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867B1 -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867B1
KR101800867B1 KR1020160011471A KR20160011471A KR101800867B1 KR 101800867 B1 KR101800867 B1 KR 101800867B1 KR 1020160011471 A KR1020160011471 A KR 1020160011471A KR 20160011471 A KR20160011471 A KR 20160011471A KR 101800867 B1 KR101800867 B1 KR 10180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winding
cover
w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747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김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민 filed Critical 김영민
Priority to KR1020160011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86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2Removable lids or covers guided for removal by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vehicles
    • B65D2585/68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vehicles aircr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조립식 드론이 수납됨으로써, 드론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고, 의도치 않은 커버의 열림으로 인한 드론 부속의 분실 및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롤 커버를 권취하기 위하여 별도의 노력이 필요치 않고, 롤 커버의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 장치가 필요치 않음과 동시에, 보다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형태로 드론의 수납이 가능한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 케이스; 후면 케이스의 후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드론 수용부; 분해 또는 조립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분해시 상기 드론 수용부에 삽입 수납되는 조립식 드론; 상기 후면 케이스의 측면 후단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에 권취 가능하게 구비되며, 권출시 상기 슬릿을 따라 확장되어 상기 드론 수용부를 덮는 롤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Smartphone case for drone storage}
본 발명은,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케이스에 조립식 드론이 수납됨으로써, 드론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고, 의도치 않은 커버의 열림으로 인한 드론 부속의 분실 및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롤 커버를 권취하기 위하여 별도의 노력이 필요치 않고, 롤 커버의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 장치가 필요치 않음과 동시에, 보다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형태로 드론의 수납이 가능한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완구형 비행 물체인 드론을 조종하여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드론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화면을 터치하면 스마트폰의 앱에서 이를 보정하여 드론이 추락하지 않도록 보정 신호를 생성하여 발신함으로써 드론이 오래동안 비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조종이 간편하고 편하게 즐길 수 있어 어린 아이부터 중장년까지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드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드론을 별도로 소지하고 다니다 공터 등에서 드론을 꺼내 조종하여야 하므로 특히 남성의 경우 파우치, 백 등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드론의 소지를 위하여 별도의 백을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드론을 별도의 백에 보관하는 경우, 지하철, 버스 등에서 다른 사람에 의해 짓눌려 드론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드론을 단순 파지하여 이동하는 경우 분실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였다.
따라서, 드론을 간편히 휴대할 수 있고, 드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드론의 분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KR10-2013-0127278(공개번호) 2013.11.22.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에 조립식 드론이 수납됨으로써, 드론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는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도치 않은 커버의 열림으로 인한 드론 부속의 분실 및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 커버를 권취하기 위하여 별도의 노력이 필요치 않은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 커버의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 장치가 필요치 않은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형태로 드론의 수납이 가능한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 케이스; 후면 케이스의 후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드론 수용부; 분해 또는 조립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분해시 상기 드론 수용부에 삽입 수납되는 조립식 드론; 상기 후면 케이스의 측면 후단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에 권취 가능하게 구비되며, 권출시 상기 슬릿을 따라 확장되어 상기 드론 수용부를 덮는 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측면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롤 커버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권취 장치는,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안착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롤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내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외측 끝단이 상기 권취롤에 고정되는 태엽 스프링을 포함하는 권취부; 상기 권취롤의 외주연과 상기 롤 커버의 회전축 외주연을 아우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의 회전력을 상기 롤 커버 회전축에 전달하는 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는 오목한 홈 형상의 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핀 가이드에 수용되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일단에 고정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막대형의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권취롤은, 상기 핀 가이드와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롤의 정회전시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권취롤의 중심 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롤의 역회전시 상기 고정핀을 상기 권취롤의 외곽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2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권취롤의 역회전시 상기 제 2 기어에 의해 안내된 고정 돌기가 수용되어 걸릴 수 있도록 걸림 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롤 커버를 당겨 상기 롤 커버 회전축을 설정 간격 정회전시키면 상기 벨트에 의해 상기 권취롤이 설정 간격 정회전되고, 상기 권취롤의 정회전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걸림 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권취롤의 테두리 내주연에 안내되며, 상기 롤 커버를 놓으면 상기 태엽 스프링에 의해 상기 권취롤이 역회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드론은, 막대 형상의 동체; 상기 동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배터리가 구비되는 제어반; 상기 동체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주익; 상기 제어반 또는 상기 주익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모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로펠러; 상기 동체의 타단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동체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꼬리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주익은 두 개 이상의 판이 접철 가능한 형태로 상호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꼬리 날개는 수직 꼬리 날개가 수평 꼬리 날개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주익의 결합부 및 상기 수직 꼬리 날개의 결합부에는 상기 주익 및 상기 수직 꼬리 날개의 힌지 결합 부위를 회동시키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에 후면 케이스가 구비되고, 후면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식 드론이 수납됨으로써, 드론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릿을 따라 확장되는 롤 커버가 구비됨으로써, 의도치 않은 커버의 열림으로 인한 드론 부속의 분실 및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엽 스프링이 구비된 권취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롤 커버를 권취하기 위하여 별도의 노력이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권취 장치에 기어부가 구비됨으로써 롤 커버를 당겼다 놓는 동작 만으로도 롤 커버의 권취가 가능하며, 롤 커버의 인출 후 롤 커버를 놓기만 하여도 롤 커버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롤 커버의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 장치가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익과 꼬리 날개가 접철 가능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보다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형태로 수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조립식 드론의 주익 및 꼬리 날개의 사용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드론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롤 커버의 사용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권취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권취 장치의 절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의 권취 장치의 기어부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 케이스(100)와, 후면 케이스(100)의 후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드론 수용부(110)와, 분해 또는 조립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분해시 드론 수용부(110)에 삽입 수납되는 조립식 드론(200)과, 후면 케이스(100)의 측면 후단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102)과, 후면 케이스(100)의 내측에 권취 가능하게 구비되며, 권출시 슬릿(102)을 따라 확장되어 드론 수용부(110)를 덮는 롤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면 케이스(100)는, 스마트폰의 케이스 후면으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케이스의 후면 방향에 케이스가 뒤집힌 채로 부착된 형태로서, 그 내부는 중공형 또는 충진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 케이스(100)가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술할 드론 수용부(110)가 케이스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되 드론(200)의 각 부속이 수납되는 공간이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후면 케이스(100)가 충진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드론 수용부(110)가 충진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태로 구성되며, 후면 케이스(100)의 형태에 관계없이 드론 수용부(110)는 드론(200)의 각 부속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후면 케이스(100)의 측면 후단 내측으로는 길이 방향으로 슬릿(102)이 형성되어서 하술할 롤 커버(300)의 양 측면이 슬릿(102)에 안내되어 여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후면 케이스(100)의 측면 후단이라 함은, 스마트폰 케이스(10)와 먼쪽 방향의 단부를 뜻하며, 도 1 의 <b> 와 같이 후면 케이스(100)가 상부를 바라보도록 뒤집어 본 경우에는 측면 상단을 뜻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후면 케이스(100)의 내부가 충진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두 측면 내측으로 슬릿(102)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측면이 내부 충진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드론(200)의 동체(210), 주익(230), 꼬리날개, 프로펠러(251) 등과 같이 비교적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는 부속과 달리, PCB 제어보드 및 배터리를 구비해야하는 제어반(220), 모터(250), 그리고 권취 상태의 롤 커버(300) 및 롤 커버(300)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장치는 제작상의 한계로 인하여 슬림하게 제작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비교적 두꺼운 부속을 수용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케이스(10)의 일측면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더욱 연장 형성되는 확장 케이스(101)가 더 포함된다. 확장 케이스(101)는 도 2 와 같이 스마트폰 케이스(10)와 후면 케이스(100)의 측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더욱 연장되어 형성되며, 스마트폰 케이스(10)의 두께만큼 수용 부피를 늘릴 수 있어 두꺼운 부속의 수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롤 커버(300)는 확장 케이스(101)의 내측까지를 덮는 형태로 구성되며, 슬릿(102) 역시 롤 커버(300)를 안내할 수 있도록 확장 케이스(101)의 측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확장 케이스(101)는 후면으로부터 드론 수용부(110)가 함몰 형성되되, 그 내측, 즉, 도 1 의 <b>, 도 2 와 같이 후면 케이스(100)가 상부를 향하도록 뒤집은 형태에서는 확장 케이스(101)의 하단 부분에 인접한 내측으로는 중공부가 형성되어서 권취 상태의 롤 커버(300)와 롤 커버(300)를 권취하기 위한 권취 장치가 중공부에 실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보다 두꺼운 부속을 수용하기 위한 형태로서 확장 케이스(101)의 용어를 분리한 것일 뿐, 확장 케이스(101)는 후면 케이스(100)의 하위 개념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확장 케이스(101)가 후면 케이스(100)와 전혀 다른 별개의 구성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드론 수용부(110)는, 분리된 드론(200)의 각 부속을 수납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후면 케이스(100) 또는 확장 케이스(101)의 후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드론 수용부(110)는 수납될 드론(200)의 각 부속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각 부속의 갯수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드론(200)의 각 부속들이 안착된 후 고정 돌기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드론 수용부(110)에 수납되는 드론(200)의 부속으로는, 동체(210), 동체(210)와 일체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비되는 꼬리 날개(240), 주익(230), 제어반(220), 모터(250), 프로펠러(251), 예비 배터리 등이 있다.
드론(200)은, 각각의 부속이 조립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조립시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무선 비행 조종이 가능하고, 분해시 드론 수용부(110)에 각 부속이 삽입 수납된다. 이를 위하여 드론(200)은, 막대 형상의 동체(210)와, 동체(2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배터리 및 PCB 제어보드가 구비되는 제어반(220)과, 동체(210)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주익(230)과, 제어반(220) 또는 주익(23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250)와, 모터(25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로펠러(251)와, 동체(210)의 타단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동체(210)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꼬리 날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동체(21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제어반(220)이 결합되고 타단에 꼬리 날개(24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한 형태로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동체(210)의 중단에는 주익(230)이 결합된다. 동체(210)와 제어반(220), 동체(210)와 주익(230), 동체(210)와 꼬리 날개(240)의 결합은 돌기와 홈을 이용한 억지 끼움 형태일수도 있고, 랜선 커넥터와 같은 저전압 커넥터 등에서 주로 쓰이는 탄성 돌기와 홈을 이용한 결합 형태일수도 있으며, 완구 형태의 플라스틱 또는 목재 부속 상호간을 결합하기 위한 공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반(220)은, PCB 제어보드와, 제어보드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제어보드와 배터리를 수용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제어반(220)은 동체(210)의 일단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동체(210)와의 결합을 위하여 타단 일면에 홈이 형성된다.
제어반(220)은 스마트폰으로부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모터(250)의 회전수를 조절하거나 또는 주익(230) 및 꼬리 날개(240)의 양력 조절 기구(미도시)를 조절한다.
한편, 제어반(220)은 충전용 배터리가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충전 코드를 통해 충전될수도 있으나, 배터리가 교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배터리 소진시 여분의 배터리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반(220)에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구비될수도 있으며, 통상의 드론(200)에 구비되는 공지의 다양한 기능들이 탑재될 수 있다.
주익(230)은, 동체(210)와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며, 판형으로 형성되어 조립시 동체(210)의 측면에 삽입 고정된다. 이러한 주익(230)은 진행 방향 후단에 양력 조절 기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반(2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하로 회동되어 조종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주익(230)이 삽입되는 동체(210)의 홈 내부에는 주익(23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동체(210)에 삽입되는 주익(230)의 돌출부 끝단에는 동체(210)의 커넥터와 접촉되는 단자가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통해서 주익(230)에 모터(250)가 장착되는 경우 모터(250)의 구동을 위한 전원과 모터(250)의 구동력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익(230)은 두 개 이상의 판이 접철 가능한 형태로 상호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고, 힌지 결합부에는 두 판을 회동시켜 두 판이 일렬로 되도록 하는 리턴 스프링(201)이 구비된다. 즉, 도 3 <a> 와 같이 주익(230)은 힌지결합되는 두 판으로 이루어져 펼쳤을 때 주익(230)의 한 쪽 날개가 완성되고, 접었을 때 그 절반 가량의 면적이 되도록 하여 드론 수용부(110)에 수납될 때 수납 면적이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힌지 결합부에는 리턴 스프링(201)이 구비되어서, 주익(230)을 드론 수용부(110)로부터 탈거하면 리턴 스프링(201)에 의해 주익(230)의 두 판이 서로 밀려나며 회동되어 일자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주익(230)은 두 판이 회동될 때 두 판이 일자로 펼쳐진 이후에 더 큰 각도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판 중 어느 한 판에 수평 스토퍼(23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두 판이 일렬로 펼쳐진 이후에는 수평 스토퍼(231)가 다른쪽 판의 일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동 각도가 180도 이상이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모터(250)는, 제어반(220) 또는 주익(230)에 결합되어서 회전축에 프로펠러(251)가 결합될시 드론(200)의 비행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모터(250)는 주익(230)에 장착되는 경우 양쪽 주익(230)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모터(2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어반(2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력이 조절된다.
프로펠러(251)는, 모터(250)와 분리 또는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어서 조립시 모터(2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꼬리 날개(240)는, 수평 꼬리 날개(241)와 수직 꼬리 날개(242)의 두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 꼬리 날개(241)가 동체(210)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동체(210)와 분리 가능한 형태로서 동체(210)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꼬리 날개(240)는 수평 꼬리 날개(241)와 수직 꼬리 날개(242)가 접철 가능한 형태로 상호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고, 힌지 결합부에는 두 판을 회동시켜 두 판이 일렬로 되도록 하는 리턴 스프링(201)이 구비된다. 즉, 도 3 <b> 와 같이 꼬리 날개(240)는 힌지결합되는 수평 꼬리 날개(241)와 수직 꼬리 날개(242)로 이루어져 펼쳤을 때 꼬리 날개(240)의 한 쪽 날개가 완성되고, 접었을 때 수직 꼬리 날개(242)가 수평 꼬리 날개(241)에 밀착되도록 하여 드론 수용부(110)에 수납될 때 수납 높이가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힌지 결합부에는 리턴 스프링(201)이 구비되어서, 꼬리 날개(240)를 드론 수용부(110)로부터 탈거하면 리턴 스프링(201)에 의해 꼬리 날개(240)의 두 판이 서로 밀려나며 회동되어 수직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꼬리 날개(240)는 두 판이 회동될 때 두 판이 설정 각도, 통상 90도로 펼쳐진 이후에 더 큰 각도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판 중 어느 한 판에 수직 스토퍼(243)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두 판이 설정 각도, 예를 들어 수직이 되도록 펼쳐진 이후에는 수직 스토퍼(243)가 다른쪽 판의 일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회동 각도가 설정 각도 이상이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꼬리 날개(240)는 진행 방향 후단에 방향타, 승강타 등의 양력 조절 기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반(2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회동되어 조종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꼬리 날개(240)가 삽입되는 동체(210)의 홈 내부에는 꼬리 날개(24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가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동체(210)에 삽입되는 꼬리 날개(240)의 돌출부 끝단에는 동체(210)의 커넥터와 접촉되는 단자가 구비된다. 한편, 수평 꼬리 날개(241)와 수직 꼬리 날개(242)간에는 필름 커넥터 등의 전기적 연결 부재가 활용되어 수직 꼬리 날개(242)의 방향타 조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롤 커버(300)는, 후면 케이스(100)의 내측에 권취 가능하게 구비되며, 권출시 슬릿(102)을 따라 확장되어서 드론 수용부(110)를 덮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롤 커버(300)는 플렉시블한 얇은 판넬로 구성되거나 또는 여러 판넬이 상호 일 모서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출입문의 셔터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롤 커버(300)는 드론(200)을 드론 수용부(110)로부터 탈거할 때에는 권취하여 드론 수용부(11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드론(200)을 수납하거나 또는 드론(200)을 탈거한 후 드론 수용부(11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을 때 권출하여 드론 수용부(110)를 덮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롤 커버(300)는 단부에 롤 커버(300)의 권취 또는 권출시 롤 커버(300)를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가 더 구비되며, 후면 케이스(100)의 내측으로는 롤 커버(300)가 권취되는 롤 커버 회전축(310)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롤 커버 회전축(310)을 하술할 권취 장치가 회전시킴으로써 롤 커버(300)가 롤 커버 회전축(310)에 권취될 수 있다.
권취 장치(400)는, 중공부(411)가 형성된 하우징(410)과, 원형으로 형성되어 중공부(411)에 안착되는 권취롤(421)과, 권취롤(421)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 복원력을 유발할 수 있도록 내측 끝단이 하우징(410)에 고정되고 외측 끝단이 권취롤(421)에 고정되는 태엽 스프링(42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권취부(420) 및 권취롤(421)의 테두리 외주연과 롤 커버 회전축(310)의 외주연을 아우르도록 구성되어 권취부(4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권취부(420)의 회전력을 롤 커버 회전축(310)에 전달하는 벨트(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410)은, 내측에 권취부(4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부(411)가 형성되며, 권취부(42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우징(410)의 중공부(411)는 롤러 형상의 권취부(420)가 수용되어 회전 안내될 수 있도록 원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부 또는 하부 등 일측이 외측으로 더욱 확장된 구조 역시 가능하며, 권취부(420)가 회전시 유동되지 않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하우징(410)의 중공부(411) 중 권취부(420)가 안착되는 중심부에는 회전축(412)이 돌출 형성되어 권취부(420)의 권취롤(421) 일측면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회전축(412)의 일측은 절개 형성되어 권취부(420)의 태엽 스프링(424)의 내측 끝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중공부(411)의 일측면에는 고정 핀(422)이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고정 핀(422)을 수용하는 오목한 홈 형상의 핀 가이드(413)가 형성된다.
권취부(420)는 태엽 스프링(424)이 내장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벨트(4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하우징(410)의 중공부(411) 내측에 구비되며 외주연에 벨트(430)의 내주연이 접촉된다.
이를 위하여 권취부(42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410)의 중공부(411)에 안착되는 권취롤(421)과, 권취롤(421)의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 복원력을 유발할 수 있도록 내측 끝단이 하우징(410)의 회전축(412)에 고정되고, 외측 끝단이 권취롤(421)에 고정되는 태엽 스프링(424)과, 하우징(410)의 핀 가이드(413)에 수용되어 길이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되, 일측 단부에 권취롤(421)의 회전을 억제하는 고정 돌기(422a)가 돌출된 고정 핀(422) 및 하우징(410)의 핀 가이드(413)와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정회전시 고정 돌기(422a)를 내측으로 안내하고 역회전시 고정 돌기(422a)를 외측으로 안내하되, 외측으로 안내되는 고정 돌기(422a)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 홈이 형성된 기어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권취롤(421)은 원형의 롤 베이스(421a)와 롤 베이스(421a) 테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의 권취 가이드(421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는 홀이 형성되어서 하우징(410)의 회전축(412)에 관통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권취 가이드(421b)의 내주연에는 태엽 스프링(424)의 외측 끝단이 고정되어 권취롤(421)의 회전에 따라 태엽 스프링(424)이 회전 복원력을 축적하거나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권취 가이드(421b)의 외주연은 벨트(430)가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도록 양 측면이 레일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엽 스프링(424)은 롤 형태로 감겨진 탄성 스프링으로서, 권취롤(421)의 내부에 구비되어 그 내측 끝단은 하우징(410)의 회전축(412) 절개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외측 끝단은 권취롤(421) 내측의 고정홈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롤 커버(300)를 권출하여 롤 커버 회전축(31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롤 커버 회전축(310)에 걸린 벨트(430)가 회전하여 권취롤(421)이 정회전하면 회전 복원력을 축적하였다가 롤 커버(300)를 놓으면 회전 복원력을 방출하여 권취롤(421)을 역회전시킴으로써 롤 커버 회전축(310)이 롤 커버(300)를 권취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핀(422)은 하우징(410)의 핀 가이드(413)에 수용되어 길이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 단부에 권취롤(421)의 회전을 억제하는 고정 돌기(422a)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핀(422)은 권취롤(421)의 정회전시 권취롤(421)의 기어부(423)와의 면 마찰에 의해 하우징(410)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되며, 이를 위하여 하우징(410)의 핀 가이드(413)는 회전축(412)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핀(422)의 상부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고정 핀(422)에 돌출된 고정 돌기(422a)는 권취롤(421)의 권취 가이드(421b) 내주연으로부터 이격되게 되는데, 이때 권취롤(421)에 형성된 기어부(423)에 의해 권취롤(421) 중심 방향으로 안내되게 된다.
기어부(423)는 롤 베이스(421a)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권취롤(421)의 정회전시 고정 돌기(422a)를 권취롤(421)의 중심 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 1 기어(423a)와, 제 1 기어(423a)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권취롤(421)의 역회전시 고정 핀(422)을 권취롤(421)의 외곽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2 기어(42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기어(423a)는 삼각 형상의 평면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며,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를 향하여 만곡된 형상을 띤다. 이러한 제 1 기어(423a)는 일면이 권취 가이드(421b)의 내주연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일면은 권취 가이드(421b)와 대향하는 일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져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1 기어(423a)는 또다른 일면에 고정 돌기(422a)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 홈이 형성되며, 즉, 제 1 기어(423a)는 권취 가이드(421b)와 대향되는 면,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를 향하는 면, 걸림 홈이 형성되는 면으로 구성되는 삼각 형상을 띠게 되는 것이다.
제 2 기어(423b)는 삼각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의 평면을 갖도록 제 1 기어(423a)들의 사이에 돌출 형성되며,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를 향하여 만곡된 형상을 띤다. 이러한 제 2 기어(423b)는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 방향의 일면과, 권취 가이드(421b) 방향의 다른 일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 1 기어(423a)의 권취 가이드(421b)와 대향되는 면과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를 향하는 면이 만나 이루는 첨부와 제 2 기어(423b)의 권취 가이드(421b)와 대향되는 면과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를 향하는 면이 만나 이루는 첨부는 서로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기어(423b)의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 방향의 일면은 제 1 기어(423a)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면과 일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권취 가이드(421b) 방향의 일면은 다른 제 1 기어(423a)의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를 향하는 면과 일부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 1 기어(423a)와 제 2 기어(423b)는, 후속되는 기어에 의해 일부가 감싸여지는 형태로 연속되게 배치되며, 이 포개진 부분이 상호 이격된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기어(423a)와 제 2 기어(423b)의 각 면에 대한 용어 중, 권취 가이드(421b)와 대향하고 있는 면을 제 1 면,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와 대향하는 면을 제 2 면, 제 1 면과 제 2 면 사이의 면을 제 3 면으로 칭할 때, 권취롤(421)의 정회전시, 즉, 롤 커버(300)의 인출시 고정 핀(422)은 도 8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부(423)와의 마찰에 의해 이동되어 고정 돌기(422a)가 권취 가이드(421b)의 내주연으로부터 이격되어 제 1 기어(423a)의 제 2 면에 안착되고, 이때 권취롤(421)이 더욱 회전함에 따라 제 1 기어(423a)의 제 2 면에 의해 안내되어 롤 베이스(421a)의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로 롤 커버(300)를 계속 인출하여 권취롤(421)을 더욱 회전 시켜도 고정 돌기(422a)는 제 1 기어(423a)의 제 2 면, 제 2 기어(423b)의 제 2 면을 따라 계속적으로 안내되므로 별다른 저항 없이 권취롤(421)의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롤 커버(300)의 인출이 완료되면 롤 커버(300)를 살짝 놓아 권취부(420)를 역회전시키면 고정 핀(422)은 도 8 의 <b>와 같이 중력 또는 권취부(420)와의 마찰에 의해 권취 가이드(421b)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고정 돌기(422a)는 제 2 기어(423b)의 제 2 면에 의해 안내되어 제 2 기어(423b)의 제 2 면과 대향하고 있는 제 1 기어(423a)의 제 3 면에 도달된다. 그리고 권취부(420)를 좀 더 역회전시키면 고정 돌기(422a)는 제 1 기어(423a)의 제 3 면에 형성된 걸림 홈에 걸려 고정되고, 권취부(420) 역시 고정 돌기(422a)에 의해 더이상 회전되지 못한 채 고정되게 된다. 이때, 권취부(420)가 고정 돌기(422a)에 의해 확실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 핀(422)의 형상을 권취부(420)의 역회전 방향으로 꺾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핀 가이드(413)의 하단부는 고정 핀(422)의 꺾인 부분이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작업이 완료된 후 도 8 의 <c>와 같이 롤 커버(300)를 살짝 당겨 권취부(420)를 정회전시키면 고정 돌기(422a)가 제 1 기어(423a)의 걸림 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중력에 의해 하강하거나 또는 제 2 기어(423b)의 제 3 면에 의해 안내되어 하강되며, 권취 가이드(421b)의 내주연에 밀착되게 된다. 이후 롤 커버(300)를 놓으면 태엽 스프링(424)의 회전 복원력에 의해 권취부(420)가 역회전하며 롤 커버(300)를 권취하게 된다. 이 경우 고정 핀(422)과 기어부(423)의 회전 마찰력에 의해 고정 돌기(422a)는 권취 가이드(421b)의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회전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 1 기어(423a) 및 제 2 기어(423b)는 그 수를 보다 많게 함으로써 고정 돌기(422a)가 안내될 수 있는 면을 세분화할 수 있으며, 제 1 기어(423a) 및 제 2 기어(423b)의 수가 많을수록 작은 동작으로도 고정 돌기(422a)를 걸림 홈에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롤 커버(300)가 드론 수용부(110)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롤 커버(300)를 소량 인출하여 권취부를 정회전 시킨 후 롤 커버(300)를 놓으면 권취부가 자동으로 역회전하며 롤 커버 회전축(310)을 회전시켜 롤 커버(300)가 롤 커버 회전축(310)에 권취된다. 롤 커버(300)가 권취됨에 따라 드론 수용부(110)가 외부로 노출되면 드론 수용부(110)에 수용된 드론(200)의 각 부속을 탈거한다.
드론(200)의 각 부속을 결합하여 드론(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스마트폰의 앱을 실행하여 드론(200)을 조종한다. 이후 드론(200)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시 드론(200)을 분해하여 드론(200)의 각 부속을 드론 수용부(110)에 수납시킨다.
드론(200)의 수납이 완료되면 롤 커버(300)를 당겨 롤 커버(300)가 드론 수용부(110)를 덮을 수 있도록 하고, 롤 커버(300)가 드론 수용부(110)를 다 덮은 후에 롤 커버(300)를 놓으면 권취 장치가 소량 정회전한 후 권취부의 기어부에 의해 회전이 정지되며, 롤 커버(300)가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드론 수용부(110)를 덮은 채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스마트폰 케이스(10)의 후면에 후면 케이스(100)가 구비되고, 후면 케이스(100)의 내부에 조립식 드론(200)이 수납됨으로써, 드론(200)을 별도로 소지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릿(102)을 따라 확장되는 롤 커버(300)가 구비됨으로써, 의도치 않은 커버의 열림으로 인한 드론(200) 부속의 분실 및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엽 스프링이 구비된 권취 장치가 구비됨으로써 롤 커버(300)를 권취하기 위하여 별도의 노력이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권취 장치에 기어부가 구비됨으로써 롤 커버(300)를 당겼다 놓는 동작 만으로도 롤 커버(300)의 권취가 가능하며, 롤 커버(300)의 인출 후 롤 커버(300)를 놓기만 하여도 롤 커버(300)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롤 커버(300)의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 장치가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익(230)과 꼬리 날개(240)가 접철 가능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보다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형태로 수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10 : 스마트폰 케이스 100 : 후면 케이스
110 : 드론 수용부 200 : 드론
300 : 롤 커버 400 : 권취 장치

Claims (5)

  1. 스마트폰 케이스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면 케이스;
    후면 케이스의 후면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드론 수용부;
    분해 또는 조립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서 분해시 상기 드론 수용부에 삽입 수납되는 조립식 드론;
    상기 후면 케이스의 측면 후단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에 권취 가능하게 구비되며, 권출시 상기 슬릿을 따라 확장되어 상기 드론 수용부를 덮는 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부터 측면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롤 커버를 권취하는 권취 장치;
    를 포함하는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장치는,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안착되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롤에 회전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내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외측 끝단이 상기 권취롤에 고정되는 태엽 스프링을 포함하는 권취부;
    상기 권취롤의 외주연과 상기 롤 커버의 회전축 외주연을 아우르도록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의 회전력을 상기 롤 커버 회전축에 전달하는 벨트;
    를 포함하는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는 오목한 홈 형상의 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는 상기 핀 가이드에 수용되어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일단에 고정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막대형의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권취롤은, 상기 핀 가이드와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롤의 정회전시 상기 고정 돌기를 상기 권취롤의 중심 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기어들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권취롤의 역회전시 상기 고정핀을 상기 권취롤의 외곽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 2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권취롤의 역회전시 상기 제 2 기어에 의해 안내된 고정 돌기가 수용되어 걸릴 수 있도록 걸림 홈이 형성되어서,
    상기 롤 커버를 당겨 상기 롤 커버 회전축을 설정 간격 정회전시키면 상기 벨트에 의해 상기 권취롤이 설정 간격 정회전되고, 상기 권취롤의 정회전시 상기 고정 돌기가 상기 걸림 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권취롤의 테두리 내주연에 안내되며, 상기 롤 커버를 놓으면 상기 태엽 스프링에 의해 상기 권취롤이 역회전되는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막대 형상의 동체;
    상기 동체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되 내측에 배터리가 구비되는 제어반;
    상기 동체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주익;
    상기 제어반 또는 상기 주익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모터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로펠러;
    상기 동체의 타단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동체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꼬리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주익은 두 개 이상의 판이 접철 가능한 형태로 상호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꼬리 날개는 수직 꼬리 날개가 수평 꼬리 날개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주익의 결합부 및 상기 수직 꼬리 날개의 결합부에는 상기 주익 및 상기 수직 꼬리 날개의 힌지 결합 부위를 회동시키는 리턴 스프링;이 구비되는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를 포함하는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20160011471A 2016-01-29 2016-01-29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KR10180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471A KR101800867B1 (ko) 2016-01-29 2016-01-29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471A KR101800867B1 (ko) 2016-01-29 2016-01-29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747A KR20170090747A (ko) 2017-08-08
KR101800867B1 true KR101800867B1 (ko) 2017-11-24

Family

ID=5965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471A KR101800867B1 (ko) 2016-01-29 2016-01-29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140B1 (ko) * 2018-01-11 2018-06-1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접이식 드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12B1 (ko) 2013-08-26 2014-01-17 김재승 자동 챔질 기능이 구비된 수중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12B1 (ko) 2013-08-26 2014-01-17 김재승 자동 챔질 기능이 구비된 수중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747A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1467B1 (en) Support and selfie stick with support
US10011354B2 (en) Self-enclosed air vehicle
EP2691300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kit
CN106764305B (zh) 一种可折叠三轴稳定云台
KR102110911B1 (ko)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무인항공기
KR101316303B1 (ko) 차량의 오버헤드 콘솔
CN102295197A (zh) 带盒及带印刷装置
CN108521776A (zh) 保护罩及无人机
KR101800867B1 (ko) 조립식 드론 수용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케이스
US20190028133A1 (en) Cover for smartphones or tablet computers
US20220146042A1 (en) Handheld gimbal
CN111699339B (zh) 手持云台
KR102314218B1 (ko) 정찰용 접이식 드론
KR101874080B1 (ko) 캠코더 손잡이로 전환 가능한 쿼드콥터
CN107571986A (zh) 可折叠螺旋桨
CN209744010U (zh) 手持云台
CN207466954U (zh) 无人飞行器的机臂组件及无人飞行器
CN209201300U (zh) 无线耳机充电收纳盒
CN212829030U (zh) 一种无人机
KR20130071598A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휴대폰케이스
WO2022041882A1 (zh) 一种无人机
CN207773442U (zh) 脚架及无人飞行器
CN219319195U (zh) 一种烟花
CN106915435B (zh) 一种无人机
CN213414199U (zh) 一种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