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495B1 -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495B1
KR101802495B1 KR1020160154602A KR20160154602A KR101802495B1 KR 101802495 B1 KR101802495 B1 KR 101802495B1 KR 1020160154602 A KR1020160154602 A KR 1020160154602A KR 20160154602 A KR20160154602 A KR 20160154602A KR 101802495 B1 KR101802495 B1 KR 101802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button
elevator
radio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세미
Original Assignee
신세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세미 filed Critical 신세미
Priority to KR1020160154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가 가능하면서 안전성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 구성 및 효과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점검 및 고장수리 작업 중 작업자가 직접 소지하고 다니면서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송신장치와, 엘리베이터 기계실,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또는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 제어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반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으로 승강 제어하는 무선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 1인 만으로도 엘리베이터의 점검 및 고장수리가 가능하면서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탑승 및 피트 진입시 승강장에서 탑승 위치까지 안전하게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으로 운전하여 안전성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CHECKING AND REPAIRING A ELEVATOR BY ONE PERS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가 가능하면서 안전성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객 또는 운송물을 수직방향으로 운송하는 운송수단으로서, 저층의 건물에서부터 수십 층의 초고층 건물에 이르기까지 건물의 용도에 따라 기능별로 설치 및 운행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점검 및 고장 수리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운전으로 전환하여 운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운전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으로는 엘리베이터 기계실에 설치된 제어반의 수동운전 스위치를 'ON'하여 전환하는 방법과,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된 제어판의 수동운전 스위치를 'ON'하여 전환하는 방법과,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판의 수동운전 스위치를 'ON'하여 전환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운전 모드로 전환한 후 상승/하강버튼을 조작하여 작업자가 승강장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를 적당한 높이로 저속으로 이동시킨 후, 삼각키를 이용하여 승강장 도어를 강제 개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로 진입하여 탑승하여 점검 및 고장수리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점검 및 고장수리 방법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 점검 및 고장수리시 작업자 1인이 피트에 진입하고, 다른 작업자 1인은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나 상부로 진입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운전 조작해야 함에 따라 반드시 작업자 2인이 필요하여 1인 점검 및 고장수리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KR 10-1293035 B1, 2013. 07. 30. KR 10-1405171 B1, 2014. 06. 02.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작업자 1인 만으로도 엘리베이터의 점검 및 고장수리가 가능하면서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탑승 및 피트 진입시 승강장에서 탑승 위치까지 안전하게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으로 운전하여 안전성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정기점검시 2인 점검 항목 중에서 예비 조명장치와 과부하 감지장치의 검사를 작업자 1인 만으로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된 권상기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제어반; 수동 상승버튼, 수동 하강버튼, 카 상부 진입버튼 및 피트 진입버튼을 포함하는 기능 키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 상승버튼, 상기 수동 하강버튼, 상기 카 상부 진입버튼 및 상기 피트 진입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송신장치; 및 상기 제어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된 상기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반을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으로 상승시키거나 혹은 하강시키는 무선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수동 상승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저속 수동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수동 하강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저속 수동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카 상부 진입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정위치에 위치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카 상부 진입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피트 진입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정위치에 위치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피트 진입위치까지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능 키 입력부는 예비조명장치 점검버튼과, 과부하감지장치 점검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예비조명장치 점검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된 예비조명장치로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과부하감지장치 점검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 과부하감지장치를 인위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송신장치는 상기 기능 키 입력부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장치로 송출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식별하는 고유 ID를 함께 송출하고, 상기 무선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ID와 기저장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ID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송신장치는 수동으로 무선 운전 중 긴급정지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음성레벨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는 상기 음성레벨 수신부를 통해 작업자의 음성 크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작업자의 음성 크기가 기설정된 음성 크기보다 큰 경우, 상기 무선 수신장치로 무선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동작을 비상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수신장치는 현재 엘리베이터가 수동 운전모드인지를 검출하는 운전모드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장치는 상기 운전모드 검출부를 통해 상기 제어반으로부터 현재 엘리베이터의 운전모드가 수동 운전모드인지 혹은 자동운전모드인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상기 운전모드 검출부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엘리베이터의 수동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신호인 경우에만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수신장치는 현재 엘리베이터의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안내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안내 출력부는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수신장치에 의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현재 수동 동작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반은 엘리베이터 기계실,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또는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 송신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하면서 무선 제어 범위를 벗어나기 전에 운전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직접 소지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송신장치와, 엘리베이터 기계실,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또는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된 제어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된 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반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으로 승강 제어하는 무선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 1인 만으로도 엘리베이터의 점검 및 고장수리가 가능하면서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탑승 및 피트 진입시 승강장에서 탑승 위치까지 안전하게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으로 운전하여 안전성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송신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수신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능 키 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수동 운전모드시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계실'은 보통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반(제어판넬)과, 상기 제어반의 동작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권상기(권상용 모터)가 설치되는 곳을 의미한다. '승강로'는 엘리베이터 카(승강기)가 수직으로 움직이는 통로를 의미한다. '피트'는 승강로에서 최하층 이하에 설치된 공간을 의미한다. '엘이베이터 카(또는 카)'는 승객들이 이용하는 승차용 공간을 의미한다. '도어'는 각 층별로 설치된 엘리베이터 탑승용 공간을 의미한다. '예비조명장치'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되어 건물 정전시 엘리베이터에 내장된 배터리로 1시간에 2Lux 이상 점등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과부하감지장치'는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혹은 카 상부, 카 하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정격하중 이상이 감지되면 부저음과 함께 도어를 개방시켜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정위치'는 고객이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로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부가 승강대와 수평 선상에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의미한다. '카 상부 진입위치'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위치'에서 일정 높이로 하강하여 작업자가 윗 층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로 안전하게 진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의미한다. '피트 진입위치'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위치'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승하여 작업자가 피트로 안전하게 진입 가능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송신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수신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은 작업자 1인 만으로도 엘리베이터의 점검 및 고장수리가 가능하면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엘리베이터 카(10)의 상부에 탑승하거나 피트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선 송신장치(30) 및 무선 수신장치(40)를 포함한다.
무선 송신장치(30)는 도 1과 같이, 작업자가 소지하는 무선 통신단말기로서, 엘리베이터 기계실(1), 엘리베이터 카(10)의 상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권상기(2)를 제어하는 제어반(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수신장치(40)와 무선통신한다.
이러한 무선 송신장치(30)는 무선 수신장치(40)와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는 무선 리모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예를 들면, 스마트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무선 리모콘은 무선 수신장치(40)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다양한 제어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버튼에 대응하는 터치식 제어버튼을 제공하는 전용 앱(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무선 송신장치(30)는 도 2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다양한 제어버튼을 포함하는 기능 키 입력부(31)와, 기능 키 입력부(31)의 각 제어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처리하는 중앙 제어부(32)와, 중앙 제어 부(32)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장치(40)로 송출하는 무선 송출부(33)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기능 키 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기능 키 입력부(31)는 수동 상승버튼(311), 수동 하강버튼(312), 카 상부 진입버튼(313) 및 피트 진입버튼(314)을 포함한다. 또한, 예비조명장치 점검버튼(315) 및 과부하감지장치 점검버튼(3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동 상승버튼(311)은 엘리베이터가 수동 운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저속 상승시키기 위한 버튼으로서, 예를 들어, 작업자가 수동 상승버튼(311)을 누르면, 엘리베이터 카(10)는 수동으로 저속으로 상승한다.
수동 하강버튼(312)은 엘리베이터가 수동 운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저속 하강시키기 위한 버튼으로서, 예를 들어, 작업자가 수동 하강버튼(312)을 누르면, 엘리베이터 카(10)는 수동으로 저속으로 하강한다.
카 상부 진입버튼(313)은 엘리베이터가 수동 운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10)의 상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저속 하강시키는 버튼으로서, 해당 층의 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카(10)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하강시킨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카 상부 진입 버튼(313)을 누르면, 정위치에 위치된 엘리베이터 카(10)는 설정시간(예를 들면, 7초, 건물구조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동안 저속으로 하강하여 카 상부 진입위치로 이동한다.
피트 진입버튼(314)은 엘리베이터가 수동 운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피트로 진입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저속 상승시키는 버튼으로서, 엘리베이터 카(10)가 해당 층의 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카(10)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승시킨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피트 진입버튼(314)을 누르면, 정위치에 위치된 엘리베이터 카(10)는 설정시간(예를 들면, 7초, 건물구조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동안 저속으로 상승하여 피트 진입위치로 이동한다.
예비조명장치 점검버튼(315)은 건물 정전시에 대비하여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에 설치된 예비조명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점검하는 버튼으로서, 예를 들어, 작업자가 예비조명장치 점검버튼(315)을 누르면,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에 설치된 예비조명장치로 공급되는 외부전원(상시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외부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예비조명장치가 내장 배터리를 통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점검한다.
과부하감지장치 점검버튼(316)은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엘리베이터 카(10) 상부 또는 엘리베이터 카(10) 하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정격하중 이상이 감지되면 부저음과 함께 도어를 개방시켜주는 과부하감지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점검하는 버튼으로서, 예를 들어, 작업자가 과부하감지장치 점검버튼(316)을 누르면,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엘리베이터 카(10) 상부 또는 엘리베이터 카(10) 하부에 설치된 과부하감지장치(스위치)를 인위적으로 동작시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점검한다.
중앙 제어부(32)는 도 2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운전모드가 수동 운전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기능 키 입력부(31)의 제어버튼들, 즉 수동 상승버튼(311), 수동 하강버튼(312), 카 상부 진입버튼(313), 피트 진입버튼(314), 예비조명장치 점검버튼(315) 또는 과부하감지장치 점검버튼(316) 중 어느 하나의 제어버튼이 눌러지면, 각 제어버튼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송출부(33)로 전송한다.
무선 송출부(33)는 무선 수신장치(40)와 무선 통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송출부(33)는 근거리 무선통신, 예를 들면, RF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WiFi 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무선 수신장치(40)와 무선 통신한다. 이러한 무선 송출부(33)는 중앙 제어부(32)로부터 각 제어버튼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암호화하는 무선 데이터 암호화부(331)와, 무선 데이터 암호화부(331)를 통해 암호화된 무선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장치(40)로 송출하는 무선 데이터 송출부(332)를 포함한다.
한편, 도 2와 같이, 무선 송신장치(30)는 무선통신 수신부(34)로부터 전송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ID를 수신받아 암호화하는 승강기 ID 암호화부(35)를 더 포함한다.
무선 송신장치(30)는 무선 송출부(33)를 통해 기능 키 입력부(31)의 각 제어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장치(40)로 송출할 때, 승강기 ID 암호화부(35)를 통해 암호화되어 저장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ID를 함께 송출하고, 무선 수신장치(40)는 무선 송신장치(30)로부터 수신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ID와 저장된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ID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무선 송신장치(30)로부터 송출된 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저속 승강시킨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주파수 혼용으로 인한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신장치(30)는 도 2와 같이, 수동으로 무선운전 중 긴급정지시 엘리베이터 카(10)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음성레벨 수신부(36)를 더 포함한다. 음성레벨 수신부(36)는 작업자의 음성 크기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작업자의 음성 크기가 기설정된 음성 크기보다 큰 경우, 비상 정지로 인식하여 엘리베이터 카(10)의 동작을 비상 정지시킨다.
도 3과 같이, 무선 수신장치(40)는 엘리베이터 기계실(1), 엘리베이터 카(10)의 상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제어반(20)과 무선 송신장치(30)를 상호 중계하는 중계 장치로서, 제어반(20)과 연결되어 무선 송신장치(30)로부터 송출된 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반(20)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제어한다.
무선 수신장치(40)는 무선 송신장치(30)와의 무선 통신을 하면서 무선 제어 범위를 벗어나기 전에 운전을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선 수신장치(40)는 제어하고자 하는 해당 엘리베이터 카의 고유 ID를 부여받아 저장하고, 무선 송신장치(30)로부터 송출된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받는 무선 수신부(41)와, 무선 수신부(4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중앙 제어부(42)와, 중앙 제어부(42)로부터 처리된 무선 제어신호를 제어반(20)으로 전송하여 제어반(20)이 무선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접점신호 출력부(43)를 포함한다.
무선 수신부(4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무선 송신장치(30)의 무선 송출부(33)로부터 암호화된 상태로 송출된 무선 데이터, 즉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데이터 수신부(411)와, 무선 데이터 수신부(41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를 복호화하여 중앙 제어부(42)로 전송하는 무선 데이터 복호화부(412)를 포함한다.
중앙 제어부(42)는 무선 데이터 복호화부(412)로부터 전송된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접점신호 출력부(43)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가 수동 상승버튼(311)에 대응하는 신호인 경우, 제어반(2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저속 상승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가 수동 하강버튼(312)에 대응하는 신호인 경우, 제어반(2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저속 하강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가 카 상부 진입버튼(313)에 대응하는 신호인 경우, 제어반(2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카 상부 진입위치로 저속 하강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가 피트 진입버튼(314)에 대응하는 신호인 경우, 제어반(2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피트 진입위치로 저속 상승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접점신호 출력부(43)로 전송한다.
접점신호 출력부(43)는 중앙 제어부(42)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제어반(20)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접점신호 출력부(43)는 예를 들면, 중앙 제어부(42)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제어반(20)으로 전송하는 릴레이 소자로 이루어져 접점신호, 즉, 가동(RUN) 또는 정지(STOP)에 해당하는 접점신호를 제어반(20)으로 전송한다.
한편, 무선 수신장치(40)는 도 3과 같이, 엘리베이터가 수동 운전모드 전환시에만 무선 송신장치(30)로부터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반(2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현재 엘리베이터가 수동 운전모드인지를 검출하는 운전모드 검출부(44)를 더 포함한다.
운전모드 검출부(44)는 제어반(20)으로부터 현재 엘리베이터의 운전모드가 수동모드인지 혹은 자동모드인지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중앙 제어부(42)로 전송한다.
중앙 제어부(42)는 도 3과 같이, 운전모드 검출부(44)로부터 전송된 신호가 엘리베이터의 수동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신호인 경우에만 무선 수신부(41)를 통해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접점신호 출력부(43)로 전송한다.
또한, 무선 수신장치(40)는 도 3과 같이, 현재 엘리베이터의 동작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안내 출력부(45)를 더 포함한다. 음성안내 출력부(45)는 무선 송신장치(30)로부터 송출된 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무선 수신장치(40)에 의해 제어반(20)을 통해 제어되는 엘리베이터의 현재 수동 동작 상태를 음성으로 출력하여 작업자가 현재 수동 동작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수동 운전모드시 동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들이다.
도 5는 엘리베이터 카의 무선 수동 운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엘리베이터를 자동 운전 대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의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해 수동 운전모드로 전환한다(ST11, ST12). 이때, 엘리베이터의 수동 운전모드 전환방법은 기계실(1), 엘리베이터 카(10)의 상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수동 운전모드 전환 스위치(미도시)를 직접 'ON' 하여 전환한다.
엘리베이터가 수동 운전모드로 전환된 후, 수동 운전 대기로 진입한 상태에서 무선 송신장치(30)의 수동 상승버튼(311) 또는 수동 하강버튼(312)을 조작하여 수동 상승버튼(311) 또는 수동 하강버튼(312)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장치(40)로 송출하면, 무선 수신장치(40)는 무선 송신장치(30)로부터 송출된 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반(2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승강시킨다(ST13~ST16). 이러한 수동 운전은 자동 운전 모드로 전환될 때까지 수행한다(ST18).
도 6은 카 상부 진입 모드시 운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6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가 운전 대기(자동 운전) 상태에서, 기계실(1), 엘리베이터 카(10)의 상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수동 운전모드 전환 스위치를 'ON' 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모드를 수동 운전모드로 전환한다(ST21, ST22).
이후, 카 상부로 진입하기 위해 작업자가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무선 송신장치(30)의 카 상부 진입버튼(313)을 눌러 카 상부 진입버튼(313)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장치(40)로 송출하면, 무선 수신장치(40)는 무선 송신장치(30)로부터 송출된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어반(20)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카 상부 진입위치로 하강시킨다(ST23~ST26).
이후, 작업자는 엘리베이터 카(10)의 상부로 진입한다(ST27).
도 7은 카 상부 진입 후 복귀 운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7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에 대한 점검 및 고장수리작업이 완료되어 엘리베이터 카(10)의 상부로부터 빠져나오면 복귀 운전을 수행한다(ST31~ST34),
이후, 무선 송신장치(30)의 카 상부 진입버튼(313)을 조작하여 수동으로 엘리베이터 카(10)를 저속으로 상승시켜 엘리베이터 카(10)를 바로 윗 층에 정위치시킨다(ST35~ST37).
이후, 복귀 운전이 종료되면, 엘리베이터 카(10)의 상부 점검 및 고장수리작업을 위해 수동 운전모드로 전환된 엘리베이터의 운전모드를 자동 운전모드로 전환한다(ST38). 이때, 수동 운전모드 전환 스위치를 'OFF' 하여 자동 운전모드로 전환한다.
도 8은 피트 진입 모드시 운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8을 참조하면, 피트 진입 모드에서도, 엘리베이터 카(10)의 상부 진입 모드와 마찬가지로, 기계실(1), 엘리베이터 카(10)의 상부 또는 내부에 설치된 수동 운전모드 전환 스위치를 'ON' 하여 수동 운전모드로 전환한다(ST41, ST42).
이후, 작업자가 피트로 진입하기 위해 무선 송신장치(30)의 피트 진입버튼(314)을 누르면,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피트 진입위치로 상승시킨다(ST43~ST46).
이후, 작업자는 피트로 진입한다(ST47).
도 9 및 도 10은 피트 진입 후 복귀 운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9,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송신장치(30)의 수동 상승버튼(311)과 수동 하강버튼(312)을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카(10)를 수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엘리베이터 카(10)에 대한 점검 및 고장수리작업을 수행한다(ST51~ST58).
이후, 무선 송신장치(30)의 피트 진입버튼(314)을 누르면 복귀 운전을 자동 수행(ST59, ST60)하여 엘리베이터 카(10)를 최하층에 정위치시킨다(ST61 내지 ST63).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기계실 2 : 권상기
10 : 엘리베이터 카 20 : 제어반
30 : 무선 송신장치 31 : 기능 키 입력부
32 : 중앙 제어부 33 : 무선 송출부
34 : 무선통신 수신부 35 : 승강기 ID 암호화부
36 : 음성레벨 수신부 40 : 무선 수신장치
41 : 무선 수신부 42 : 중앙 제어부
43 : 접점신호 출력부 44 : 운전모드 검출부
45 : 음성안내 출력부

Claims (9)

  1. 엘리베이터 카;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된 권상기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는 제어반; 수동 상승버튼, 수동 하강버튼, 카 상부 진입버튼 및 피트 진입버튼을 포함하는 기능 키 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 상승버튼, 상기 수동 하강버튼, 상기 카 상부 진입버튼 및 상기 피트 진입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무선 송신장치; 및 상기 제어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송출된 상기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반을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수동으로 상승시키거나 혹은 하강시키는 무선 수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수동 상승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저속 수동으로 상승시키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수동 하강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저속 수동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카 상부 진입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정위치에 위치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카 상부 진입위치까지 하강시키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피트 진입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정위치에 위치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피트 진입위치까지 상승시키는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능 키 입력부는 예비조명장치 점검버튼과, 과부하감지장치 점검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수신장치는,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예비조명장치 점검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 설치된 예비조명장치로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무선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과부하감지장치 점검버튼에 대응하는 무선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엘리베이터의 기계실,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 과부하감지장치를 인위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154602A 2016-11-18 2016-11-18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 KR101802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602A KR101802495B1 (ko) 2016-11-18 2016-11-18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602A KR101802495B1 (ko) 2016-11-18 2016-11-18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495B1 true KR101802495B1 (ko) 2017-11-28

Family

ID=6081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602A KR101802495B1 (ko) 2016-11-18 2016-11-18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4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6006A (ja) * 2007-04-25 2008-11-0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地震時点検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JP2012041155A (ja) * 2010-08-20 2012-03-0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5036340A (ja) * 2013-08-15 2015-02-2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6006A (ja) * 2007-04-25 2008-11-0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地震時点検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JP2012041155A (ja) * 2010-08-20 2012-03-0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5036340A (ja) * 2013-08-15 2015-02-2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9314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TWI449656B (zh) 控制進入電梯車廂之方法
JP2011256006A (ja) リモート操作によるかご操作システム及びそのかご操作方法
JP5605833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10589653A (zh) 一种智能脱困电梯及其独立脱困装置和智能电梯脱困方法
TWI777022B (zh) 電梯及自立走行車之協同運行系統
JP7179975B2 (ja) エレベーター保守システム
KR101802495B1 (ko) 엘리베이터 1인 점검 및 고장수리를 위한 제어 시스템
US20220363513A1 (en) Mobile control unit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vator installation
KR100616332B1 (ko) 안전기능이 구비된 리프트 장치
CN107265222B (zh) 一种电梯检修装置及电梯检修控制方法
CN112551282B (zh) 控制电梯系统的电梯轿厢的移动
JP2010149989A (ja) エレベータ
JP2013216425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7378258B2 (ja) 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システム
JPH0859119A (ja) 乗場に設けられたエレベータ保守用運転装置
JP6120789B2 (ja) ピットライト連動制御装置
JP6471202B1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2018034977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安全スイッチ装置
JPH09249360A (ja) エレベーターのリミットスイッチ動作点検装置
CN110697535A (zh) 一种电梯层轿门旁路检测系统及方法
JP2012111630A (ja) エレベータ
KR20130065973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운전 제어 방법
JP200622509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228739B1 (ko) 원격으로 안전장치의 작동과 상하이동을 제어하는 승강기 관리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