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312B1 - 두류나물 탈피기 - Google Patents

두류나물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312B1
KR101805312B1 KR1020160091902A KR20160091902A KR101805312B1 KR 101805312 B1 KR101805312 B1 KR 101805312B1 KR 1020160091902 A KR1020160091902 A KR 1020160091902A KR 20160091902 A KR20160091902 A KR 20160091902A KR 101805312 B1 KR101805312 B1 KR 101805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belt
herbs
present
scatter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섭
Original Assignee
김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섭 filed Critical 김용섭
Priority to KR102016009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8Peeling vegetables or fruit for peeling fruit and removing seed-containing 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10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2007/007Brush rollers for peeling fruit or vegetables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나물을 물로 세척하지 않은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탈피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됨에 따라 물낭비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탈피과정에서 물과의 접촉을 배제함에 따른 제품의 유통기일을 연장하여 유통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두류나물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상에 설치되어 두류나물을 안착한 상태로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12)와;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일측 상부에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두류나물을 분산시키도록 된 다수의 분산봉(22)을 포함한 스캐터링수단(20)과; 상기 스캐터링수단(20)의 후단에 위치되어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면상에 묻은 두류나물의 껍질을 제거하도록 된 스크레이퍼(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두류나물 탈피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두류나물 탈피기{Pulse crops vegetables pee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두류나물 탈피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나물을 물로 세척하지 않은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탈피가 이루어지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두류나물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나물이나 숙주나물과 같이 콩이나 녹두 등과 같은 두류에 의해 재배되는 나물로 통칭할 수 있는 두류나물을 상품으로 판매하는 과정에서는 나물의 머리 부분에 남아 있는 껍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를 위한 종래의 두류나물 탈피기나 방법은 대개 나물을 물이 충전된 수조 상으로 공급하고, 수조의 일측에 구비된 타공드럼 내에 나물을 수용한 상태로 회전시킴에 따라 나물로부터 껍질을 분리하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 탈피기에 의해서는 탈피과정에서 물의 사용량이 많아 비용이나 자원의 낭비가 클 뿐만 아니라 물에 의해 세척된 상태로 포장된 나물의 보관일이 대략 3일 정도로 짧아 유통상의 번거로움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09648호(2001. 09. 10)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나물을 물로 세척하지 않은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탈피가 이루어지도록 구비됨에 따라 물낭비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탈피과정에서 물과의 접촉을 배제함에 따른 제품의 유통기일을 연장하여 유통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두류나물 탈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상에 설치되어 두류나물을 안착한 상태로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12)와;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일측 상부에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두류나물을 분산시키도록 된 다수의 분산봉(22)을 포함한 스캐터링수단(20)과;
상기 스캐터링수단(20)의 후단에 위치되어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면상에 묻은 두류나물의 껍질을 제거하도록 된 스크레이퍼(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나물 탈피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캐터링수단(20)은 상기 분산봉(22)이 회전축(2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나선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나물 탈피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분산봉(22)은 상기 회전축(21)의 중앙부분에서 양측으로 다르게 배열되는 오른나선부(R)와 왼나선부(L)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나물 탈피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벨트컨베이어(12)는 두류나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여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상부벨트(15)와 하부벨트(17)를 포함하여 다단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나물 탈피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벨트컨베이어(12) 상에서 이송되는 두류나물을 분산봉(22)이 구비된 스캐터링수단(20)에 의해 분산시켜 탈피가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캐터링수단(20)의 분산봉(22)이 회전 구동되면서 두류나물을 분산시키는 과정에서 탈피가 이루어짐에 따라, 물사용을 최대한 배제한 상태에서 탈피가 가능하여 물소비를 줄임과 동시에 두류나물의 보관이나 유통기일을 5일 정도로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캐터링수단(20)은 다수의 분산봉(22)이 회전축(21) 상에 나선형태로 배열됨에 따라, 회전과정에서 분산봉(22)이 연속적으로 두류나물을 분산시켜 탈피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분산봉(22)의 배열시에는 회전축(21)의 중앙부분에서 양측으로 다른 오른나선부(R)와 왼나선부(L)로 형성함에 따라 분산봉(22)에 의해 두류나물의 분산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벨트(15)와 하부벨트(17)를 포함한 벨트컨베이어(12)가 다단으로 배열됨으로써, 두류나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시켜 연속적으로 진행시킴에 따라 두류나물을 다단계에 걸쳐 탈피시킬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컴팩트한 구성에 의해 설치 및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깔끔하게 손질된 두류나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류나물 탈피기(10)는 일정 크기로 된 사각프레임을 포함한 본체(11) 상에 일정폭과 길이로 연장되는 벨트컨베이어(12)가 구비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일측 상부측에 스캐터링수단(20)이 위치되는데, 상기 벨트컨베이어(12) 상에는 전단계로부터 공급되는 일정량의 두류나물이 일정 볼륨의 덩어리 형태로 안착되고, 상기 스캐터링수단(20)은 상기 벨트컨베이어(12) 상에서 이송되는 두류나물을 분산봉(22)에 의해 분산시켜 껍질을 탈피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12)에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일정 높이로 된 가이드벽(13)이 형성되어 두류나물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고, 일측에 구동모터(14)를 포함한 구동수단이 연결되어 연속적인 궤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캐터링수단(20)은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일측 상부에 두류나물의 진행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21) 상에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다수의 분산봉(22)이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스캐터링수단(20)은 상기 회전축(21) 상에서 회전 구동되는 분산봉(22)에 의해 상기 벨트컨베이어(12) 상에서 진행되는 두류나물을 분산시킴에 따라 나물에 부착된 껍질을 탈피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캐터링수단(20)은 상기 벨트컨베이어(12) 상에서 일정 볼륨을 이루어 뭉친 상태로 공급되는 두류나물이 상기 분산봉(22)에 의해 벨트컨베이어(12) 상에 펼쳐지도록 분산시킴에 따라 탈피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탈피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분산봉(22)이 일렬 또는 나선과 같은 특정한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이를 도 2를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캐터링수단(20)은 상기 회전축(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산봉(22)이 돌출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분산봉(22)은 일정 길이로 된 스틱형태로 구비되어 회전축(21)을 관통하거나 외주상에 밀착된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분산봉(22)은 회전축(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로 배열되는데, 이는 상기 분산봉(22)이 일렬로 배치된 경우에 두류나물과의 접촉이 단발적으로 그치는 것을 감안한 것으로, 상기 분산봉(22)이 나선형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두류나물이 스캐터링수단(20)을 통과하는 과정 중에 연속 및 순차적으로 접촉을 지속하여 분산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산봉(22)은 상기 회전축(21)의 중앙부분에서 양측으로 다른 나선으로 배열되는 오른나선부(R)와 왼나선부(L)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오른나선부(R)와 왼나선부(L)에 의해 두류나물의 분산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분산과정에서 두류나물이 벨트컨베이어(12)의 상면에서 일측으로 쏠린 상태로 불안정하게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벨트컨베이어(12)의 구성을 다단으로 배치하여 컴팩트한 장치 구성에 의해서도 탈피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는데, 이를 도 3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1) 상에 다단으로 된 벨트컨베이어(12)가 구비되는데, 상기 벨트컨베이어(12)는 맨 위쪽에 위치되는 상부벨트(15)와 이 상부벨트(15)의 아래에 위치되는 중간벨트(16) 및 상기 중간벨트(16)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벨트(17)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벨트컨베이어(12)의 구조에 따르면, 상기 상부벨트(15) 상에 공급된 두류나물이 상기 스캐터링수단(20)에 의한 1차적으로 탈피된 후에 상기 상부벨트(15)의 단부로부터 상기 중간벨트(16) 상으로 낙하되고, 상기 중간벨트(16)에서 이송되는 두류나물이 다른 스캐터링수단(20)에 의해 2차로 탈피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후에는 추가적으로 상기 중간벨트(16)로부터 하부벨트(17)로 낙하된 두류나물이 3차에 걸쳐 탈피가 이루어지거나 기타 품질검사 또는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송될 수 있는데, 상기 상부벨트(15)와 중간벨트(16) 및 하부벨트(17)는 두류나물이 단부에서 낙하될 때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그 위치를 약간 좌우로 엇갈리게 배치하거나 길이를 적절하게 제작 또는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단부 하단측에는 탈피과정에서 벨트면 상에 부착되는 껍질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스크레이퍼(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스크레이퍼(30)는 상기 상부벨트(15)나 하부벨트(16) 등의 벨트면에 밀착되어 껍질을 긁어낼 수 있도록 된 바아형태의 스퀴즈(31)와, 상기 스퀴즈(31)에 의해 분리된 껍질을 수납하도록 된 수거통(32)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두류나물 탈피기 11: 본체
12: 벨트컨베이어 13: 가이드벽
14: 구동모터 15: 상부벨트
16: 중간벨트 17: 하부벨트
20: 스캐터링수단 21: 회전축
22: 분산봉 30: 스크레이퍼
31: 스퀴즈 32: 수거통
R: 오른나선부 L: 왼나선부

Claims (4)

  1. 본체(11)와;
    상기 본체(11) 상에 설치되어 두류나물을 안착한 상태로 이송시키는 벨트컨베이어(12)와;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일측 상부에 회전 구동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일정 길이의 스틱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두류나물을 분산시키도록 된 다수의 분산봉(22)을 포함한 스캐터링수단(20)과;
    상기 스캐터링수단(20)의 후단에 위치되어 상기 벨트컨베이어(12)의 면상에 묻은 두류나물의 껍질을 제거하도록 된 스크레이퍼(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스캐터링수단(20)은 상기 분산봉(22)이 회전축(2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나선형태를 이루되, 상기 회전축(21)의 중앙부분에서 양측으로 다르게 배열되는 오른나선부(R)와 왼나선부(L)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나물 탈피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12)는 두류나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여 연속적으로 진행되도록 상부벨트(15)와 하부벨트(17)를 포함하여 다단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류나물 탈피기.
KR1020160091902A 2016-07-20 2016-07-20 두류나물 탈피기 KR101805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02A KR101805312B1 (ko) 2016-07-20 2016-07-20 두류나물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902A KR101805312B1 (ko) 2016-07-20 2016-07-20 두류나물 탈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312B1 true KR101805312B1 (ko) 2017-12-06

Family

ID=6092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902A KR101805312B1 (ko) 2016-07-20 2016-07-20 두류나물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088A (ko) * 2020-10-12 2022-04-19 권혁산 나물 세척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386B1 (ko) 2007-10-24 2008-07-25 타프기계공업(주) 나물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386B1 (ko) 2007-10-24 2008-07-25 타프기계공업(주) 나물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088A (ko) * 2020-10-12 2022-04-19 권혁산 나물 세척장치
KR102501664B1 (ko) * 2020-10-12 2023-02-17 권혁산 나물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2162A (en) Apparatus for peeling fruits and vegetables
US3134413A (en) Apparatus for peeling fruits or vegetables
US4237782A (en) Vegetable processing machine with product mobilizer apparatus
DK2830407T3 (en) FIELD CLEANING DEVICE
US5329845A (en) Apparatus for waterless hulling of nuts and the like
CA2830244C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aterial
JP5688094B2 (ja) 共に混合された様々な流動性の材料を分離する装置
US7302886B2 (en) Hulling apparatus and method
JPH06343439A (ja) 果物または野菜の皮剥き装置
US11464252B2 (en) Centrifugal product peel separation and removal apparatus
KR101904650B1 (ko) 패각류 자동 세척장치
US9282763B2 (en) Apparatus for removing hulls from nuts
US2424803A (en) Horizontal rotary abrading drum for peeling fruit and vegetables
KR101805312B1 (ko) 두류나물 탈피기
KR101989530B1 (ko)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KR101666145B1 (ko) 껍질 제거 장치
KR102295336B1 (ko) 샌드 블라스트형 밤 탈피 장치
KR101155034B1 (ko) 밤 속껍질 박피기
US3192974A (en) Peeling apparatus
FR2541091A1 (fr) Procede de nettoyage notamment destine a des produits alimentaires ainsi que dispositif permettant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20050087214A1 (en) Single-conveyor elongated object cleaning system
JP2001204446A (ja) 大根、長芋などの長物根菜類用自動洗浄装置
US3026877A (en) Pea sheller
US3131738A (en)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seed coats and other foreign matter from nuts
KR102221797B1 (ko) 샌드 블라스트형 밤 탈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