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206B1 -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206B1
KR101801206B1 KR1020150010882A KR20150010882A KR101801206B1 KR 101801206 B1 KR101801206 B1 KR 101801206B1 KR 1020150010882 A KR1020150010882 A KR 1020150010882A KR 20150010882 A KR20150010882 A KR 20150010882A KR 101801206 B1 KR101801206 B1 KR 101801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sh
fishing net
air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716A (ko
Inventor
김창순
Original Assignee
김승평
김준범
김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평, 김준범, 김승국 filed Critical 김승평
Priority to KR1020150010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2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1/00Floating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2Illuminating devices for 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수중에서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어망으로 유도하여 집어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기포로 가두어 논 후 어망과 함께 서서히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포획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물이 유입됨으로 인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공기 주입시에는 부유되는 제1 승강부재; 상기 제1 승강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를 가두는 가포획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어망;을 포함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복잡하거나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면 편리하게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Floating fish trapping device}
본 발명은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중에서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어망으로 유도하여 집어(集魚)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기포로 가두어 논 후 어망과 함께 서서히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포획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망을 사용하여 어류를 포획하는 방법에는 크게 선박 등을 이용하는 어망과, 강·호수 또는 바다 등에서 어류를 포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우와 투망식 그물을 사용하여 어류를 포획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통발 형태의 어망을 사용하기도 한다.
통상 어류를 포획하고자 수중에 어망을 투망 후 건져 올릴 때 물에 젖은 어망은 그 무게가 무겁고, 그물코에 걸린 어류가 많을수록 어망의 무게는 가중될 수밖에 없으며, 선박이나 뭍에서 그물코에 걸린 어류를 분리하는 작업도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 통상적인 어망은 사용하고 난 후 바다에 버림으로 인해 바다가 오염되는 문제점도 가진다.
종래 어류 포획을 위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4094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바다, 강, 저수지 등에서 정치망 형태로 설치하여 횟집 등을 경영하는 자가 직접 자연산 활어를 포획할 수 있는 활어 포획용 어구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6063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물 구조를 촘촘하게 구성하고, 그물을 확실하게 오므려 내부에 포획된 포획물들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게 뿐만 아니라 여러 물고기들을 포획 가능하도록 한 어류 포획망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8494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동력으로 해수면 아래에 위치한 그물을 자동으로 승강시켜 다량의 어류를 포획하고 이렇게 포획된 어류를 그물의 출구를 통해 어선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어류 포획과 운반을 간편하게 하면서도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어류 포획을 위한 그물 승강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바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2320호(이하 '특허문헌 4'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부력을 이용하여 단순구조로 수중의 바닥층에서 새우 및 작은 어류들을 포획할 수 있음과 아울러, 휴대 보관이 간편하도록 한 부력식 어망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40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606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0849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2320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은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포획용 어구에 의하여 설치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설투자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2는 어류를 집어 한 상태에서 포획그물을 오므리는 과정에서 집어된 어류가 오므리기 전에 도망가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3은 시설투자비가 많이 소용되는 단점은 물론 수표면으로 승강시까지 그물에 집어된 어류가 그물이 오므려지기 전에 쉽게 도망하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4는 그물에 집어된 어류가 그물을 수표면으로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그물로부터 쉽게 벗어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수중에서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어망으로 유도하여 집어(集魚)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기포로 가두어 논 후 어망과 함께 서서히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포획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조류 등에 의해 다른 위치로 흘러가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집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류를 집어한 상태에서 수표면으로의 부유가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포획된 어류를 보다 원활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망 내로의 집어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획장치 자체가 부력을 가져 수표면으로의 부유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중의 어류를 집어한 후 부유시켜 포획하는 포획장치로서, 상기 포획장치는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물이 유입됨으로 인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공기 주입시에는 부유되는 제1 승강부재; 상기 제1 승강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를 가두는 가포획부재; 및 상기 제1 승강부재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어망;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승강부재는 일 측면에 수중으로 담수 시 물이 유입되게 형성되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제1 유입구의 일측 제1 승강부재에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는 제1 공기 주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가포획부재는 관 형태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에는 체크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승강부재에는 수중으로 신속하게 가라앉히고 부유시키기 위해 연결라인으로 인해 펌프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승강부재에는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조류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로프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추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승강부재에는 어망 내로 집어된 어류를 확인하기 위한 수중 카메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어망에는 집어를 위한 빛 발생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어망은 제1 승강부재에 연결되는 제1 어망, 상기 제1 어망의 하단에 상기 제1 승강부재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제2 유입구로 물이 유입됨으로 인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제2 공기 주입구의 공기 주입에 따라 부유되는 제2 승강부재, 및 상기 제2 승강부재의 하부에 상기 미끼망을 포함하는 제2 어망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어망의 밑면에는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력을 가지는 부력체를 더 포함한다.
수중의 어류를 집어한 후 부유시켜 포획하는 포획장치로서, 상기 포획장치는 수중의 바닥면에 구비된 고정부재와 로프로 연결되어 고정된 후 고정력 해제시 수표면으로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부력부재; 상기 부력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를 가두는 기포발생부재; 및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그물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중에서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어망으로 유도하여 집어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기포로 가두어 논 후 어망과 함께 서서히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하거나 번거로움 없이 간단하면 편리하게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사용 후 바다에 버리지않고 재활용이 용이하여 바다의 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수중으로 담수 후 부유시켜 어류를 포획함에 따라 이동 거리도 최소화하여 연료를 절감함에 따라 뛰어난 경제성도 가진다.
또,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조류 등에 의해 다른 위치로 흘러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유실될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집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획 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 어류를 집어한 상태에서 수표면으로의 부유가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포획된 어류를 보다 원활하게 채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포획된 어류를 더욱더 신속하게 채취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어망 내로의 집어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획 여부를 확연하게 확인하여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포획장치 자체가 부력을 가져 수표면으로의 부유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3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도 3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의 어류를 집어한 후 부유시켜 포획하는 포획장치(1)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수중에서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어망으로 유도하여 집어한 상태에서 1차적으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기포로 가두어 논 후 어망과 함께 서서히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획장치(1)는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물이 유입됨으로 인한 중량에 의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공기 주입시에는 상기 유입된 물을 배출과 함께 공기가 주입되어 부유되는 제1 승강부재(10)와; 상기 제1 승강부재(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가두는 가포획부재(20); 및 상기 제1 승강부재(10)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32)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어망(30);을 포함한다. 상기 미끼망은 내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에 따라 그 어류를 집어하기 좋은 미끼는 넣어놓도록 통상적인 구조로, 어망으로 결속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어망과 서로 대응되는 면에 벨크로테이프(일명: 찍찍이 테이프 또는 매직테이프) 등에 의해 부착시킬 수 있다.
제1 승강부재(10)는 일 측면에 수중으로 담수 시 물이 유입되게 통상의 관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유입구(12), 및 상기 제1 유입구(12)의 일측 제1 승강부재(10)에 선박 또는 지상에 구비되는 통상의 컴프레서(compressor) 등과 같은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호스 등과 같은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는 제1 공기 주입구(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승강부재는 원형, 또는 사각이나 오각 이상의 다각형 형태 등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플라스틱이나 철강재, 알루미늄, 고무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수중으로 투척하게 되면 제1 유입구를 통하여 제1 승강부재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중량을 가지게 됨에 따라 수중으로 서서히 가라앉게 된다.
이렇게,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부유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1 공기 주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물이 유입되었던 제1 유입구를 통하여 제1 승강부재에 채워져 있던 물은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제1 승강부재로부터 배출되면서 물이 채워져 있던 공간으로 공기가 충진된다.
그로 인해 제1 승강부재는 충진되는 공기에 의해 부력을 가짐으로써, 수중의 바닥면으로부터 부유 되면서 수표면상으로 부유되어 진다.
이로써, 하나의 제1 승강부재는 유입되는 물에 의해 수중으로 가라앉는 역할과 함께 수표면으로 부유시키는 역할을 겸한다.
가포획부재(20)는 공기가 공급되어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작은 직경을 갖는 관 형태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22)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22)에는 수중으로 담수 시 물이 유입되지 않은 공지된 체크밸브(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포획부재는 제1 승강부재에 로프나 와이어 등에 의해 결속되어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브래킷이나 클램프 등에 의해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상기 가포획부재는 어망 내의 미끼망에 의해 어류가 집어된 상태에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기포를 발생시키면서 통상의 에어 커튼과 같은 기포 막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 상기 어망 내에 집어된 어류가 그 어망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가두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전술한 제1 승강부재에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먼저 어망 내로 어류가 집어된 상태에서 가포획부재에 의해 집어된 어류가 어망을 벗어나지 않도록 기포에 의해 가둔 상태에서 제1 승강부재로 공기를 주입하는 순서로 이루어져, 높은 어획량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미끼망(32)에는 수중으로 가라앉은 포획장치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통상의 연결로프로 연결되는 부표(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승강부재(10)에는 수중으로 신속하게 가라앉히고 부유시키기 위해 통상의 호수 등과 같은 연결라인으로 인해 선박이나 지상에 구비되는 펌프(P)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펌프는 제1 승강부재의 내부로 제1 유입구를 통하여 물이 유입되면서 수중으로 가라앉는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펌프로 물을 공급하여 주입되도록 함에 따라 신속하게 가라앉도록 한다. 또, 부유시에도 공기주입에 의해서만 서서히 부유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펌프에 의해 제1 승강부재의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물을 신속하게 배출시킴에 따라 공기 공급에도 큰 부하 없이도 더욱더 신속하고 원활하게 공급함은 물론 부유시간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 승강부재는 연결라인으로 연결된 펌프에 의하여 수중으로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가라앉도록 함과 아울러 부유시에도 신속하게 부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류 포획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승강부재(10)에는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조류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통상의 닻과 같은 역할을 하도록 로프 등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추(1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추는 금속재질이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고정 추는 상기 제1 승강부재가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는 바닥면으로 걸려져 수중의 조류 등에 의해 휩쓸려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로 인해 최초 수중으로 투척된 위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고 항시 일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승강부재(10)에는 어망(30) 내로 집어된 어류를 확인하기 위한 통상의 수중 카메라(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중 카메라는 선박이나 물과 가까운 육지에 구비되는 모니터와 공지된 방식에 의해 연결된다.
그에 따라 상기 수중 카메라에 의해 어망으로 어류가 집어된 상태를 항시 모니터링 할 있는 조건을 가짐으로써, 어획 량을 더욱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수중 카메라는 가포획부재와 제1 승강부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역할도 겸한다. 즉, 수중 카메라에 의해 집어가 이루어지게 되면 가포획부재에 공기를 주입하여 기포로 집어된 어류를 가둔 후 제1 승강부재로 공기를 주입시킴에 따라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원하는 상태로의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중 카메라 대신에 통상의 어군 탐지기 등을 활용하여 집어 여부를 확인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어망(30)에는 집어를 위한 통상의 케미 라이트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빛을 발생시키는 램프 등을 공지된 방식에 의해 설치하는 빛 발생부재(36)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빛 발생부재는 어망 뿐만 아니라 제1 승강부재나 부표와 연결되는 로프 등에 설치할 수 있으나, 어류가 직접적으로 집어될 수 있는 어망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새벽이나 저녁 등 비교적 어두울 때나, 수중 내의 어두운 부분에서도 빛 발생부재에 의해 집어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높은 어획 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중으로 가라앉혀 집어가 이루어진 후 기포에 의해 집어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가둔 다음 수표면으로 부유시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효율적으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짐은 물론 어류의 포획량을 한층 증대킬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또한, 펌프에 의해 신속하게 물을 주입하고 배출시킴에 따라 수중으로의 신속하게 가라앉히고 부유시킴에 따라 어류의 어획 효율성도 증대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4는 3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수표면으로의 부유가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어망으로 포획된 어류의 채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어망(30)은 제1 승강부재(10)에 연결되는 제1 어망(30A)과, 상기 제1 어망(30A)의 하단에 상기 제1 승강부재(1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구(12A)로 인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는 제2 공기 주입구(14A)의 공기 주입에 따라 부유되는 제2 승강부재(10A), 및 상기 제2 승강부재(10A)의 하부에 상기 미끼망(32)을 포함하는 제2 어망(30B)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어망을 제1 어망과 제2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제2 어망으로 형성하는 것은 하나의 제1 승강부재에 의해 수표면으로 부유시키는 것에 비하여, 제1 승강부재와 함께 제2 승강부재에 의해 수표면으로 보다 신속하게 부유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표면으로 부유시키는 과정에서 제1 어망으로 포획된 어류를 다시 제2 어망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표면으로 부유시킨 상태에서 포획된 어류를 보다 편리하게 채취하기 위한 것이다.
즉, 수중에서 수표면으로 부유시키는 과정에서 제1 어망의 넓은 공간에 있던 어류는 상승에 따라 작은 크기의 제2 어망으로 모여져 포집 됨으로써, 포획된 어류를 인출시 제2 어망으로 포집된 어류만을 더욱더 손쉽게 채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때, 제1 어망과 제2 어망의 수중에서의 부유는 제1 승강부재가 먼저 상승된 후 제2 승강부재가 순차적으로 상승됨에 따라 제1 어망으로 포획된 어류는 자연스럽게 제2 어망으로 모여져 포집이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제2 어망으로 포집되어 포획된 어류를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더욱더 손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제2 어망으로 포집되어 포획된 어류를 더욱더 편리하게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어망(30B)의 밑면으로 상기한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력을 가지는 통상의 풍선이나 튜브 등과 같은 부력체(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력체는 제2 어망의 밑면에 로프나 와이어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에 따라 제2 어망의 밑면까지 수표면과 근접되게 부유시킴으로써, 제2 어망 내의 어류를 남김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채취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제1 승강부재(10)와 제2 승강부재(10A)에도 선박이나 육지에 구비되는 펌프(P)를 연결라인으로 연결시켜 물을 신속하고 공급하여 주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함에 따라 수중으로 신속하게 가라앉히고 부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기포에 의해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가둔 상태에서 별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포획장치 자체가 부유될 수 있도록 한다.
포획장치(1)는 수중의 바닥면에 구비된 고정부재(50)와 로프로 연결되어 고정된 후 고정력 해제시 수표면으로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부력부재(52)와; 상기 부력부재(5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를 가두는 기포발생부재(54); 및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53)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그물망(56);을 포함한다. 상기 로프를 선박이나 지상에 구비되는 통상의 윈치에 의해 감김과 풀림이 되풀이된다.
기포발생부재는 전술한 가포획부재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을 가짐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그물망 또한 전술한 어망과 동일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이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부재(50)는 수중의 바닥면에 미리 고정된 고정체(50a)와, 상기 고정체(50a)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부재와 일단이 결속 고정될 로프가 상기 윈치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고리(50b)로 구성된다.
부력부재는 통상의 스티로폼과 같은 부력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거나 내부가 중공되어 높은 부력을 가지는 중공된 형태이면 족하다.
그에 따라 상기 부력부재를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히고 할 때에는 선박이나 혹은 지상에 구비된 윈치 등과 연결된 로프를 감게 됨에 따라 상기 로프와 연결된 부력부재는 강재로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다음 일정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그물망으로 어류가 집어되면 기포발생부재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가 도망가지 않게 가둔 후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력을 해제함에 따라, 즉 윈치에 의해 로프를 서서히 풀게 됨에 따라 상기 부력부재가 수표면으로 부유되어 상승된다. 그로 인해 상기 그물망으로 포획된 어류의 채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포획된 어류의 채취가 이루어지면 다시 윈치를 구동시켜 전술한 바와 같이 부력부재를 수중으로 가라앉혀 어류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부력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이 아닌 부력부재의 자체 부력에 의해 수표면으로 부유시키는 방식으로 전술한 포획장치에 비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 : 포획장치
10 : 제1 승강부재 10A : 제2 승강부재
12 : 제1 유입구 12A : 제2 유입구
14 : 제1 공기 주입구 14A : 제2 공기주입구
16 : 고정 추 18 : 수중카메라
20 : 가포획부재 22 : 노즐
30 : 어망 32,53 : 미끼망
34 : 부표 36 : 빛 발생부재
40 : 부력체 50 : 고정부재
50a : 고정체 50b : 고리
52 : 부력부재 54 : 기포발생부재
56 : 그물망

Claims (10)

  1. 수중의 어류를 집어한 후 부유시켜 포획하는 포획장치로서,
    상기 포획장치는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물이 유입됨으로 인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공기 주입시에는 상기 유입된 물을 배출과 함께 공기가 주입되어 부유되는 제1 승강부재;
    상기 제1 승강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가 도망가지 않도록 가두는 가포획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어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승강부재는 일 측면에 수중으로 담수 시 물이 유입되게 형성되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제1 유입구의 일측 제1 승강부재에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연결라인으로 연결되는 제1 공기 주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포획부재는 관 형태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에는 수중으로 담수 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부재에는 수중으로 신속하게 가라앉히고 부유시키기 위해 연결라인으로 인해 펌프가 연결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부재에는 수중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조류에 의해 이동되지 않도록 로프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부재에는 어망 내로 집어된 어류를 확인하기 위한 수중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에는 집어를 위한 빛 발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8.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망은 제1 승강부재에 연결되는 제1 어망, 상기 제1 어망의 하단에 상기 제1 승강부재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내부가 중공되어 수중으로 투척시 제2 유입구로 물이 유입됨으로 인해 수중으로 가라앉고 제2 공기 주입구의 공기 주입에 따라 부유되는 제2 승강부재, 및 상기 제2 승강부재의 하부에 상기 미끼망을 포함하는 제2 어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망의 밑면에는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부력을 가지는 부력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10. 수중의 어류를 집어한 후 부유시켜 포획하는 포획장치로서,
    상기 포획장치는 수중의 바닥면에 구비된 고정부재와 로프로 연결되어 고정된 후 고정력 해제시 수표면으로 부유되도록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부력부재;
    상기 부력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주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집어된 어류를 가두는 기포발생부재; 및
    상기 부력부재의 하부에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미끼망이 바닥면에 구비되어 집어된 어류를 포획하는 그물망;을 포함하되, 상기 기포발생부재는 관 형태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되, 상기 노즐에는 수중으로 담수 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KR1020150010882A 2015-01-22 2015-01-22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KR101801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82A KR101801206B1 (ko) 2015-01-22 2015-01-22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882A KR101801206B1 (ko) 2015-01-22 2015-01-22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716A KR20160090716A (ko) 2016-08-01
KR101801206B1 true KR101801206B1 (ko) 2017-12-29

Family

ID=5670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882A KR101801206B1 (ko) 2015-01-22 2015-01-22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281B1 (ko) * 2019-09-11 2020-11-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식 물고기 이송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1063B (zh) * 2017-09-22 2020-08-25 浙江海洋大学 一种投饵诱捕起捕综合管理平台
CN108371151B (zh) * 2018-03-13 2024-01-02 新乡市绿色园林新能源有限公司 一种收鱼方便太阳能诱虫灯诱捕充气抬网
CN108575868A (zh) * 2018-06-25 2018-09-28 温州农联农业科技与项目设计研究所 一种水产养殖装置及用该装置的水产养殖方法
KR102624814B1 (ko) * 2021-07-22 2024-01-15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포획장치를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CN114097716B (zh) * 2021-11-22 2023-03-10 淮阴师范学院 一种黄鳝幼苗的收集箱
GB2620619A (en) * 2022-07-14 2024-01-17 Fishtek Marine Ltd A scallop trap and method of catching scallop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320Y1 (ko) 2001-07-23 2001-11-17 오호환 부력식 어망
KR100702598B1 (ko) * 2007-01-04 2007-04-02 주식회사 셀플렉스 연안용 어류 포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094B1 (ko) 2002-01-03 2004-03-22 정정호 활어 포획용 어구
KR100846063B1 (ko) 2007-07-27 2008-07-11 차광수 어류 포획망
KR20130108494A (ko) 2012-03-25 2013-10-04 김동희 어류 포획을 위한 그물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320Y1 (ko) 2001-07-23 2001-11-17 오호환 부력식 어망
KR100702598B1 (ko) * 2007-01-04 2007-04-02 주식회사 셀플렉스 연안용 어류 포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281B1 (ko) * 2019-09-11 2020-11-1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식 물고기 이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716A (ko) 201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206B1 (ko) 부유식 어류 포획장치
US20110303613A1 (en) Crouse oil spill response process
CA2821053C (en) Construction of a pumping system and uses thereof
RU2759135C2 (ru) Насос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CN202618060U (zh) 一种充气式防逃渔网
US4092797A (en) Fish trapping device
JP7313436B2 (ja) 海洋生物を養殖する船
US20050208849A1 (en) Floatation apparatus and method
CA2901880C (en) Removing oil from a body of water
KR100927474B1 (ko)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RU2765309C2 (ru) Рыбная ферма, выполненная из жесткого материала
US20220074158A1 (en) Buoyant containment and/or filtration
CN108371151B (zh) 一种收鱼方便太阳能诱虫灯诱捕充气抬网
CN109068616B (zh) 鲍鱼养殖设备和方法
CN109572947B (zh) 一种海漂垃圾收集船
CN112931347A (zh) 一种利用海上风电导管架基础的升降式深海网箱养殖系统
CN111109211A (zh) 一种渔具
CN211581268U (zh) 一种赶鱼装置
JP2004049053A (ja) 吸揚漁船及び探索集魚船
JP5884216B1 (ja) 水質改善装置
JP2018113954A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JP2004016118A (ja) 水中生物捕獲装置
JPH07274661A (ja) アオコ捕集装置
US20240164352A1 (en) Submersible fish farm
KR20130108494A (ko) 어류 포획을 위한 그물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