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593B1 - 차량 비막이 - Google Patents

차량 비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593B1
KR101802593B1 KR1020150125680A KR20150125680A KR101802593B1 KR 101802593 B1 KR101802593 B1 KR 101802593B1 KR 1020150125680 A KR1020150125680 A KR 1020150125680A KR 20150125680 A KR20150125680 A KR 20150125680A KR 101802593 B1 KR101802593 B1 KR 101802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uide member
vehicle door
pivot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706A (ko
Inventor
김준성
나정재
김현민
Original Assignee
김준성
나정재
김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성, 나정재, 김현민 filed Critical 김준성
Priority to KR1020150125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5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60J5/0494Rain covers deployed upon opening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비막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눈이나 비, 우박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때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비막이{Vehicle Awning}
본 발명은 차량 비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 또는 눈이 오는 경우, 차량에 승차하고자 하는 승객은 차량의 문을 열고 우산을 접고 승차하게 되며, 반대로 차량에서 하차하고자 하는 승객은 차량의 문을 열고 하차한 후 우산을 펼쳐서 비나 눈이 의복이나 신체에 묻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은 대중교통 수단의 하나인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에게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객이 차량에 탑승시 우산을 접고, 차량에서 하차시 우산을 펼치는 경우, 승객이 우산을 접은 시점으로부터 차량 내부에 완전히 탑승하는 시점까지, 또는 승객이 차량으로부터 빠져 나온 시점부터 우산을 펼치는 시점까지는 승객이 비나 눈을 맞을 수 밖에 없으며, 특히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의 경우, 승하차시 우산을 접거나 펼치는 행동으로 인해 탑승 시간 또는 하차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버스의 출입문 근처에서 승객이 우산을 접거나 펼치는 행동은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예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7183호에는 '자동차 도어의 비막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자동차 도어의 비막이장치는 두루마리로 권취되는 방수부재, 방수부재를 권취하는 로울러, 권취장치, 걸림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승용차 등 도어가 한쪽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열리는 구조에 적합한 반면, 버스의 도어에서와 같이 복수의 문짝이 서로 접철되면서 열리고 닫히는 형식의 도어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7183호에는 '자동차 도어의 비막이장치'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눈이나 비, 우박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때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감소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버스 이용시 눈이나 비, 우박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탑승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과, 차량 바닥 물기로 인한 안전성 및 청결함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도어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일측 하부에 차량도어의 일측 단부축이 결합되고, 저면에 차량도어의 타측 단부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가이드부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펼쳐지는 차량도어의 타측 단부와 접촉되어 가이드부재에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차량도어의 타측 단부와의 접촉 해제시 가이드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회동부재; 및 가이드부재와 회동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회동부재의 일방향 회전시 접히고, 회동부재의 타방향 회전시 전개되는 가림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막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눈이나 비, 우박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때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 이용시 눈이나 비, 우박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탑승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과, 차량 바닥 물기로 인한 안전성 및 청결함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막이와 차량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 비막이와 차량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 비막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막이가 버스의 도어에서와 같이 복수의 문짝이 서로 접철되면서 열리고 닫히는 형식의 도어에 적용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막이와 차량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 비막이와 차량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차량 비막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막이는, 차량도어(101)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일측 하부에 차량도어(101)의 일측 단부축(103)이 결합되고, 저면에 차량도어(101)의 타측 단부축(10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40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07); 가이드부재(107)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펼쳐지는 차량도어(101)의 타측 단부와 접촉되어 가이드부재(107)에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차량도어(101)의 타측 단부와의 접촉 해제시 가이드부재(107)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회동부재(109); 및 가이드부재(107)와 회동부재(109)에 각각 연결되며, 회동부재(109)의 일방향 회전시 접히고, 회동부재(109)의 타방향 회전시 전개되는 가림막(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재(107)는 일예로 긴 바(bar)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가이드부재(107)의 일측 하부에는 차량도어(101)의 일측 단부축(103)이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07)의 저면에는 차량도어(101)의 타측 단부축(10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401)이 형성된다.
여기서, 차량도어(101)는 일예로, 일측 단부축(103)이 가이드부재(107)의 일측 하부에 결합되는 제1차량도어(101a)와, 타측 단부축(105)이 가이드부재(107)의 가이드홈(40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차량도어(101b)를 포함하며, 제1차량도어(101a)의 타측과 제2차량도어(101b)의 일측은 힌지축(113)으로 접철되도록 결합된다.
이어서, 회동부재(109)는 가이드부재(107)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즉, 회동부재(109)는 회동힌지부(115)를 매개로 가이드부재(107)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동부재(109)는, 펼쳐지는 차량도어(101)의 타측 단부와 접촉하여 가이드부재(107)에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차량도어(101)의 타측 단부와의 접촉 해제시 가이드부재(107)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막이는, 일단이 회동부재(109)에 결합되고 타단이 가이드부재(107)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17)를 포함할 수 있는데, 탄성부재(117)는 회동부재(109)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17)는 일예로 코일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막이는, 가이드부재(107)의 타측 단부와 회동부재(109)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재(119)를 포함할 수 있는데, 고정부재(119)는 회동부재(109)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가이드부재(107)에 나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차량 비막이가 작동될 필요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고정부재(119)를 이용하여 회동부재(109)가 가이드부재(107)와 나란한 상태(즉, 가림막(111)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가림막(111)은 가이드부재(107)와 회동부재(109)에 각각 연결되며, 회동부재(109)의 일방향 회전시 접히고, 회동부재(109)의 타방향 회전시 전개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가림막(111)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림막(111)은, 일측이 가이드부재(10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림막(121); 일측이 회동부재(109)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가림막(121)과 제1접힘부(123)로 연결되는 제2가림막(125); 일측이 제1가림막(121)과 제2접힘부(127)로 연결되는 제3가림막(129); 및 일측이 제2가림막(125)과 제3접힘부(131)로 연결되고, 타측이 제3가림막(129)과 제4접힘부(133)로 연결되는 제4가림막(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눈이나 비, 우박 등 환경적인 요인에 의하여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하차할 때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 이용시 눈이나 비, 우박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탑승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과, 차량 바닥 물기로 인한 안전성 및 청결함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차량도어 101a : 제1차량도어
101b : 제2차량도어 103 : 차량도어의 일측 단부축
105 : 차량도어의 타측 단부축 107 : 가이드부재
109 : 회동부재 111 : 가림막
113 : 힌지축 115 : 회동힌지부
117 : 탄성부재 119 : 고정부재
121 : 제1가림막 123 : 제1접힘부
125 : 제2가림막 127 : 제2접힘부
129 : 제3가림막 131 : 제3접힘부
133 : 제4접힘부 135 : 제4가림막
401 : 가이드홈

Claims (4)

  1. 차량도어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일측 하부에 상기 차량도어의 일측 단부축이 결합되고, 저면에 상기 차량도어의 타측 단부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펼쳐지는 상기 차량도어의 타측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나란하게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차량도어의 타측 단부와의 접촉 해제시 상기 가이드부재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재의 일방향 회전시 접히고, 상기 회동부재의 타방향 회전시 전개되는 가림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막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일단이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막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나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타측 단부와 상기 회동부재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막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일측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가림막;
    일측이 상기 회동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가림막과 제1접힘부로 연결되는 제2가림막;
    일측이 상기 제1가림막과 제2접힘부로 연결되는 제3가림막; 및
    일측이 상기 제2가림막과 제3접힘부로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3가림막과 제4접힘부로 연결되는 제4가림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막이.
KR1020150125680A 2015-09-04 2015-09-04 차량 비막이 KR101802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680A KR101802593B1 (ko) 2015-09-04 2015-09-04 차량 비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5680A KR101802593B1 (ko) 2015-09-04 2015-09-04 차량 비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706A KR20170028706A (ko) 2017-03-14
KR101802593B1 true KR101802593B1 (ko) 2017-11-28

Family

ID=5846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680A KR101802593B1 (ko) 2015-09-04 2015-09-04 차량 비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5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454A (ja) 1999-05-07 2000-11-21 Akira Koishi 自動展開収納雨よけ装置
KR100884927B1 (ko) 2008-04-28 2009-02-23 주식회사 캐프 탄력적 작동암을 구비한 차량용 전동식 차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723B1 (ko) 1998-09-09 2003-05-16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탄소 알루미늄 탈산강의 정련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454A (ja) 1999-05-07 2000-11-21 Akira Koishi 自動展開収納雨よけ装置
KR100884927B1 (ko) 2008-04-28 2009-02-23 주식회사 캐프 탄력적 작동암을 구비한 차량용 전동식 차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706A (ko)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4349C2 (ru) Узел шторки для грузов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мотор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9090153B1 (en) Rain shield for vehicle passengers
KR102001099B1 (ko) 차량용 비막이 장치 및 그 시스템
KR20170081591A (ko) 자동차 날개형 빗물 차단막
KR101802593B1 (ko) 차량 비막이
US20170008381A1 (en) Two-piece visor blade with reflector
CN109466285B (zh) 一种遮光装置及其控制方法、车辆
KR101357476B1 (ko)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KR200433354Y1 (ko) 자동차용 비막이 장치
US8210595B2 (en) Lap shade
CN108215736A (zh) 汽车
KR20150110158A (ko) 차량 도어용 차우막
JP2007216744A (ja) 雨避け装置
KR102315858B1 (ko) 버스용 폴딩도어 링크 루프 시스템
WO2004076214A3 (fr) Dispositif de toit escamotable et vehicule equipe d’un tel dispositif
CN211519205U (zh) 车辆遮雨装置
KR101511570B1 (ko) 상단가림 구조를 가진 리어 선쉐이드
KR102621428B1 (ko) 차양막 일체형 테일게이트
US11260732B1 (en) Sunroof seal apparatus and related sunroof assemblies for use with vehicles
JP3093873U (ja) 自動車のロール式雨よけ庇
KR200369200Y1 (ko) 자동차 출입문용 빗물 차단장치
JP2007145243A (ja) 車両用雨除け装置
KR100964427B1 (ko) 도어개폐장치
JP3238473U (ja) 輸送機器用折れ戸
KR20130008263A (ko) 차량용 비 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