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155B1 - 스위블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스위블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155B1
KR101804155B1 KR1020160027506A KR20160027506A KR101804155B1 KR 101804155 B1 KR101804155 B1 KR 101804155B1 KR 1020160027506 A KR1020160027506 A KR 1020160027506A KR 20160027506 A KR20160027506 A KR 20160027506A KR 101804155 B1 KR101804155 B1 KR 10180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ccommodating portion
screw
drive mo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142A (ko
Inventor
김동현
한병선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15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B60Q1/0683Adjustable by rotation of a scr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블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모터수용부, 가이드레일부 및 스크류수용부를 형성한 하우징 본체; 상기 모터수용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에 결합되며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램프가동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차량의 조향각 정보를 수집 및 산출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PCB기판; 상기 PCB기판을 하우징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판용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PCB기판과 접촉하는 바닥면의 넓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모터수용부로부터 스크류수용부로 갈수록 양측면 폭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한 복사열이 상기 하우징 본체를 통해 상기 PCB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열기에 의해 상기 PCB기판이 쉽게 변형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위블 액츄에이터{Swivel Actuator}
본 발명은 스위블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헤드램프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의 조립구성 및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작동소음 및 진동발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조립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블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헤드램프는 조사각도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차량 상태와는 무관하게 차량의 전방만을 비추게 된다.
따라서, 곡선 도로를 주행하게 되는 경우 도로 반대편에서 오는 차량(이하, "대향차"라 한다)의 운전자 시야가 교란될 뿐만 아니라, 진행하고자 하는 곡선도로에 대한 운전자 자신의 시야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안전을 위협받는 상황이 종종 발생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최근에는 야간주행시 운전자의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운전자가 스티어링휠을 회전시키는 각도에 따라 헤드램프를 좌우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하는 스위블 액츄에이터가 개발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블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블 액츄에이터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부를 형성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수용되는 모터(20)와, 상기 모터(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30)와, 상기 이송스크류(30)에 결합되며 헤드램프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직선운동하는 램프체결부(40)와,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PCB기판(50) 및 기판용 플레이트(60)로 구성된다.
따라서, 곡선도로 주행시 상기 조향각도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ECU(미도시)에 입력되면, 상기 ECU는 액츄에이터 조립체를 구동시켜 상기 헤드램프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시인성을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블 액츄에이터의 경우, 상기 하우징(10)과 PCB기판(50)이 상호 접촉하는 면접부위가 넓은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모터(20) 작동에 따른 복사열이 상기 PCB기판(50)에 전달되기 쉬워 그에 따른 열 손상에 의한 작동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상기 PCB기판(50)과 기판용 플레이트(60)를 별도의 스크류(70)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 부품수가 증가하여 제조 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스크류(70)를 체결하는 조립공정을 추가적으로 진행함에 따른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모터(20)의 외주 둘레 전체를 감싸는 밀착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만약 밀착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진동에 의한 떨림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하우징(10)의 모터수용부는 모터(2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는 정밀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과 모터(20)의 밀착결합구조는, 모터(20)의 작동시 발생하는 고온의 열기를 방열시킬 수 없는 구조이므로 그에 따른 하우징(10)의 열변형은 물론 상기 PCB기판(50)에도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20)에는 체결용 돌기부(21)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체결용 돌기부(21)를 수용하는 탄성체결부재(11)가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모터(20)가 하우징(1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상기 체결용 돌기부(21)가 상기 탄성체결부(11)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는 스프링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백에 의하여 상기 모터(20)와 하우징(10) 간의 체결공차 허용치를 벗어나게 되면 고정력 약화에 따른 유격현상에 의해 조립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37363호(2010.04.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차량 헤드램프를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의 조립구성 및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작동소음 및 진동발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조립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블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액츄에이터는, 모터수용부, 가이드레일부 및 스크류수용부를 형성한 하우징 본체; 상기 모터수용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에 결합되며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램프가동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차량의 조향각 정보를 수집 및 산출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PCB기판; 상기 PCB기판을 하우징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판용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PCB기판과 접촉하는 바닥면의 넓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모터수용부로부터 스크류수용부로 갈수록 양측면 폭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수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개방된 상부에 대해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 수용부로 분할구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둘레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분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수용부에 결합된 구동모터를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모터수용부와 구동모터 사이에는 방열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이송스크류가 결합된 상태로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용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는 상기 진입용 절개부 또는 제2 수용부에 형성되는 압입용 체결부에 결속되어 걸림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곡된 구조의 절곡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에는 상호 간의 탄성체결을 위한 후크돌기와 후크결합홈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용 플레이트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체결후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PCB기판의 결합 위치 및 고정력을 높이기위한 고정돌기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수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대해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마감캡으로 분할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본체의 가이드레일부는 모터수용부로부터 스크류수용부로 갈수록 양측면 폭이 점차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한 복사열이 상기 하우징 본체를 통해 상기 PCB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열기에 의해 상기 PCB기판이 쉽게 변형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둘레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분접촉돌기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한층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기판용 플레이트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체결후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됨에 따라 조립공정에 대한 작업 진행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블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및 모터와 하우징 간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블 액츄에이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 모터수용부의 구성 및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기판용 플레이트의 구성 및 결합구조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스크류수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위블 액츄에이터는 모터수용부(110), 가이드레일부(120) 및 스크류수용부(130)를 형성한 하우징 본체(100)와, 상기 모터수용부(11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0)와, 상기 구동모터(200)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수용부(1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스크류(300)와, 상기 이송스크류(300)에 결합되며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램프가동부(400)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차량의 조향각 정보를 수집 및 산출하여 상기 구동모터(200)의 출력을 제어하는 PCB기판(500)과, 상기 PCB기판(500)을 하우징 본체(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판용 플레이트(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베이스 구조물로서, 그 길이방향의 일측에는 모터수용부(110)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스크류스용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수용부(110)와 스크류수용부(130) 사이에는 가이드레일부(1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후술할 PCB기판(500)과 접촉하는 바닥면의 넓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부(120)는 모터수용부(110)로부터 스크류수용부(130)로 갈수록 양측면 폭이 점차 줄어드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모터수용부(110)에 결합되는 구동모터(200)의 작동에 따른 복사열이 상기 하우징 본체(100)를 통해 상기 PCB기판(5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열손상에 의해 상기 PCB기판(500)이 쉽게 변형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모터수용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제1 수용부(111)와, 상기 제1 수용부(111)의 개방된 상부에 대해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 수용부(112)로 분할구성된다.
즉, 상기 모터수용부(110)의 제1 수용부(111)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 일체형 구조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수용부(112)는 제1 수용부(111)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립체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립식 분할구성은 조립공정에 대한 작업 진행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의 내벽면에는 상기 구동모터(200)의 둘레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분접촉돌기(113)가 형성된다.
상기 부분접촉돌기(113)는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의 내벽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4개씩 배치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4개 이상 또는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분접촉돌기(113)는 구동모터(200)의 외주 둘레면 등분하여 국부접촉 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구동모터(200)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수용부(110)에 결합된 구동모터(200)를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모터수용부(110)와 구동모터(200) 사이에는 상기 부분접촉돌기(113)에 의한 방열공간부(114)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수용부(110)에 결합된 구동모터(200)는 작동시 발생되는 열을 한층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수용부(111)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200)에 이송스크류(300)가 결합된 상태로 진입을 용이하게 안내하는 진입용 절개부(1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에는 상호 간의 탄성체결을 위한 후크돌기(116a)와 후크결합홈(116b)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후크돌기(116a)와 후크결합홈(116b)은 상기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 내에 위치하고 상호 간의 상보적인 체결구조를 제공함으로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돌기(116a) 및 후크결합홈(116b)이 외부에 노출되는거나 스프링백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돌기(116a)와 후크결합홈(116b)은 상기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의 높낮이 차이를 가지는 단차면(110a)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적용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수용부(111)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돌기(116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후크결합홈(116b)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용부(112)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돌기(116a)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후크결합홈(116b)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 수용부(111)의 후크결합홈(116b)에 결합되는 후크돌기(116a)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간의 상보적 맞물림 구조에 의한 고정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수용부(112)의 내벽면에는 후술할 절곡걸림편(210)에 끼워지는 압입용 체결부(112a)가 형성된다(도 4참조).
또한,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후술할 PCB기판(500)의 결합 위치 및 고정력을 높이기 위한 고정돌기(117)가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PCB기판(500)을 지지하는 후술할 기판용 플레이트(600)의 체결 고정력이 약화되더라도 상기 PCB기판(500)이 하우징 본체(100)로부터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200)는 상기 모터수용부(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스크류(3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모터(200)는 정밀제어가 가능한 스텝모터(step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모터(200)의 출력축(미도시)이 상기 이송스크류(300)와 직접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출력축에 결합되는 출력기어(미도시)를 이용한 기어치합으로부터 상기 이송스크류(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00)의 일측에는 상기 진입용 절개부(115) 또는 제2 수용부(112)에 형성되는 압입용 체결부(112a)에 결속되어 걸림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략 'ㄱ'자 모양으로 절곡된 절곡걸림편(210)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걸림편(210)은 상기 모터수용부(110)에 결합된 구동모터(200)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송스크류(300)는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수용부(13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후술할 램프가동부(4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상기 이송스크류(300)는 외주면에 나사부(30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200)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면 상기 이송스크류(300)의 회전방향에 따른 상대회전력에 의해 상기 램프가동부(400)는 직선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이송스크류(300)의 타단에는 베어링(310)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이송스크류(300)의 안정적인 수평유지와 함께 원활한 회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가동부(400)는 상기 이송스크류(300)에 결합되며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직선운동방향에 따라 헤드램프(미도시)를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램프가동부(400)에는 상기 이송스크류(300)가 관통하는 상태로 나사체결되는 나사체결공(410)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상기 헤드램프와 연결되는 체결돌기(420)가 돌출형성되며 하부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부(120)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430)가 형성된다.
상기 PCB기판(500)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의 조향각 정보를 수집 및 산출하여 상기 구동모터(200)의 출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판용 플레이트(600)는 상기 PCB기판(5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PCB기판(500)을 하우징 본체(100)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판용 플레이트(600)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후크(610)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는 상기 체결후크(610)가 체결되는 체결홈(150)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상기 체결후크(610) 및 체결홈(150)의 구성은 구성부품 간의 조립 및 결합구조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종래의 스크류를 이용하는 체결구조와 비교하여 부품수가 증가하는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을 간소화시켜 생산성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스크류수용부(130)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수용몸체(131)와, 상기 수용몸체(131)의 개방된 상부에 대해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마감캡(132)으로 분할구성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상기 모터수용부(110)의 조립구조와 동일한 분할 구성으로 제작함으로써, 구성부품의 조립공정에 대한 작업 진행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따르면, 하우징 본체(100)의 가이드레일부(120)는 모터수용부(110)로부터 스크류수용부(130)로 갈수록 양측면 폭이 점차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동모터(200)의 작동에 의한 복사열이 상기 하우징 본체(100)를 통해 상기 PCB기판(5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열기에 의해 상기 PCB기판(500)이 쉽게 변형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의 내벽면에는 상기 구동모터(200)의 둘레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분접촉돌기(113)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200)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모터(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한층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기판용 플레이트(600)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후크(610)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100)에는 상기 체결후크(610)가 체결되는 체결홈(150)이 형성됨에 따라 조립공정에 대한 작업 진행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하우징 본체
110 : 모터수용부
113 : 부분접촉돌기
120 : 가이드레일부
130 : 스크류수용부
200 : 구동모터
210 : 절곡걸림편
300 : 이송스크류
400 : 램프가동부
500 : PCB기판
600 : 기판용 플레이트
610 : 체결후크

Claims (8)

  1. 모터수용부, 가이드레일부 및 스크류수용부를 형성한 하우징 본체;
    상기 모터수용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크류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에 결합되며 축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램프가동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차량의 조향각 정보를 수집 및 산출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PCB기판;
    상기 PCB기판을 하우징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판용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본체는 상기 PCB기판과 접촉하는 바닥면의 넓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모터수용부로부터 스크류수용부로 갈수록 양측면 폭이 점차 줄어드는 구조이며,
    상기 모터수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개방된 상부에 대해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제2 수용부로 분할구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이송스크류가 결합된 상태로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용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는 상기 진입용 절개부 또는 제2 수용부에 형성되는 압입용 체결부에 결속되어 걸림단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절곡된 구조의 절곡걸림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의 내벽면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둘레면에 대해 부분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는 부분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액츄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수용부에 결합된 구동모터를 측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모터수용부와 구동모터 사이에는 방열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액츄에이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가 서로 마주보는 단면에는 상호 간의 탄성체결을 위한 후크돌기와 후크결합홈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액츄에이터.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용 플레이트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체결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에는 상기 체결후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액츄에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PCB기판의 결합 위치 및 고정력을 높이기위한 고정돌기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액츄에이터.
  8.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수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개방된 상부에 대해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마감캡으로 분할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블 액츄에이터.
KR1020160027506A 2016-03-08 2016-03-08 스위블 액츄에이터 KR10180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506A KR101804155B1 (ko) 2016-03-08 2016-03-08 스위블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7506A KR101804155B1 (ko) 2016-03-08 2016-03-08 스위블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142A KR20170105142A (ko) 2017-09-19
KR101804155B1 true KR101804155B1 (ko) 2017-12-05

Family

ID=6003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7506A KR101804155B1 (ko) 2016-03-08 2016-03-08 스위블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1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43B1 (ko) * 2013-12-27 2015-05-07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햅틱모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43B1 (ko) * 2013-12-27 2015-05-07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햅틱모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142A (ko) 201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0902B2 (en)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and outer column
JP2012526941A (ja) 自動車の冷却ファンのためのブロワ・ロータ結合体
KR101834368B1 (ko) 스위블 액츄에이터
JP2014231288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CN111699614B (zh) 马达和电动助力转向装置
JP5351969B2 (ja) 車両にミラーを固定するためのミラー取り付け台及びこのミラー取り付け台を備えるミラー
KR20170080899A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장치의 베어링 홀더 구조체
KR101804155B1 (ko) 스위블 액츄에이터
CN201027729Y (zh) 机械连接组件和可调式机械安装装置
KR101531072B1 (ko) 아웃사이드 미러 유닛용 장착 구조
JP6038768B2 (ja) アクチュエータ
EP1724181A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N112319249A (zh) 电运行的车辆的动力电池以及公差补偿单元
US8585267B2 (en) Head lamp attachment structure
CN114312549B (zh) 调节机构
KR101832887B1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KR20170105144A (ko) 스위블 액츄에이터
JP5001896B2 (ja) 冷却ファンの取付構造
KR20170105143A (ko) 스위블 액츄에이터
JP201920622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783466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10283222A (ja) 自動車
JP2021020549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20040024796A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헤드램프 마운팅구조
US20200398395A1 (en) Fixing member and spind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