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263B1 -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263B1
KR101804263B1 KR1020170039172A KR20170039172A KR101804263B1 KR 101804263 B1 KR101804263 B1 KR 101804263B1 KR 1020170039172 A KR1020170039172 A KR 1020170039172A KR 20170039172 A KR20170039172 A KR 20170039172A KR 101804263 B1 KR101804263 B1 KR 101804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unit
parts
weight
panel
fasten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환경
Priority to KR102017003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면에 고정되는 네일부; 상기 네일부에 체결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신장부; 선형태로 절곡되어 일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한쌍의 연결단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이 상기 신장부에 체결되는 연결부; 상면에 상기 절곡부의 형상에 대향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판넬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옹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Panel type nailing structure reinforced H-bea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시공이 용이하면서 옹벽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한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옹벽(retaining wall)은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이다. 이는 지반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것으로서 그 종류 및 그에 따른 시공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와 같은 옹벽에는 옹벽의 자중에 의해 토압에 저항하는 재래식 콘크리트옹벽과, 조립식 패널과 뒷채움재가 일체를 이루어 토압에 대응하는 조립식 옹벽이 있다.
조립식 옹벽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27092호에서는 납작한 사각면체로서 다수개가 적층 기립할 수 있도록 요철 형태의 끼움홈과 결합턱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면상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판넬본체와; 절토부 사면 내에 축 전부가 매립된 후 정착 고정되는 제1철근이 형성되도록 하되, 사면을 향한 제1철근의 바깥측 단부는 사면의 표면상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판넬본체의 관통공에 축 일부가 삽입된 후 고정되는 제2철근이 형성되도록 하되, 제2철근의 나머지 축은 사면을 향한 뒷채움 공간(G)으로 분기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제1철근과 동일선상을 이루며 연결되도록 하는 분할식 철근부재와; 상기 제1철근과 제2철근 사이에 배치되어 양 철근을 조립 연결하도록 하되, 일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본체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공이 형성되고, 본체 외주면에는 다각형의 너트가 형성되도록 하는 조인트 커플러가;구성되어 이루어진 절토부 보강토 판넬식 옹벽 구조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 조립식으로 구성되나 제1철근과 제2철근의 각도를 맞춰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으며 조립식으로 형성된 옹벽에 충분한 토압에 대한 지지력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270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조립에 의해 형성된 옹벽이 토압에 대해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는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는, 절토면에 고정되는 네일부; 상기 네일부에 체결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신장부; 선형태로 절곡되어 일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한쌍의 연결단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이 상기 신장부에 체결되는 연결부; 상면에 상기 절곡부의 형상에 대향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판넬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옹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판넬유닛은, 중앙부에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며 양단에 반절끼움홈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판넬유닛 간의 반절끼움홈에 원형상의 체결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체결링 내부에는 지반에 타입된 보강지주가 내재되며 상기 판넬유닛에서 노출되는 체결링과 상기 보강지주가 내재되는 지지기둥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기둥은, 각 판넬유닛에 체결된 각 체결링에 하나 이상의 종방향철근을 배근하고 인접하는 판넬유닛에서 체결링을 감싸는 형상으로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콘크리트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EVA 수지 5 내지 10중량부,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된 소성된 석회석 1 내지 10중량부, 비나파스수지 1 내지 3중량부, 탄화규소 1 내지 3중량부, 징크스테아레이트 0.5 내지 2중량부, 유동화제 0.5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끼움홈은 하면에 경사구배가 형성되어 연결부의 상기 판넬유닛에서 체결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판넬유닛의 양측면은 경사구배가 형성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판넬유닛과 체결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해서도 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는 판넬유닛의 조립에 의해 옹벽이 형성되도록 하며 각 판넬유닛과 네일부 간의 용이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판넬유닛의 접합부에 지지기둥이 구성되도록 하여 접합부의 견고한 체결 및 판넬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옹벽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판넬유닛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판넬유닛 간 접합부 부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 내지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토면(S)에 고정되는 네일부(2); 상기 네일부(2)에 체결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신장부(3); 선형태로 절곡되어 일단에 절곡부(41)가 형성되고 타단에 한쌍의 연결단(4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42)이 상기 신장부(3)에 체결되는 연결부(4); 상면에 상기 절곡부(41)의 형상에 대향하도록 끼움홈(61)이 형성되는 판넬유닛(6)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옹벽부(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일부(2)는 상기 절토면(S)에 타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앵커 등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신장부(3)는 상기 네일부(2)에 체결되어(도 1에서는 제 2연결부(7)에 체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음)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네일부(2)(또는 제 2연결부(7))와 상기 연결부(4)를 연결하면서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도 4 등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지반선에 따라 네일부(2)와 옹벽부(5)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신장부(3)는 다양한 공지구조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도면번호가 제시되고 있지 않으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켓과 소켓 양단에서 나사결합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연결봉의 구조가 제시되고 있다.
상기 연결부(4)는 선형태로 절곡되어 일단에 절곡부(41)가 형성되고 타단에 한쌍의 연결단(4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42)이 상기 신장부(3)에 체결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절곡부(41)는 도면에서 곡면을 형성하는 원호형상으로 구성되어 판넬유닛(6)의 끼움홈(61)에 삽입되어 연결부(4)와 판넬유닛(6)이 체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상기 연결단(42)은 상기 신장부(3)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연결부(4)의 구성에 의해 판넬유닛(6)에 별도의 장착판, 볼트 등의 구성없이 용이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옹벽부(5)는 복수의 판넬유닛(6)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하에서는 판넬유닛(6)의 세부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판넬유닛(6)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상기 끼움홈(61)이 형성되며 양단에 반절끼움홈(62)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판넬유닛(6) 간의 반절끼움홈(62)에 도 4 등에서 도시되고 있는 원형상의 체결링(9)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네일부(2) 등과 판넬유닛(6)의 연결은 상기 끼움홈(61)에 절곡부(41)의 끼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며 인접하는 판넬유닛(6) 간은 각각 반절끼움홈(62)에 체결링(9)이 삽입되도록 하여 조립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61)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면(611)에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연결부(4)의 상기 판넬유닛(6)에서 체결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끼움홈(61) 하면(611)이 경사구배가 형성되도록 하여 네일부(2)의 절토면(S)에 타입각도에 따라 상기 끼움홈(61)에 삽입된 열결부(4)의 각도가 보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넬유닛(6)의 양측면은 경사구배가 형성된 곡면(63)이 형성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판넬유닛(6)과 체결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곡면을 형성하는 옹벽(5)의 구성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인접하는 판넬유닛(6)의 각도에 따라 당연히 상기 반절끼움홈(62)에 삽입되는 체결링(9)의 직경을 달리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인접하는 판넬유닛(6)의 접합부(J)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세부구성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판넬유닛(6)의 접합부(J)에서 판넬유닛(6) 간 견고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옹벽(5)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링(9) 내부에는 지반에 타입된 보강지주(10)가 내재되도록 하며 상기 판넬유닛(6)에서 노출되는 체결링(9)과 상기 보강지주(10)가 내재되는 지지기둥(12)이 구성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기둥(12)은 각 판넬유닛(6)에 체결된 각 체결링(9)에 하나 이상의 종방향철근(13)을 배근하고 인접하는 판넬유닛(6)에서 체결링(9)을 감싸는 형상으로 거푸집(11)을 설치하며 상기 거푸집(11)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기둥(12)은 판넬유닛(6)의 접합부(J)에서 옹벽(5)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기둥(12)의 휨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방향으로 판넬유닛(6)의 접합부(J)에 각각 체결된 체결링(9)은 횡방향철근으로서 기능을 하는 것이며 상기 체결링(9)에 종방향철근(13)이 배근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기둥(12)에는 보강지주(10)가 내재되도록 하여 휨강성 등을 더욱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지반에 천공을 하고 상기 천공으로 상기 보강지주(10)가 타입되도록 함으로써 옹벽(5)의 토압에 대한 저항성을 더욱 배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옹벽(5)은 일정간격으로 지지기둥(12)이 콘크리트파일과 같은 기능을 함으로써 토압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되 이러한 지지기둥(12)에는 인접하는 판넬유닛(6)을 체결하는 체결링(9)이 내재되도록 하여 옹벽(5)과 지지기둥(12)의 일체거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별도로 지지기둥(12)에 횡방향철근의 배근을 요하지 않아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지주(1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H형강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기둥(12)의 재질로서 콘크리트의 조성을 제시하고 있는데 본 실시 예의 경우 이질의 재질로 구성된 판넬유닛(6), 지지기둥(12)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일체거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재질자체로 부착력이 강하고 균열이 발생되는 경우 부착력이 저하되는 요인이 되므로 균열저항성이 강한 조성의 예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본 실시 예의 콘크리트 조성은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EVA 수지 5 내지 10중량부,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된 소성된 석회석 1 내지 10중량부, 비나파스수지 1 내지 3중량부, 탄화규소 1 내지 3중량부, 징크스테아레이트 0.5 내지 2중량부, 유동화제 0.5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EVA 수지는 비닐 에스테르에 기초하여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를 공중합체의 중합 방법으로 제조한 것으로서, 고분자 입자의 볼베어링 효과 및 피막 형성에 의해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점성을 갖게 하여 판넬유닛(6) 등 이질의 재질과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면서 휨강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피막 형성에 의한 부식 방지 효과가 있어서 체결링(9) 등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석회석은 1000 내지 1300℃로 소성시킨 석회석이 사용되는데, 소성된 석회석은 산화칼슘이 수화되면서 수산화칼슘이 생성되도록 하여 배합시 페이스트를 팽창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팽창은 공극을 남긴 채로 외관상의 용적팽창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팽창은 2단계의 팽창에 의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최초로 미세한 콜로이드상의 수산화칼슘을 생성할 때 처음 팽창을 하고 이것이 완전히 종료한 후에도 계속하여 장대한 이방성의 육각판상 결정으로 성장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페이스트를 팽창시킴으로써 균열저항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소성된 석회석은 수화활성이 매우 높아 배합시 물과 반응하여 단시간에 수화반응을 완결해, 시멘트가 대부분 응결 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팽창 발현이 종료되어 페이스트에서 팽창성 즉 케미컬(chemical)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은 실질적으로 하지 못하고, 또 자기수축에 대한 억제 효과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지연제 등을 병용해 소성된 석회석의 수화반응시기를 늦추는 것도 가능하지만, 공존하는 시멘트에도 지연작용이 일어나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물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소성된 석회석을 사용하되, 석회석은 소성후 이산화탄소 포함가스와 반응시켜 입자 표면에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되도록 하여 사용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성이 완료된 석회석을 소성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포함가스와 반응시켜 입자 표면에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이 소성이 완료된 석회석에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되도록 하는 이유는 소성된 석회석의 수화활성을 지연시켜 시멘트의 수화반응이 충분히 진행된 후에 팽창효능이 발현되어 팽창재의 팽창성능이 효율적으로 발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보관과정에서 특히 습도가 높은 여름철 등에는 소성된 석회석 등에 수분이 흡수되어 보관과정에서 수분과의 반응이 이루어져 실제 시멘트와 배합시 제 기능의 발현을 기대할 수 없는 바, 본 실시 예와 같이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되도록 하여 보관과정에서 수분의 흡수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성이 완료된 석회석을 소성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포함가스와 반응시켜 석회석 입자 표면에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소성이 완료된 석회석에 150 내지 400℃ 온도하에서 10 내지 50중량%로 이산화탄소가 함유된 가스를 공급하여 확산에 의해 표면에 탄산칼슘 피막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소성된 석회석 내부는 활성이 매우 높은 CaO가 존재하게 되며, 표면에는 탄산칼슘(CaCO3)을 생성시켜 수분과의 반응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즉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가스가 확산되면서 소성된 석회석의 미세한 공극으로 전달되며, 이산화탄소가 소성된 석회석의 전 표면에서 반응하여 미세한 CaCO3 피막을 계속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피막의 형성에 의해 석회석간 응집을 제어하여 팽창효율의 저하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가스는 전체대비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10 내지 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타당한데 이는 너무 농도가 큰 경우 피막의 두께가 커져서 수화반응을 지연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화반응을 차단하여 적정의 시기에 팽창성능의 발현을 기대할 수 없는 바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상기 비나파스수지는 액상수지를 스프레이 건조하여 제조한 분산 물질로서 물에 분산시키면 안정한 액상수지가 되고 물에 분산된 수지는 건조 후 물에 녹지 않는 비가역적인 폴리머 필름을 형성하고 액상수지와 같이 시멘트와 혼합 사용되어 인장, 휨강도 등을 향상시키며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비나파스수지가 첨가되어 경화후 페이스트의 탄성이 발현되도록 하여 취성파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비나파스수지의 첨가에 의해 시공후 외압에 의해 지지기둥(12)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화시켜 외압에 의한 균열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화규소는 매우 단단하고 깨끗하며, 규소와 탄소의 결정성 화합물로 2500℃ 이상에서 분해된다. 고온강도가 높고, 내마모성, 내산화성, 내식성, 크랙 저항성 등의 특성이 우수하여 탄화규소는 소성된 석회석에 형성되는 공극이 냉각과정에서 수축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시켜주도록 함으로써 페이스트의 팽창후 수축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징크스테아레이트는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4의 실시 예는 네일부(2)에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장착판이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장착판에 한쌍의 신장부(3)가 연결되되 각 신장부(3)는 단부가 후크로 구성되어 상기 장착판 및 연결부(4)의 연결단(42)에 연결이 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5의 실시 예는 도 4와 거의 동일하되 각 신장부(3)는 일단부는 후크로 구성되어 연결단(42)에 연결되고 타단은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장착판에 연결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예로 네일부(2)와 신장부(3)가 제 2연결부(7)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면서 신장부(3)를 하나로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도 신장부(3)는 단부가 후크로 구성되어 상기 제 2연결부(7) 및 연결부(4)의 연결단(42)에 연결이 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하며, 인접하는 판넬유닛(6) 각각의 반절끼움홈(62)에 연결선(14)이 끼워지도록 하고 각 단부가 인접하는 네일부(2)에 연결되도록 하여 옹벽(5)이 네일부(2)에 의한 지지가 더욱 견고해지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 2 : 네일부
3 : 신장부 4 : 연결부
5 : 옹벽 6 : 판넬유닛

Claims (8)

  1. 절토면에 고정되는 네일부;
    상기 네일부에 체결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신장부;
    선형태로 절곡되어 일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한 쌍의 연결단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단이 상기 신장부에 체결되는 연결부; 및
    상면에 상기 절곡부의 형상에 대향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판넬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옹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넬유닛은,
    중앙부에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며 양단에 반절끼움홈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판넬유닛 간의 반절끼움홈에 원형상의 체결링이 삽입되고,
    상기 체결링 내부에는 지반에 타입된 보강지주가 내재되며 상기 판넬유닛에서 노출되는 체결링과 상기 보강지주가 내재되는 지지기둥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각 판넬유닛에 체결된 각 체결링에 하나 이상의 종방향철근을 배근하고 인접하는 판넬유닛에서 체결링을 감싸는 형상으로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는,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해 EVA 수지 5 내지 10중량부, 탄산칼슘 피막이 도포된 소성된 석회석 1 내지 10중량부, 비나파스수지 1 내지 3중량부, 탄화규소 1 내지 3중량부, 징크스테아레이트 0.5 내지 2중량부, 유동화제 0.5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은 하면에 경사구배가 형성되어 연결부의 상기 판넬유닛에서 체결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유닛의 양측면은 경사구배가 형성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인접하는 판넬유닛과 체결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8. 삭제
KR1020170039172A 2017-03-28 2017-03-28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04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172A KR101804263B1 (ko) 2017-03-28 2017-03-28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172A KR101804263B1 (ko) 2017-03-28 2017-03-28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263B1 true KR101804263B1 (ko) 2017-12-04

Family

ID=6092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172A KR101804263B1 (ko) 2017-03-28 2017-03-28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2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66B1 (ko) * 2010-04-05 2011-01-25 (주)루펜큐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93330B1 (ko) * 2009-07-13 2012-10-19 이정수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330B1 (ko) * 2009-07-13 2012-10-19 이정수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010366B1 (ko) * 2010-04-05 2011-01-25 (주)루펜큐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5884A (en) Building panel assembly
US20140332658A1 (en) Insulated concrete form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125549B1 (ko)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US9169635B2 (en) Apparatus to tie forms to existing structures
CA2678452C (en) Device for anchoring concrete to an insulating panel and form employing the device
KR101174206B1 (ko) 포켓포머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정착구 구조
US20190352900A1 (en) Concrete boss anchor
JP2008127897A (ja) 型枠保持具及びこの型枠保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並びにこの構築方法により構築され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1953064B1 (ko)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2368708B1 (ko) 조적 보강 시공방법과 그 조적보강을 위한 내진 보강구
KR101804263B1 (ko) H-형강을 보강한 판넬식 네일링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5337529A (en) Roof tile mounting system
KR100892322B1 (ko) 쐐기형 대나무 네일링 구조체
KR10209810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조인트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KR101817556B1 (ko) 흙막이구조
JP5051359B2 (ja) 下地鋼材の固定構造
JP2001159193A (ja) 鋼管部材とコンクリート部材との接合構造
KR200337968Y1 (ko) 철근 지지 및 방수시트 고정용 앵커볼트
JP2006348480A (ja) 建築物及び建築物形成方法
TWM594044U (zh) 複合式鋼筋續接器
KR20160027360A (ko) 외단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1159195A (ja) 鋼管部材とコンクリート部材との接合構造
RU2817520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анкерного крепления и анкерное крепление
JP3229662U (ja) 断熱材固定具および断熱材固定構造
CN220954030U (zh) 一体化施工的柔性连接拼装蒸压加气混凝土外墙大板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