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338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338B1
KR101804338B1 KR1020110115991A KR20110115991A KR101804338B1 KR 101804338 B1 KR101804338 B1 KR 101804338B1 KR 1020110115991 A KR1020110115991 A KR 1020110115991A KR 20110115991 A KR20110115991 A KR 20110115991A KR 101804338 B1 KR101804338 B1 KR 101804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user
external devices
external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762A (ko
Inventor
이석희
신승목
이명구
김미경
최상호
홍성표
오상혁
김형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5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338B1/ko
Priority to US13/672,008 priority patent/US8938261B2/en
Publication of KR2013005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22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with dynamic range vari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장치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각각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된 하나의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선택된 하나의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장치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or 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1 실시 예는,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위치 및 방향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치에서 콘텐츠를 자동으로 재생하게 해 줌으로써,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데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끊김 없는 콘텐츠 재생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는,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위치 및 방향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데 불편함을 감소시키고 하나의 이동 단말기로 다수의 외부 장치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각각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된 하나의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선택된 하나의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제2 외부 장치에 의해 재생중인 콘텐츠이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거나 상기 제2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motion)을 예측하고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RSS; Received Signal Strength)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예측된 움직임과 분석된 수신 신호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측정된 RSS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획득된 RSS의 패턴과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갖는 RSS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과 상기 결정된 사용자 상태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각각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외부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외부 장치에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복수의 위치 및 복수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경우에, 상기 순차적으로 획득된 복수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복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근접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홈(Home) 내에서 이동하거나 방향을 전환하면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다수의 장치들을 통해 콘텐츠를 끊김 없이 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를 다수의 장치에서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콘텐츠를 재생할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데 필요한 오버헤드가 거의 없는 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으로 하나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장치들을 선택적으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장치들 중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이 직관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배치된 특정 장소(location)(10)를 포함하는 환경(environment)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배치된 특정 장소(location)(20)를 포함하는 다른 환경(environment)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자신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Wi-Fi Fingerprint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콘텐츠 재생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배치된 특정 장소(location)(30)를 포함하는 또 다른 환경(environment)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동으로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서로 다른 원격 제어용 GUI를 제공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규약은 집 안의 전자기기들이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규약 또는 호환성 지침(interoperability guidelines)이다. 홈 네트워크 기술은 이더넷(Ethernet), Home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RF(Radio Frequency),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술과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센서, 액추에이터 간의 통신 프로토콜 기술, 구성된 홈 네트워크 상에서 기기 간의 상호 발견, 구성, 관리를 위한 미들웨어 기술, 그리고 이러한 미들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기술들로 구성되어 있다.
디지털 홈(digital home)은 집 안의 컴퓨터, 가전기기, 모바일 기기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협업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하는 아이디어를 발전시킨 것이다. 디지털 리빙(digital living)은 이러한 아이디어를 더 확장시켜 제조사와 관계 없이 전자기기들 간의 즉각적인 연결(On-the-Go)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DLNA 규약은 네트워킹, 디바이스 발견 및 제어, 미디어 관리, 미디어 포맷, 미디어 전송 등에 있어서 상호운용을 위한 가이드를 제시하고 있다. DLNA 규약은 네트워킹과 연결성을 위해서 IP(Internet Protocol)를 기본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채택하고 있다. 또한, DNLA 규약은 디바이스 발견과 제어에 대한 상호운용을 위해서는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GENA(General Event Notification Architecture),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UPnP DA(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Architecture)를 권고하고 있으며, 미디어 콘텐츠 관리를 위한 상호운용 프로토콜로는 UPnP AV(Universal Plug and Play Audio/Video)를 채택하고 있다. 미디어 콘텐츠 포맷에 관해서는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로 구분해서 포맷을 권고하고 있으며, 미디어 전송을 위한 상호운용 프로토콜로는 HTTP를 채택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DLNA 규약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예를 들어, 디지털 미디어 렌더러)와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또는 디지털 콘텐츠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가 DLNA 규약에 따라 동작하는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전자기기 간에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종류의 홈 네트워크 기술 또는 홈 네트워크 규약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장치 발견(device discovery) 및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메커니즘이 구비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반의 홈 네트워크 기술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및 일 측면이 도시되고, 도 2b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및 타 측면이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본체를 구비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본체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 도 1 참조),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된 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위치하고, 타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 1 사용자 입력부(131) 및 마이크(122)가 위치한다. 제 2 사용자 입력부(132) 및 인터페이스(170)는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조작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3 조작 유닛들(131, 132)은 다양한 명령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선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 3 조작 유닛(13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트랙볼(track ball)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트랙볼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커서를 표시 및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트랙볼을 누르는 경우, 커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트랙볼을 회전시키는 경우, 커서는 트랙볼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본체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후면 카메라(121´)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는 전면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고, 전면 카메라(121)와 다른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121)는 저 화소를 갖도록 구성되고,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소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통화 시에 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상대방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반면, 후면 카메라(121´)는 고 화질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들(121, 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되도록 단말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 및 거울(124) 후면 카메라(121´)에 인접하는 곳에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낸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후면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비춘다.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는 후면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후면 음향 출력부(152´)는 전면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화 시에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화를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 위치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본체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본체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 도 2a 참조)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드(135)에도 시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후면 디스플레이부가 추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부(151) 및 후면 디스플레이부 양면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터치 패드(1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장치에 콘텐츠를 재생시켜 주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배치된 특정 장소(location)(10)를 포함하는 환경(environment)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특정 장소(10)는 집(Home) 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들, 사무실 등 어떠한 장소도 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장소(10)는 이동 단말기(100), 서버(200S) 및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자체적으로 저장된 콘텐츠 또는 서버(200S)에 존재하는 콘텐츠를 발견하고, 이동 단말기(100) 또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에서 재생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예로는 휴대폰, 인터넷 타블렛, 와이파이 지원 디지털 카메라,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이 있다.
서버(200S)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에 콘텐츠를 제공한다. 서버(200S)는 저장된 콘텐츠를 보호하기도 한다. 서버(200S)의 예로는 PC(personal computer),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등이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재생한다.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의 예로는 TV, A/V 리시버, 비디오 디스플레이, 음악용 리모트 스피커 등이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 중 어느 하나에서 재생하기를 원한다면, 사용자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를 대상 디바이스(target device)로 선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는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바라보기 쉬운 곳에 위치한 디바이스를 통해 콘텐츠를 재생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위치와 방향을 알게 되면 가장 가깝고 또한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가 도 3A의 위치에서 도 3B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디바이스(200A)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가 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 중에서 디바이스(200A)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디바이스(200A)가 이동 단말기(10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디바이스(200A)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는 콘텐츠의 재생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디바이스(200A)가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100)는 진동과 같이 인디케이터를 촉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따로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을 보지 않고도 이동 단말기(100)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던 콘텐츠가 디바이스(200A)에서 재생됨을 알 수 있게 된다.
다만, 예외적으로, 이동 단말기(100)가 도 3A의 위치에서 도 3B의 위치로 이동하더라도, 이동 단말기(100)에서 통화가 이루어 지는 것이 감지되는 것과 같이 사용자가 디바이스(200A)에서 콘텐츠를 계속하여 재생하기를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디바이스(200A)에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다시 이동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가 도 3B의 위치에서 도 3C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디바이스(200B) 및 디바이스(200C)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가 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디바이스(200B)를 바라보기 때문에 디바이스(200C) 보다는 디바이스(200B)에서 콘텐츠를 계속하여 재생하기를 원할 것이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 중에서 디바이스(200B)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디바이스(200B)가 디바이스(200A)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디바이스(200B)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는 디바이스(200A)가 콘텐츠의 재생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가 도 3C의 방향에서 도 3D의 방향으로 전환하게 되면, 여전히 디바이스(200B) 및 디바이스(200C)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가 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이제 디바이스(200C)를 바라보기 때문에 디바이스(200B) 보다는 디바이스(200C)에서 콘텐츠를 계속하여 재생하기를 원할 것이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 중에서 디바이스(200C)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디바이스(200C)가 디바이스(200B)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디바이스(200C)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는 디바이스(200B)가 콘텐츠의 재생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배치된 특정 장소(location)(20)를 포함하는 다른 환경(environment)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A)는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디바이스(200A)가 이동 단말기(100A)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디바이스(200A)에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른 사용자(100B)도 이동 단말기(100A)의 제어에 따라 디바이스(200A)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A)는 디바이스(200A)의 근방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 다른 사용자(100B)를 감지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100B)의 이동 단말기와 디바이스(200A) 간 통신을 통해 다른 사용자(100B)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가 도 4A의 위치에서 도 4B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디바이스(200B) 가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디바이스가 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A)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및 200B) 중에서 디바이스(200B)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하고, 디바이스(200B)가 디바이스(200A)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디바이스(200B)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다른 사용자(100B)는 여전히 디바이스(200A)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를 감상하고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100A)는 디바이스(200A)가 콘텐츠를 계속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디바이스(200A)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A)는 사용자의 위치와 방향 뿐만 아니라 대상 디바이스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감상하는 사용자의 유무를 판단하여, 다른 사용자의 콘텐츠 감상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에게 가장 가깝고 또한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다시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가 도 3A의 위치에서 도 3B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 중에서 디바이스(200A)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디바이스(200A)가 이동 단말기(10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게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메뉴(1112)를 화면(1110)에 표시한다.
메뉴(1112)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게 하는 버튼(예를 들어,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디바이스(200A)가 이동 단말기(10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디바이스(200A)에 송신할 수 있다. 반면에, 메뉴(1112)의 이동 단말기(10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지 않게 하는 버튼(예를 들어, ‘취소’ 버튼)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디바이스(200A)가 이동 단말기(100)에서 재생중인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디바이스(200A)에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자신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위치 획득 시스템(300)은 와이파이(Wi-Fi) 신호와 내장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홈(Home)과 같은 실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한다. 특히, 수신 신호 강도(RSS; Received Signal Strength)와 RSS 패턴을 이용하는 Wi-Fi 핑거프린트(Fingerprint) 기술은 실내 위치 추적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홈과 같은 작은 공간에서는 정확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방향 센서 등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다양한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Wi-Fi Fingerprint 기반의 위치 추적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위치 탐지기(310; 예컨대 제어부(180))는 모션 예측기(320; 예컨대 센싱부(140))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방향을 획득한다. 모션 예측기(320)는 사용자의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션 예측기(320)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탐지기(310)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정지(Stationary), 보행(Walking) 및 주행(Running)으로 구분한다. 또한, 위치 탐지기(310)는 사용자의 상태가 Walking 또는 Running 상태인 경우에, 각 상태의 지속 시간(TWalking, TRunning)에 사용자의 평균 속도(VWalking, VRunning)을 곱하여 이동 거리 (DWalking, TRunning) 및 위치(x, y)를 예측한다. 사용자의 평균 속도는 일상 생활을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를 통해 학습되고, 우도 함수(likelihood function)에 반영한다.
사용자의 상태가 Walking 또는 Running 일 때, 모션 예측기(320)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예측하고 방향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이동 거리와 방향을 위치 탐지기(310)에 전달한다. 또한, Wi-Fi 스캐너(330;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RSS를 측정하고, 측정된 RSS 를 위치 탐지기(310)에 전달한다. 위치 탐지기(310)는 데이터베이스(340; 예를 들어 메모리(160))에 저장된 RSS 패턴과 내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Wi-Fi 스캐너(300)로부터 전달된 RSS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한다. 이와 관련된 과정은 이하의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의 상태가 Stationary 일 때, 위치 탐지기(310)는 모션 예측기(32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방향과, RSS 기반으로 추정된 사용자의 위치에 근거하여 가장 높은 확률의 위치에 사용자의 위치를 맵핑한다. 맵핑된 사용자의 위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50; 예를 들어, 출력부(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위치 탐지기(310)는 다시 사용자 인터페이스(350;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정 피드백을 받게 된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Wi-Fi Fingerprint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1 국면(410; 트레이닝(Training) 모드)에서, 측정부(412; 예를 들어, 위치 탐지기(310))는 홈(Home) 내의 특정 위치(xi, yi)에 있는 이동 단말기(100)의 RSS를 측정할 수 있는 다수의 액세스포인트들(414)들로부터 RSS를 측정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416)에 저장한다.
제2 국면(420; 매칭(matching) 모드)에서, 측정부(412)는 현재 측정된 이동 단말기(100)의 RSS 패턴(422), 제1 국면에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416) 및 내부 알고리즘(424)을 이용하여, 현재 측정된 RSS 패턴과 가장 유사한 RSS 패턴을 가진 지점(426)을 사용자의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밖에, 이동 단말기(100)는 특정 장소(10 또는 20)의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태그(Tag)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와 같은 가전기기의 비젼(vision) 및 모션 센서를 이용하거나 로봇 청소기와 같은 가전기기의 방향성 마이크 등의 음성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콘텐츠 재생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S110)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각각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S120)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하나의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선택된 하나의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S130)를 수행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해주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배치된 특정 장소(location)(30)를 포함하는 또 다른 환경(environment)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특정 장소(30)는 집(Home) 안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들, 사무실 등 어떠한 장소도 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장소(30)는 이동 단말기(100)와 복수의 디바이스들(500A 및 500B)을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디바이스들(500A 및 500B)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해당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Wi-Fi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디바이스들(500A 및 500B) 중 어느 하나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이동 단말기(1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들(500A 및 500B)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복수의 디바이스들(200A 내지 200C)의 예로는 TV, 셋탑 박스, 냉장고, 세탁기 등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만약,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들(500A 및 500B)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기 원한다면, 복수의 디바이스들(500A 및 500B) 중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를 대상 디바이스(target device)로 선택하여야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가장 바라보기 쉬운 곳에 위치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위치와 방향을 알게 되면 가장 가깝고 또한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는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500A)와 제2 디바이스(500B)는 모두 이동 단말기(100)에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고, 동일한 원격 제어용 GUI를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L1에 위치한 경우(제1 디바이스(500A)가 더 가까운 경우) 또는 O2와 같은 방향인 경우(제1 디바이스(500A)를 향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500B)보다 제1 디바이스(500A)를 제어하려는 의도에 가깝기 때문에 제1 디바이스(500A)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된 제1 디바이스(500A)와 연결을 수립하고, 원격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입력을 제1 디바이스(500A)에 송신한다.
반면에, 이동 단말기(100)가 L2에 위치한 경우(제2 디바이스(500B)가 더 가까운 경우) 또는 O1과 같은 방향인 경우(제2 디바이스(500B)를 향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500A)보다 제2 디바이스(500B)를 제어하려는 의도에 가깝기 때문에 제2 디바이스(500B)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된 제2 디바이스(500B)와 연결을 수립하고, 원격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입력을 제2 디바이스(500B)에 송신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전술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션 센서 기반의 모션 예측 기술과 RSS 및 RSS 패턴 기반의 위치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위치와 방향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알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뿐만 아니라 외부 디바이스들 각각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외부 디바이스들 각각의 위치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외부 디바이스들 각각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화면(1210)에 외부 디바이스들 각각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12)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치를 설정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주변에 이동 단말기(100)를 위치시키고, 해당 디바이스를 선택한 후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확인’ 버튼)을 누르면 해당 디바이스의 위치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로 설정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다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화면(1220)에 외부 디바이스들 각각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22 및 1224)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 선택 영역(1222)에 표시된 디바이스를 맵 표시 영역(1224)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디바이스의 위치가 맵 표시 영역(1224)에 표시된 디바이스 맵에 표시된 위치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디바이스들의 위치를 설정해 주면, 홈(Home)과 같은 특정 장소에서 각각의 디바이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맵이 생성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와 방향을 디바이스 맵에 맵핑하여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동으로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제1 디바이스(500A) 및 제2 디바이스(500B)의 중간에 위치하거나, 제1 디바이스(500A) 및 제2 디바이스(500B)가 근접하여 현재 위치 및 방향에서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다수 개 존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화면(1310)에 현재 위치 및 방향에서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 중에서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1312)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모든 디바이스들 중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보다 사용자 입장에서 훨씬 직관적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서로 다른 원격 제어용 GUI를 제공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에서 대상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제1 디바이스(500A)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GUI(GUI1)와 제1 디바이스(500A)에 근접한 제2 디바이스(500B)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GUI(GUI2)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 방향에 근거하여 제1 디바이스(500A)가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된 경우에, 이동 단말기(100)는 제1 디바이스(500A)에 대응하는 GUI(GUI1)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1 디바이스(500A)에 근접한 제2 디바이스(500B)에 대응하는 GUI(GUI2)를 메모리(160)로부터 제어부(180)에 내장된 캐시 메모리에 로딩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 제2 디바이스(500B)가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됨과 거의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가 캐시 메모리에 로딩된 제2 디바이스(500B)에 대응하는 GUI(GUI2)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유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500A)와 제2 디바이스(500B)가 동종의 디바이스로서 동일한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한번에 제1 디바이스(500A)와 제2 디바이스(500B)를 원격으로 제어하고자 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화면(1330)에 표시할 수 있다. 복수의 디바이스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는 메뉴(‘선택’ 메뉴)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할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순차적으로 가리키는 제스쳐를 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스쳐를 취하는 동안,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을 판단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가리키는 복수의 대상 디바이스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제어 명령으로 복수의 대상 디바이스를 한번에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도 1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500A)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GUI(GUI1)와 제2 디바이스(500B)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GUI(GUI2)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L1의 위치 또는 O2의 방향에서 제2 디바이스(500B)를 제어하고자 하거나 또는 L2의 위치 또는 O1의 방향에서 제1 디바이스(500A)를 제어하고자 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움직이지 않고도 원하는 디바이스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할 수 있는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화면(1340)에 제1 디바이스(500A)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GUI(1342)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 디바이스(500B)를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하기 위한 터치 입력(드래그, 플리핑 등)이 인가되면, 제2 디바이스(500B)가 대상 디바이스로 선택되고 제2 디바이스(500B)를 제어하기 위한 GUI(1344)가 화면(134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 장치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S210)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획득된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각각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S220)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S230)를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이동 단말기

Claims (20)

  1.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각각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된 하나의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선택된 하나의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들 각각의 위치를 설정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맵을 생성하고,
    상기 획득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을 상기 디바이스 맵에 맵핑하여,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이동 단말기 또는 제2 외부 장치에 의해 재생중인 콘텐츠이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거나 상기 제2 외부 장치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motion)을 예측하고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측정된 수신 신호 강도(RSS; Received Signal Strength)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예측된 움직임과 분석된 수신 신호 강도에 기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측정된 RSS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획득된 RSS의 패턴과 가장 유사한 패턴을 갖는 RSS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변화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사용자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과 상기 결정된 사용자 상태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각각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에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들 각각의 위치를 설정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맵을 생성하고,
    상기 획득된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을 상기 디바이스 맵에 맵핑하여,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선택된 외부 장치가 복수 개인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외부 장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외부 장치에 상기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복수의 위치 및 복수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경우에, 상기 순차적으로 획득된 복수의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복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외부 장치들 중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근접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10115991A 2011-11-08 2011-11-08 이동 단말기 KR101804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991A KR101804338B1 (ko) 2011-11-08 2011-11-08 이동 단말기
US13/672,008 US8938261B2 (en) 2011-11-08 2012-11-08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991A KR101804338B1 (ko) 2011-11-08 2011-11-08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762A KR20130050762A (ko) 2013-05-16
KR101804338B1 true KR101804338B1 (ko) 2017-12-04

Family

ID=4822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991A KR101804338B1 (ko) 2011-11-08 2011-11-08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38261B2 (ko)
KR (1) KR101804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46788A1 (en) * 2009-01-24 2012-02-23 Tek Electrical (Suzhou) Co., Ltd. Speech system used for robot and robot with speech system
US9955202B2 (en) 2011-02-11 2018-04-24 Sony Network Entertainment International Llc Removal of unavailable services and/or content items from a list of favorite and/or recently viewed services and/or content items associated with a user account
US10200756B2 (en) 2011-02-11 2019-02-0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Synchronization of favorites and/or recently viewed lists between registered content playback devices
US20120210224A1 (en) * 2011-02-11 2012-08-16 Sony Network Entertainment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to add an asset as a favorite for convenient access or sharing on a second display
US9161073B2 (en) 2011-02-11 2015-10-1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remove outdated or erroneous assets from favorites or recently-viewed lists
US9113128B1 (en) 2012-08-31 2015-08-18 Amazon Technologies, Inc. Timeline interface for video content
US9389745B1 (en) * 2012-12-10 2016-07-12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content via multiple display devices
US10424009B1 (en) 2013-02-27 2019-09-24 Amazon Technologies, Inc. Shopping experience using multiple computing devices
JP6163017B2 (ja) * 2013-05-29 2017-07-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危険報知システム
US11019300B1 (en) 2013-06-26 2021-05-25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soundtrack information during playback of video content
FR3010608A1 (fr) * 2013-09-12 2015-03-13 Orange Procede, terminal et dispositif de selection d'un equipement parmi une pluralite d'equipements
US10194189B1 (en) 2013-09-23 2019-01-29 Amazon Technologies, Inc. Playback of content using multiple devices
KR102297025B1 (ko) * 2014-03-31 2021-09-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크로스디바이스 콘텐츠 공유 시스템 및 그 콘텐츠 공유 방법
CN104156064B (zh) * 2014-07-18 2017-07-2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互动目标控制方法及装置
KR102279600B1 (ko) * 2015-06-12 2021-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기기에서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휴대 기기 및 컨텐츠 재생 장치
CN106612544A (zh) * 2015-10-22 2017-05-03 北京金坤科创技术有限公司 嵌入式智能微基站设计
CN108370599B (zh) * 2015-12-24 2022-07-26 索尼公司 信息处理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信息处理系统
US10259117B2 (en) * 2016-08-02 2019-04-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On-demand robot virtualization
AU2018203023B2 (en) * 2017-05-16 2019-09-19 Apple Inc. Transferring playback queues between devices
US12032342B2 (en) 2018-10-19 2024-07-09 Husqvarna Ab Personalized control of an outdoor power equipment tool
US11913970B2 (en) 2019-02-22 2024-02-27 Aerial Technologies Inc. Wireless motion detection using multiband filters
US11218769B2 (en) * 2019-02-22 2022-01-04 Aerial Technologies Inc. Smart media display
US11586952B2 (en) 2019-02-22 2023-02-21 Aerial Technologies Inc. Robotic H matrix creation
US11593837B2 (en) 2019-02-22 2023-02-28 Aerial Technologies Inc. Advertisement engagement measurement
US11082109B2 (en) 2019-02-22 2021-08-03 Aerial Technologies Inc. Self-learning based on Wi-Fi-based monitoring and augmentation
US10999705B2 (en) 2019-02-22 2021-05-04 Aerial Technologies Inc. Motion vector identification in a Wi-Fi motion detection system
WO2020170221A1 (en) 2019-02-22 2020-08-27 Aerial Technologies Inc. Handling concept drift in wi-fi-based localization
US11448726B2 (en) 2019-08-28 2022-09-20 Aeri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sence and pulse detection from wireless signals
US11523253B2 (en) 2019-09-06 2022-12-06 Aerial Technologies Inc. Monitoring activity using Wi-Fi motion dete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18A1 (ko) * 2009-08-31 2011-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0931B2 (en) * 2007-10-12 2012-07-03 Cfph, Llc Game with chance element and tax indicator
US8855601B2 (en) * 2009-02-17 2014-10-07 Lookout,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initiated audio communication
US10129211B2 (en) * 2011-09-15 2018-11-13 Stephan HEATH Methods and/or systems for an online and/or mobile privacy and/or security encryption technologies used in cloud computing with the combination of data mining and/or encryption of user's personal data and/or location data for marketing of internet posted promotions, social messaging or offers using multiple devices, browsers, operating systems, networks, fiber optic communications, multichannel platfor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18A1 (ko) * 2009-08-31 2011-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15974A1 (en) 2013-05-09
KR20130050762A (ko) 2013-05-16
US8938261B2 (en)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338B1 (ko) 이동 단말기
KR1017578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089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3007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6786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treaming of media data
KR201300018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9851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752417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KR2012002618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20105318A (ko) 프레젠테이션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01189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콘텐츠 공유
KR10188271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작동 방법
KR101658560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1016252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85995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11867B1 (ko) 이동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77563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747787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영상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355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71458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9981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4632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