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639B1 -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639B1
KR101804639B1 KR1020150164514A KR20150164514A KR101804639B1 KR 101804639 B1 KR101804639 B1 KR 101804639B1 KR 1020150164514 A KR1020150164514 A KR 1020150164514A KR 20150164514 A KR20150164514 A KR 20150164514A KR 101804639 B1 KR101804639 B1 KR 101804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haft
closing
fluid
cl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290A (ko
Inventor
한동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63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는, 제1유체가 유동하는 제1개구와, 제2유체가 유동하는 제2개구, 및 상기 제1개구 또는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유입된 제1유체 또는 제2유체가 배출되는 출수배관을 포함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 내에서 상기 제1배관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제1개폐유닛; 및 상기 밸브바디 내에서 상기 제2배관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제2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유닛의 단부는, 상기 제1개폐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제1개폐유닛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크밸브{Check valve}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체크밸브는 일반적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에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상기 유로 상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유체의 유동을 한 방향으로만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크 밸브는 외부에서 사용자의 별다른 입력 없이 유체의 유동에 따른 유압만으로 작동하게 된다.
선행 문헌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9-0032347에는 이러한 체크밸브에 관한 사상이 개시된다.
선행 문헌에 개시된 체크밸브의 경우, 튜브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유입부와 다른 튜브관이 타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유체의 유동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통로보다 내경이 좁게 형성된 개폐구가 상기 유동통로의 입측에 형성된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유체의 유동방향을 한 방향으로 허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종래의 체크밸브에서는, 서로 다른 조건의 두 가지 유체에 대해 역류 방지해야 할 경우, 두 가지 유체 각각의 유로에 체크밸브를 각각 적용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조건의 유체가 각각 다른 유압을 가질 경우, 두 가지 유압에 따라 동작되는 체크밸브가 각각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조건의 유체가 유동하는 각각의 유로에 설치되어 두 가지 유체 중 일 유체를 유동시킬 수 있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일 유체가 다른 유체 측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이 다른 두 유체가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두 유체의 유량이 달라지도록 하는 체크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는, 서로 다른 조건의 유체를 하나의 출수배관으로 유동시키기 위하여, 제1개구 및 제2개구와 출수부를 구비하는 밸브바디를 포함한다.
제1개구를 통하여 제1유체가 유동할 수 있고, 제2개구를 통하여 제2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제1개구와 제2개구 각각에서의 유체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체크밸브는, 제1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개폐유닛과, 제2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2개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개폐유닛의 단부는, 제1개폐유닛을 관통하여 제1개폐유닛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개폐유닛은 제1개구에서의 물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면, 제2개폐유닛을 제2개구에서의 물 유동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세히, 제1개폐유닛은 제1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와, 제1개폐부재를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2개폐유닛은, 제2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와, 제1개폐부재 및 제2개폐부재를 함께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개폐부재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제1샤프트와, 제1샤프트와 결합되며, 제1개구와 접촉할 수 있는 제1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제2개폐부재는, 제2탄성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제2샤프트와, 제2샤프트와 결합되며, 제2개구와 접촉할 수 있는 제2차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샤프트의 단부는 제1샤프트를 관통하여 제1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샤프트는, 제1차폐부재가 장착되는 샤프트 바디와, 샤프트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제2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돌출부와, 제1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제1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제2돌출부, 및 제2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제2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제3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돌출부의 직경은, 제1돌출부의 직경보다 작고, 제3돌출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돌출부는, 제2개폐유닛의 일부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샤프트는, 제2차폐부재가 장착되는 샤프트 바디와, 샤프트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제1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돌출부, 및 제1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제1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제1개폐유닛을 관통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는, 밸브바디 내에 배치되며, 밸브바디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출수배관 측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유닛은, 제1면이 제1개폐유닛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개방되고,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이 제2개폐유닛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개방되고, 제1면과 제2면을 연결하는 가이드유닛의 연결면에는 제1유체 또는 제2유체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유닛은,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제1샤프트가 관통되는 지지부와,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샤프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구를 통하여 유입된 제1유체는 지지부의 일면을 따라 유동한 후에 개구부를 통과하고, 제2개구를 통하여 유입된 제2유체는 지지부의 타면을 따라 유동한 후에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서로 다른 조건의 유체가 하나의 체크밸브에 의해서 역류가 방지되므로, 각각의 유로상에 체크밸브를 각각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부품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체크밸브에 의해서 서로 다른 조건의 유체가 흐르는 두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므로, 두 가지 유체가 서로 섞이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크밸브의 두 개폐유닛의 개폐 동작을 위한 동작력이 서로 다르므로, 서로 다른 조건의 유체의 유압이 동일하게 설정되면,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두 개폐유닛의 개폐 동작을 위한 동작력이 서로 다르므로, 유압이 서로 다른 유체가 유동하더라도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체크밸브가 적용된 정수기의 배관도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배관의 개구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체크밸브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배관의 개구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체크밸브의 종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체크밸브가 적용된 정수기의 배관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는 일 예로 본 발명의 체크밸브(1)가 정수기에 적용된 것이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체크밸브(1)는 냉장고 등 물을 취출하거나 취급할 수 있는 모든 가전제품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1)는, 냉수조(93)의 냉수가 배출되는 냉수 배출관(95)과, 온수조(94)의 온수가 배출되기 위한 온수 배출관(96)이 합지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와 온수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다수의 필터(90A, 90B, 90C)에 의해서 필터링된 정수는, 정수관(91)을 통해 정수조(9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정수조(92)에 저장된 정수는 상기 정수조(92)의 하측에 위치된 냉수조(93)로 공급될 수 있으며, 또는 연결관(921)을 통해 온수조(94)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수조(93)로 유동한 정수는, 상기 냉수조(93)에 구비된 냉각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으며, 상기 온수조(94)로 유동한 정수는, 상기 온수조(94)에 구비된 가열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수조(93)에는 냉수가 저장되고, 상기 온수조(94)에는 온수가 저장된다.
상기 냉수조(93)에 저장된 냉수는 냉수 배출관(95)을 통해 공통 배출관(99)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온수조(94)에 저장된 온수는 온수 배출관(96)을 통해 상기 공통 배출관(99)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출관(95)의 어느 지점에는, 상기 냉수 배출관(95)에서의 냉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냉수 밸브(97)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온수 배출관(96)의 어느 지점에는, 상기 온수 배출관(96)에서의 온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온수 밸브(98)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배출관(95)과 온수 배출관(96)이 합지되는 지점에는 본원발명의 체크밸브(1)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통 배출관(99)에서의 냉수 또는 온수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냉수 또는 온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수 또는 온수가 다른 유체측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냉수 또는 온수의 유량을 달리하여 상기 공통 배출관(99)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체크밸브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체크밸브(1)는 물이 유동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밸브바디(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10)는 복수의 관통홀(113, 114,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관통홀(113, 114, 123)은 제1관통홀(113), 제2관통홀(114) 및 제3관통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113)에는 제1유체가 유동하는 제1배관(101)이 관통되며, 상기 제2관통홀(114)에는 제2유체가 유동하는 제2배관(103)이 관통되며, 상기 제3관통홀(123)에는 상기 제1유체 또는 제2유체가 배출되는 출수배관(105)이 관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밸브바디(10)는 상기 제1관통홀(113) 및 제2관통홀(114)이 형성되는 제1바디(11) 및 상기 제1바디(1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3관통홀(123)이 형성되는 제2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바디(12)가 생략되고 상기 제3관통홀(123)이 상기 제1바디(1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관통홀(113) 및 제2관통홀(114)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관통홀(113) 및 제2관통홀(114) 사이 영역에 상기 제3관통홀(12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1)의 제1면(111)에는 상기 제1관통홀(1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바디(11)의 제2면(112)에는 제2관통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1바디(1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면(111)과 상기 제2면(112)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관(101)과 상기 제2배관(103)을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배관 중 어느 한 배관은 냉수, 정수, 온수 중 어느 한 종류의 물이 유동할 수 있고, 다른 한 배관은 냉수, 정수, 온수 중 다른 한 종류의 물이 유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배관(101)과 상기 제2배관(103)을 유동하는 유체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배관(101)과 상기 제2배관(103)을 유동하는 유체의 유압이 다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바디(12)의 상면(121)에 형성된 제3관통홀(123)에는, 상기 제1관통홀(113)과 연통되는 제1배관(101)의 개구(102) 또는 상기 제2관통홀(114)과 연통되는 제2배관(103)의 개구(104)를 통해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외부로 토출되기 위한 상기 출수배관(105)이 연통됨으로써,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출수배관(105)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 또는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를 통해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제1유체 또는 제2유체는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부공간을 지나 상기 출수배관(105)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관(101) 및 제2배관(103)은 상기 밸브바디(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밸브바디(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배관(101) 및 제2배관(103)은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상기 제1관통홀(113) 및 제2관통홀(114)이 각각 제1유체가 유입되는 제1개구 및 제2유체가 유입되는 제2개구 역할을 한다.
상기 체크밸브(1)는,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에서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제1개폐유닛(A)과,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에서의 물 유동을 제어하는 제2개폐유닛(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는,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제1개폐유닛(A) 및 상기 제2개폐유닛(B)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일 예로 상기 가이드유닛(50)이 제1개폐유닛(A)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가이드유닛(50)은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유닛(50)은 상기 제1개폐유닛(A) 및 상기 제2개폐유닛(B)의 일부가 수용되는 가이드 바디(51)와, 상기 가이드 바디(5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 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51)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써, 상기 밸브바디(10)의 제1바디(11)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바디(51)의 외주면은 상기 제1바디(11)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51)는 양측면(511, 513)이 모두 개방된 형태이며, 이 중 일 개방면(511)을 통해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 바디(51)의 내부로 수용되고, 타 개방면(513)을 통해 상기 제2개폐유닛(B)의 일부가 가이드 바디(51)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51)의 외주면에는 개구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 또는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가이드 바디(51)의 외주면에 형성된 개구부(515)를 통해 상기 출수배관(105)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부재(52)는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525)을 갖는 원판 형상의 지지부(521), 및 상기 관통홀(525)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1관통홀(113) 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521)에 형성된 관통홀(525)에는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일부가 끼워지며,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부(523)의 안내를 받아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배관(101)을 유동하는 제1유체가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를 통과하여 상기 제1개폐유닛(A)을 가압하면, 상기 제1개폐유닛(A)은 도 4에서 볼 때, 우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개폐유닛(A)이 제1유체의 유압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계속 이동되면,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일부가 상기 가이드부(523)에 걸림으로써, 상기 가이드부(523)는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523)가 상기 지지부(521)에 상기 제1관통홀(113)을 향하여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직선 이동 시 상기 가이드부(523)에 의해서 가이드 되는 구간이 증가되어 상기 제1개폐유닛(A)이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개폐유닛(A)은 상기 가이드 바디(51)의 내부공간에서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개폐유닛(A)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제1개폐유닛(A)은 제1개폐부재(20, 30)와, 제1개폐부재(20, 30)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개폐부재(20, 30)는 상기 가이드부(523)를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51) 내에서 수평 이동하는 제1샤프트(30)와, 상기 제1샤프트(30)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샤프트(30)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를 차폐하는 제1차폐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40)는 상기 제1샤프트(3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샤프트(30)는 상기 제1차폐부재(20)가 장착되는 샤프트 바디(31)와, 상기 샤프트 바디(31)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유닛(50)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돌출부(33)와, 상기 제1돌출부(33)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33)의 돌출 방향으로 더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부(523)를 관통하는 제2돌출부(35) 및 상기 제2돌출부(35)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돌출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제3돌출부(37)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돌출부(35)의 외주면은 상기 가이드부(523)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35)의 직경은 상기 제1돌출부(33)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3돌출부(37)의 직경보다는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제2, 제3 돌출부(33, 35, 37)는 상기 샤프트 바디(31)의 일면으로부터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돌출부(33, 35, 3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가 중공일 수 있다. 상기 제3돌출부(37)는 상기 제2개폐유닛(B)의 일부가 상기 제3돌출부(37)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관통홀(37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샤프트 바디(31)의 타면에는 상기 제1차폐부재(20)가 안착되는 안착홈(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바디(31)의 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홈(311)에 장착된 제1차폐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13)이 상기 샤프트바디(31)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311)에 수용된 제1차폐부재(20)는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안착홈(311)에 견고히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40)는 상기 제1돌출부(33)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 바디(31) 및 상기 지지부(52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탄성부재(40)는 상기 제1샤프트(30)가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에서의 물 유동을 차단하는 방향(도면 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제1샤프트(30)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1개폐유닛(A)은 상기 제1탄성부재(4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를 차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개폐유닛(B)은 상기 가이드 바디(51)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일부를 관통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제2개폐유닛(B)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제2개폐유닛(B)은 제2개폐부재(70, 80)와, 제2개폐부재(70, 80)를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개폐부재(70, 80)는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일부를 관통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51) 내에서 수평 이동하는 제2샤프트(70)와, 상기 제2샤프트(70)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샤프트(70)의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를 차폐하는 제2차폐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80)는 상기 제2샤프트(7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샤프트(70)는 상기 제2차폐부재(80)가 장착되는 샤프트 바디(71)와, 상기 샤프트 바디(71)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유닛(50)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돌출부(73) 및 상기 제1돌출부(73)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73)의 돌출 방향으로 소정길이 더 돌출되어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일부를 관통하는 제2돌출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75)는 봉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돌출부의 직경은 상기 제1돌출부(7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돌출부(75)는 상기 제1샤프트(30)의 제3돌출부(37)에 형성된 관통홀(371)을 관통하여 상기 제3돌출부(37)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샤프트(70)는 상기 제1샤프트(30)의 제3돌출부(37)에 의해서 안내 받아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배관(103)을 유동하는 제2유체가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를 통과하여 상기 제2개폐유닛(B)을 가압하면, 상기 제2개폐유닛(B)은 도 3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개폐유닛(B)이 상기 제2유체의 유압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계속 이동되면, 상기 제2개폐유닛(B)의 제1돌출부(73)가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제3돌출부(37)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3돌출부(37)는 상기 제2개폐유닛(B)의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바디(71)의 타면에는 상기 제2차폐부재(80)가 안착되는 안착홈(7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711)에는 상기 제2차폐부재(80)가 안착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바디(71)의 타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홈(711)에 장착된 제2차폐부재(8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713)이 상기 샤프트 바디(71)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711)에 수용된 제2차폐부재(80)는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상기 안착홈(711)에 견고히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60)는 상기 제1샤프트(30)와 상기 제2샤프트(7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탄성부재(60)의 일단은 상기 제2샤프트(70)의 제1돌출부(73)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타단은 상기 제1샤프트(30)의 제3돌출부(37)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2탄성부재(60)는 상기 제2샤프트(70)의 샤프트 바디(71) 및 상기 제1샤프트(30)의 제2돌출부(35)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탄성부재(60)는 상기 제2샤프트(70)가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에서의 물 유동을 차단하는 방향(도면 상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제2샤프트(70)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2개폐부재(B)는 상기 제2탄성부재(6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를 차폐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개폐유닛(B)은 상기 제2탄성부재(60)에 의해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에서의 물 유동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받는 상태이며, 상기 제1개폐유닛(A)은 상기 제1탄성부재(40) 및 상기 제2탄성부재(60) 모두에 의해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3)에서의 물 유동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를 받고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제1개폐유닛(A)을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에서의 물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도면 상 우측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가압력은, 상기 제2개폐유닛(B)을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에서의 물 유동을 차단하는 방향(도면 상 좌측 방향)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가압력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개폐유닛(A)과 상기 제2개폐유닛(B)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하중(가압력)은 서로 다르게 된다.
이하,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배관의 개구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체크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배관(101)을 유동하는 제1유체는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로 유입되어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를 차폐하고 있는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제1차폐부재(2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배관(101)을 유동하는 제1유체의 유압은, 상기 제1차폐부재(20)를 우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체의 유입으로 인한 유압이 상기 제1개폐유닛(A)을 탄성 지지하고 있는 상기 제1탄성부재(40) 및 상기 제2탄성부재(60)에 의한 탄성력보다 크게 되면, 상기 제1개폐유닛(A)은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에서의 물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제1샤프트(30)는 상기 가이드유닛(50)의 가이드부(523)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샤프트(30)의 제1돌출부(33)는 상기 가이드부(523)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샤프트(30)의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체의 유압으로 인해 상기 제1개폐유닛(A)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차폐부재(20)가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3)와 이격되어 상기 제1차폐부재(20)와 상기 제1배관(101) 사이에 제1유입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열림 동작으로 형성된 상기 제1유입공간(115)을 통해 상기 제1배관(101)을 유동하는 제1유체는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제1유입공간(115)을 통해 유입된 제1유체는 상기 가이드유닛(50)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지지부(521)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515) 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개구부(515)를 통과한 후 상기 출수배관(105)으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개폐유닛(A)이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에서의 물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개폐유닛(A)과 상기 제2개폐유닛(B) 사이에 개재된 제2탄성부재(60)가 압축하게 되고, 이러한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제2개폐유닛(B)이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에서의 물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개폐유닛(A)이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에서의 물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 상기 제2개폐유닛(B)은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를 계속적으로 차폐하도록 상기 제2개폐유닛(B)에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제2개폐유닛(B)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배관의 개구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체크밸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배관(103)을 유동하는 제2유체는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로 유입되어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를 차폐하고 있는 상기 제2개폐유닛(B)의 제2차폐부재(8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배관(103)을 유동하는 제2유체의 유압은, 상기 제2차폐부재(80)를 좌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유체의 유입으로 인한 유압이 상기 제2개폐유닛(B)을 탄성 지지하고 있는 상기 제2탄성부재(60)에 의한 탄성력보다 크게 되면, 상기 제2개폐유닛(B)은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에서의 물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2개폐유닛(B)의 제2샤프트(70)의 제2돌출부(75)는 상기 제1개폐유닛(A)의 제3돌출부(37)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샤프트(70)의 제1돌출부(73)는 상기 제1샤프트(30)의 제3돌출부(37)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샤프트(70)의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체의 유압으로 인해 상기 제2개폐유닛(B)이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2차폐부재(80)가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와 이격되어 상기 제2차폐부재(80)와 상기 제2배관(103) 사이에 제2유입공간(1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개폐유닛(B)의 열림 동작으로 형성된 상기 제2유입공간(116)을 통해 상기 제2배관(103)을 유동하는 제2유체는 상기 밸브바디(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제2유입공간(116)을 통해 유입된 제2유체는 상기 가이드유닛(50) 내부를 유동하고, 상기 지지부(521)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515) 측으로 유동하고, 상기 개구부(515)를 통과한 후 상기 출수배관(105)으로 토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개폐유닛(B)이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에서의 물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1개폐유닛(A) 측에 설치된 제1탄성부재(40)가 압축하게 되고, 이러한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제1개폐유닛(A)이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에서의 물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한다. 즉, 상기 제2개폐유닛(B)이 상기 제2배관(103)의 개구(104)에서의 물 유동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 상기 제1개폐유닛(A)은 상기 제1배관(101)의 개구(102)를 계속적으로 차폐하도록 상기 제1개폐유닛(A)에 가압력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조건의 유체가 유동하는 각각의 유로가 합지되는 지점에 본 발명의 체크밸브가 설치됨으로써, 각 조건의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 상에 각각의 체크밸브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조건의 유체가 유동하는 각각의 유로가 합지되는 지점에 본 발명의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각 유체가 유동하는 배관이 별개의 개폐유닛에 의해서 개폐됨에 따라서, 체크밸브 내에서 두 유체가 혼합되는 것이 방지되고, 일 유체가 다른 유체측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개폐유닛의 개폐 동작을 위한 동작력이 서로 다르므로, 서로 다른 조건의 유체의 유압이 동일하게 설정되면,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두 개폐유닛의 개폐 동작을 위한 동작력이 서로 다르므로, 유압이 서로 다른 유체가 유동하더라도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유량이 동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유닛 내부에 지지부가 구비되고, 제1개구와 제2개구 사이에 지지부가 위치되므로, 제1개구를 통하여 유입된 제1유체 또는 제2개구를 통하여 유입된 제2유체가 지지부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어 출수배관 측으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제1개구를 통하여 유입된 제1유체 또는 제2개구를 통하여 유입된 제2유체가 지지부에 의해서 출수배관 측으로 방향이 전환되므로, 밸브바디 내에서 제1유체 및 제2유체가 지지부의 반대편 측에 위치되는 개폐유닛 측에 잔류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Claims (13)

  1. 제1유체가 유동하는 제1개구와, 제2유체가 유동하는 제2개구, 및 상기 제1개구 또는 상기 제2개구를 통해 유입된 제1유체 또는 제2유체가 배출되는 출수배관을 포함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바디 내에서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제1개폐유닛; 및
    상기 밸브바디 내에서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제2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폐유닛은, 상기 제1개구를 차폐할 수 있는 제1차폐부재가 장착되는 샤프트 바디와, 상기 샤프트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2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제2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2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제3돌출부로 구성되는 제1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유닛의 단부는, 상기 제1개폐유닛의 제1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1샤프트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유닛은, 상기 제1개구를 개폐하는 제1개폐부재와, 상기 제1개폐부재를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유닛은, 상기 제2개구를 개폐하는 제2개폐부재와, 상기 제1개폐부재 및 상기 제2개폐부재를 함께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1개구와 접촉할 수 있는 제1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폐부재는, 상기 제2탄성부재에 의해서 지지되는 제2샤프트와, 상기 제2샤프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2개구와 접촉할 수 있는 제2차폐부재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의 직경은, 상기 제1돌출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3돌출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체크밸브.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돌출부는,
    상기 제2샤프트의 단부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을 가지는 체크밸브.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샤프트는,
    상기 제2차폐부재가 장착되는 샤프트 바디;
    상기 샤프트 바디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1돌출부의 돌출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제1샤프트를 관통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 내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바디 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출수배관 측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체크밸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일면이 상기 제1개폐유닛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이 상기 제2개폐유닛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개방되고,
    상기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상기 가이드유닛의 연결면에는 상기 제1유체 또는 제2유체가 통과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체크밸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제1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1샤프트가 관통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샤프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제1유체는 상기 지지부의 일면을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고, 상기 제2개구를 통하여 유입된 상기 제2유체는 상기 지지부의 타면을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체크밸브.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사이 영역에 상기 출수배관이 위치되며,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에서의 유체의 유동 방향은 반대인 체크밸브.
KR1020150164514A 2015-11-24 2015-11-24 체크밸브 KR101804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14A KR101804639B1 (ko) 2015-11-24 2015-11-24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14A KR101804639B1 (ko) 2015-11-24 2015-11-24 체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290A KR20170060290A (ko) 2017-06-01
KR101804639B1 true KR101804639B1 (ko) 2017-12-06

Family

ID=5922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514A KR101804639B1 (ko) 2015-11-24 2015-11-24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581A (ko) * 2017-12-13 2019-06-21 권영준 기본 실링력과 유압에 의한 가변 실링력이 작용되는 통합형 가변 실링부가 구비된 로터리 베인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352B1 (ko) 2022-01-11 2023-06-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가스용 체크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7008A (ja) * 2011-05-27 2012-12-13 Keihin Corp 弁装置
JP2013108628A (ja) * 2013-03-11 2013-06-06 Fuji Koki Corp 流量調整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7008A (ja) * 2011-05-27 2012-12-13 Keihin Corp 弁装置
JP2013108628A (ja) * 2013-03-11 2013-06-06 Fuji Koki Corp 流量調整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581A (ko) * 2017-12-13 2019-06-21 권영준 기본 실링력과 유압에 의한 가변 실링력이 작용되는 통합형 가변 실링부가 구비된 로터리 베인 모터
KR102054307B1 (ko) * 2017-12-13 2019-12-10 권영준 기본 실링력과 유압에 의한 가변 실링력이 작용되는 통합형 가변 실링부가 구비된 로터리 베인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290A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9432C2 (ru) Картридж для водосмесительного крана, кран, содержащий данный картридж, и термостатический блок для оснащения данного картриджа
KR101630004B1 (ko) 다이어프램 밸브
US20190390690A1 (en) Valve
KR20150020615A (ko) 통합 밸브를 가진 열교환기 조립체
KR101804639B1 (ko) 체크밸브
WO2016173333A1 (zh) 冷热水分流阀
CN110291485B (zh) 设置有压力平衡器的混合阀
JP5943942B2 (ja) アクチュエータ
AU2004274834B2 (en) Temperature limiting device applicable to single lever valves for mixing hot and cold liquids
KR102054167B1 (ko) 서보 밸브
CA2844722C (en) Water pressure controlled mixing valve
RU2570485C2 (ru) Клап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JP3882192B2 (ja) 湯水混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湯水混合水栓
CN111810676B (zh) 防串水三通阀及零冷水热水系统
KR101233571B1 (ko) 유체 방향 전환 밸브
CN103133442A (zh) 液压装置
JP6040378B2 (ja) 逆止弁
JP6872687B2 (ja) 逆止弁およびそれを備えた給湯機
US20180347715A1 (en) Pressure-balancing valve
KR20200095098A (ko) 멀티 체크 밸브
JP4632082B2 (ja) 流路切り替え装置
EP0902240B1 (de) Gerät zum Bereiten von Heizwasser und Brauchwasser
CN219366899U (zh) 一种一体式防回流阀芯
KR102626646B1 (ko) 정수기
KR101946630B1 (ko) 사양 변경이 가능한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