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888B1 -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888B1
KR101804888B1 KR1020170113264A KR20170113264A KR101804888B1 KR 101804888 B1 KR101804888 B1 KR 101804888B1 KR 1020170113264 A KR1020170113264 A KR 1020170113264A KR 20170113264 A KR20170113264 A KR 20170113264A KR 101804888 B1 KR101804888 B1 KR 101804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ortions
elastic
bracke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영
Original Assignee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1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직각으로 만나는 콘크리트벽과 조적벽 간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벽(26)에 고정되는 브래킷(20); 브래킷(2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와이어 걸림부(22)(24); 와이어 걸림부(22)(24)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상향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반원홈(22g)(24g); 조적벽돌(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접합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사이가 벌어지면서 반원홈(22g)(24g)에 걸리는 개루프 형태의 탄성와이어(40); 탄성와이어(40)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와이어 걸림부(22)(24)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향절곡부(42)(44); 상향절곡부(42)(44)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어 반원홈(22g)(24g)에 걸리는 상부걸림부(46)(4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Masonry Wall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상호 직각으로 만나는 콘크리트벽과 조적벽 간을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조적벽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낮이 조절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돌, 벽돌, 콘크리트 블럭 등을 층층이 쌓아 올려서 만드는 조적벽과 콘크리트벽이 직각으로 만나는 접합부위는 취약해서 균열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콘크리트벽과 조적벽돌 간을 기구적으로 결속하기 위한 조적벽 고정장치에 의해 보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적벽 고정장치에 관한 종래기술 1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43227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 1은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벽(10)에 고정되는 연결구(13)와, 조적벽돌(12)에 고정되는 연결부재(14)로 구성되며, 연결구(13)에는 콘크리트벽(10)에 고정되는 못(15)을 삽입하기 위한 고정공(13a)이 형성되어 있고, 정면 중앙에는 연결편(16)을 통과시키기 위한 장방형의 삽입장공(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종래기술 1은 콘크리트벽(10)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전방측으로 절곡된 충진부(17)가 연결구(13)의 중앙 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충진부(17)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장방형의 이동편(18) 정면에는 삽입장공(13b)을 통해 수평하게 돌출되어 조적벽돌(12)에 고정되는 연결편(16)이 결합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은 연결편(16)의 후단부에 달려 있는 이동편(18)의 후면이 콘크리트벽(10)에 접촉된 채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콘크리트벽(10)이 거친 표면을 갖거나 편석 등이 돌출된 경우 이동편(18)의 움직임이 부드럽지 못해 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콘크리트벽(10)의 굴곡이 심한 경우에는 아예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종래기술 1은 콘크리트벽(10)에 고정되는 연결구(13)의 충진부(17) 유격이 크게 형성되어 이동편(18)이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콘크리트벽(10)에 바르는 모르타르(19)가 충진부(17) 안으로 충분히 공급되지 못할 경우 충진부(17) 안에 공극이 존재하게 되어 연결편(16)과 조적벽돌(12)의 연결이 부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조적벽 고정장치에 관한 종래기술 2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69709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 2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가동편과 벽돌고정편을 두 개의 세트스크류를 이용해서 소정 높이에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2는 두 개의 세트스크류를 매번 돌려서 고정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제조시 상하부의 벽돌고정편을 적층한 다음 스포트 용접에 의해 서로 접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립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고, 특히 좌우측의 절곡편을 절곡하기 전에 가동편을 수직안내부에 미리 조립해 두어야만 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조적벽 고정장치에 관한 종래기술 3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31862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 3은 위치조정판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여서 높낮이를 조정한 다음 가이드채널에 형성된 꺾쇠를 위치고정판에 형성된 걸림홈을 향해 안쪽으로 구부려서 위치조정판을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 3은 위치조정판의 높낮이를 조정한 다음 플라이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서 일일이 꺾쇠를 안쪽으로 구부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꺾쇠를 한번 구부리고 나서 위치조정판의 높이를 재수정하기 위해 꺾쇠를 다시 폈다 구부리는 것을 반복하게 되면, 꺾쇠가 가공경화에 의해 파단 되어 아예 못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343227호 (2002.07.06.)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69709호 (2014.12.08.)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631862호 (2016.06.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높낮이 조절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와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는, 콘크리트벽에 고정되는 브래킷; 브래킷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와이어 걸림부; 와이어 걸림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상향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반원홈; 조적벽돌의 사이에 위치되어 접합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사이가 벌어지면서 반원홈에 걸리는 개루프 형태의 탄성와이어; 탄성와이어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와이어 걸림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향절곡부; 상향절곡부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어 반원홈에 걸리는 상부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상향절곡부의 사이로 진입되는 와이어 지지판; 와이어 지지판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해 절곡되고, 브래킷의 정면에 지지되어 상향절곡부를 전방측으로 밀어내는 한 쌍의 탄성지지편; 와이어 지지판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누름편; 누름편의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걸림부의 사이로 끼워지는 하향돌출부; 하향돌출부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부걸림부의 상면에 걸리는 낙하방지편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탄성와이어(40)를 손으로 잡아서 사이를 좁히면 와이어 걸림부(22)(24)의 사이에서 자유롭게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잡고 있던 손을 놓으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성와이어(40)의 후단부와 상부걸림부(46)(48)가 반원홈(22g)(24g)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높낮이 조정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 지지판(5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탄성지지편(51)(52)이 브래킷(20)에 지지된 채 상향절곡부(42)(44)를 전방측으로 밀어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와이어(4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지지편(51)(52)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누름편(53)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향돌출부(55)가 상부걸림부(46)(48)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와이어(40)의 후단부와 상부걸림부(46)(48)가 반원홈(22g)(24g)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부걸림부(46)(48)의 상면에 걸리는 낙하방지편(56)(57)에 의해 와이어 지지판(50)이 자중에 의해 아래쪽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편(53)이 와이어 지지판(5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탄성지지편(51)(52)을 상향절곡부(42)(44)와 브래킷(20)의 사이에 강제로 삽입하는 것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성지지편(51)(52)이 상향절곡부(42)(44)와 브래킷(20) 사이로 진입될 때 탄성복원력을 갖고 벌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향절곡부(42)(44)와 브래킷(20) 사이의 간격이 가공오차, 조립오차 등에 의해 예상보다 좁아진 경우에도 진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탄성와이어(40)가 전후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하방향으로 높이차가 있는 탄성와이어(40)의 후단부와 상부걸림부(46)(48)가 동시에 반원홈(22g)(24g)에 걸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와이어(40)를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와이어(4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조적벽 고정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조적벽 고정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와이어를 반원홈에 걸기 전에 오므린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와이어가 반원홈에 걸린 상태에서 와이어 지지판을 상향절곡부의 사이로 진입시키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상태로부터 와이어 지지판이 결합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평단면도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벽(26)에 고정되는 브래킷(20); 브래킷(2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와이어 걸림부(22)(24); 와이어 걸림부(22)(24)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상향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반원홈(22g)(24g)을 포함한다.
브래킷(20)과 와이어 걸림부(22)(24)는,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특히 와이어 걸림부(22)(24)는 절곡에 의해 ㄷ자 단면의 채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20)의 상하단에 연장부(20a)(20b)를 형성하고, 콘크리트 못(29)을 이용해서 브래킷(20)을 콘크리트벽(26)에 고정하기 위해 연장부(20a)(20b)에 못구멍(27)(28)을 형성할 수 있다.
와이어 걸림부(22)(24)에 각각 형성되는 반원홈(22g)(24g)은, 좌우측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하며, 반원홈(22g)(24g)의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은 조적벽돌(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접합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사이가 벌어지면서 반원홈(22g)(24g)에 걸리는 개루프 형태의 탄성와이어(40); 탄성와이어(40)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와이어 걸림부(22)(24)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향절곡부(42)(44); 상향절곡부(42)(44)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어 반원홈(22g)(24g)에 걸리는 상부걸림부(46)(48)를 포함한다.
탄성와이어(40)와 상향절곡부(42)(44) 및 상부걸림부(46)(48)는, 예를 들면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단면을 갖는 스프링 강선을 이용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와이어(40)는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ㄷ자 모양으로 절곡될 수 있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적벽돌(30)의 사이에 위치된 벽돌접합제(32)에 탄성와이어(40)를 매립해서 고정한다.
탄성와이어(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가 좁아지도록 오므리면 탄성와이어(40)의 끝부분과 상부걸림부(46)(48)가 반원홈(22g)(24g)으로부터 이탈되어 걸림이 해제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와이어(40)로부터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사이가 벌어지면서 탄성와이어(40)의 끝부분과 상부걸림부(46)(48)가 반원홈(22g)(24g)으로 삽입되어 걸린다.
이때 탄성와이어(40)의 후단부와 상부걸림부(46)(48)의 중심간의 거리는 반원홈(22g)(24g)의 간격에 배수에 해당하는 거리를 갖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향절곡부(42)(44)의 사이로 진입되는 와이어 지지판(50); 와이어 지지판(50)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해 절곡되고, 브래킷(20)의 정면에 지지되어 상향절곡부(42)(44)를 전방측으로 밀어내는 한 쌍의 탄성지지편(51)(52); 와이어 지지판(5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누름편(53)을 포함한다.
탄성지지편(51)(52)은, 도 8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지지편(51)(52)의 에지부(52e)가 브래킷(20)의 정면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탄성지지편(51)(52)의 경사면이 상향절곡부(42)(44)에 접촉되어 상향절곡부(42)(44)를 전방측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누름편(53)은, 탄성지지편(51)(52)을 브래킷(20)과 상향절곡부(42)(44)의 사이로 삽입할 때 손가락으로 누르기에 편리하도록 형성한 것이며, 하기의 하향돌출부(55)와 와이어 지지판(50)의 상단부에 ㄷ자 단면을 갖도록 절곡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누름편(53)의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걸림부(46)(48)의 사이로 끼워지는 하향돌출부(55); 하향돌출부(55)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부걸림부(46)(48)의 상면에 걸리는 낙하방지편(56)(57)을 포함한다.
하향돌출부(55)는, 상부걸림부(46)(48)의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와이어(40)의 사이가 오므라들면서 반원홈(22g)(24g)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낙하방지편(56)(57)은, 와이어 지지판(50)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걸림부(46)(48)의 상면에 낙하방지편(56)(57)이 접촉되면서 와이어 지지판(50)의 낙하를 방지한다.
와이어 지지판(50)과 탄성지지편(51)(52), 누름편(53), 하향돌출부(55), 낙하방지편(56)(57)는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20)을 세로로 세운 다음 콘크리트벽(26)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못(29)을 브래킷(20)에 형성된 못구멍(27)(28)을 통해 콘크리트벽(26)에 박게 되면, 브래킷(20)이 콘크리트벽(26)에 고정된다.
이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와이어(40)의 좌우측을 손으로 잡아서 사이를 좁히게 되면, 탄성와이어(40)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향절곡부(42)(44)과 상부걸림부(46)(48)를 와이어 걸림부(22)(24)의 사이로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와이어(40)에 형성된 상향절곡부(42)(44)는 와이어 걸림부(22)(24)의 안쪽에 위치시키고, 탄성와이어(40)의 후단부와 상부걸림부(46)(48)는 와이어 걸림부(22)(24)의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탄성와이어(40)의 중심과 반원홈(22g)(24g)의 중심을 동일한 높이로 일치시킨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잡고 있던 탄성와이어(40)로부터 손을 떼어서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와이어(4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되면서 탄성와이어(40)의 후단부와 상부걸림부(46)(48)가 반원홈(22g)(24g)으로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후 와이어 지지판(50)을 상향절곡부(42)(44)의 사이로 진입시키면서 탄성지지편(51)(52)을 브래킷(20)과 상향절곡부(42)(44)의 사이로 삽입한 다음, 손가락을 이용해서 누름편(53)을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면, 탄성지지편(51)(52)이 브래킷(20)과 상향절곡부(42)(44)의 사이로 강제 삽입된다.
이때 도 8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지지판(50)의 좌우측에 형성된 탄성지지편(51)(52)의 에지부(52e)가 브래킷(20)의 정면에 접촉된 채 지지되며, 탄성지지편(51)(52)의 정면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향절곡부(42)(44)에 접촉되어 전방측을 향해 밀어내게 된다.
브래킷(20)과 상향절곡부(42)(44) 간의 간격이 가공오차, 조립오차 등에 의해 좁아진 경우에는 탄성지지편(51)(52)이 탄성복원력을 갖고 약간 펴지기 때문에 좁아진 브래킷(20)과 상향절곡부(42)(44)의 사이로 무난히 진입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지지판(50)이 아래쪽으로 하강되면, 누름편(53)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향돌출부(55)가 상부걸림부(46)(48)의 사이로 삽입되며, 상부걸림부(46)(48)가 하향돌출부(55)에 걸리면서 상부걸림부(46)(48)와 탄성와이어(40)가 반원홈(22g)(24g)으로부터 빠질 수 없게 된다.
이후 하향돌출부(55)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된 낙하방지편(56)(57)이 상부걸림부(46)(48)의 상면에 접촉되면, 와이어 지지판(50)이 아래쪽으로 더 이상 움직일 수 없게 되므로, 와이어 지지판(50)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20)을 콘크리트벽(26)에 고정한 상태에서 조적벽돌(30) 위에 다른 조적벽돌(30)을 쌓은 다음 조적벽돌(30)의 상면에 벽돌접합제(32)를 바른 상태에서 탄성와이어(40)가 벽돌접합제(32)에 매립되는 대략적인 높이에 위치되도록 브래킷(20)에 결합한 다음 또 다른 조적벽돌(30)을 쌓게 되면, 탄성와이어(40)가 조적벽돌(30) 간의 사이에 바른 벽돌접합제(32)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조적벽(34)과 콘크리트벽(26)이 서로 결속된다.
20 : 브래킷 20a,20b : 연장부
22,24 : 와이어 걸림부 22g,24g : 반원홈
26 : 콘크리트벽 27,28 : 못구멍
29 : 콘크리트 못 30 : 조적벽돌
32 : 벽돌접합제 34 : 조적벽
40 : 탄성와이어 42,44 : 상향절곡부
46,48 : 상부걸림부 50 : 와이어 지지판
51,52 : 탄성지지편 52e : 에지부
53 : 누름편 55 : 하향돌출부
56,57 : 낙하방지편

Claims (2)

  1. 콘크리트벽(26)에 고정되는 브래킷(20);
    상기 브래킷(20)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좌우 대칭을 이루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와이어 걸림부(22)(24);
    상기 와이어 걸림부(22)(24)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상향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반원홈(22g)(24g);
    조적벽돌(30)의 사이에 위치되어 접합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사이가 벌어지면서 상기 반원홈(22g)(24g)에 걸리는 개루프 형태의 탄성와이어(40);
    상기 탄성와이어(40)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와이어 걸림부(22)(24)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향절곡부(42)(44);
    상기 상향절곡부(42)(44)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어 상기 반원홈(22g)(24g)에 걸리는 상부걸림부(46)(48);
    를 포함하는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절곡부(42)(44)의 사이로 진입되는 와이어 지지판(50);
    상기 와이어 지지판(50)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후방을 향해 절곡되고, 상기 브래킷(20)의 정면에 지지되어 상기 상향절곡부(42)(44)를 전방측으로 밀어내는 한 쌍의 탄성지지편(51)(52);
    상기 와이어 지지판(5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누름편(53);
    상기 누름편(53)의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걸림부(46)(48)의 사이로 끼워지는 하향돌출부(55);
    상기 하향돌출부(55)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부걸림부(46)(48)의 상면에 걸리는 낙하방지편(56)(57);
    을 포함하는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
KR1020170113264A 2017-09-05 2017-09-05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 KR101804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264A KR101804888B1 (ko) 2017-09-05 2017-09-05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264A KR101804888B1 (ko) 2017-09-05 2017-09-05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888B1 true KR101804888B1 (ko) 2017-12-06

Family

ID=6092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264A KR101804888B1 (ko) 2017-09-05 2017-09-05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8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527B1 (ko) 2021-04-12 2021-08-27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2347099B1 (ko) * 2021-10-28 2022-01-05 주식회사 픽스 다용도 건축물 외장 조적벽돌 또는 비구조체 공사 내진 보강장치
KR102352117B1 (ko) 2021-07-30 2022-01-18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적벽 내진 보강장치
KR102516973B1 (ko) 2022-02-21 2023-04-04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51B1 (ko) 2016-06-09 2016-10-25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51B1 (ko) 2016-06-09 2016-10-25 (주)유선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적벽 결속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527B1 (ko) 2021-04-12 2021-08-27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2352117B1 (ko) 2021-07-30 2022-01-18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조적벽 내진 보강장치
KR102347099B1 (ko) * 2021-10-28 2022-01-05 주식회사 픽스 다용도 건축물 외장 조적벽돌 또는 비구조체 공사 내진 보강장치
KR102516973B1 (ko) 2022-02-21 2023-04-04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888B1 (ko) 건축용 조적벽 고정장치
RU2654916C1 (ru) Потолочная система
NL2002668C2 (nl) Samenstel voor het tijdelijk bevestigen van een verticale profielbalk aan een binnenste blad van een spouwmuur.
KR101631862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1469709B1 (ko)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KR101815974B1 (ko) 조적벽 연결장치
KR20200141799A (ko)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한 가구용 프레임
US7926238B2 (en) Stab-in connector
WO2008035921A1 (en) Channel connector and clip for ceiling closing
KR102189496B1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AU2009101115A4 (en) A Continuously Adjustable Furring Channel Clip
JP2012167428A (ja) タイル表面の平面構成用補助具
KR101317670B1 (ko) 조명등 커버 고정구조
NZ506548A (en) Support for mounting on a brick wall having a first elongate member with mortar recess engaging hook and a second elongate member with mortar recess engaging hook where the second elongate member is pivotably engageable with the first elongate member
EP1647650A2 (en) Skirting board
KR101669151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결속장치
CN111655951B (zh) 用于瓷砖的平整器
NL2012799B1 (nl) Klem voor een uit planken samengestelde vloer, en een systeem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ergelijke vloer.
KR101556993B1 (ko) 공동주택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482760Y1 (ko) 조립식 선반
KR101638046B1 (ko) 공동주택용 코너비드
KR940008312B1 (ko) 타일블럭벽체
JP7023658B2 (ja) ボード取付金物およびボード取付構造
WO1998028500A1 (en) A joint plate for concrete
JP5329509B2 (ja) 建築用壁面板の取付金具及び建築用壁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