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120B1 - 조류 사체처리기 - Google Patents

조류 사체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120B1
KR101609120B1 KR1020150119418A KR20150119418A KR101609120B1 KR 101609120 B1 KR101609120 B1 KR 101609120B1 KR 1020150119418 A KR1020150119418 A KR 1020150119418A KR 20150119418 A KR20150119418 A KR 20150119418A KR 101609120 B1 KR101609120 B1 KR 101609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tank
discharge
port
pulverized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호
Original Assignee
문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호 filed Critical 문성호
Priority to KR1020150119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of meat, fish waste or the like
    • B01F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류 사체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사된 조류(닭, 오리 등)를 분쇄한 후 교반·발효 처리한 최종처리물을 사료화시켜 재활용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게시된 조류 사체처리기는 조류사체처리드럼 내부의 물저장부를 간접 가열함으로써 가열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에너지의 소모량이 많아 비경제적이고, 폐사된 조류를 통째로 투입하여 처리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처리시간이 길고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처리대상물을 사료화할 수 없어 재활용적인 측면에서 불합리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폐사된 조류를 민찌 분쇄기를 이용하여 민찌 상태로 분쇄한 후 발효조에서 조류의 분쇄물과 조사료를 골고루 교반·발효하여 최종처리물을 사료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합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류 사체처리기{Corpse handling apparatus for birds}
본 발명은 폐사된 조류(닭, 오리 등)를 분쇄한 후 교반·발효 처리한 최종처리물을 사료화시켜 재활용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류독감이 집단으로 발생하면서 지역 내의 닭, 오리 등과 같은 조류를 생매장시키고 소독을 하여 출입을 통제함에 따라 사회적으로 크나큰 경제적 손실과 치명적인 상처만 남길 뿐 근본적인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폐사된 닭, 오리 등의 조류를 땅속에 매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할 뿐만 아니라, 많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고, 매장된 장소는 병원균의 온상이 되는 한편, 재발의 위험성으로 인해 농작물을 재배하거나, 다른 가축을 키우는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최근에는 폐사된 돼지나 소 등의 가축을 처리하기 위하여 각종 축산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장치는 폐사된 가축이 들어있는 드럼의 내부에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여 병원균을 완전 살균시키고, 각종 부위까지 부서질 정도의 상태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들은 대부분 돼지나 소 등의 가축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 개발되어 조류독감으로 인해 폐사된 조류들의 처리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즉, 대부분 장치의 크기나 내부 구조가 돼지나 소 등의 가축에 초점을 맞추어 제작되다 보니 가축에 비해 크기가 작은 닭이나 오리 등의 처리가 어려웠다.
또한, 장치의 제조단가가 비싸므로 장치를 구입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비용 부담을 갖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써 「공개특허 제2010-0025059호, 명칭/ 조류용 사체처리장치」가 게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조류사체처리드럼의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조류사체처리드럼 내부의 물저장부를 간접 가열함으로써 가열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에너지의 소모량이 많아 비경제적이고, 폐사된 조류를 통째로 투입하여 처리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처리시간이 길고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처리대상물을 사료화할 수 없어 재활용적인 측면에서 불합리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폐사된 조류를 별도의 조류사체운반차에 적재한 후 상기 조류사체운반차를 조류사체처리드럼의 내부로 투입하거나 배출함으로써 폐사된 조류의 투입 및 배출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려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투입 및 배출에 필요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비대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폐사된 조류를 민찌 분쇄기를 이용하여 민찌 상태로 분쇄한 후 발효조에서 조류의 분쇄물과 조사료를 골고루 교반·발효하여 최종처리물을 사료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합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레버의 정역회전 조작에 따라 배출 게이트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최종처리물 배출구의 개폐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사된 조류의 투입, 분쇄, 교반·발효 및 배출하는 일련의 과정이 통합적인 자동화로 간편하게 구현됨으로써 처리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자켓으로 이루어진 발효조의 열매체유를 직접 가열함으로써 가열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은 물론 에너지의 소모량을 절감하고, 살균력이 우수하여 병원균의 재발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폐사된 조류를 민찌 분쇄기를 이용하여 민찌 상태로 분쇄함으로써 교반·발효의 처리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살균효과가 뛰어나고, 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함은 물론 민찌 상태로 분쇄된 분쇄물을 미강, 옥분 등의 조사료와 혼합하여 발효함으로써 폐사된 조류를 용이하게 사료화하여 재활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풍 발생기를 이용하여 생성한 열풍을 발효조의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건조속도 및 발효시간을 더욱 단축하여 처리작업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작동레버의 정역회전 조작에 따라 배 출게이트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배출구의 개폐를 간편하게 제어함은 물론 배출구의 개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최종처리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배출구 개폐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소하고 콤팩트화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류 사체처리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조류 사체처리기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발효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민찌 분쇄기의 설치상태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열풍 발생기 및 낙하통로 차단구의 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낙하통로가 개방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낙하통로에 낙하통로 차단구가 설치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비산방지커버 및 낙하통로 차단구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낙하통로 차단구가 낙하통로에 끼워지는 상태의 측단면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배출구 개폐장치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배출 게이트가 개방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배출 게이트 및 가이드레일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배출 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 발효조 커버의 개방상태 측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처리기 본체(10), 발효조(20), 민찌 분쇄기(30), 배출구 개폐장치(10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처리기 본체(10)는 이동가능한 캐스터(11)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2)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의 일측에는 발효조(2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발효조(20)에 설치된 교반기(22) 및 민찌 분쇄기(30)를 기계적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계실(13)이 마련되며, 상기 기계실(13)의 측면에 내부의 점검을 위한 도어(13a)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13)의 전면에는 조류 사체처리기(T)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처리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발효조(20)는 민찌 분쇄기(30)를 통해 분쇄된 조류의 분쇄물이 낙하 유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양 측판(21)을 관통하여 교반기(2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교반기(22)의 교반축(22a)은 기계실(13)의 바닥면에 설치된 교반 모터(23)의 회전동력을 체인 등의 동력전달부재(24)를 매개로 전달받아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조류의 분쇄물과 미강, 옥분 등의 조사료를 골고루 교반·발효함으로써 조류의 사체를 용이하게 사료화하여 재활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발효조(20)의 외면에는 열매체유(25a)가 저장된 이중자켓(25)이 형성되고, 상기 발효조(20)의 일 측판(21)을 관통하여 히터봉(26)이 삽입 설치됨으로써 상기 열매체유(25a)를 직접 가열하여 가열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이에 따른 에너지의 소비량을 절감하며, 상기 히터봉(26)의 타측에는 이중자켓(25)의 내부로 온도센서(27)가 삽입 설치됨으로써 발효조(20)에서 발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발효조(2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기계실(13)에는 고정 랙(15)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랙(15)의 상단에는 폐사된 조류를 민찌 상태로 분쇄하는 민찌 분쇄기(30)가 설치되며, 상기 민찌 분쇄기(30)는 일측의 분쇄물 배출구(31)에서 배출되는 분쇄물이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분쇄물 낙하구(16)를 통해 발효조(20)의 내부로 낙하 유입된다.
이와 같은 민찌 분쇄기(30)는 투입구(32)에 폐사된 조류를 투입하면 상기 고정 랙(15)에 설치된 분쇄기 모터(33)의 회전동력을 동력전달부재(34)를 매개로 전달받아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를 회전시키고, 투입된 조류는 스크류를 따라 분쇄물 배출구(31) 쪽으로 이송하면서 분쇄날에 의해 잘게 분쇄된 후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배출판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폐사된 조류를 발효조(20)에 직접 투입하지 않고, 민찌 상태로 분쇄하여 공급함으로써 교반·발효의 처리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함은 물론 폐사된 조류의 살균효과가 뛰어나고, 처리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민찌 분쇄기(30)는 종래에 고기나 야채를 민찌 상태로 분쇄하는 기계로써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 상기 민찌 분쇄기(30)는 처리기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이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외관상 미려함을 위해 상기 민찌 분쇄기(30)의 외측에는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상단에 상기 분쇄물 배출구(31)를 제외한 민찌 분쇄기(30)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외장케이스(50)가 설치되고, 상기 외장케이스(50)의 상단에는 조류 투입호퍼(51)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조류 투입호퍼(51)는 하측이 부분적으로 상기 민찌 분쇄기(30)의 투입구(3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조류 투입호퍼(51)에 폐사된 조류를 투입하면 민찌 분쇄기(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분쇄물 배출구(31)에서 배출되는 조류의 분쇄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비산됨을 방지하여 상기 발효조(20)의 내부로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비산방지커버(60)의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분쇄물 낙하구(16)의 외측에는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상부면에 비산방지커버(60)가 설치되고, 상기 비산방지커버(60)는 상단 중앙에 형성된 수평면(61)의 전후에 각각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62)이 형성되며, 상기 비산방지커버(60)의 상부, 즉 상기 수평면(61) 및 경사면(62)에는 민찌 분쇄기(30)의 분쇄물 배출구(31)와 연통하는 낙하통로(63)가 개방 형성됨으로써 상기 민찌 분쇄기(30)에서 분쇄된 분쇄물은 외부로 비산되지 않고 상기 낙하통로(63)를 경유하여 분쇄물 낙하구(16)를 통해 발효조(20)의 내부로 빠짐없이 낙하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낙하통로(63)는 항시 개방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낙하통로 차단구(70)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낙하통로 차단구(70)는 발효조(20)를 가동하여 분쇄물을 교반·발효할 때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상기 낙하통로(63)에 막음 설치함으로써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방출됨을 차단하여 발효조(20) 내의 온도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낙하통로 차단구(70)는 민찌 분쇄기(30)를 가동하여 조류를 분쇄할 때에 한하여 일시적으로 상기 낙하통로(63)로부터 분리하여 낙하통로(63)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민찌 분쇄기(30)의 가동시 분쇄물이 발효조(20)로 원활하게 낙하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낙하통로 차단구(70)는 낙하통로(63)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분쇄물 배출구(31)의 하측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사각 바구니 형태의 낙하구 몸체(71)가 구비되고, 상기 낙하구 몸체(71)의 전후면 상단에는 각각 상기 비산방지커버(60)의 전후 경사면(62)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날개(72)가 절곡 형성됨으로써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낙하구 몸체(71)의 일측에는 상기 낙하통로 차단구(70)를 낙하통로(63)에 끼우는 과정에서 분쇄물 배출구(31)와 충돌됨을 방지하는 충돌방지 개방부(7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낙하통로 차단구(70)의 설치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낙하구 몸체(71)의 일 측면에는 충돌방지 개방부(73)의 하측에 보강바(74)가 추가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충돌방지 개방부(73)가 형성된 부분의 부족한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하고, 상기 낙하구 몸체(71)의 타측 내면에는 낙하통로 차단구(70)를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75)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75)의 상측 상단에는 상기 비산방지커버(60)의 전후 경사면(62) 및 중앙의 수평면(61)에 안착되는 보조 안착날개(76)가 일체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발효조(20)의 내부 온도 저하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효조(20)의 내부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열풍 발생기(80)의 기술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열풍 발생기(80)는 상기 비산방지커버(60)의 일측 경사면(62)에 엘보우 형상의 열풍 덕트(81)가 내부로 연통 설치되고, 상기 열풍 덕트(81)의 선단에는 히터(82)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히터(82)의 선단에는 송풍기(83)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외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상기 히터(82)로 가온하여 열풍으로 변환하여 상기 열풍 덕트(81)를 통해 발효조(20)의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발효조(20)의 온도를 높여 분쇄물의 건조속도 및 발효시간을 더욱 단축하여 교반·발효의 처리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쇄물 낙하구(16)의 일측에 발효조(20)의 내부로 조사료를 투입하거나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는 조사료 투입구(17)가 형성되고, 상기 조사료 투입구(17)의 외측에는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상단에 발효조(2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는 발효조 커버(90)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발효조 커버(90)를 열고 조사료를 투입하거나 내부를 점검할 수 있으며, 상기 발효조(20)를 가동할 때에는 닫아 주어 외부로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상기 발효조 커버(90)의 양 측면 및 상기 처리기 본체(10)에는 쇼버(91)의 양측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됨으로써 발효조 커버(90)의 급격한 개폐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부(18)를 관통하여 발효조(20)의 내부와 연통하는 최종처리물 배출구(28)가 상기 발효조(20)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최종처리물 배출구(28)에 설치된 배출 슈트(101)에는 작동레버(111)의 회전조작에 따라 배출 게이트(103)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 개폐장치(100)가 구비됨으로써 교반·발효된 최종처리물을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배출구 개폐장치(100)의 세부적인 기술구성은 상기 최종처리물 배출구(28)에 상부 및 전면이 개방된 배출 슈트(101)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 슈트(101)의 양측 내면에는 각각 가이드레일(102)이 상하 방향으로 부착되며, 상기 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상기 최종처리물 배출구(28)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 게이트(103)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출 게이트(103)의 전방에는 배출 슈트(101)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종동축(10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축(104)의 중앙에는 한 쌍의 스프라켓(105)이 일체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스프라켓(105)은 배출 게이트(103)의 전면에 일체로 부착된 고정체인(106)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종동축(104) 및 스프라켓(105)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체인(106)이 상하로 이동함과 동시에 배출 게이트(103)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최종처리물 배출구(28)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종동축(104)의 선단에는 종동기어(107)가 부착되고, 이 종동기어(107)는 발효조(20)의 외면에 일체로 부착된 지지브라켓(108)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109)의 일측 선단에 부착된 구동기어(110)와 치합되며, 상기 구동축(109)의 타측 선단에는 작동레버(111)가 연결되고, 상기 발효조(20)의 외면에 부착된 폴 브라켓(11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래칫 폴(113)은 상기 종동기어(107)의 치홈에 걸리면서 종동기어(107)의 일방향 회전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111)를 도 11과 같이 도면상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동기어(110)와 치합된 종동기어(107)가 역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라켓(105)이 연동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정체인(106)이 상부로 이동하면서 배출 게이트(103)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작동레버(111)의 회전을 중단하면 상기 래칫 폴(113)은 종동기어(107)의 회전을 자동으로 중단하여 배출 게이트(103)의 개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최종처리물 배출구(28)의 개폐를 간편하게 제어함은 물론 개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최종처리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 개폐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매우 간소하면서도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개방된 배출 게이트(103)를 닫아 줄 때에는 상기 구동기어(110)의 일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래칫 폴(113)을 작업자가 상부로 회동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작동레버(111)를 역회전시키면 배출 게이트(103)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닫힐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폐사된 조류의 투입하는 공정, 조류를 민찌 상태로 잘게 분쇄하는 공정, 분쇄된 조류의 분쇄물과 조사료를 골고루 교반·발효하는 공정 및 최종 완료된 최종처리물을 배출하는 일련의 공정을 1대의 조류 사체처리기(T)를 이용하여 통합적인 자동화로 간편하게 구현함으로써 처리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함은 물론 처리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한다.
T: 조류 사체처리기 10: 처리기 본체
12: 베이스프레임 15: 고정 랙
16: 분쇄물 낙하구 17: 조사료 투입구
18: 개방부 20: 발효조
22: 교반기 23: 교반 모터
25: 이중자켓 26: 히터봉
27: 온도센서 28: 최종처리물 배출구
30: 민찌 분쇄기 31: 분쇄물 배출구
32: 투입구 33: 분쇄기 모터
50: 외장케이스 51: 조류 투입호퍼
60: 비산방지커버 63: 낙하통로
70: 낙하통로 차단구 71: 낙하구 몸체
72: 안착날개 73: 충돌방지 개방부
74: 보강바 75: 손잡이
76: 보조 안착날개 80: 열풍 발생기
81: 열풍 덕트 82: 히터
83: 송풍기 90: 발효조 커버
91: 쇼버 100: 배출구 개폐장치
101: 배출 슈트 102: 가이드레일
103: 배출 게이트 104: 종동축
105: 스프라켓 106: 고정체인
107: 종동기어 109: 구동축
110: 구동기어 111: 작동레버
113: 래칫 폴

Claims (9)

  1. 처리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양 측판(21)을 관통하여 교반기(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열매체유(25a)가 저장된 이중자켓(25)이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중자켓(25)의 내부로 히터봉(26)이 삽입 설치된 발효조(20)와;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내부 타측에 설치된 고정 랙(15)의 상단에 설치되고, 일측의 분쇄물 배출구(31)에서 배출되는 분쇄물이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분쇄물 낙하구(16)를 통해 발효조(20)의 내부로 낙하 유입되는 민찌 분쇄기(30)와;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부(18)를 관통하여 발효조(20)의 내부와 연통하게 형성된 최종처리물 배출구(28)에 설치된 배출 슈트(101)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분쇄물 낙하구(16)의 외측에는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상부면에 비산방지커버(60)가 설치되고, 상기 비산방지커버(60)의 상부에는 민찌 분쇄기(30)의 분쇄물 배출구(31)와 연통하는 낙하통로(63)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낙하통로(63)에는 상기 발효조(20)의 가동시 내부 온도 저하를 방지하는 낙하통로 차단구(70)가 막음 설치되고, 상기 낙하통로 차단구(70)는 민찌 분쇄기(30)의 가동시 분쇄물이 발효조(20)로 낙하 유입되도록 일시적으로 낙하통로(63)로부터 분리하며;
    상기 낙하통로 차단구(70)는 낙하통로(63)에 끼워짐과 동시에 분쇄물 배출구(31)의 하측을 감싸는 낙하구 몸체(71)의 전후면 상단에 상기 비산방지커버(60)의 전후 경사면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날개(72)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낙하구 몸체(71)의 일측에는 분쇄물 배출구(31)와 충돌됨을 방지하는 충돌방지 개방부(73)가 개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사체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구 몸체(71)의 일 측면에는 충돌방지 개방부(73)의 하측에 보강바(74)가 추가로 연결되고, 상기 낙하구 몸체(71)의 타측 내면에는 손잡이(75)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75)의 상측 상단에는 상기 비산방지커버(60)의 전후 경사면 및 중앙 수평면(61)에 안착되는 보조 안착날개(76)가 일체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사체처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커버(60)에는 열풍 덕트(81)가 내부로 연통 설치되고, 상기 열풍 덕트(81)의 선단에는 히터(82)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히터(82)의 선단에는 송풍기(83)가 연결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풍 발생기(80)를 추가로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사체처리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슈트(101)에는 작동레버(111)의 회전조작에 따라 배출 게이트(103)가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배출구 개폐장치(100)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배출구 개폐장치(100)는 최종처리물 배출구(28)에 설치된 배출 슈트(101)의 양측 내면에 부착된 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배출 게이트(103)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 게이트(103)의 전방에는 배출 슈트(101)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종동축(10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종동축(104)의 중앙에 이격 설치된 한 쌍의 스프라켓(105)은 상기 배출 게이트(103)의 전면에 부착된 고정체인(106)과 결합되는 한편, 상기 종동축(104)의 선단에 부착된 종동기어(107)는 발효조(2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109)의 일측 선단에 부착된 구동기어(110)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축(109)의 타측 선단에는 작동레버(111)가 연결되며, 상기 발효조(20)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래칫 폴(113)은 상기 종동기어(107)의 치홈에 걸리면서 종동기어(107)의 일방향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사체처리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 낙하구(16)의 일측에는 조사료 투입구(17)가 형성되고, 상기 조사료 투입구(17)의 외측에는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상단에 발효조(2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는 발효조 커버(90)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발효조 커버(90)의 양 측면 및 상기 처리기 본체(10)에는 쇼버(91)의 양측이 회전 자유롭게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사체처리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민찌 분쇄기(30)의 외측에는 상기 처리기 본체(10)의 상단에 민찌 분쇄기(30)의 외측을 감싸는 외장케이스(50)가 설치되고, 상기 외장케이스(50)의 상단에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조류 투입호퍼(51)는 민찌 분쇄기(30)의 투입구(32)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 사체처리기.
KR1020150119418A 2015-08-25 2015-08-25 조류 사체처리기 KR10160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418A KR101609120B1 (ko) 2015-08-25 2015-08-25 조류 사체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418A KR101609120B1 (ko) 2015-08-25 2015-08-25 조류 사체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120B1 true KR101609120B1 (ko) 2016-04-05

Family

ID=5580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418A KR101609120B1 (ko) 2015-08-25 2015-08-25 조류 사체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1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58A (ko) 2018-04-03 2019-10-14 조승록 사체처리기용 탄소발열체 가열장치
KR20190115659A (ko) 2018-04-03 2019-10-14 조승록 탄소발열 이동식 무균 사체처리장치
KR102199559B1 (ko) * 2020-02-06 2021-01-08 문성호 분쇄 발효식 동물 사체처리기
KR102355030B1 (ko) 2021-01-11 2022-01-24 김용태 믹싱유닛이 구비된 동물 사체 처리장치
KR20220102182A (ko) 2021-01-11 2022-07-20 최성희 동물 사체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942Y1 (ko) 1997-07-15 2000-03-02 김종만 열매체와 공압을 이용한 발효 건조 처리장치
KR200186976Y1 (ko) * 2000-02-10 2000-06-15 두루환경위생주식회사 죽은 동물 및 폐기 육류 처리용 발효·소멸처리기
KR101003400B1 (ko) 2008-09-29 2010-12-23 주식회사 예명인더스트리 가축사료용 미생물 발효기
KR101449408B1 (ko) *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환경21 동물 사체 파쇄 및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942Y1 (ko) 1997-07-15 2000-03-02 김종만 열매체와 공압을 이용한 발효 건조 처리장치
KR200186976Y1 (ko) * 2000-02-10 2000-06-15 두루환경위생주식회사 죽은 동물 및 폐기 육류 처리용 발효·소멸처리기
KR101003400B1 (ko) 2008-09-29 2010-12-23 주식회사 예명인더스트리 가축사료용 미생물 발효기
KR101449408B1 (ko) * 2013-05-21 2014-10-13 주식회사 환경21 동물 사체 파쇄 및 건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58A (ko) 2018-04-03 2019-10-14 조승록 사체처리기용 탄소발열체 가열장치
KR20190115659A (ko) 2018-04-03 2019-10-14 조승록 탄소발열 이동식 무균 사체처리장치
KR102199559B1 (ko) * 2020-02-06 2021-01-08 문성호 분쇄 발효식 동물 사체처리기
KR102355030B1 (ko) 2021-01-11 2022-01-24 김용태 믹싱유닛이 구비된 동물 사체 처리장치
KR20220102182A (ko) 2021-01-11 2022-07-20 최성희 동물 사체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120B1 (ko) 조류 사체처리기
KR101336056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904331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0850033B1 (ko) 유기물 처리 장치
KR101449408B1 (ko) 동물 사체 파쇄 및 건조장치
KR200186976Y1 (ko) 죽은 동물 및 폐기 육류 처리용 발효·소멸처리기
KR101352270B1 (ko) 박테리아를 이용한 계분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104649725B (zh) 基于动物尸体的无公害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204601B1 (ko) 폐사 어류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생산장치
KR101897497B1 (ko) 롤 베일용 조사료 파쇄유닛이 구비된 스크류컨베이어
CN206126873U (zh) 生物质碳鸡粪肥加工设备
CN214211704U (zh) 一种高温破碎蒸煮一体化病害动物处理装置
CN212120126U (zh) 一种畜牧饲料用混合搅拌装置
CN209995332U (zh) 一种猪饲料配合系统用配料混合提升机
KR20130005343A (ko) 자동 사료 찜장치 및 그 수행방법
KR20190000263U (ko) 가축사료의 멸균 및 발효시스템
KR102526820B1 (ko) 동물 사체 처리장치
KR102355030B1 (ko) 믹싱유닛이 구비된 동물 사체 처리장치
CN220371137U (zh) 一种畜牧兽医用废弃物处理设备
CN214211702U (zh) 一种防止病菌泄露的高温破碎蒸煮一体化动物处理装置
CN213001787U (zh) 一种畜禽尸体快速处理机
CN112243712B (zh) 一种具有杀菌消毒功能的畜牧用草料粉碎混合机
CN216322248U (zh) 一种畜牧用饲料粉碎机
CN220610696U (zh) 一种无害化动物尸体高温灭菌设备
CN212116642U (zh) 一种畜牧用喂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