. 삭제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은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키기 위한 위치의 정보, 상기 무인 항공기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방향 전환 정보, 상기 영상 센서를 통해 촬영하기 위한 촬영 명령, 및 목표물과 자폭을 위한 자폭 명령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인 항공기 조종 시스템.
KR1020110015196A 2011-02-21 2011-02-21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 KR101076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196A KR101076232B1 (ko) 2011-02-21 2011-02-21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196A KR101076232B1 (ko) 2011-02-21 2011-02-21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232B1 true KR101076232B1 (ko) 2015-04-21

Family

ID=5305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196A KR101076232B1 (ko) 2011-02-21 2011-02-21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2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525A (ko) 2018-07-02 2020-01-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자폭형 무인기의 제어를 위한 지상통제장비
CN111664752A (zh) * 2020-05-13 2020-09-15 飒铂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无人机反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7242A1 (en) * 2000-08-08 2005-06-16 Rivers Eugene P.Jr. Payload dispensing system particularly suited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080037434A (ko) * 2006-10-26 2008-04-30 윤광준 카메라를 장착한 자폭형 무인 소형 비행 장치와 그를 위한원격 조정 장치
US20080198060A1 (en) * 2006-10-26 2008-08-21 Rst Reut Systems And Advanced Technologies Ltd. Rf decoy and method for deceiving radar-based missiles
US20090288550A1 (en) * 2008-05-23 2009-11-26 Willner Byron J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and neutralizing remotely activated explosiv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7242A1 (en) * 2000-08-08 2005-06-16 Rivers Eugene P.Jr. Payload dispensing system particularly suited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KR20080037434A (ko) * 2006-10-26 2008-04-30 윤광준 카메라를 장착한 자폭형 무인 소형 비행 장치와 그를 위한원격 조정 장치
US20080198060A1 (en) * 2006-10-26 2008-08-21 Rst Reut Systems And Advanced Technologies Ltd. Rf decoy and method for deceiving radar-based missiles
US20090288550A1 (en) * 2008-05-23 2009-11-26 Willner Byron J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and neutralizing remotely activated explosiv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525A (ko) 2018-07-02 2020-01-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자폭형 무인기의 제어를 위한 지상통제장비
CN111664752A (zh) * 2020-05-13 2020-09-15 飒铂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无人机反制系统
CN111664752B (zh) * 2020-05-13 2023-02-21 飒铂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无人机反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95415B2 (ja) 対象航空機の無力化を促進する対抗的配備システム
CN110709320B (zh) 用于拦截和对抗无人飞行器(uav)的系统和方法
JP6338911B2 (ja) 無人機搭載部及びモジュール装甲
US11358718B2 (en) Low-altitude unmanned aerial vehicle surveillance system
KR102396455B1 (ko) 멀티모드 무인 항공기
US843930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ployment and ope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JP2019070510A (ja) 航空輸送体の撮像及び照準システム
JP2019060589A (ja) 航空輸送体の迎撃システム
US20160293015A1 (en) Projectile launched uav reconnaissance system and method
KR101188294B1 (ko) 제트엔진을 이용한 전자전 무인 항공기
US7053812B2 (en) Recoverable pod for self-protection of aircraft and method of protecting an aircraft using a recoverable pod
KR20130009894A (ko) 공간정보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정밀타격 무인항공기시스템
US20170297712A1 (en) Small uavs with radar receivers to be used as bistatic radar launched from tactical fighter jets
US20190072962A1 (en) Drone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image material for bomb damage assessment and air-to-ground armament system having same
KR20170019523A (ko) 폭발물 탑재형 무인비행체 및 무인비행체 제어 시스템
KR20080037434A (ko) 카메라를 장착한 자폭형 무인 소형 비행 장치와 그를 위한원격 조정 장치
KR20130009891A (ko) 저고도 및 고고도용 복합체 무인항공기 및 무인항공기 시스템
JP2022521523A (ja) 兵器ターゲティング訓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076232B1 (ko) 무인 항공기의 무선 주파수 기만 장치 및 시스템
CN103471472A (zh) 一种发射微型火箭推进特种弹的空中反恐装置
KR20170021653A (ko) 무인 비행체 연동 시스템
US11747115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rone locating, interdiction and recovery
KR102616347B1 (ko) 유도 무기 데이터 링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EP15031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nition impact assessment
JP2023532299A (ja) 到来脅威防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