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646B1 -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 - Google Patents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646B1
KR101801646B1 KR1020160028112A KR20160028112A KR101801646B1 KR 101801646 B1 KR101801646 B1 KR 101801646B1 KR 1020160028112 A KR1020160028112 A KR 1020160028112A KR 20160028112 A KR20160028112 A KR 20160028112A KR 101801646 B1 KR101801646 B1 KR 101801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tank
manufacturing tank
stirring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584A (ko
Inventor
오헌식
Original Assignee
오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헌식 filed Critical 오헌식
Publication of KR2017010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6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waste material, e.g. feathers, bones or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는 내용물을 파쇄하고 교반 및 건조 과정을 수행하여 사료 원료를 생성하는 제조 탱크가 구비된 본체, 제조 탱크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재, 제조 탱크의 내외부 온도를 고온으로 가변시키는 온열 공급부재, 제조 탱크에서 제조된 원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부재, 및 온풍 공급부재, 온열 공급부재 및 제조 탱크의 내부의 교반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바, 오파란을 파쇄하고 발효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오파란을 영양분 손실 없이 장기간 보존 가능한 사료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계 농가들의 수익을 창출함과 아울러 축산 농가들의 경제적인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ASSORTED AND FERMENTATION MACHINE RAWMATERIAL POSSIBLE DISCARDED EGG PROCESSING}
본 발명은 사료 발효 배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오파란을 파쇄하고 발효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오파란을 영양분 손실 없이 장기간 보존 가능한 사료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계 농가들의 수익을 창출함과 아울러 축산 농가들의 경제적인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양계 농장은 약 3000여 농가 정도에 이르고, 한 농가당 하루 평균 50~60kg의 오파란이 발생하여 총 하루 75~100t 이상의 오파란이 발생하며, 이를 연간 환산하면 30,375~35,850t의 오파란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한 오파란은 불법적으로 수거되어 제빵 원료로 사용되다가 사회적으로 물의를 빚은 사례가 있었다.
오파란은 식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하고 농장에서 폐기되어 폐기물 처리비를 지불하면서 퇴비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난각을 제외한 계란의 수분함량은 약 74%에 이르기 때문에 폐기물로서도 그다지 환영받지는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오파란은 양계농가로 하여금 그대로 농가의 손실로 다가오는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공개 10-2012-0077691호(2012.07.10, 공개)와 같이 오파란을 이용한 코디세핀 생산방법과 같은 오파란 재활용 방안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오파란의 사용은 지속적인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가축의 사료는 가축에 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로서, 영양소의 함량이 많고 가축에게 유해한 성분이 없으며 생산량이 많을 뿐 아니라 항상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에, 오파란을 가축의 사료나 사료의 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기도 한다.
하지만, 오파란은 난각(egg-shll)의 파쇄 과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수분 함량이 높은 상태의 함유 물질들을 빠르게 분말 등의 건조된 형태로 가공해야 하는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효율적인 제조 방식이나 제조기기들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출원공개 10-2012-0077691호(2012.07.10, 공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파란을 파쇄하고 발효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오파란을 영양분 손실 없이 장기간 보존 가능한 사료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계 농가들의 수익을 창출함과 아울러 축산 농가들의 경제적인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는 내용물을 파쇄하고 교반 및 건조 과정을 수행하여 사료 원료를 생성하는 제조 탱크가 구비된 본체, 제조 탱크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재, 제조 탱크의 내외부 온도를 고온으로 가변시키는 온열 공급부재, 제조 탱크에서 제조된 원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부재, 및 온풍 공급부재, 온열 공급부재 및 제조 탱크의 내부의 교반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에 의하면 오파란을 파쇄하고 발효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오파란을 장기간 보존 가능한 사료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계 농가들의 수익을 창출함과 아울러 축산 농가들의 경제적인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사료 발효 배합기의 내부에서 교반 칼날들을 통해 오파란들의 난각을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으며, 건조 과정과 교반 과정 외에도 온열 기능을 통한 발효 과정까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영양분 손실 없이 장기간 보존 가능한 사료 원료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발효 배합기의 일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료 발효 배합기의 측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계폐도어를 오픈 한 상태로 계폐 도어의 내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발효 배합기의 배합 탱크 내부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료 발효 배합기의 배출구 오픈 형태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발효 배합기의 일 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료 발효 배합기의 측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는 오파란 등의 원료 내용물을 수납하여 파쇄, 교반, 발효, 건조 등의 제조 과정을 수행하여 사료 원료를 생성하는 제조 탱크가 구비된 본체(100), 제조 탱크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 공급부재(114), 제조 탱크의 내외부 온도를 고온으로 가변시키는 온열 공급부재(132), 제조 탱크에서 제조된 원료가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 제어부재(122), 및 온풍 공급부재(114), 온열 공급부재(132) 및 제조 탱크의 내부의 교반 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118)를 포함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드럼 형태의 제조 탱크가 구성되며, 제조 탱크의 상부 측이 본체(100)의 계폐부재(112)에 의해 계폐된다.
제조 탱크는 금속성의 드럼 형태로 구성되어 오파란 등의 원료 내용물이 수납되는바, 그 내부에는 교반 칼날을 구비하여 교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교반부재가 구성되어 교반부재에 의해 내용물들이 파쇄 및 교반되도록 한다.
제조 탱크의 어느 한 측면이나 상부로는 온풍 공급부재(114)로부터의 온풍을 공급받고, 또 다른 어느 한 측면이나 하부로는 온열 공급부재(132)로부터 열을 공급받는다. 이에, 제조 탱크는 오파란 등의 원료 내용물을 수납하여 파쇄, 교반, 발효, 건조 등의 제조 과정을 수행하여 사료 원료를 생성한 후, 배출 제어부재(122)의 제어에 따라 배출구(120)로 사료 원료들을 배출한다.
온풍 공급부재(114)는 계폐부재(112)의 상부나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되거나, 본체(100)의 어느 한 측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온풍 공급부재(114)는 제조 탱크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바, 이를 위해 외부 공기를 데워서 온풍을 생성하고 온풍을 배출하는 온풍기(115), 온풍기(115)로부터의 온풍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온풍 통기구(114), 및 계폐부재(112)나 본체(100)를 관통하여 제조 탱크의 내부로 온풍을 확산시켜 제공하는 온풍 공급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온풍기(115)는 관리자 및 제어부재(118)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제어부재(118)의 제어에 의해 외부 공기를 데워서 온풍을 생성하고 온풍을 온풍 통기구(114)로 공급한다.
온풍 통기구(114)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계폐부재(112)의 상부나 어느 한 측면에 구성되어 온풍기(115)로부터의 온풍을 온풍 공급구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온풍 통기구(114)는 본체(100)의 어느 한 측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온풍기(115)로부터의 온풍을 온풍 공급구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온풍 공급구는 계폐 부재(112)나 본체(100)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되, 배출되는 공기가 확산되어 제조 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온풍 공급구는 계폐 부재(112)나 본체(100)를 관통하여 제조 탱크의 내부로 온풍을 확산시켜 제공한다. 이러한 온풍 공급구의 구조는 추 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온열 공급부재(132)는 가온 순환 보일러나 전기 보일러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바, 관리자 및 제어부재(118)의 제어에 따라 제조 탱크의 내외부 온도를 고온으로 상승시켜 제조 탱크 내부의 내용물들을 가열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온열 공급부재(132)는 제조 탱크의 외부 적어도 한 측면이나 하부면에 부착된 발열부재, 발열부재의 발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열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발열부재는 가온 순환 보일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온 순환 보일러가 구성되는 경우 별도로 팽창탱크 등이 더 구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온열 공급부재(132)에 대해서는 추 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배출 제어부재(122)는 제조 탱크에서 제조된 원료가 배출량을 조절하여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배출 제어부재(122)는 본체(100)와 제조 탱크의 어느 한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배출구(120)를 계폐시키는 배출구 계폐부, 배출구 계폐부의 배출구 계폐 정도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122), 회전 제어부(122)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배출구 계폐부를 계폐시키는 계폐 제어 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배출 제어부재(122) 또한 추 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사료 발효 배합기 본체(100)의 어느 한 측면이나 계폐부재(120)의 어느 한 측면에는 제조 탱크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제조 탱크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상부로 기화시켜 배출하고 수분은 하부로 흘려 분리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재(116)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원료의 제조 과정에서는 원료의 가열 및 건조 공정이 수행되므로, 제조 탱크의 내부에서는 다량의 수증기와 수분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제조 탱크 내외부의 기압 차를 줄이기 위해서 제조 탱크 내부의 수증기나 수분은 배출시켜주어야 한다. 하지만, 측면이나 상부의 어느 한 방향으로 단순하게 배출구만 형성하게 되면 수증기와 함께 수분이 본체(100)의 표면을 타고 흘려내려 주변을 어지럽히게 된다.
증기 배출부재(116)는 본체(100)의 어느 한 측면이나 계폐부재(120)의 어느 한 측면에 제조 탱크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구성되되, 수증기는 상부 방향으로 기화 상태로 배출되고 수분은 하부 방향의 배관이나 호스를 타고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수증기와 수분을 분리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계폐도어를 오픈 한 상태로 계폐 도어의 내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온풍 통기구(114)는 계폐부재(112)의 상부나 어느 한 측면에 구성되어 온풍기(115)로부터의 온풍을 온풍 공급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온풍 통기구(114)는 본체(100)의 어느 한 측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온풍기(115)로부터의 온풍을 온풍 공급구(113)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온풍기(115)는 온풍 통기구(114)의 어느 한 측면이나 상부면 등에 조립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제어부재(118)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를 데워서 온풍을 생성하고 온풍을 온풍 통기구(114)로 공급한다.
온풍기(115)로부터의 온풍은 온풍 통기구(114)를 통해서 온풍 공급구로 전달되며, 온풍 공급구(113)는 계폐부재(112)나 본체(100)를 관통하여 제조 탱크의 내부로 온풍을 제공한다.
도 4와 같이, 온풍 공급구(113)는 계폐 부재(112)나 본체(100)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되, 배출되는 공기가 확산되어 제조 탱크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온풍 공급구(113)는 계폐부재(112)나 본체(100)를 관통하여 제조 탱크의 내부로 온풍을 확산시켜 제공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사료 발효 배합기의 배합 탱크 내부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조 탱크(148)는 금속성의 드럼 형태로 구성되어 계폐부재(112)의 계폐시 상부 계폐구를 통해 오파란 등의 원료 내용물이 수납된다.
제조 탱크(148)의 내부에는 복수의 교반 칼날(146)을 구비하여 교반 축(142)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교반부재(144)가 구성되어, 교반부재(144)에 의해 내용물들이 파쇄 및 교반되도록 한다. 여기서, 복수의 교반 칼날(146)은 교반부재(144)와 더불어 교반 축(142)에도 구성되어 내용물을 절단 및 파쇄하는데 이용된다.
사료 원료를 생성시, 제조 탱크(148)의 내부에서는 교반부재(144)가 교반 축(142)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내용물(오파란)을 파쇄하고 교반시킴과 아울러, 제조 탱크(148)의 어느 한 측면이나 상부로는 온풍 공급부재(114)로부터의 온풍을 공급되어 내용물들이 건조되도록 한다.
이와 아울러, 제조 탱크(148)의 또 다른 어느 한 측면이나 하부로는 온열 공급부재(132)로부터 열이 공급되도록 하여 내용물이 건조 및 발효되도록 한다. 온열 공급부재(132)는 가온 순환 보일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는바, 별도로 팽창탱크 등이 더 구성되어 제조 탱크(148)의 내외부 온도를 높여 내용물이 발효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조 탱크(148)는 오파란 등의 원료 내용물을 수납하여 파쇄, 교반, 발효, 건조 등의 제조 과정을 수행하여 사료 원료를 생성하게 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사료 발효 배합기의 배출구 오픈 형태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출 제어부재(122)는 제조 탱크(148)에서 제조된 원료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배출 제어부재(122)는 본체(100)와 제조 탱크의 어느 한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배출구(120)를 계폐시키는 배출구 계폐부(125), 배출구 계폐부(125)의 배출구 계폐 정도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122), 회전 제어부(122)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배출구 계폐부(125)를 계폐시키는 계폐 제어 축(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조 탱크(148)에서 오파란 등의 원료 내용물을 수납하여 파쇄, 교반, 발효, 건조 등의 제조 과정을 수행하여 사료 원료를 생성하면, 이후에 배출 제어부재(122)의 제어에 따라 배출구(120)로 사료 원료들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에 의하면 오파란을 파쇄하고 발효 및 건조 과정을 거쳐 오파란을 장기간 보존 가능한 사료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계 농가들의 수익을 창출함과 아울러 축산 농가들의 경제적인 이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사료 발효 배합기의 내부에서 교반 칼날들을 통해 오파란들의 난각을 효율적으로 파쇄할 수 있으며, 건조 과정과 교반 과정 외에도 온열 기능을 통한 발효 과정까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영양분 손실 없이 장기간 보존 가능한 사료 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오파란을 포함하는 내용물을 파쇄하고 교반, 발효 및 건조 과정을 수행하여 사료 원료를 생성하는 제조 탱크가 구비된 본체;
    상기 제조 탱크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여 상기 내용물을 건조하는 온풍 공급부재;
    상기 제조 탱크 내부에 열을 공급하여 상기 제조 탱크의 내외부 온도를 고온으로 가변시켜 상기 내용물을 건조 및 발효하는 온열 공급부재;
    상기 제조 탱크에서 제조된 원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부재;
    상기 제조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고, 복수의 교반 칼날을 가지며 교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교반 부재;
    상기 온풍 공급부재, 상기 온열 공급부재 및 상기 교반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재;
    상기 제조 탱크의 상부를 계폐하는 계폐부재; 및
    상기 본체의 어느 한 측면이나 상기 계폐부재의 어느 한 측면에 구성되되, 상기 제조 탱크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제조 탱크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는 상부로 기화시켜 배출하고 수분은 하부로 흘려 분리 배출하는 증기 배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내용물들이 파쇄 및 교반되도록 하되,
    상기 복수의 교반 칼날은, 상기 교반 부재 및 상기 교반 축에도 구비되어 상기 내용물을 절단 및 파쇄하며 교반하고, 상기 내용물을 분말 형태로 건조 및 발효 가공하는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공급부재는
    상기 제조 탱크의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도록 외부 공기를 데워서 온풍을 생성하고 온풍을 배출하는 온풍기;
    상기 온풍기로부터의 온풍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온풍 통기구; 및
    상기 계폐부재나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조 탱크의 내부로 온풍을 확산시켜 제공하는 온풍 공급구;
    를 포함하는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 공급부재는
    상기 제조 탱크의 외부 적어도 한 측면이나 하부면에 부착된 발열부재; 및
    상기 발열부재의 발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열 제어부;
    를 포함하는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탱크에서 제조된 원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 제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출 제어부재는,
    상기 본체와 상기 제조 탱크의 어느 한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배출구를 계폐시키는 배출구 계폐부;
    상기 배출구 계폐부의 배출구 계폐 정도를 제어하는 회전 제어부; 및
    상기 회전 제어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배출구 계폐부를 계폐시키는 계폐 제어 축;을 포함하는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28112A 2016-03-03 2016-03-09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 KR101801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25755 2016-03-03
KR1020160025755 2016-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584A KR20170103584A (ko) 2017-09-13
KR101801646B1 true KR101801646B1 (ko) 2017-11-27

Family

ID=5996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112A KR101801646B1 (ko) 2016-03-03 2016-03-09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6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340B1 (ko) 2015-01-13 2015-08-12 박성규 오파란을 이용한 재활용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58836B1 (ko) * 2015-01-13 2015-10-08 박성규 오파란 처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340B1 (ko) 2015-01-13 2015-08-12 박성규 오파란을 이용한 재활용 사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58836B1 (ko) * 2015-01-13 2015-10-08 박성규 오파란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584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152323U (zh) 牲畜饲料的粉碎搅拌装置
KR101434822B1 (ko) 발효 교반장치
KR101558836B1 (ko) 오파란 처리기
KR101984395B1 (ko) 축산분뇨, 농수산 부산물 또는 남은 음식물의 혼합발효에 의한 유기질 비료 생산을 위한 퇴비화 장치
KR101701463B1 (ko) 음식물찌꺼기 살균건조처리장치
KR101609120B1 (ko) 조류 사체처리기
KR101822480B1 (ko) 폐기물을 이용하고 생산성이 향상된 유기질비료 제조방법
KR101801646B1 (ko) 오파란 처리 가능한 사료 발효 배합기
KR101446180B1 (ko)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시스템
CN104649725B (zh) 基于动物尸体的无公害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205217595U (zh) 一种病死动物尸体的无害化处理系统
CN207418756U (zh) 一种高透光猪皮胶原蛋白的专用提取设备
JP2002001082A (ja) 加熱撹拌処理装置
KR200197406Y1 (ko) 발효 사료 제조 장치
CN205492549U (zh) 蛋鸡新鲜喂食加工设备
KR101446764B1 (ko) 더블스크류형 가축사료 제조장치
KR20160004100U (ko) 음식물 쓰레기 퇴비화 장치
CN215087744U (zh) 一种无精蛋资源化处理装置
CN205528505U (zh) 一种高温高压制备肥料的装置
CN216972360U (zh) 一种畜牧用无害化病鸡处理设备
CN105218187B (zh) 应用于有机肥制备的发酵装置
JPH02257833A (ja) 発酵方法及びその装置
CN214866075U (zh) 一种高温发酵型搅拌装置以及畜禽无害化处理机组
KR20030092236A (ko) 유기물의 멸균 및 건조시스템
JP3116099B2 (ja) 有機廃棄物の発酵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