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530B1 -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530B1
KR101989530B1 KR1020170025796A KR20170025796A KR101989530B1 KR 101989530 B1 KR101989530 B1 KR 101989530B1 KR 1020170025796 A KR1020170025796 A KR 1020170025796A KR 20170025796 A KR20170025796 A KR 20170025796A KR 101989530 B1 KR101989530 B1 KR 101989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trailing edge
rotary plate
wat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9978A (ko
Inventor
이충훈
이정연
이형규
Original Assignee
괴강수산영농영어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괴강수산영농영어조합법인 filed Critical 괴강수산영농영어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7002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5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05Grading or classifying shellfish or bi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2Processing shrimps, lobsters or the like ; Methods or machines for the shelling of shellfish
    • A22C29/023Conveying, feeding or aligning shell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다슬기를 삶는 작업에서부터 다슬기 알맹이를 발라내는 작업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온수가 공급되는 익힘수조;상기 익힘수조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슬기 알맹이를 분리해내는 분리장치;상기 익힘수조의 온수를 통해 설치되며, 다슬기를 익힘수조의 온수에 담갔다가 상기 분리장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이송수단으로부터 이송된 복수의 다슬기를 한 개씩 이송시키되 다슬기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회전되면서 다슬기의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상기 이송스크류의 단부 일측에 마련되되 이송스크류와는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둘레에는 이송스크류를 통해 이송된 다슬기를 한 개씩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다슬기 거치홈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으로 다슬기를 이송시키는 이송회전판;상기 이송회전판의 하방에 설치되며, 이송회전판의 회전시 다슬기 거치홈에 수용된 다슬기의 말단을 간섭하여 절단시키는 커팅부;말단이 절단된 다슬기의 하방에 대응되며, 다슬기의 말단을 향해 에어 또는 물을 분사하여 다슬기 껍데기로부터 다슬기 알맹이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과 이송스크류 사이에 설치되며,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된 복수의 다슬기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코스(course)를 형성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진동을 가하여 코스에 정렬된 다슬기들을 이송스크류로 이송시키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정렬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코스 일부는 'V'홈을 형성하고, 트레이의 코스 나머지는 상,하 개구된 통공을 형성하며, 다슬기는 트레이 진동에 의해 코스를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통공에 세워지게 걸려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알맹이 자동분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A marsh snail automatic separating device}
본 발명은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다슬기 삶기부터 다슬기 알맹이 분리 작업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슬기는 물고둥이라고도 하며 청정 일급수에만 자라는 연체 동물로서, 영양면에서도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 간기능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슬기는 저지방 고단백질로서, 식재료로 많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은 후 알맹이만 섭취하여 간식으로도 많이 애용되고 있다.
다슬기는 길쭉한 탑형으로 형성되며, 패각의 일단부는 패각의 타단부에 비해 직경이 작아 뾰족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다슬기는, 껍질째 ?아 알맹이를 발라내어 직접 섭취하거나 많은 양의 다슬기로부터 알맹이만 획득하여 식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식재료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다슬기 세척 및 해감을 통해 준비 과정이 완료되면, 별도의 용기에서 다슬기를 삶아낸다.
이후, 다슬기는 세척 및 교반을 위해, 다른 용기로 ?겨져 물속에서 교반과정을 거치면서 알맹이에 붙어 있는 딱지가 제거된다.
이후, 송곳이나 핀 등의 뾰족한 수단을 이용해 다슬기 껍데기로부터 알맹이를 발라냄으로써, 다슬기 알맹이 분리 작업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한 일련의 알맹이 분리 작업은 온전히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불편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다슬기의 알맹이를 발라내거나 다슬기를 직접 입에 대고 흡입하여 섭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해 껍데기의 말단 부분을 커팅 하게되는데, 이러한 다슬기 커팅 작업 역시, 불편하고 매우 번거로운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다슬기 껍데기의 말단을 자동으로 커팅하는 장비가 개발되었다.
즉, 선행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25889』『대한민국 공개번호 20-2012-000789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슬기 공급에서 껍데기 말단 커팅 작업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다슬기 껍데기 말단 자동 커팅 관련 기술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다슬기 껍데기 말단 커팅은, 다슬기 알맹이를 발라내기 위한 과정이며, 생다슬기를 삶는 과정은 별도의 용기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가마솥과 같은 별도의 삶는 용기를 통해, 다슬기 삶는 작업이 이루어진 후, 이를 다슬기 말단 커팅 작업장치로 옮겨와 추가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 시간이 지연될 뿐만아니라 작업 편의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둘째, 다슬기 알맹이를 식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슬기 특성상 다슬기 알맹이에 붙어 있는 딱지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떼어냄에 따라 편의성 및 생산성이 덜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다슬기를 삶는 과정에서 다슬기 딱지가 저절로 떨어지기도 하지만, 딱지 탈착 여부를 일일이 체크하고 손질해야하는 작업은 여간 번거로운일이 아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20-2012-000789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다슬기 삶기부터 알맹이를 발라내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슬기 알맹이 분리 작업에 대한 작업생산성을 높인 다슬기 알맹이 자동분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수가 공급되는 익힘수조;상기 익힘수조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슬기 알맹이를 분리해내는 분리장치;상기 익힘수조의 온수를 통해 설치되며, 다슬기를 익힘수조의 온수에 담갔다가 상기 분리장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이송수단으로부터 이송된 복수의 다슬기를 한 개씩 이송시키되 다슬기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회전되면서 다슬기의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상기 이송스크류의 단부 일측에 마련되되 이송스크류와는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둘레에는 이송스크류를 통해 이송된 다슬기를 한 개씩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다슬기 거치홈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으로 다슬기를 이송시키는 이송회전판;상기 이송회전판의 하방에 설치되며, 이송회전판의 회전시 다슬기 거치홈에 수용된 다슬기의 말단을 간섭하여 절단시키는 커팅부;말단이 절단된 다슬기의 하방에 대응되며, 다슬기의 말단을 향해 에어 또는 물을 분사하여 다슬기 껍데기로부터 다슬기 알맹이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과 이송스크류 사이에 설치되며,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된 복수의 다슬기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코스(course)를 형성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진동을 가하여 코스에 정렬된 다슬기들을 이송스크류로 이송시키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정렬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코스 일부는 'V'홈을 형성하고, 트레이의 코스 나머지는 상,하 개구된 통공을 형성하며, 다슬기는 트레이 진동에 의해 코스를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통공에 세워지게 걸려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알맹이 자동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생다슬기 삶기부터 알맹이 분리까지 자동화설비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알맹이 분리전 다슬기를 정렬시킨 후, 다슬기 개구부를 향해 고압의 에어 또는 물을 분사시킴으로써, 다슬기 딱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한 쌍의 이송스크류와 회전판을 통해 다슬기 정렬 및 이송이 각각 한 개씩 개체별로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이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익힘수조 내의 온수 온도가 구간별로 차이나게 구성함으로써, 다슬기 알맹이 분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다슬기 삶는 과정에서 발생한 육수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다슬기 알맹이 분리 작업시 추가 생산물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의 분리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는 생다슬기를 삶는 것에서부터 알맹이 분리까지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대량의 알맹이 분리 작업시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힘수조(100)와, 분리장치(200)와, 이송수단(300)과, 정렬부(400)를 포함한다.
익힘수조(100)는 생다슬기를 삶아 익히기 위한 온수가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직사각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생다슬기가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익힘수조(100)가 형성됨으로써, 다슬기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삶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익힘수조(100)에는 익힘수조(100)로 공급된 온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히터(110)가 설치된다.
이때, 익힘수조(100)의 내부 공간은 복수로 구획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익힘수조(100) 내의 각 구간별로 온수의 온도차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다슬기가 익힘수조(100) 내로 유입되어 삶아지는 과정에서 온수 온도가 갑자기 높을 경우, 다슬기 알맹이는 다슬기 껍데기 안에서 수축되면서 껍데기로부터 배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는바, 익힘수조 내의 온수 온도가 구간별로 서서히 높아지도록 마련함으로써 다슬기 알맹이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익힘수조(100)의 내부 공간은 격벽(120)을 통해 구획되고, 구획된 구간의 온도차가 제어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된 각 구간마다 설치된 히터(110)의 개수는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20)은 후술하는 이송수단(300)이 익힘수조(1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송수단(300)과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익힘수조(100)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커버(13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커버(130)는 다슬기가 삶아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 등의 압력에 의해 이송수단(300)으로부터 다슬기가 익힘수조(100)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이탈방지커버(130)는 이송수단(300)의 상부와 측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익힘수조(100)의 일측에는 온수탱크(140) 및 제1육수저장탱크(150)가 설치된다.
온수탱크(140)는 다슬기를 삶기 위한 온수를 생산하는 구성으로서, 익힘수조(100)에 미리 가열된 온수탱크(140)의 온수가 공급됨으로써 다슬기 삶는 효과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온수탱크(140)의 가열수단은 밴드히터임이 바람직하나, 밴드히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익힘수조(100) 내의 온수 온도는 공급관(160)을 통해 실온의 물을 공급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익힘수조(100) 내의 온수 수온이 과도하게 높을 경우, 다슬기 알맹이는 수축되어 껍데기로부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는바, 공급관(160)을 통해 익힘수조(100) 내로 실온의 물을 공급함으로써 익힘수조(100)의 온수 수온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육수저장탱크(150)는 다슬기가 삶아지는 과정에서 익힘수조(100) 내에 형성된 다슬기 육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익힘수조(100)의 온수를 통해 다슬기가 삶아지는 과정에서, 익힘수조(100) 내의 온수는 자동으로 육수가 되는데 이를 식재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제1육수저장탱크(150)에 저장 보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육수저장탱크(150)에는 냉각장치(151)가 설치되어, 육수가 냉각 보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분리장치(200)는 익힘수조(100)에서 삶아진 다슬기에서 알맹이를 분리해내는 역할을 하며, 익힘수조(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분리장치(200)는 이송스크류(210)와, 딱지 제거부(220)와, 이송회전판(230)과, 다슬기 고정지그(240)와, 커팅부(250)와, 세척노즐(260)과, 배출수단(270)을 포함한다.
이송스크류(210)는 익힘수조(100)를 통해 삶아진 복수의 다슬기들을 이송회전판(230)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송스크류(21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이송스크류(210)는 서로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며,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서로 대칭된 구성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송스크류(210)의 외주면에는 스크류 회전 방향을 따라 요홈(211)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211)은 이송스크류(210)를 평면에서 봤을 때 반원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이송스크류(210)는 서로 상기 요홈(211)이 맞대어지도록 설치되며, 이에 따라, 반원 형태의 요홈(211)은 서로 원형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요홈(211)에는 다슬기가 위치되며, 이송스크류(210)의 회전을 통해 다슬기는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기 요홈(211) 한 칸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딱지제거부(220)는 이송스크류(210)를 따라 이송되는 다슬기의 딱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이송스크류(210) 상방에 설치된다.
다슬기의 딱지는 통상, 다슬기 알맹이에 붙어 껍데기의 개구부를 막고 있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서 다슬기 알맹이 섭취시에는 상기 딱지는 제거되어야 하는 부위이다.
상기 딱지 제거부(220)는 이송스크류(210)를 따라 이송되는 다슬기의 딱지를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송스크류(210)의 요홈(211)에 위치된 다슬기의 개구부를 향해 고압의 물이나 에어를 분사하여 그 압력을 이용해 다슬기 알맹이에 붙어 있는 딱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다슬기는 익힘수조(100)를 통해 삶아진 상태이므로, 생다슬기에 비해 딱지 제거가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그리고, 이송회전판(230)은 다슬기의 알맹이가 분리되는 구성이며, 이송스크류로(210)부터 다슬기를 한 개씩 공급받는다.
이송회전판(230)은 이송스크류(210) 단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이송스크류(210)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회전판(230)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그의 둘레에는 각각의 다슬기가 세워져 거치될 수 있는 다슬기 거치홈(231)이 형성된다.
다슬기 거치홈(231)의 직경은 다슬기가 걸려 이송회전판(230)의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다슬기 거치홈(2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며, 그 개구된 부위는 한 쌍의 이송스크류(210)가 형성하는 요홈(211)에 대응된다.
한편, 이송회전판(230)의 둘레에는 이탈방지 가이드(23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탈방지 가이드(232)는 다슬기 거치홈(231)에 거치된 다슬기가 다슬기 거치홈(231)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회전판(230)의 둘레 일부에만 설치된다.
즉, 이송회전판(230) 중, 이탈방지 가이드부(232)가 설치된 부위는 다슬기 말단 절단, 다슬기 세척, 알맹이 분리 등 다슬기에 압력이 가해지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위로서, 다슬기 이탈을 방지할 필요가 있지만, 알맹이 분리가 이루어진 후의 다슬기 껍데기는 다슬기 거치홈(231)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이탈되도록 해야하므로 이탈방지 가이드(232)가 설치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 가이드(232)의 범위는 이송회전판(230)의 둘레 중, 이송스크류(210)의 단부에 대응되는 부위부터 다슬기 알맹이 분리가 이루어지는 부위까지임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슬기 고정지그(240)는 이송회전판(230)에서 다슬기에 대한 일련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다슬기 거치홈(231)에 다슬기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이송회전판(230)의 다슬기 거치홈(231)에 거치된 각각의 다슬기는, 이송회전판(230)이 회전되면서 말단 절단, 세척, 알맹이 분리 작업이 수행되는데, 이 과정에서 다슬기의 유동은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다슬기 고정지그(240)로 하여금 다슬기를 가압하여 다슬기 거치홈(231) 상에서 다슬기의 유동을 억제하도록 한 것이다.
다슬기 고정지그(240)는 이송회전판(230)을 향해 왕복 이동될 수 있는 실린더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제1고정지그(241)와, 제2고정지그(242)와, 제3고정지그(243)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지그(241)는 다슬기 거치홈(231)에 수용된 다슬기 말단 절단시, 다슬기 거치홈(231)에 다슬기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송회전판(230)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1고정지그(241)는 이송회전판(230)의 다슬기 거치홈(231)을 향해 왕복 이동되며, 그의 단부에는 가압롤러(241a)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가압롤러(241a)는 제1고정지그(241)를 통해 다슬기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이송회전판(2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압롤러(241a)는 제1고정지그(241)의 단부 상에서 이송회전판(230)의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축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압롤러(241a)가 다슬기 거치홈(231)의 다슬기를 가압하더라도, 이송회전판(230)의 회전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2고정지그(242)는 후술하는 세척노즐(260)을 다슬기에 물 또는 에어가 분사될 때, 다슬기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1고정지그(241)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2고정지그(242) 역시 실린더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다슬기 거치홈(231)을 향해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3고정지그(243)는 후술하는 배출수단(270)에 의해 다슬기 알맹이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다슬기 거치홈(231)에서 다슬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2고정지그(242)의 일측에 설치된다.
제3고정지그(243) 역시 실린더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다슬기 거치홈(231)을 향해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커팅부(250)는 이송회전판(230)의 다슬기 거치홈(231)에 거치된 다슬기의 말단을 절단하는 역할을 하며, 이송회전판(230)의 하방에 설치된다.
다슬기의 말단 절단 작업은, 다슬기 알맹이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으로서, 다슬기 말단의 개구된 부위로 후술하는 배출수단(270)으로 하여금 알맹이를 밀어내는 힘을 작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팅부(250)는 이송회전판(230) 회전시 회전력을 이용해 다슬기 말단을 절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커팅부(250)는 이송회전판(230)의 하방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회전판(230) 회전시, 다슬기 거치홈(231)에 거치된 다슬기의 말단이 커팅부(250)에 간섭되면서 절단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세척노즐(260)은 상기 커팅부(250)를 통해 절단된 다슬기의 말단 부위를 세척하는 역할을 하며, 이송회전판(230)의 일측에 설치된다.
즉, 커팅부(250)에 의해 절단된 다슬기의 말단 부위는 절단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이 묻어 있는바, 세척노즐(260)을 통해 이를 세척하여 위생 및 배출수단의 배출 압력이 효과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세척노즐(260)은 다슬기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슬기를 향해 물 또는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이면 무방하다.
그리고, 배출수단(270)은 세척노즐(260)을 통해 세척된 다슬기의 알맹이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송회전판(230)의 일측에 설치된다.
즉, 배출수단(270)은 개구된 다슬기 말단을 향해 에어 또는 물을 분사하여 그 압력으로 다슬기 알맹이를 껍데기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배출수단(270) 역시 다슬기 말단을 향해 물 또는 에어가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이면 무방하다.
한편, 이송회전판(230)의 일측에는 가이드관(280)이 설치된다.
가이드관(280)은 배출수단(270)에 의해 다슬기 껍데기로부터 배출된 알맹이를 원하는 곳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수단(270)에 대응된 다슬기 거치홈(231)의 상방에 마련된다.
가이드관(280)은 다슬기 거치홈(231) 측으로부터 호(arc)형태로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다슬기 거치홈(231)을 기준으로 여러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리장치(200)의 일측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컨베이어(C)가 설치된다.
배출 컨베이어(C)는 이송회전판(230)에서 배출된 다슬기 알맹이를 별도의 장소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이송회전판(230) 상에서 배출된 다슬기 알맹이는 가이드관(280)을 통해 배출 컨베이어(C)로 낙하된 후, 배출 컨베이어(C)를 통해 별도의 장소로 이송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송수단(300)은 분리장치(200)로 다슬기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익힘수조(10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송수단(300)은 컨베이어 타입으로 마련되되, 그의 재질은 위생상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다슬기는 이송수단(300)의 회전을 통해 익힘수조(100)를 거쳐 분리장치(200)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이송수단(300)의 중간부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힘수조(100)의 온수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이는, 이송수단(300)에 안착된 다슬기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익힘수조(100)의 온수를 반드시 거치도록 하여 이송중에 자동으로 삶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이송수단(300)의 선단 및 후단, 양단부는 익힘수조(100)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익힘수조(100) 온수에 잠길 수 있도록 익힘수조(100) 내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이송수단(300)은 익힘수조(100) 내에서 격벽(120)의 상단부를 지나도록 설치되며, 이송수단(300)은 상부는 익힘수조(100) 내에서 이탈방지커버(130)에 의해 차폐된다.
다음으로, 정렬부(400)는 이송수단(300)을 통해 이송된 복수의 다슬기들을 정렬하여 분리장치(200) 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수단(300)의 단부측과 분리장치(200)의 이송스크류(210) 사이에 설치된다.
즉, 이송수단(300)을 통해 이송된 다슬기들은 복수의 무리로 이송되는데, 분리장치(200)에서의 다슬기 알맹이 분리작업은 다슬기 각각 한 개씩 이루어지는바, 정렬부(400)를 통해 복수의 다슬기들을 일렬로 정렬하여 분리장치(20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정렬부(4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410)와, 수트(420)와, 바이브레이터(430)를 포함한다.
트레이(410)는 다슬기가 이송수단(300)으로부터 이송스크류(210)까지 이송되는 코스(411)를 제공하되, 이송수단(300)을 통해 무더기로 이송된 다슬기가 이송스크류(210)로 일렬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트레이(410)의 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슬기 한 마리만 배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트레이(41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작업 환경 여건에 따라 달리 설계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410)의 코스(411)는 다슬기가 안정감 있게 배치될 수 있도록 'V'홈으로 형성됨이 바랍직하다.
이때, 트레이(410) 코스(411) 전체가 'V'홈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트레이(410)의 코스(411) 중, 이송스크류(210) 측의 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개구된 통공(411a)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411a)은 추후 알맹이 분리 작업을 위해, 다슬기를 세워서 이송회전판(230)으로 보내기 위한 구성이다.
즉, 다슬기는 트레이(410)의 'V'홈(411)을 통해 누운 상태로 이송되다가, 상기 통공(411a)에 이르러서는 다슬기가 통공(411a)으로 낙하되다가 다슬기의 상단부가 통공(411a)에 걸려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통공(411a)의 단부는 다슬기가 이송스크류(210)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수트(420)는 후술하는 바이브레이터(430)의 진동을 트레이(4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트레이(410)를 통한 다슬기 이동 동력은 바이브레이터(430)의 진동을 통해 발생되는데, 수트(420)가 바이브레이터(430)의 동력을 트레이(410)에 전달하는 것이다.
수트(420)의 재질은 특정하게 한정되지는 않지만, 천소재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트(420)는 트레이(410)의 하부에 밀착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슬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트레이(410)와 수트(420)는 이송스크류(210)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이브레이터(430)는 수트(420)를 통해 트레이(410)에 진동을 전달하여, 'V'홈(411)에 정렬된 다슬기를 이송스크류(210) 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이브레이터(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트(420) 하방에 설치되며 수트에 연속적인 진동을 전달한다.
바이브레이터(430)는 특정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분리장치(200)의 일측에는 통합 컨트롤 박스(B)가 설치되어, 다슬기 알맹이 자동분리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한, 분리장치(200)의 일측에는 제2육수저장탱크(500)가 설치되어, 분리장치(200)를 통해 다슬기 알맹이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육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육수저장탱크(500)에도 제1육수저장탱크(150)처럼 냉각장치(510)가 마련되어 육수를 냉각 보관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를 이용해 생다슬기를 삶고 알맹이를 분리해내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이 인가되고,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
이때, 이송수단(300) 위에 채취한 다슬기를 올려 놓는다.
이때, 다슬기는 복수로 무리지어 안착되며, 이송수단(300)의 회전에 의해 다슬기는 상기 이송수단(300)의 경사부위를 따라 익힘수조(100) 내부로 유입이 된다.
이때, 익힘수조(100)의 내부에는 온수탱크(140)로부터 공급된 온수가 수용된 상태이며, 익힘수조(100)의 각 구획된 공간의 온수 온도는 바닥의 히터(110) 개수에 의해 서로 다르게 제어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이송수단(300)의 회전에 의해 익힘수조(100) 내부로 유입된 다슬기는 먼저 미지근한 온도의 온수를 거치게 되고, 이후 중간 온도의 온수가 수용된 공간을 지나가게 된다.
즉, 다슬기는 익힘수조(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점점 상승되는 온수를 거치는 것이다.
이후, 다슬기는 가장 고온의 온수가 수용된 공간을 지나면서, 삶아진 후 이송수단(300)의 경사 부위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익힘수조(100) 내의 온수 온도 제어는 히터(110)와 더불어, 공급관(160)을 통해 실온의 물이 익힘수조(100) 내로 공급됨으로써 온수의 온도가 제어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슬기가 익힘수조(100)를 통과하는 동안, 익힘수조(100)의 상부에 마련된 이탈방지커버(130)가 이송수단(300)을 덮어씌우고 있어, 이송수단(300)의 양측으로 다슬기가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삶는 과정에서, 익힘수조(100) 내의 온수는 다슬기 육수로 우러나게 되고, 이 육수는 제1육수저장탱크(150)로 이송되어 보관된다.
이와 같이 생다슬기는 이송수단(300)을 따라 이송되면서 자동으로 삶아지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후, 다슬기는 이송수단(300)으로부터 여러 갈래로 분기된 트레이(410)로 유입이 된다.
이때, 다슬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410) 코스(411)에 일렬로 정렬이 된다.
이때, 정렬부(400)의 하방에서는 바이브레이터(430)가 작동하여 수트(420)를 타격하고, 수트(420) 타격에 의해 발생된 진동은 트레이(410)로 전달되어 다슬기를 이송스크류(210)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트레이(410)는 이송스크류(210)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트레이(410)에 진동이 전달될 경우 다슬기가 이송스크류(210)측으로 큰 무리없이 이송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다슬기는 트레이(410)의 'V'홈(411)을 따라 누운 상태로 이송되다가, 트레이(410)의 단부에 이르러서는 통공(411a)으로 빠지다가 직경이 큰 다슬기의 상부가 통공(411a)에 걸려 세워진 상태가 된다.
이후, 다슬기는 계속해서 이송되면서 통공(411a)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한 쌍의 이송스크류(210) 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이송스크류(210)는 회전되고 있는 상태로서, 일렬로 세워져 있던 다슬기는 이송스크류(210)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스크류(210) 안으로 자연스럽게 유입이 된다.
이때, 다슬기는 세워진 상태로 한 개씩 이송스크류(210) 안 쪽으로 유입이 되는데, 다슬기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이송스크류(210)의 요홈(211)에 배치되면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트레이(410)로부터 이송스크류(210)로 다슬기가 연이어 이송되며, 다슬기는 이송스크류(210) 회전에 의해 이송스크류(210)의 요홈(211)에서 요홈(21)으로 건너가면서 이송스크류(2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이송스크류(210) 상방의 딱지제거부(220)는 하방을 향해 에어 또는 물을 분사한다.
이에 따라, 딱지제거부(220)의 하방을 지나는 다슬기의 개구부는 물 또는 에어의 압력이 작용하여, 다슬기 알맹이에 붙어 있는 딱지는 알맹이로부터 분리되어 개구부 밖으로 토출이 된다.
이후, 딱지가 제거된 다슬기는 이송스크류(210)의 단부에서 이송회전판(230)의 다슬기 거치홈(2310으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스크류(210)의 요홈(211) 간 다슬기 이동을 위한 이송스크류(210) 회전 피치는 다슬기 거치홈(231) 간 이송회전판(230)의 회전 피치에 대응이 된다.
즉, 이송스크류(210) 상의 다슬기가 요홈(211)에서 요홈(211)으로 이동될 때, 이송회전판(230)은 한 피치씩 회전되면서 이송스크류(210)로부터 이송되는 다슬기를 다슬기 거치홈(231)에 수용하는 것이다.
이때, 다슬기는 직경이 큰 다슬기의 상부가 다슬기 거치홈(231)에 매달린 채로 배치되며, 이송회전판(230)의 회전 방향으로 이송이 된다.
이때, 다슬기는 이탈방지 가이드(23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이송이 되므로, 다슬기 거치홈(231)으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슬기가 커팅부(250)에 이르면, 제1고정지그(241)는 다슬기를 향해 인출되어 가압롤러(241a)로 하여금 다슬기를 가압한다.
이때, 다슬기는 다슬기 거치홈(231) 상에서 고정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로 이송회전판(230)의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커팅부(250)는 다슬기 말단을 간섭하여 절단하게 된다.
이후, 이송회전판(230)의 회전에 의해 다슬기는 세척노즐(260)에 대응이 되고, 제2고정지그(242)는 인출되어 다슬기를 가압한다.
이후, 세척노즐(260)로부터 분사되는 에어 또는 물에 의해 다슬기의 말단 부위는 세척이 된다.
이후, 이송회전판(230)의 회전에 의해 말단이 세척된 다슬기는 배출수단(270)에 대응이 되고, 제3고정지그(243)는 인출되어 다슬기를 가압한다.
이때, 다슬기 하방의 배출수단(270)은 다슬기의 절단된 말단을 향해 에어 또는 물을 분사하여 압력을 가함으로써 알맹이는 껍데기로부터 개구부 밖으로 배출이 된다.
이때, 배출된 알맹이는 가이드관(280)을 통해 가이드되어 배출 컨베이어(C)로 안착이 된다.
이때, 배출 컨베이어(C)는 별도의 장소를 향해 지속적으로 회전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배출 컨베이어(C)에 안착된 다슬기 알맹이는 별도의 장소로 이동이 된다.
한편, 알맹이 배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도, 다슬기로부터 육수가 발생하며, 이 육수는 제2육수저장탱크(500)로 이송되어 냉각 보관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다슬기는 삶기부터 알맹이 배출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는 생다슬기 삶는 과정부터 알맹이 배출이 이루어지는 과정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다슬기 알맹이 분리 작업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대량 작업에 대한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익힘수조 110 : 히터
120 : 격벽 130 : 이탈방지커버
140 : 온수탱크 150 : 제1육수저장탱크
151 : 냉각장치 160 : 공급관
200 : 분리장치 210 : 이송스크류
211 : 요홈 220 : 딱지제거부
230 : 이송회전판 231 : 다슬기 거치홈
232 : 이탈방지가이드 240 : 다슬기 고정지그
241 : 제1고정지그 241a : 가압롤러
242 : 제2고정지그 243 : 제3고정지그
250 : 커팅부 260 : 세척노즐
270 : 배출수단 280 : 가이드관
300 : 이송수단 400 : 정렬부
410 : 트레이 411 : 코스(V홈)
411a : 통공 420 : 수트
430 : 바이브레이터 500 : 제2육수저장탱크
C : 배출컨베이어 B : 컨트롤박스

Claims (7)

  1. 온수가 공급되는 익힘수조;
    상기 익힘수조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슬기 알맹이를 분리해내는 분리장치;
    상기 익힘수조의 온수를 통해 설치되며, 다슬기를 익힘수조의 온수에 담갔다가 상기 분리장치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장치는,
    상기 이송수단으로부터 이송된 복수의 다슬기를 한 개씩 이송시키되 다슬기를 기준으로 양측에서 회전되면서 다슬기의 개구부가 상방을 향하도록 세워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의 단부 일측에 마련되되 이송스크류와는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둘레에는 이송스크류를 통해 이송된 다슬기를 한 개씩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다슬기 거치홈이 형성되어 회전방향으로 다슬기를 이송시키는 이송회전판;
    상기 이송회전판의 하방에 설치되며, 이송회전판의 회전시 다슬기 거치홈에 수용된 다슬기의 말단을 간섭하여 절단시키는 커팅부;
    말단이 절단된 다슬기의 하방에 대응되며, 다슬기의 말단을 향해 에어 또는 물을 분사하여 다슬기 껍데기로부터 다슬기 알맹이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과 이송스크류 사이에 설치되며,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된 복수의 다슬기를 일렬로 정렬시키는 코스(course)를 형성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진동을 가하여 코스에 정렬된 다슬기들을 이송스크류로 이송시키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정렬부가 더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의 코스 일부는 'V'홈을 형성하고, 트레이의 코스 나머지는 상,하 개구된 통공을 형성하며,
    다슬기는 트레이 진동에 의해 코스를 따라 이송되다가 상기 통공에 세워지게 걸려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알맹이 자동분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 상방에는 한 쌍의 이송스크류 사이에 개재된 다슬기의 개구부를 향해 에어 또는 물을 분사하여 다슬기의 딱지를 제거시키는 딱지제거부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슬기 거치홈으로부터 다슬기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송회전판의 둘레 일부를 감싸는 이탈방지 가이드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회전판의 일측에는 다슬기 거치홈 상에서 다슬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가압하는 다슬기 고정지그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슬기 고정지그는,
    다슬기 말단 절단시 다슬기를 가압하는 제1고정지그로 구성되되, 제1고정지그의 단부는 이송회전판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KR1020170025796A 2017-02-27 2017-02-27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KR101989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796A KR101989530B1 (ko) 2017-02-27 2017-02-27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796A KR101989530B1 (ko) 2017-02-27 2017-02-27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978A KR20180099978A (ko) 2018-09-06
KR101989530B1 true KR101989530B1 (ko) 2019-06-18

Family

ID=63593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796A KR101989530B1 (ko) 2017-02-27 2017-02-27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7311B (zh) * 2020-09-21 2022-05-17 刘运皇 一种食品加工用钉螺去尾装置
KR102267926B1 (ko) 2020-12-01 2021-06-22 (주)지씨에스 골뱅이 탈각장치
KR102481822B1 (ko) * 2021-01-21 2022-12-27 주식회사 엠티솔루션 원심력을 이용한 패류의 육질 회수 방법
CN113412852B (zh) * 2021-07-02 2023-04-14 泉州市润协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成年圆田螺用的去尾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335B1 (ko) * 1995-11-17 1999-06-01 정채웅 패류 박피 장치
KR200190988Y1 (ko) * 1997-10-23 2000-11-01 송명진 고동의 꼬리 커팅장치
KR101490978B1 (ko) * 2013-08-16 2015-02-09 계문애 알약이송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909B1 (ko) * 2010-04-16 2013-01-09 손상호 다슬기 탈각기
KR20120007899U (ko) 2011-05-11 2012-11-21 오광균 고둥의 껍질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335B1 (ko) * 1995-11-17 1999-06-01 정채웅 패류 박피 장치
KR200190988Y1 (ko) * 1997-10-23 2000-11-01 송명진 고동의 꼬리 커팅장치
KR101490978B1 (ko) * 2013-08-16 2015-02-09 계문애 알약이송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978A (ko) 2018-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530B1 (ko) 다슬기 알맹이 자동 분리장치
CN104802206B (zh) 一种将马铃薯制成马铃薯块的前处理设备
CN103919082A (zh) 用于生产土豆块的设备
US2418519A (en) Blanching machine
CN103947983A (zh) 制备土豆条的加工设备
CN103876072A (zh) 一种薯类全粉生产成套设备
US5928072A (en) Water based crab meat extraction process with water recirculation
US10736466B2 (en) Rice washer
KR101666145B1 (ko) 껍질 제거 장치
CN105455150A (zh) 一种芡实剥壳机
KR100507711B1 (ko) 대두피 탈피장치
KR20140058822A (ko) 떡 주정장치
CN203884617U (zh) 制备土豆条的加工设备
KR101805312B1 (ko) 두류나물 탈피기
KR100188335B1 (ko) 패류 박피 장치
NO153713B (no) Innretning for utvinning av kjoettet i smaa krepsdyr
KR20160056228A (ko) 견과류의 껍질 분리 회수장치
CN206251884U (zh) 一种果子剥皮分离处理装置
KR101548665B1 (ko) 수하식 양식굴의 가공장치
KR20200062914A (ko) 옥수수 자동 탈립기 및 이를 이용한 옥수수 제품 제조 공정
CN211363375U (zh) 一种彩色吸管挤出装置
CN217038668U (zh) 肉食鸡加工流水线中的鸡爪处理系统
CN113615850B (zh) 一种蔬菜前处理综合生产线
CN203884616U (zh) 土豆片的生产设备
CN219228939U (zh) 一种核桃仁脱皮除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