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238B1 -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238B1
KR101803238B1 KR1020170079896A KR20170079896A KR101803238B1 KR 101803238 B1 KR101803238 B1 KR 101803238B1 KR 1020170079896 A KR1020170079896 A KR 1020170079896A KR 20170079896 A KR20170079896 A KR 20170079896A KR 101803238 B1 KR101803238 B1 KR 101803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tranding
tension
ground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5758A (ko
Inventor
남춘봉
Original Assignee
남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춘봉 filed Critical 남춘봉
Priority to KR102017007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23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5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01B13/0214Stranding-up by a twisting pay-off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01B13/0221Stranding-up by a twistin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 H01B13/0228Stranding-up by a twisting pay-off and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전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1선재공급부, 제2전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2선재공급부, 접지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3선재공급부, 이송되는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을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꼬아 코어선재를 형성하는 스트랜딩수단, 상기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인 상기 코어선재를 권취시킴에 따라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이 이송되는 권취이송부, 상기 권취이송부와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이며 이송되는 각 전선과 접지선의 외측을 테이핑하여 차폐시키되, 상기 권취이송부에서 권취되기 전에 차폐시키기 위한 차폐부, 상기 제1선재공급부와 제2선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메인텐션부, 및 상기 제3선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접지선을 상기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임이 발생된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사이로 공급하기 위한 접지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의 각 텐션을 1차 조절하여 공급함은 물론, 상호 꼬이기 전에 각 선재의 텐션을 2차 조절하여 공급함에 따라, 각 선재가 균일하게 꼬임은 물론, 접지선의 합류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이송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2차 꼬임에 의해 내구력을 증가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Improved productivity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cabl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전선과 제2전선 및 접지선에 꼬임이 발생되도록 이송시키되, 차폐와 접지선의 합류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여 이송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두 가닥 이상의 선재를 꼬아서(stranding) 제조하게 되는데, 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피치로 선재를 꼬기 위해서는 선재에 일정한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선재에 대한 송출속도와 회전속도를 적절히 유지할 때 가능하다.
이러한 종래의 꼬인 케이블 제조장치는 적어도 두 가닥 이상의 선재를 공급하는 선재 공급수단(pay-off)과, 선재를 일정한 속도로 인취하는 인취기(capstan)와, 선재 공급수단과 인취기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 다이 및 회전체와, 꼬아진 선재를 감기 위한 권취기(take-up)가 구비된다.
인취기에 의해 당겨짐에 따라 선재 공급수단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선재들은 가이드 다이에 의해 모아진 상태에서 회전체를 통해 소정 피치로 꼬아진 후 권취기에 전달된다.
여기서, 설정되는 선속 및 회전체의 회전수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선재에 일정한 장력이 인가되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인취기와 회전체는 소정 기어비(gear ratio)를 갖는 기어를 통해 연동된다.
그러나 꼬임이 형성되도록 권취되는 선재는 이송 중 각 선재의 장력이 서로 상이하여 균일하게 꼬이지 않음은 물론, 서로 다른 장력에 의해 꼬임 시, 진동이 발생되어 꼬임은 더욱 불균형하게 형성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각 보빈에 권취된 선재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보빈의 회전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각 선재의 장력이 균일하게 유지되기 어려움은 여전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나의 복합케이블을 제조하기 위하여 이와 같이, 꼬인 케이블을 복수 개 다시 꼬아 피복을 하되, 각 꼬인 케이블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각 케이블의 차폐과정이 필요하다.
이에, 종래 꼬인 케이블 제조장치에 의해 꼬인 케이블의 외측을 다수의 테이프를 감아 꼬인 케이블을 차폐시킨다.
이러한 종래 차폐장치는 등록특허 제10-1103633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보빈이 권취된 꼬인 케이블을 이송시키며 차폐테이프를 한 층 이상 감아 차폐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차폐장치는 이송과정에서의 장력을 조절하고, 진동을 방지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이 존재함에 따라, 그 제조과정에서 별도의 비용이 발생된다.
특히, 하나의 복합케이블의 제조를 위하여 꼬인 케이블 제조장치와 차폐장치를 별도의 공간에 각각 설비하여 각각의 제조과정은 물론, 각 과정에서 권취된 보빈을 이송하는 등의 과정이 발생되어 원가는 더욱 증가되어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꼬인 케이블 제조장치는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이는, 꼬임이 발생된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사이로 접지선의 합류가 용이하지 않아 그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 의해 이송속도가 느려지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각 선재를 나선형으로 꼬임을 발생시키고, 차폐시키되, 비용을 절감시켜 원가를 절감시킴은 물론, 장력과 진동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제품신뢰성을 향상시켜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제1전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1선재공급부, 제2전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2선재공급부, 접지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3선재공급부, 이송되는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을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꼬아 코어선재를 형성하는 스트랜딩수단, 상기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인 상기 코어선재를 권취시킴에 따라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이 이송되는 권취이송부, 상기 권취이송부와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이며 이송되는 각 전선과 접지선의 외측을 테이핑하여 차폐시키되, 상기 권취이송부에서 권취되기 전에 차폐시키기 위한 차폐부, 상기 제1선재공급부와 제2선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메인텐션부, 및 상기 제3선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접지선을 상기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임이 발생된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사이로 공급하기 위한 접지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의 각 텐션을 1차 조절하여 공급함은 물론, 상호 꼬이기 전에 각 선재의 텐션을 2차 조절하여 공급함에 따라, 각 선재가 균일하게 꼬임은 물론, 접지선의 합류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이송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2차 꼬임에 의해 내구력을 증가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제1전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1선재공급부, 제2전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2선재공급부, 접지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3선재공급부, 이송되는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을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꼬아 코어선재를 형성하는 스트랜딩수단, 상기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인 상기 코어선재를 권취시킴에 따라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이 이송되는 권취이송부, 상기 권취이송부와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이며 이송되는 각 전선과 접지선의 외측을 테이핑하여 차폐시키되, 상기 권취이송부에서 권취되기 전에 차폐시키기 위한 차폐부, 상기 제1선재공급부와 제2선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메인텐션부, 및 상기 제3선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접지선을 상기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임이 발생된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사이로 공급하기 위한 접지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선재공급부는, 제1거치프레임, 상기 제1전선이 감긴 제1보빈, 상기 제1보빈을 상기 제1거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시키기 위한 제1거치부, 상기 제1거치부에 거치된 제1보빈을 회전시켜 권취된 제1전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1공급모터, 상기 제1거치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보빈에서 공급되는 제1전선이 거치기 위한 제1상단롤러, 상기 제1거치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상단롤러를 거친 제1전선을 상기 메인텐션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1하단롤러, 상기 제1상단롤러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거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보빈에서 공급되는 제1전선을 상기 제1상단롤러로 공급하되, 상기 제1거치프레임에 인접하도록 가이드하는 제1선재가이드롤, 및 상기 제1상단롤러와 제1하단롤러 사이에 구비되어 제1전선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제1전선텐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선재공급부는, 제2거치프레임, 상기 제2전선이 감긴 제2보빈, 상기 제2보빈을 상기 제2거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시키기 위한 제2거치부, 상기 제2거치부에 거치된 제2보빈을 회전시켜 권취된 제2전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2공급모터, 상기 제2거치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보빈에서 공급되는 제2전선이 거치기 위한 제2상단롤러, 상기 제2거치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상단롤러를 거친 제2전선을 상기 메인텐션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2하단롤러, 상기 제2상단롤러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거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보빈에서 공급되는 제2전선을 상기 제2상단롤러로 공급하되, 상기 제2거치프레임에 인접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선재가이드롤, 및 상기 제2상단롤러와 제2하단롤러 사이에 구비되어 제2전선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제2전선텐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선재공급부는, 제3거치프레임, 상기 접지선이 감긴 제3보빈, 상기 제3보빈을 상기 제3거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시키기 위한 제3거치부, 상기 제3거치부에 거치된 제3보빈을 회전시켜 권취된 접지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3공급모터, 상기 제3거치프레임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보빈에서 공급되는 접지선이 거치기 위한 제3상단롤러, 상기 제3거치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상단롤러를 거친 접지선을 상기 메인텐션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3하단롤러, 상기 제3상단롤러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3거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3보빈에서 공급되는 접지선을 상기 제3상단롤러로 공급하되, 상기 제3거치프레임에 인접하도록 가이드하는 제3선재가이드롤, 및 상기 제3상단롤러와 제3하단롤러 사이에 구비되어 접지선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제3전선텐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전선텐션부는, 상기 각 거치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텐션가이드봉, 복수의 홈을 갖고, 상기 텐션가이드봉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텐션하단롤러, 상기 텐션하단롤러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홈을 갖고, 상기 텐션가이드봉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텐션상단롤러, 및 상기 텐션상단롤러를 상측으로 당겨 상기 텐션하단롤러와 텐션상단롤러를 거치는 해당 선재의 텐션을 실시간 조절하는 텐션조절추,를 포함하고, 상기 각 상단롤러를 거친 해당 선재가 상기 텐션하단롤러와 텐션상단롤러의 각 홈을 순차적으로 거친 후, 상기 각 하단롤러를 거치되, 상기 텐션조절추의 중량에 의해 상기 텐션상단롤러와 텐션하단롤러의 간격을 조절하여 텐션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스트랜딩수단은,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로 1차 꼬임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코어선재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설치공간부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을 1차 꼬는 제1스트랜딩부, 및 상기 설치공간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스트랜딩부에 의해 1차 꼬인 코어선재를 2차 꼬는 제2스트랜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트랜딩부는, 상기 유입부에 연통되는 제1이동로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회전축, 일단이 상기 제1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스트랜딩프레임, 상기 제1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이동로를 따라 이송되는 코어선재를 상기 제1스트랜딩프레임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스트랜딩롤러, 상기 제1스트랜딩프레임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복수 개 배열되어 상기 제1스트랜딩롤러를 거친 코어선재를 상기 제2스트랜딩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1스트랜딩가이드롤러, 및 상기 메인텐션부를 거친 제1전선과 제2전선의 꼬임이 시작되기 위한 스트랜딩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스트랜딩부는, 제2이동로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스트랜딩프레임의 타단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스트랜딩프레임을 따라 이동되는 1차 꼬인 코어선재를 상기 권취이송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스트랜딩롤러,를 포함하고, 회전되는 상기 제1스트랜딩프레임을 따라 이송되는 1차 꼬인 코어선재는 상기 제2스트랜딩롤러를 거침에 따라 이송방향이 변곡되어 2차 꼬인다.
그리고 상기 권취이송부는,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에 구비되는 권취프레임, 상기 2차 꼬인 코어선재가 권취되도록 상기 권취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어보빈, 상기 제2회전축의 제2이동로 전측에 위치되는 제1권취롤러, 상기 제1권취롤러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2권취롤러, 상기 제2권취롤러의 위치를 왕복 변위시키기 위한 권취위치조절부, 및 상기 코어보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권취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모터에 의해 상기 코어보빈이 회전되어 2차 꼬인 코어선재를 권취시킴에 따라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을 이송시키되, 상기 권취위치조절부에 의해 제2권취롤러의 위치가 왕복 변위되어 코어선재가 코어보빈에 권취되는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권취위치조절부는, 상기 제1권취롤러와 제2권취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권취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블럭, 상기 권취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코어선재의 권취방향과 직교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위치가이드봉, 상기 제1위치가이드봉과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제2위치가이드봉, 상기 제1위치가이드봉과 제2위치가이드봉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블럭, 상기 회동블럭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블럭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 상기 이동블럭을 기준으로 상기 제2위치가이드봉의 일측 외주를 따라 설치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럭을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스프링, 및 상기 이동블럭을 기준으로 상기 제2위치가이드봉의 타측 외주를 따라 설치되어 타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럭을 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에 의해 제1위치가이드봉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블럭의 왕복 직선이동이 상기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을 통해 상기 회동블럭을 왕복 회전시킴에 따라 제2권취롤러의 위치가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스트랜딩가이드부는, 상기 메인텐션부와 차폐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 상기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선이 통과되어 가이드되기 위한 제1스트랜딩가이드공, 상기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전선이 통과되어 가이드되기 위한 제2스트랜딩가이드공, 및 내부에 제3스트랜딩가이드공을 갖고, 상기 제1스트랜딩가이드공과 제2스트랜딩가이드공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이 통과하며 1차 꼬임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트랜딩메인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스트랜딩가이드공과 제2스트랜딩가이드공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제1전선과 제2전선의 가이드되는 위치가 상이함에 따라 꼬임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3스트랜딩가이드공은,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이 유입되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이 상기 제3스트랜딩가이드공으로 유입되어 꼬임의 시작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전선꼬임각도조절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선꼬임각도조절부는, 상기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의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전선각도조절프레임,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의 꼬임시작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꼬임센서, 상기 전선각도조절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제1스트랜딩가이드공과 제2스트랜딩가이드공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꼬임조절구동부, 및 상기 꼬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꼬임조절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전선꼬임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폐부는, 상기 스트랜딩가이드부에 의해 1차 꼬이며 이송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외측을 나선형으로 감아 1차 테이핑하는 제1차폐부, 상기 제1차폐부에 의해 1차 차폐된 후, 상기 접지위치조절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접지선이 함께 꼬인 코어선재의 외측을 나선형으로 감아 2차 테이핑하는 제2차폐부, 및 상기 제2차폐부에 의해 2차 차폐된 코어선재의 외측을 나선형으로 감아 3차 테이핑하는 제3차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차폐부는, 해당 테이프보빈이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되, 수평방향으로 풀리도록 거치되는 테이프공급부, 및 상기 테이프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테이프를 꼬이며 이송되는 코어선재의 외측을 사선형으로 감싸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차폐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차폐가이드롤러는 이송되는 코어선재의 상단부에서 감기도록 가이드하되, 공급되는 해당 테이프가 차폐가이드롤러를 지나는 위치는 코어선재가 이송되는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제1차폐부는 코어선재의 외측에 폴리에스터 테이프를 1차 테이핑하고, 상기 제2차폐부는 1차 차폐된 외측에 절연테이프를 2차 테이핑하며, 상기 제3차폐부는 2차 차폐된 외측에 폴리에스터 테이프를 3차 테이핑한다.
그리고 상기 각 차폐부는, 상기 코어선재의 이송높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감긴 각 테이프를 코어선재에 가압하기 위한 차폐가압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차폐가압부는, 내부에 코어선재가 통과되기 위한 차폐이동로가 형성되되, 상기 각 차폐이동로는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가압력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텐션부는, 텐션몸체하우징, 제1전선과 제2전선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텐션몸체하우징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1텐션가이드롤러, 상기 텐션몸체하우징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제1전선과 제2전선을 상기 차폐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2텐션가이드롤러, 상기 제1텐션가이드롤러와 제2텐션가이드롤러 사이에 위치되되, 제1텐션가이드롤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텐션몸체하우징에 설치되어 제1전선과 제2전선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메인롤러, 상기 텐션메인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텐션구동부, 및 상기 텐션메인롤러에 위치된 제1전선과 제2전선을 텐션메인롤러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텐션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텐션가압부는, 상기 텐션메인롤러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텐션가압롤러, 상기 텐션메인롤러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텐션가압롤러, 상기 텐션메인롤러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3텐션가압롤러, 상기 제1텐션가압롤러와 제2텐션가압롤러, 제3텐션가압롤러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되, 상기 텐션메인롤러의 외주면 중 일부를 가압하여 제1전선과 제2전선을 가압하기 위한 텐션가압밸트, 및 상기 제3텐션가압롤러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텐션가압밸트의 텐션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텐션메인롤러에 위치된 제1전선과 제2전선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텐션가압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텐션가압롤러는 상기 텐션메인롤러의 회전중심축을 수직으로 지나는 수직연장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텐션가압롤러는 상기 텐션메인롤러의 회전중심축을 수평으로 지나는 수평연장선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텐션가압롤러의 중심점과 상기 제2텐션가압롤러의 중심점을 지나는 제3연장선은 상기 텐션메인롤러의 회전중심축의 상측을 지나도록 구비되어 상기 텐션가압부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을 텐션메인롤러의 하부 타측에서 대각선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위치조절수단은, 내부에 장공형태의 제1거치이동공을 갖고,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이송라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접지고정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접지고정프레임의 제1거치이동공을 따라 이동되는 접지수평프레임, 하단부가 상기 접지수평프레임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단부에 상기 접지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접지가이드홈을 갖는 접지수직프레임, 상기 접지수평프레임의 일단부를 상기 제1거치이동공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접지수평고정부, 및 상기 접지수직프레임의 하단부를 상기 접지수평프레임의 타단부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접지회전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수평고정부와 접지회전고정부에 의해 접지선의 합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접지선을 꼬임이 발생되어 이송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사이로 정확하게 합류시킨다.
또한, 상기 접지선이 합류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의 꼬임형상을 센싱하기 위한 접지확인센서, 및 상기 접지확인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지선의 합류위치가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의 꼬임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인텐션부와 접지수평고정부, 접지회전고정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접지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에 의하면,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의 각 텐션을 1차 조절하여 공급함은 물론, 상호 꼬이기 전에 각 선재의 텐션을 2차 조절하여 공급함에 따라, 각 선재가 균일하게 꼬임은 물론, 접지선의 합류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이송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2차 꼬임에 의해 내구력을 증가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케이블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폐케이블 제조장치의 선재공급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딩수단과 권취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딩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이송부의 권취위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텐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위치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케이블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폐케이블 제조장치의 선재공급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딩수단과 권취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랜딩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이송부의 권취위치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텐션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위치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케이블 제조장치(10)는 제1선재공급부(110)와 제2선재공급부(120), 제3선재공급부(130), 스트랜딩수단(200), 권취이송부(300), 차폐부(400), 메인텐션부(500) 및 접지위치조절수단(700)으로 구성된다.
제1선재공급부(110)는 제1전선(21)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선재공급부(120)는 제2전선(22)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며, 제3선재공급부(130)는 접지선(23)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스트랜딩수단(200)은 이송되는 제1전선(21)과 제2전선(22), 접지선(23)을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꼬아 코어선재(20)를 형성한다.
권취이송부(300)는 스트랜딩수단(200)에 의해 꼬인 코어선재(20)를 권취시킴에 따라 제1전선(21)과 제2전선(22), 접지선(23)이 이송된다.
또한, 차폐부(400)는 권취이송부(300)와 스트랜딩수단(200)에 의해 꼬이며 이송되는 각 전선과 접지선의 외측을 테이핑하여 차폐시키되, 권취이송부(300)에서 권취되기 전에 차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메인텐션부(500)는 제1선재공급부(110)와 제2선재공급부(120)에서 공급되는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접지위치조절수단(700)은 제3선재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접지선(23)을 스트랜딩수단(200)에 의해 꼬임이 발생된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사이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10)에 의하면, 제1전선(21)과 제2전선(22) 및 접지선(23)의 각 텐션을 조절하여 공급하고, 나선형으로 회전시키며 이송시켜 1차 꼬임을 형성하기 전, 2차 텐션을 조절하며, 각 테이프로 테이핑하여 차폐시킨 후, 2차 꼬임을 형성한 다음, 권취시킴에 따라, 차폐는 물론, 탄성력을 증가시켜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접지선(23)은 접지위치조절수단(700)에 의해 꼬임이 발생되며 이송되는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사이에 정확하게 합류시킬 수 있어 불량발생이 방지 또는 최소화될 수 있어 권취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되는 속도를 종래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차폐케이블의 제조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선재공급수단(1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선재공급부(110)와 제2선재공급부(120) 및 제3선재공급부(130)로 구성된다.
제1선재공급부(110)는 제1전선(21)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고, 제2선재공급부(120)는 제2전선(22)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3선재공급부(130)는 접지선(23)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먼저, 제1선재공급부(110)는 제1거치프레임(111)과 제1보빈(112), 제1거치부(113), 제1공급모터(114), 제1상단롤러(115), 제1하단롤러(116), 제1선재가이드롤(117) 및 제1전선텐션부(118)로 구성된다.
제1보빈(112)은 제1전선(21)이 감기고, 제1거치부(113)는 제1보빈(112)을 제1거치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1공급모터(114)는 제1거치부(113)에 거치된 제1보빈(112)을 회전시켜 권취된 제1전선(21)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상단롤러(115)는 제1거치프레임(111)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제1보빈(112)에서 공급되는 제1전선(21)이 거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1하단롤러(116)는 제1거치프레임(11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제1상단롤러(115)를 거친 제1전선(21)을 메인텐션부(500)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선재가이드롤(117)은 제1상단롤러(115)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제1거치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1보빈(112)에서 공급되는 제1전선(21)을 제1상단롤러(115)로 공급하되, 제1거치프레임(111)에 인접하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제1전선텐션부(118)는 제1상단롤러(115)와 제1하단롤러(116) 사이에 구비되어 제1전선(21)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선재공급부(120)는 제2거치프레임(121)과 제2보빈(122), 제2거치부(123), 제2공급모터(124), 제2상단롤러(125), 제2하단롤러(126), 제2선재가이드롤(127) 및 제2전선텐션부(128)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보빈(122)은 제2전선(22)이 감기고, 제2거치부(123)는 제2보빈(122)을 제2거치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2공급모터(124)는 제2거치부(123)에 거치된 제2보빈(122)을 회전시켜 권취된 제2전선(22)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상단롤러(125)는 제2거치프레임(121)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제2보빈(122)에서 공급되는 제2전선(22)이 거치기 위해 구비된다.
제2하단롤러(126)는 제2거치프레임(12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제2상단롤러(125)를 거친 제2전선(22)을 메인텐션부(500)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선재가이드롤(127)은 제2상단롤러(125)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제2거치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2보빈(122)에서 공급되는 제2전선(22)을 제2상단롤러(125)로 공급하되, 제2거치프레임(121)에 인접하도록 가이드한다.
제2전선텐션부(128)는 제2상단롤러(125)와 제2하단롤러(126) 사이에 구비되어 제2전선(22)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3선재공급부(130)는 제3거치프레임(131)과 제3보빈(132), 제3거치부(133), 제3공급모터(134), 제3상단롤러(135), 제3하단롤러(136), 제3선재가이드롤(137) 및 제3전선텐션부(138)로 구성된다.
제3보빈(132)은 접지선(23)이 감기고, 제3거치부(133)는 제3보빈(132)을 제3거치프레임(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3공급모터(134)는 제3거치부(133)에 거치된 제3보빈(132)을 회전시켜 권취된 접지선(23)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3상단롤러(135)는 제3거치프레임(131)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제3보빈(132)에서 공급되는 접지선(23)이 거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3하단롤러(136)는 제3거치프레임(13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제3상단롤러(135)를 거친 접지선(23)을 메인텐션부(500)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3선재가이드롤(137)은 제3상단롤러(135)의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제3거치프레임(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3보빈(132)에서 공급되는 접지선(23)을 제3상단롤러(135)로 공급하되, 제3거치프레임(131)에 인접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제3전선텐션부(138)는 제3상단롤러(135)와 제3하단롤러(136) 사이에 구비되어 접지선(23)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각 전선텐션부(118, 128, 138)는 텐션가이드봉(1182, 1282, 1382)과 텐션하단롤러(1184, 1284, 1384), 텐션상단롤러(1186, 1286, 1386) 및 텐션조절추(1188, 1288, 1388)로 구성된다.
텐션가이드봉(1182, 1282, 1382)은 각 거치프레임(111, 121, 131)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텐션하단롤러(1184, 1284, 1384)는 복수의 홈을 갖고, 텐션가이드봉(1182, 1282, 1382)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텐션상단롤러(1186, 1286, 1386)는 텐션하단롤러(1184, 1284, 1384)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홈을 갖고, 텐션가이드봉(1182, 1282, 1382)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텐션조절추(1188, 1288, 1388)는 텐션상단롤러(1186, 1286, 1386)를 상측으로 당겨 텐션하단롤러(1184, 1284, 1384)와 텐션상단롤러(1186, 1286, 1386)를 거치는 해당 선재의 텐션을 실시간 조절한다.
이러한 각 전선텐션부(118, 128, 138)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각 상단롤러(115, 125, 135)를 거친 해당 선재가 텐션하단롤러(1184, 1284, 1384)와 텐션상단롤러(1186, 1286, 1386)의 각 홈을 순차적으로 거친다.
그 후, 각 하단롤러(116, 126, 136)를 거치되, 텐션조절추(1188, 1288, 1388)의 중량에 의해 텐션하단롤러(1184, 1284, 1384)와 텐션상단롤러(1186, 1286, 1386)의 간격을 조절하여 텐션을 조절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랜딩수단(200)은 몸체하우징(210)과 유입부(220), 제1스트랜딩부(230) 및 제2스트랜딩부(240)로 구성된다.
몸체하우징(210)은 내부에 설치공간부(212)를 갖고, 유입부(220)는 몸체하우징(210)의 설치공간부(212)로 제1전선(21)과 제2전선(22), 접지선(23)이 유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1스트랜딩부(230)는 유입부(220)와 연통되어 설치공간부(212)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이송되는 제1전선(21)과 제2전선(22), 접지선(23)을 1차 꼰다.
제2스트랜딩부(240)는 설치공간부(21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1스트랜딩부(230)에 의해 1차 꼬인 코어선재(20)를 2차 꼰다.
여기서, 제1스트랜딩부(230)는 제1회전축(232)과 제1스트랜딩프레임(234), 제1스트랜딩롤러(236) 및 제1스트랜딩가이드롤러(238) 및 스트랜딩가이드부(800)로 구성된다.
제1회전축(232)은 유입부(220)에 연통되는 제1이동로(233)를 갖고, 몸체하우징(210)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스트랜딩프레임(234)은 일단이 제1회전축(232)과 함께 회전되며, 제1스트랜딩롤러(236)는 제1회전축(232)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1이동로(233)를 따라 이송되는 코어선재(20)를 제1스트랜딩프레임(234)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1스트랜딩가이드롤러(238)는 제1스트랜딩프레임(234)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복수 개 배열되어 제1스트랜딩롤러(236)를 거친 코어선재(20)를 제2스트랜딩부(240)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스트랜딩가이드부(800)는 메인텐션부(500)를 거친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꼬임이 시작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스트랜딩부(240)는 제2회전축(242)과 제2스트랜딩롤러(244)로 구성된다.
제2회전축(242)은 제2이동로(243)를 갖고, 몸체하우징(21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제1스트랜딩프레임(234)의 타단과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2스트랜딩롤러(244)는 제2회전축(242)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제1스트랜딩프레임(234)을 따라 이동되는 1차 꼬인 코어선재(20)를 권취이송부(300)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2스트랜딩부(240)는 회전되는 제1스트랜딩프레임(234)을 따라 이송되는 1차 꼬인 코어선재(20)는 제2스트랜딩롤러(244)를 거침에 따라 이송방향이 변곡되어 2차 꼬인다.
*또한 권취이송부(300)는 권취프레임(310)과 코어보빈(320), 제1권취롤러(330), 제2권취롤러(340), 권취위치조절부(350) 및 권취모터(360)로 구성된다.
권취프레임(310)은 몸체하우징(210)의 설치공간부(212)에 구비되고, 코어보빈(320)은 2차 꼬인 코어선재(20)가 권취되도록 권취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1권취롤러(330)는 제2회전축(242)의 제2이동로(243) 전측에 위치되고, 제2권취롤러(340)는 제1권취롤러(330)의 상측에 위치된다.
권취위치조절부(350)는 제2권취롤러(340)의 위치를 왕복 변위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권취모터(360)는 코어보빈(32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권취이송부(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권취모터(360)에 의해 코어보빈(320)이 회전되어 2차 꼬인 코어선재(20)를 권취시킴에 따라 제1전선(21)과 제2전선(22), 접지선(23)을 이송시키되, 권취위치조절부(350)에 의해 제2권취롤러(340)의 위치가 왕복 변위되어 코어선재(20)가 코어보빈(320)에 권취되는 위치를 조절한다.
이에, 코어선재(20)는 코어보빈(320)의 전체적으로 균일한 직경으로 권취된다.
여기서, 스트랜딩가이드부(8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810)과 제1스트랜딩가이드공(820), 제2스트랜딩가이드공(830) 및 스트랜딩메인프레임(840)으로 구성된다.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810)은 메인텐션부(500)와 차폐부(400)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1스트랜딩가이드공(820)은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8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1전선(21)이 통과되어 가이드되기 위해 구비된다.
제2스트랜딩가이드공(830)은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810)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어 제2전선(22)이 통과되어 가이드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스트랜딩메인프레임(840)은 내부에 제3스트랜딩가이드공(842)을 갖고, 제1스트랜딩가이드공(820)과 제2스트랜딩가이드공(830)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이 통과하며 1차 꼬임을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제1스트랜딩가이드공(820)과 제2스트랜딩가이드공(83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가이드되는 위치가 상이함에 따라 꼬임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하측에 위치됨은 각 가이드공(820, 830)의 중심점을 수평방향으로 지나는 각 연장선 중 상측에 위치된 연장선을 기준으로 어느 하나의 연장선이 그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제3스트랜딩가이드공(842)은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이 유입되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이러한 제3스트랜딩가이드공(842)에 의해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이 일단부로 용이하게 가이드되어 꼬임이 발생된다.
또한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이 제3스트랜딩가이드공(842)으로 유입되어 꼬임의 시작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전선꼬임각도조절부(850)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810)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1스트랜딩가이드공(820)과 제2스트랜딩가이드공(830)은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81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직경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전선꼬임각도조절부(850)는 전선각도조절프레임(852)과 꼬임센서(854), 꼬임조절구동부(856) 및 전선꼬임제어부(858)로 구성된다.
전선각도조절프레임(852)은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810)의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꼬임센서(854)는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꼬임시작위치를 센싱하기 위해 구비된다.
꼬임조절구동부(856)는 전선각도조절프레임(852)에 구비되어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810)을 회전시켜 제1스트랜딩가이드공(820)과 제2스트랜딩가이드공(8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전선꼬임제어부(858)는 꼬임센서(854)의 신호를 수신하여 꼬임조절구동부(856)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꼬임이 시작되는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권취위치조절부(35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블럭(351)과 제1위치가이드봉(352), 제2위치가이드봉(353), 이동블럭(354), 가이드홈(355), 가이드돌기(356), 제1스프링(357) 및 제2스프링(358)으로 구성된다.
회동블럭(351)은 제1권취롤러(330)와 제2권취롤러(340)가 설치되며, 권취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제1위치가이드봉(352)은 권취프레임(310)에 구비되되, 코어선재(20)의 권취방향과 직교방향으로 구비된다.
제2위치가이드봉(353)은 제1위치가이드봉(352)과 평행하되,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권취프레임(310)에 구비된다.
또한 이동블럭(354)은 제1위치가이드봉(352)과 제2위치가이드봉(35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가이드홈(355)은 회동블럭(351)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돌기(356)는 가이드홈(355)을 따라 이동되도록 이동블럭(354)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1스프링(357)은 이동블럭(354)을 기준으로 제2위치가이드봉(353)의 일측 외주를 따라 설치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럭(354)을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2스프링(358)은 이동블럭(354)을 기준으로 제2위치가이드봉(353)의 타측 외주를 따라 설치되어 타측으로 이동되는 이동블럭(354)을 일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권취위치조절부(350)는 제1스프링(357)과 제2스프링(358)에 의해 제1위치가이드봉(352)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블럭(354)의 왕복 직선이동이 가이드돌기(356)와 가이드홈(355)을 통해 회동블럭(351)을 왕복 회전시킴에 따라 제2권취롤러(340)의 위치가 조절한다.
또한 차폐부(40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차폐부(410)와 제2차폐부(420) 및 제3차폐부(430)로 구성된다.
제1차폐부(410)는 스트랜딩가이드부(800)에 의해 1차 꼬이며 이송되는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외측을 나선형으로 감아 1차 테이핑하여 1차 차폐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차폐부(420)는 제1차폐부(410)에 의해 1차 차폐된 후, 접지위치조절수단(700)에 의해 공급되는 접지선(23)이 함께 꼬인 코어선재(20)의 외측을 나선형으로 감아 2차 테이핑하여 2차 차폐가 이루어진다.
제3차폐부(430)는 제2차폐부(420)에 의해 2차 차폐된 코어선재(20)의 외측을 나선형으로 감아 3차 테이핑하여 3차 차폐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차폐부(410)는 코어선재(20)의 외측에 폴리에스터 테이프(31)를 1차 테이핑하고, 제2차폐부(420)는 1차 차폐된 외측에 절연테이프(32)를 2차 테이핑하며, 제3차폐부(430)는 2차 차폐된 외측에 폴리에스터 테이프(33)를 3차 테이핑한다.
이러한 각 차폐부(410, 420, 430)는 테이프공급부(412, 422, 432)와 차폐가이드롤러(414, 424, 434)로 구성된다.
테이프공급부(412, 422, 432)는 해당 테이프보빈이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되, 수평방향으로 풀리도록 거치된다.
그리고 차폐가이드롤러(414, 424, 434)는 복수 개로, 테이프공급부(412, 422, 432)에서 공급되는 해당 테이프(31, 32, 33)를 꼬이며 이송되는 코어선재(20)의 외측을 사선형으로 감싸도록 가이드한다.
여기서, 차폐가이드롤러(414, 424, 434)는 이송되는 코어선재(20)의 상단부에서 감기도록 가이드하되, 공급되는 해당 테이프(31, 32, 33)가 차폐가이드롤러(414, 424, 434)를 지나는 위치는 코어선재(20)가 이송되는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가이드한다.
이러한 코어선재(20)의 이송높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감긴 각 테이프를 코어선재(20)에 가압하기 위한 차폐가압부(416, 426, 436)가 구비된다.
이 차폐가압부(416, 426, 436)는 내부에 코어선재(20)가 통과되기 위한 차폐이동로(417, 427, 437)가 형성되되, 각 차폐이동로(417, 427, 437)는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가압력이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7은 메인텐션부(500)는 텐션몸체하우징(510)과 제1텐션가이드롤러(520), 제2텐션가이드롤러(530), 텐션메인롤러(540) 및 텐션가압부(550)로 구성된다.
제1텐션가이드롤러(520)는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을 가이드하기 위해 텐션몸체하우징(510)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제2텐션가이드롤러(530)는 텐션몸체하우징(51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을 차폐부(400)로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된다.
텐션메인롤러(540)는 제1텐션가이드롤러(520)와 제2텐션가이드롤러(530) 사이에 위치되되, 제1텐션가이드롤러(520)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텐션몸체하우징(510)에 설치되어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텐션을 조절한다.
그리고 텐션가압부(550)는 텐션메인롤러(540)에 위치된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을 텐션메인롤러(540)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텐션가압부(550)는 제1텐션가압롤러(551)와 제2텐션가압롤러(552), 제3텐션가압롤러(553), 텐션가압밸트(554) 및 텐션가압구동부(555)로 구성된다.
제1텐션가압롤러(551)는 텐션메인롤러(540)의 일측에 위치되고, 제2텐션가압롤러(552)는 텐션메인롤러(540)의 타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3텐션가압롤러(553)는 텐션메인롤러(540)의 하측에 위치된다.
텐션가압밸트(554)는 제1텐션가압롤러(551)와 제2텐션가압롤러(552), 제3텐션가압롤러(553)를 따라 무한궤도 회전되되, 텐션메인롤러(540)의 외주면 중 일부를 가압하여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을 가압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텐션가압구동부(555)는 제3텐션가압롤러(553)의 위치를 조절하여 텐션가압밸트(554)의 텐션을 조절함에 따라, 텐션메인롤러(540)에 위치된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가압력을 조절한다.
여기서, 제3텐션가압롤러(553)는 텐션메인롤러(540)의 회전중심축(Cm)을 수직으로 지나는 수직연장선(Lv)을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되고, 제2텐션가압롤러(552)는 텐션메인롤러(540)의 회전중심축(Cm)을 수평으로 지나는 수평연장선(Lh)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1텐션가압롤러(551)의 중심점(C1)과 제2텐션가압롤러(552)의 중심점(C2)을 지나는 제3연장선(La)은 텐션메인롤러(540)의 회전중심축(Cm)의 상측을 지나도록 구비되어 텐션가압부(550)는 제1전선(210)과 제2전선(22)을 텐션메인롤러(540)의 하부 타측에서 대각선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접지위치조절수단(700)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고정프레임(710)과 접지수평프레임(720), 접지수직프레임(730), 접지수평고정부(740) 및 접지회전고정부(750)로 구성된다.
접지고정프레임(710)은 내부에 장공형태의 제1거치이동공(712)을 갖고,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이송라인의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접지수평프레임(720)은 일단부가 접지고정프레임(710)의 제1거치이동공(712)을 따라 이동된다.
접지수직프레임(730)은 하단부가 접지수평프레임(72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단부에 접지선(23)을 가이드하기 위한 접지가이드홈(732)이 형성된다.
또한 접지수평고정부(740)는 접지수평프레임(720)의 일단부를 제1거치이동공(712)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접지회전고정부(750)는 접지수직프레임(730)의 하단부를 접지수평프레임(720)의 타단부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접지수평고정부(740)와 접지회전고정부(750)에 의해 접지선(23)의 합류위치를 조절하여 접지선(23)을 꼬임이 발생되어 이송되는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사이로 정확하게 합류시킨다.
여기서, 접지위치조절수단(700)은 접지확인센서(760)와 접지제어부(770)가 더 포함된다.
접지확인센서(760)는 접지선(23)이 합류되는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꼬임형상을 센싱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접지제어부(770)는 접지확인센서(760)의 신호를 수신하여 접지선(23)의 합류위치가 제1전선(21)과 제2전선(22)의 꼬임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메인텐션부(500)와 접지수평고정부(740), 접지회전고정부(7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한다.
10 : 제조장치 20 : 코어선재
100 : 선재공급수단 110 : 제1선재공급부
120 : 제2선재공급부 130 : 제3선재공급부
200 : 스트랜딩수단 210 : 몸체하우징
220 : 유입부 230 : 제1스트랜딩부
240 : 제2스트랜딩부 300 : 권취이송부
310 : 권취프레임 320 : 코어보빈
330 : 제1권취롤러 340 : 제2권취롤러
350 : 권취위치조절부 360 : 권취모터
400 : 차폐부 410 : 제1차폐부
420 : 제2차폐부 430 : 제3차폐부
500 : 메인텐션부 510 : 텐션몸체하우징
520 : 제1텐션가이드롤러 530 : 제2텐션가이드롤러
540 : 텐션메인롤러 550 : 텐션가압부
700 : 접지위치조절수단 710 : 접지고정프레임
720 : 접지수평프레임 730 : 접지수직프레임
740 : 접지수평고정부 750 : 접지회전고정부
760 : 접지확인센서 770 : 접지제어부
800 : 스트랜딩가이드부 810 :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
820 : 제1스트랜딩가이드공 830 : 제2스트랜딩가이드공
840 : 스트랜딩메인프레임 850 : 전선꼬임각도조절부

Claims (3)

  1. 제1전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1선재공급부;
    제2전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2선재공급부;
    접지선을 공급하기 위한 제3선재공급부;
    이송되는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을 나선형으로 회전시켜 꼬아 코어선재를 형성하는 스트랜딩수단;
    상기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인 상기 코어선재를 권취시킴에 따라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이 이송되는 권취이송부;
    상기 권취이송부와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이며 이송되는 각 전선과 접지선의 외측을 테이핑하여 차폐시키되, 상기 권취이송부에서 권취되기 전에 차폐시키기 위한 차폐부;
    상기 제1선재공급부와 제2선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메인텐션부; 및
    상기 제3선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접지선을 상기 스트랜딩수단에 의해 꼬임이 발생된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사이로 공급하기 위한 접지위치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랜딩수단은,
    내부에 설치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상기 몸체하우징의 설치공간부로 1차 꼬임이 형성되어 이송되는 코어선재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설치공간부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이송되는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 접지선을 1차 꼬는 제1스트랜딩부; 및
    상기 설치공간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스트랜딩부에 의해 1차 꼬인 코어선재를 2차 꼬는 제2스트랜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스트랜딩부는,
    상기 유입부에 연통되는 제1이동로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회전축;
    일단이 상기 제1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제1스트랜딩프레임;
    상기 제1회전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이동로를 따라 이송되는 코어선재를 상기 제1스트랜딩프레임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스트랜딩롤러;
    상기 제1스트랜딩프레임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복수 개 배열되어 상기 제1스트랜딩롤러를 거친 코어선재를 상기 제2스트랜딩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1스트랜딩가이드롤러; 및
    상기 메인텐션부를 거친 제1전선과 제2전선의 꼬임이 시작되기 위한 스트랜딩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랜딩가이드부는,
    상기 메인텐션부와 차폐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
    상기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전선이 통과되어 가이드되기 위한 제1스트랜딩가이드공;
    상기 스트랜딩가이드프레임의 내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전선이 통과되어 가이드되기 위한 제2스트랜딩가이드공; 및
    내부에 제3스트랜딩가이드공을 갖고, 상기 제1스트랜딩가이드공과 제2스트랜딩가이드공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이 통과하며 1차 꼬임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트랜딩메인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는,
    상기 스트랜딩가이드부에 의해 1차 꼬이며 이송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외측을 나선형으로 감아 1차 테이핑하는 제1차폐부;
    상기 제1차폐부에 의해 1차 차폐된 후, 상기 접지위치조절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접지선이 함께 꼬인 코어선재의 외측을 나선형으로 감아 2차 테이핑하는 제2차폐부; 및
    상기 제2차폐부에 의해 2차 차폐된 코어선재의 외측을 나선형으로 감아 3차 테이핑하는 제3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텐션부는,
    텐션몸체하우징;
    제1전선과 제2전선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텐션몸체하우징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제1텐션가이드롤러;
    상기 텐션몸체하우징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제1전선과 제2전선을 상기 차폐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2텐션가이드롤러;
    상기 제1텐션가이드롤러와 제2텐션가이드롤러 사이에 위치되되, 제1텐션가이드롤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텐션몸체하우징에 설치되어 제1전선과 제2전선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메인롤러;
    상기 텐션메인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텐션구동부; 및
    상기 텐션메인롤러에 위치된 제1전선과 제2전선을 텐션메인롤러의 중심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텐션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위치조절수단은,
    내부에 장공형태의 제1거치이동공을 갖고,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이송라인의 일측에 구비되는 접지고정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접지고정프레임의 제1거치이동공을 따라 이동되는 접지수평프레임;
    하단부가 상기 접지수평프레임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단부에 상기 접지선을 가이드하기 위한 접지가이드홈을 갖는 접지수직프레임;
    상기 접지수평프레임의 일단부를 상기 제1거치이동공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접지수평고정부; 및
    상기 접지수직프레임의 하단부를 상기 접지수평프레임의 타단부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접지회전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수평고정부와 접지회전고정부에 의해 접지선의 합류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접지선을 꼬임이 발생되어 이송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의 사이로 정확하게 합류시키며,
    상기 접지선이 합류되는 제1전선과 제2전선의 꼬임형상을 센싱하기 위한 접지확인센서; 및
    상기 접지확인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접지선의 합류위치가 상기 제1전선과 제2전선의 꼬임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인텐션부와 접지수평고정부, 접지회전고정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접지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랜딩가이드공과 제2스트랜딩가이드공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위치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제1전선과 제2전선의 가이드되는 위치가 상이함에 따라 꼬임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3. 삭제
KR1020170079896A 2017-06-23 2017-06-23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KR101803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96A KR101803238B1 (ko) 2017-06-23 2017-06-23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96A KR101803238B1 (ko) 2017-06-23 2017-06-23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731A Division KR101775826B1 (ko) 2016-05-04 2016-05-04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758A KR20170125758A (ko) 2017-11-15
KR101803238B1 true KR101803238B1 (ko) 2017-11-29

Family

ID=6038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96A KR101803238B1 (ko) 2017-06-23 2017-06-23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732B1 (ko) * 2019-03-26 2019-10-01 백옥현 케이블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19Y1 (ko) 2004-08-24 2004-11-15 이운선 전선용 선재 송출기의 텐션 조절장치
KR200384143Y1 (ko) 2005-02-23 2005-05-11 김기현 가선용 텐셔너의 가이드롤러
KR101331117B1 (ko) * 2012-09-28 2013-11-19 성우테크론 주식회사 차량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장치
KR101563235B1 (ko) 2014-05-08 2015-10-26 에스원텍주식회사 케이블 및 접지선 횡권 장치
KR101566830B1 (ko) 2015-03-26 2015-11-13 주식회사 아이티씨 케이블 연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7719Y1 (ko) 2004-08-24 2004-11-15 이운선 전선용 선재 송출기의 텐션 조절장치
KR200384143Y1 (ko) 2005-02-23 2005-05-11 김기현 가선용 텐셔너의 가이드롤러
KR101331117B1 (ko) * 2012-09-28 2013-11-19 성우테크론 주식회사 차량용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제조장치
KR101563235B1 (ko) 2014-05-08 2015-10-26 에스원텍주식회사 케이블 및 접지선 횡권 장치
KR101566830B1 (ko) 2015-03-26 2015-11-13 주식회사 아이티씨 케이블 연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732B1 (ko) * 2019-03-26 2019-10-01 백옥현 케이블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758A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182B1 (ko)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JP4210329B2 (ja) 巻取り装置
US107840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cable
KR101803236B1 (ko)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KR101775826B1 (ko)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EP1584740B1 (en) Twisting machine and twisted wire manufacturing method
CN101780904B (zh) 导线部件
US55642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uniform impedance communication cables for high frequency use
KR101803238B1 (ko)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KR101803237B1 (ko) 생산성이 향상된 차폐케이블 제조장치
CN111210948B (zh) 一种用于汽车线束的绞线生产线及工艺
JP4375283B2 (ja) 極細撚線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114395B1 (ko) 슬림형 연선기
KR101361030B1 (ko) 외장케이블 제조 시스템
JP4263076B2 (ja) スチールワイヤゴム複合材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AU584917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aped products with double twist equipment
JP3560818B2 (ja) テープ巻平角導体の案内装置及び複合テープ巻装置
KR102223749B1 (ko) 스파이럴 라미네이트 절연튜브 제조용 필름 가이드장치
US20030141400A1 (e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reducing the tension of wires during a strand production process
JP4196201B2 (ja) 導電性金属素線の巻き取り方法
JP2000016695A (ja) 撚線機
JP2000144588A (ja) 複層撚りスチールコードの撚線方法及びその撚線装置
CN114655773A (zh) 一种纤维展宽放丝装置
JPH0521214Y2 (ko)
CN113410003A (zh) 复合绞线的制造装置以及复合绞线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