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117B1 -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 Google Patents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117B1
KR101802117B1 KR1020170083000A KR20170083000A KR101802117B1 KR 101802117 B1 KR101802117 B1 KR 101802117B1 KR 1020170083000 A KR1020170083000 A KR 1020170083000A KR 20170083000 A KR20170083000 A KR 20170083000A KR 101802117 B1 KR101802117 B1 KR 101802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vehicle
lower plate
upper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진원
노태훈
Original Assignee
(주) 뉴원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뉴원이앤씨 filed Critical (주) 뉴원이앤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휠체어 사용자가 위치하는 휠체어 고정부와, 차량의 후미영역에 위치하고 시트를 장착 또는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부와, 상기 휠체어 고정부 및 상기 기능성부 사이에 위치하며 휠체어 탑승을 위한 램프를 구비하는 휠체어 통로부로 구성되고, 상기 휠체어 고정부, 기능성부 및 휠체어 통로부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되, 일정 간격 배치하여 고정된 복수의 각형강관으로 구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The lower structure of vehicle for disabled persons}
본 발명은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과 노약자의 차량 탑승 및 하차를 지원하는 복지차량의 저상 하부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내구성과 방열기능 및 방음기능이 향상된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복지차량의 하부구조체는 휠체어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및 하차가 편리할 수 있도록 차종 별로 안전설계가 된 것이다. 복지차량의 하부구조체는 일반적인 차량과 대비하여 저상 단층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운전석 후면에 장착된다.
복지차량의 하부구조체는 기존 차량 대비 저상 형태인 하부판(bottom plate)으로 구성된 기본 프레임, 기본 프레임의 하부 보조 장치, 및 휠체어 사용자의 차량 탑승 및 하차를 위한 리프트 또는 램프(ramp)와 같은 경사로 장치로 구성된다.
종래의 복지차량에 적용되는 하부구조체는 일반적으로 단층의 강판을 기본 프레임의 바닥판으로 사용하고, 상기 바닥판의 강도 향상을 위해 최소한의 서브 프레임이 용접되어 있으며, 외부 노출면은 에폭시나 우레탄과 같은 부식 방지용 페인트로 코팅되어 있다. 또한, 온화한 기후 조건 또는 정상적인 도로 조건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통상적인 주행 중 외부의 열과 소음으로부터 탑승자가 불편 없이 차량 이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복지차량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하부구조체의 경우, 하부구조체가 차체에 단순 용접으로 장착되므로 용접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하부구조체의 열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완성차량의 차체에 미세한 왜곡현상이 통상적으로 발생하고, 이는 차량의 내구성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고온 환경에서는 기존 차량 대비 저상으로 인해 외부 열에 대한 방열 성능이 상대적으로 저하되어 내부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염분이 높은 해안가의 환경에서는 장기 사용시 차체 하부의 코팅층이 탈피되거나 부식되어 차체가 부식할 수 있다.
사막이나 산간지역과 같은 거친 노면 환경에 있어서는 주행 중 타이어 회전에 의한 Blasting으로 자갈, 모래, 기타 이물질 등이 차량 하부를 훼손시킬 수 있으며, 부식 또는 부분적인 구조 변형으로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저상 구조로 인해 외부 소음 차단이 어려워 차내 소음이 증가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146177호(등록일;2012.05.0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층의 기능성 하부판을 포함하는 하부구조체를 구비함으로써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열기능이 향상되고, 방음기능이 개선된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휠체어 사용자가 위치하는 휠체어 고정부와, 차량의 후미영역에 위치하고 시트를 장착 또는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부와, 상기 휠체어 고정부 및 상기 기능성부 사이에 위치하며 휠체어 탑승을 위한 램프를 구비하는 휠체어 통로부로 구성되고, 상기 휠체어 고정부, 기능성부 및 휠체어 통로부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되, 일정 간격 배치하여 고정된 복수의 각형강관으로 구성된 하부판을 포함하는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각형강관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10 내지 30mm가 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각형강관은, 상기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전체 면적 대비 10 내지 15% 범위의 면적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각형강관은, 단면이 ㄷ 자 구조의 양단부가 절곡된 형태인 것으로, 절곡된 단부는 상부 플레이트 또는 하부 플레이트에 접하여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각형강관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측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각각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휠체어 고정부 또는 상기 기능성부는, 설치되는 차량과의 고정을 위한 접합구조물을 측부 또는 전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는 복층의 기능성 하부판을 구비함으로써 외부환경의 변화에도 내구성이 향상되어 휠체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층의 기능성 하부판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방열기능이 향상되고, 외부소음을 차단함으로써 휠체어 탑승자의 승차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의 측면(S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a 및 도 1b의 정면(F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4a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강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의 차량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하부판의 압축하중 실험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하부판의 방열특성 실험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의 용접특성 실험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하부판의 압축하중 무게 증가에 따른 영구변형량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하부판에 100kgf의 압축하중을 반복적으로 부여함에 따른 영구변형량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하부판의 방열특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하부구조체 면적 대비 각형강관 면적 비율(%)에 따른 Floor 굽힘 강도(kgf/mm2)및 생산경제성 지수(E)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의 측면(S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a 및 도 1b의 정면(F 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4a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의 차량 적용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4a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하부구조체(100)는 도 1a와 같이 램프(R)가 차량의 측면에 위치하여 측면에서 휠체어가 승하차를 할 수 있는 구조와 도 1b와 같이 램프(R)가 차량의 후면에 위치하여 후면에서 휠체어가 승하차를 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휠체어 고정부(A), 휠체어 통로부(B) 및 기능성부(C)를 구비한다. 램프(R)는 슬라이딩 방식이나 접이식으로 수납 또는 전개될 수 있다.
휠체어 고정부(A)는 차량(200)을 운전할 수 있도록 휠체어 사용자가 위치하며, 휠체어 통로부(B)는 휠체어 고정부(A) 및 기능성부(C) 사이에 위치하고, 기능성부(C)는 차량의 후미영역에 위치하여 필요에 따라 시트를 장착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램프(R)가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 시트를 제거하여 휠체어 1대를 더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휠체어 고정부(A) 또는 기능성부(C)는, 설치되는 차량(200)과의 고정을 위한 접합구조물을 측부 또는 전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3a 같이 차량의 측면에서 휠체어가 승하차를 하는 구조의 경우, 휠체어 고정부(A)의 측부에는 차량과의 고정을 위한 제 1 접합구조물(1)을 구비할 수 있으며, 기능성부(C)의 측부에는 제 2 접합구조물(3)을 구비함으로써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 구조체(100)를 차량(200)의 내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휠체어 고정부(A)의 전면부에는 차량(200) 내부 전면과의 고정을 위한 제 3 접합구조물(5)을 구비할 수 있으며, 차량(200) 전면의 형태에 따라 굴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2b 및 도 3b와 같이 후면에서 휠체어가 승하차를 하는 구조의 경우, 휠체어 고정부(A) 및 기능성부(C)의 측부에는 차량과의 고정을 위한 제 4 접합구조물(9a)이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휠체어 고정부(A)의 전면부에는 차량(200) 내부 전면과의 고정을 위한 제 5 접합구조물(9b)을 구비할 수 있다.
휠체어 고정부(A), 기능성부(C) 및 휠체어 통로부(B)는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20) 및 그 사이에 위치하는 각형강관(30)으로 구성되는 하부판(7)을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0)는 휠체어가 이동 및 고정되며,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 또는 탄소 강판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0)는 상부 플레이트(10) 하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스테인레스 스틸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플레이트(20)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일반 강판 대비 고내식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염분이 많은 해안지역이나 열악한 도로환경에서도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형강관(30)은 상부 플레이트(10) 및 하부 플레이트(20) 사이에 구비되되, 복수개를 일정 간격 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부 플레이트(10) 및 하부 플레이트(2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각형강관(30)은 상부 플레이트(10)와 하부 플레이트(20) 사이에 함입 및 접합함으로써 강성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 플레이트(10) 및 하부 플레이트(20) 사이를 지지함으로써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층은 차량(200) 하부에서 발생되는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음과 같은 외부소음을 차단하고, 고온의 외부로부터 차량 내부로 전달되는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형강관(30)은 상부 플레이트(10) 및 하부 플레이트(20)로 인한 복층 구조 하부판(7)의 내부에 배치되어 접합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강성을 향상시켜 열악한 도로환경에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형강관(30)은 상부 플레이트(10) 및 하부 플레이트(20)의 특성 또는 물성에 따라 상하부 간격(g)이 10 내지 30mm인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형강관(30)은 단면이 ㄷ 자 구조의 양단부가 절곡된 형태(예를 들면, 상하 반전된 캡 형태 등)인 것으로, 절곡된 단부(30a)는 상부 플레이트(10) 또는 하부 플레이트(20)에 접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강관의 단면도이다.
도 4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형강관(30)은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측면에 오목부(30b)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ㄷ자 구조의 측면의 중앙에 반원형의 홈을 성형함으로써 굽힘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형강관(30)은 제조 경제성과 내구성의 효율을 위하여 상기 복지차량용 하부구조체(1) 전체 면적 대비 10 내지 15% 범위의 면적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구조체를 차체에 장착 시 리베팅(reveting) 후 용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단순용접 시 발생될 수 있는 하부구조체의 열변형 현상을 최소화하여 차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지차량용 하부구조체를 하기 시험예를 통해 설명하겠는 바, 하기 시험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두께 2mmt의 탄소강판을 상부 플레이트로 구성하고, 두께 2mmt의 스테인레스 스틸 강판을 하부 플레이트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20mm 높이의 ㄷ 자형 각형강관을 용접하여 하부판(7)을 형성하였다. 도 3과 같이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를 설치하고, 엔진 시동 후 정지상태(idling 상태)에서 운전석 위치(ⓐ), 조수석위치(ⓑ), 운전석 후면 중앙부(ⓒ), 조수석 후면 중앙부(ⓓ), 및 최후면 좌석(ⓔ)의 차량(200) 내부 각 지점에 대해 소음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두께 2mmt의 탄소강판을 하부판으로 하여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에 설치하는 것 이외에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차량 내부의 동일한 각 지점에 소음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복지차량용 하부구조체의 압축하중 실험을 위해 시험예 1과 같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구성으로 ㄷ 자형 각형강관이 용접된 복층구조를 제작하되,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하부판의 압축하중 실험 방법을 나타낸 도 5와 같이 1m(X)ㅧ1m(Y)의 크기로 제조한 후 하부 플레이트(20) 모서리 네 지점을 지지하였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0)의 중앙부에 가압장치(300)로 압축하중을 증가하면서, 수평선에서 탄성한계를 넘어 휘어진 정도를 영구변형량으로 설정하여 측정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같은 단층의 저상 하부구조체 하부판을 제작하는 것 이외에 시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영구변형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3
시험예 2와 동일하게 제조된 것을 사용하되, 가압장치(300)로 100kgf의 압력을 반복 인가하면서 영구변형량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제조된 것을 사용하되, 시험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영구변형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4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를 제조하고,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의 방열특성 실험방법을 나타낸 도 6과 같은 챔버에 장착하였다. 하부플레이트를 차량의 외측에 해당하는 Room 2에 위치하도록 하고, Room 2의 온도를 100℃로 유지하면서 차량의 내측에 해당하는 Room 1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저상 하부구조체를 제조하고, 상기 시험예 4와 같은 방법으로 Room 1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5
시험예 2와 동일하게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33개의 포인트에서 리베팅 후 용접함으로써 차체에 장착한 후, 하부구조체의 왜곡량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2와 동일하게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용접후 차체에 장착하여 하부구조체의 왜곡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6
시험예 2와 동일하게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굽힘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하부구조체 면적 대비 각형강관 면적의 비율이 10%이었다. 또한 동일한 면적비율로 도 4b와 같은 각형강관을 이용하여 시험예 2와 동일하게 제조된 것을 사용하여 굽힘강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7
하부구조체 제조 시 생산경제성 지수를 분석하기 위하여 하부구조체 면적 대비 각형강관 면적의 비율에 따라 굽힙강도, 생산효율, 작업난이도, 생산비용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1의 결과
시험예 1과 비교예 1로 얻어진 소음측정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측정 Point
Idling시 소음 (dB)
비교예1 시험예 1
42.0 40.0
41.5 40.0
41.0 38.0
40.0 37.0
39.0 36.5
평균 40.7 38.3
상기 (표 1)과 같이 비교예 1의 경우 엔진과 가까운 위치인 운전석과 조수석은 41dB 이상의 소음이 측정되었고, 엔진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는 소음도가 줄어들었다. 시험예 1의 경우 운전석과 조수석 위치에서 모두 40dB 이하의 소음도가 측정되었고, 엔진에서 멀어진 위치에서는 더욱 낮은 소음도가 측정되었다. 결과적으로 휠체어 탑승자가 위치하는 운전석 후면 중앙부(ⓒ) 및 조수석 후면 중앙부(ⓓ)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하부구조체의 방음 효과가 종래 대비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의 결과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하부판의 압축하중 무게 증가에 따른 영구변형량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비교예 2의 하부구조체는 200kgf 까지는 영구변형량이 없으나, 그 이상에서부터 영구변형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400kgf에서는 1.8mm의 변형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의 경우 400kgf에서도 영구변형량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 이상의 하중부터 미약하게 영구변형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지차량용 하부구조체는 종래 대비 2배 이상의 압축굽힘 강성을 나타내며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의 결과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하부판에 100kgf의 압축하중을 반복적으로 부여함에 따른 영구변형량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비교예 3의 하부구조체는 300회 이상부터 영구변형량이 측정되기 시작하여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영구변형량 또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예 3의 경우 하부구조체는 800회 이상부터 영구변형량이 측정되기 시작하였으며, 서서히 변형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지차량용 하부구조체는 기존 제품 대비 압축 피로수명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의 결과
도 10은 복지차량용 하부구조체의 방열특성 실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교예 4의 하부구조체의 경우 Room 2의 온도측정 시작 후 30분 경과까지 급격한 온도상승을 나타내고 이후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시험예 4의 하부구조체의 경우 Room 2의 온도측정 시작 후 10분 경과까지는 온도변화가 거의 없으나 이후부터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측정 후 20분 경과부터 비교예 4와 시험예 4의 온도변화 차이가 점점 더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의 온도 상승율은 비교예 4보다 약 50% 정도 낮으며, 방열효과 또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의 결과
시험예 5와 비교예 5에서 얻어진 용접 후 하부구조체 왜곡량(distortion) 측정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측정 횟수
An amount of Floor Distortion (mm)
비교예5 시험예 5
1 2.0 1.0
2 2.5 0.5
3 1.5 0.8
4 1.8 1.2
5 2.5 0.9
평균 2.1 0.9
비교예 5와 같이 하부구조체를 단순 용접만으로 차체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왜곡량이 평균 2.1mm로 측정되었고, 시험예 5와 같이 하부구조체를 리베팅 후 용접하여 장착하는 경우에는 하부구조체의 왜곡량이 평균 0.9mm로 측정되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지차량용 하부구조체의 왜곡량이 종래의 구조의 비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의 결과
도 4a의 구조에 있어서 하부구조체 면적 대비 각형강관 면적의 비율이 10%일 경우, 하부구조체의 굽힘 강도는 224kgf/mm2으로 측정되었으며, 도 4b의 각형강관 구조에 있어서 동일 면적 비율의 경우 하부구조체의 굽힘강도는 271kgf/mm2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각형강관의 ㄷ자 구조의 측면의 중앙에 반원형의 홈을 성형함으로써 굽힘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7의 결과
도 11은 하부구조체 면적 대비 각형강관 면적 비율(%)에 따른 굽힘 강도(kgf/mm2)및 생산경제성 지수(E)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부구조체 제조시 생산경제성 지수(E)을 분석하기 위해 생산효율(b, Floor 생산개수/Day), 작업난이도(d) 및 제조생산비용(c)의 중점도 및 가중치를 고려한 본 발명에 의해 고안한 수학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7062779205-pat00001
상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시험예들을 계산한 결과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표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각형강관이 없는 기존 제품의 경우, 즉 하부구조체 면적 대비 각형강관 면적 비율이 0인 경우, 생산경제성 지수(E)는 1.0이며, 각형강관이 추가되어 제작되는 경우는 추가 공정에 대한 생산비용의 증가로 1.0 보다 작은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각형강관 면적이 증가할수록 굽힘 강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각형강관으로 인한 추가공정에 따라 작업난이도 지수(d) 및 제조생산비용 지수(c)가 증가하고, 이에 반해 생산효율 지수(b) 및 생산경제성 지수(E)는 감소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의 결과는 하부구조체 면적 대비 각형강관 면적 비율 중, 굽힘 강도와 생산경제성 지수가 근접하는 10 내지 20%의 영역의 경우에, 하부구조체의 효율적인 생산이 수행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각형강관 면적
/하부구조체 면적
X100(%)
Floor
굽힘 강도
(kgf/mm2)
Floor 생산개수/Day
(생산효율)
작업난이도 생산비용
(백만원)
생산경제성(E)
a K b d c
Figure 112017062779205-pat00002
0 150.0 1.00 1.0 1.00 1.00
3 175.3 0.61 1.3 1.36 0.74
5 199.1 0.57 1.5 1.46 0.69
7.5 233.2 0.53 1.8 1.59 0.63
10 271.0 0.50 2.0 1.73 0.58
12.5 311.7 0.47 2.3 1.87 0.54
15 354.9 0.44 2.5 2.02 0.51
17.5 400.4 0.42 2.8 2.18 0.48
20 447.9 0.40 3.0 2.34 0.45
25 548.1 0.36 3.5 2.68 0.40
30 654.6 0.33 4.0 3.03 0.36
하부구조체의 굽힘 강도는 차량 안전을 위해 250 kgf/mm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형강관의 면적 비율(%)을 10%이상 높여야 한다. 아울러 생산경제성 지수(E)를 0.5 이상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형강관 면적 비율(%)을 15%이하로 유지해야 하므로 강도와 경제성을 고려한 최적의 각형강관 면적 비율(%)은 10 ~ 15%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상부 플레이트, 20; 하부 플레이트,
30; 각형강관, 7; 하부판,
100; 저상 하부구조체

Claims (7)

  1. 차량을 운전할 수 있도록 휠체어 사용자가 위치하는 휠체어 고정부와, 차량의 후미영역에 위치하고 시트를 장착 또는 제거할 수 있는 기능성부와, 상기 휠체어 고정부 및 상기 기능성부 사이에 위치하며 휠체어 탑승을 위한 램프를 구비하는 휠체어 통로부로 구성되고,
    상기 휠체어 고정부, 기능성부 및 휠체어 통로부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부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되, 일정 간격 배치하여 고정된 복수의 각형강관으로 구성된 하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각형강관은, 단면이 ㄷ 자 구조의 양단부가 절곡된 형태인 것으로, 절곡된 단부는 상부 플레이트 또는 하부 플레이트에 접하여 고정되고,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는 측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강관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10 내지 30mm가 되도록 위치하는 것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강관은, 상기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전체 면적 대비 10 내지 15% 범위의 면적 비율을 가지는 것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각각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로 형성된 것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 고정부 또는 상기 기능성부는, 설치되는 차량과의 고정을 위한 접합구조물을 측부 또는 전면부에 구비하는 것인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KR1020170083000A 2017-05-17 2017-06-30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KR101802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837 2017-05-17
KR20170060837 2017-05-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117B1 true KR101802117B1 (ko) 2017-11-28

Family

ID=6081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000A KR101802117B1 (ko) 2017-05-17 2017-06-30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1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831A (ja) * 2000-06-07 2001-12-18 Autech Japan Inc 車椅子用リフト装置
KR101023519B1 (ko) * 2010-08-19 2011-03-21 김종기 장애인용 차량
JP2012239596A (ja) 2011-05-18 2012-12-10 Matsuda E & T:Kk 車両用スロー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831A (ja) * 2000-06-07 2001-12-18 Autech Japan Inc 車椅子用リフト装置
KR101023519B1 (ko) * 2010-08-19 2011-03-21 김종기 장애인용 차량
JP2012239596A (ja) 2011-05-18 2012-12-10 Matsuda E & T:Kk 車両用スロー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70200A (ja) 合わせガラス
KR101802117B1 (ko) 복지차량용 저상 하부구조체
CN104093621B (zh) 铁道车辆的地板结构及具备该地板结构的铁道车辆
JP2009036236A (ja) 車両用軸ばね
US7849643B2 (en) Structural step unit with run portion and rise portion
US12005830B1 (en) Toy hauler recreational vehicle
KR100433309B1 (ko) 최소한부분적으로라미네이트된시이트금속층으로부터벌집형상체를제조하는방법
JP2007046718A (ja) 鉄道車両用空気ばね
JP2002104846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US20060107865A1 (en) Footplate of gangway and railway car
CN105008294A (zh) 双支架上的重力弯曲
JP6821177B2 (ja) インシュレータ
JP4163925B2 (ja) 車両構体
CN212245850U (zh) 轿底结构和轿厢
JP6326019B2 (ja) 積層パネル
JP3797520B2 (ja) 梯子消防車
KR200230783Y1 (ko) 철도 차량용 연결막
JP2005246418A (ja) パネルのプレス成形方法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板
ES2480992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superficie de rodadura antideslizante en una estructura de la carrocería de vehículo
KR102496694B1 (ko) 엠보형상이 적용된 제진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876134A (en) Metallic sheathing.
JP5508705B2 (ja) 駐車装置用パレットの着床座及び駐車装置用パレット
CN109457601A (zh) 一种公路桥梁的防护结构
US20240208586A1 (en) Overlay floor for motor vehicles
FR2907820A1 (fr) Revetement de sol resilient a haute resistance a l'indentation et haute performance isophon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