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690B1 -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에 관련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에 관련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690B1
KR101800690B1 KR1020127034157A KR20127034157A KR101800690B1 KR 101800690 B1 KR101800690 B1 KR 101800690B1 KR 1020127034157 A KR1020127034157 A KR 1020127034157A KR 20127034157 A KR20127034157 A KR 20127034157A KR 101800690 B1 KR101800690 B1 KR 101800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unit
energy storage
effective
interla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072A (ko
Inventor
공인 첸
로버트 에드워드 드루브카
Original Assignee
배리언 메디컬 시스템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리언 메디컬 시스템즈, 인크. filed Critical 배리언 메디컬 시스템즈,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12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 H03K3/54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an energy-accumulating element discharged through the load by a switching device controlled by an external signal and not incorporating positive feedback the switching device being a vacuum tub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64Generators producing trains of pulses, i.e. finite sequences of puls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78Generating a single train of pulses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e.g. a predetermined numb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2Amplitude modulation, i.e. PAM

Landscapes

  • Particle Accelerato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tion Of Surge Voltage And Current (AREA)
  • Lasers (AREA)

Abstract

이 각종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유닛을 갖는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하여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도록 서브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이것은 에너지 저장 유닛의 (1) 에너지 보충; 및 (2) 비유효 에너지 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유효 전기 펄스들을 형성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회수되어 출력 부하에 제공되는 에너지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일련의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획득한다.

Description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에 관련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INTERLACED AMPLITUDE PULSING USING A HARD-TUBE TYPE PULSE GENERATOR}
관련 출원(들)
본 출원은 연속 출원(continuation application)이고, 그 전체가 본 출원에서 참고 문헌으로 통합되어 있는 2010년 6월 8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2/795,894호의 이득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hard-tube type pulse generator)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interlaced amplitude pulsing)에 관한 것이다.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들은 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발생기들은 다량의 전기 에너지가 하나 이상의 에너지 저장 유닛들로부터 신속히 회수되고 다른 형태의 에너지를 펄스들의 형태로 발생시키기 위해 이 에너지를 소비하는 출력 부하에 적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위치들을 이용한다. (본래, 이 스위치들은 진공 튜브(vaccum tube)들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라는 명칭이 나왔다. 이러한 유형의 최신 발생기들은 전형적으로 이 스위치들에 대한 진공 튜브들 대신에 고체 상태 소자들을 이용한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본래의 진공 튜브 기반 발생기들뿐만 아니라 고체 상태 소자 기반 발생기들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래의 명칭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들"을 인식한다. 본 설명은 이 표현을 이용할 때,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의 이러한 공통 정의를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대부분의 그러한 발생기들은 대략 직사각형 출력 파형을 획득하기 위해, 스위칭의 경우마다 에너지 저장 유닛의 저장된 에너지 비축의 적은 부분만이 소모되도록 설계된다. (펄스 발생기들에 대해 더 많이 배우는 것에 관심있는 독자는 Glasoe 및 Lebacqz에 의해 편집되고,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Radiation Laboratory Series"(McGraw Hill Book Company, Inc.에 의해 1948년에 발행됨)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써, the seminal work "Pulse Generators"로 시작하는 것이 좋으며, 그 전체 내용은 본 출원에서 이 참고 문헌으로 통합되어 있다.)
또한, 인터레이스 진폭 펄스들을 초래하는 펄스 발생기들을 이용하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인터레이스 진폭 펄스들(interlaced ampllitude pulses)"은 일련의 펄스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펄스들 중 적어도 2개는 의도적으로 서로 상이한 진폭들을 갖는다. 또한, 그러한 펄스들은 예를 들면, 펄스에서 펄스까지 또한 상이한 에너지를 갖는 일련의 방사 빔(radiation beam)들의 생성을 촉진하도록 서브(serve)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경우들에서, 종래 기술은 그러한 인터레이스 진폭 펄스들을 생성하기 위해 라인형(line-type) 펄스 발생기들을 이용한다. 많은 적용 목적들에 유용할지라도, 그러한 접근법은 반드시 전체적으로 만족스러운 해결법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energy-storing capacitor)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유닛을 갖는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하여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도록 서브하고자 한다.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유닛을 갖는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하여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도록 서브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이것은 에너지 저장 유닛의 (1) 에너지 보충; 및 (2) 비유효 에너지 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유효 전기 펄스들을 형성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회수되어 출력 부하에 제공되는 에너지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함으로써, 일련의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획득한다.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의 에너지 보충을 제어하고 및/또는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의 에너지의 비유효 에너지 회수를 제어함으로써, 일련의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제공하는 접근법을 제공한다.
특히 도면들과 관련하여 검토될 때, 상기 요구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는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에 관련된 방법 및 장치의 제공을 통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순서도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블록도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타이밍도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블록도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타이밍도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블록도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된 타이밍도를 포함한다.
도면들 내의 요소들은 단순화 및 명확화를 위해 예시되며, 반드시 축척으로 도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들 내의 요소들의 일부의 크기 및/또는 상대적인 위치 결정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예들의 이해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다른 요소들에 대해 강조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가능한 실시예에 유용하거나 필요한, 공통이지만 잘 이해되는 요소들은 본 발명의 이 각종 실시예들의 덜 방해된 시야를 도모하게 하기 위해 종종 도시되지 않는다. 어떤 작업들 및/또는 단계들은 특정 발생 순서로 설명 또는 도시될 수 있는데, 당업자들은 시퀀스(sequence)에 대한 그러한 특이성이 실제로 요구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이용되는 용어들 및 표현들은 상이한 특정 의미들이 본 출원에서 다르게 설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당업자들에 의해 그러한 용어들 및 표현들에 부합되는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적 의미를 갖는다.
이 각종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energy-storing capacitor)를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유닛을 갖는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하여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도록 서브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이것은 에너지 저장 유닛의 (1) 에너지 보충; 및 (2) 비유효 에너지 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유효 전기 펄스들을 형성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회수되어 출력 부하에 제공되는 에너지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여, 일련의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획득한다.
이 교시들은 예를 들어, 일련의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일부 에너지를 회수한 후에 에너지 저장 유닛을 의도적으로 완전히 재충전하지 않음으로써, 상술한 에너지 보충의 제어를 제공한다. 하나의 접근법에 의해, 이것은 일련의 그러한 유효 에너지 회수의 경우들 각각 후에 에너지 저장 유닛을 완전히 재충전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교시들은 예를 들어,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주어진 하나를 생성할 때 이용될 특정한 에너지 유효성을 획득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유닛의 상술한 비유효 에너지 회수의 제어를 제공한다. 하나의 접근법에 의해, 이것은 그러한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기 위해(예를 들어,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를 생성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의사 부하(dummy load)들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부하는 예를 들어,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의 출력 부하와 전기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의 다른 예로서, 이 교시들은 어떤 원하는 시스템 생성물(의도된 방사 빔과 같은)도 생성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전기 펄스들을 펄스 발생기의 출력 부하에 전달하는 동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 입자 가속기(particle accelerator) 기반 방사 소스(radiation source)의 다른 부분을 디스에이블(disable)함으로써 그러한 비유효 에너지 회수의 제어를 수용할 것이다. 이 점에 있어서의 비제한적 일례로서, 이 디스에이블 시스템 소자는 전형적으로 그러한 입자 가속기의 일부를 포함하는 바와 같이, 입자 소스(particle source)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의 또 다른 예로서, 이 교시들은 회수된 에너지의 진폭을 출력 부하와 하나 이상의 의사 부하들 사이에 선택적으로 분배함으로써 비유효 에너지 회수의 제어를 수용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이것은 에너지 저장 유닛에서 이용가능한 전압의 베어부(bear part)에 의사 부하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어, 출력 부하는 이 생성 목적을 지원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및 원하는 진폭을 수용한다.
그러한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는 인터레이스 다중 에너지 방사 소스(interlaced multi-energy radiation source)의 일부를 용이하게 포함하고 방사 소스의 동작 요건들을 효과적으로 서브할 수 있다. 이 교시들은 이 점에 있어서 실제로 유연성이 높고, 상당한 범위의 구성들을 수용할 것이다. 또한, 이 교시들은 확장성이 높고, 광범위한 적용 설정들에 이용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이점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철저히 재검토하고 연구하면 더 분명해질 수 있다. 이제 도면들, 및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이들 교시들과 양립될 수 있는 예시적 프로세스(100)가 이제 제시될 것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 프로세스(100)는 이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하나의 에너지 저장 유닛만을 포함하는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예시를 위해서, 그러나 이 점에 있어서 임의의 제한들을 의도하지 않고, 본 설명은 이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가 인터레이스 다중 에너지 방사 소스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가정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그리고 도 2를 잠시 참조하면, 그러한 발생기(200)는 출력 부하(202)에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 커패시터들(201)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 적용 설정에서, 이 출력 부하(202)는 다른 형태들의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커패시터(들)(201)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변환 소자(마이크로웨이브 마그네트론(microwave magnetron) 또는 클라이스트론(klystron) 또는 변압기의 1차 권선과 같은, 그러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음)를 포함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많은 적용 설정들에서, 이 출력 부하(202)는 변압기의 1차 권선을 부분적으로 포함할 것이다. (당업자들은 일부의 경우들에서, 각각의 1차 권선이 그 자체의 에너지 저장 유닛 및 스위치들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변압기가 복수의 1차 권선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출력 부하 스위치(203)(대응하는 제어 신호(204)에 응답함)는 전형적으로 설명된 에너지 제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출력 부하(202)를 저장 커패시터(들)(201)에 결합하도록 서브한다.
물론, 저장 커패시터(들)(201)를 출력 부하(202)에 연결하는 것은 커패시터(들)(201)의 저장된 에너지의 일부를 회수할 것이다. 전형적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에서, 이 회수는 전부보다 적다. 많은 경우들에서, 실제로 발생기는 각각의 출력 펄스에 대해 저장된 에너지의 소량만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일부 발생기들은 각각의 출력 펄스에 대해 커패시터의 완전히 충전된 에너지 비축의 약 20 퍼센트에서 약 10 퍼센트까지만을 회수한다. 또한, 전형적인 발생기는 커패시터(들)(201)를 재충전하기 위해 전원(205)(및 전원(205)을 커패시터의 방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아이솔레이터(206))을 포함한다.
그들의 이용 방식을 포함하는, 앞서 언급된 구성요소들은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상술은 설명에 특히 적절한 경우를 제외하고, 이 점에 있어서 여기에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단계(101)에서 이 프로세스(100)는 유효 전기 펄스들을 형성하기 위해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의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회수되어, 발생기의 출력 부하에 제공되는 에너지의 양을 제어하는 것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유효(productive)" 전기 펄스는 RF 입자 가속기 기반 방사 소스를 구동함으로써 의도된 방사 빔을 생성하는 것과 같은, 유효 이용을 달성하는 펄스인 것이 이해될 것이다. 차례로, "의도된 방사(intended radiation)"는 정격 빔 에너지(rated beam energy) 및 출력에서의 x선 타겟에서 생성되는 x선 빔과 같은, 방사를 지칭한다. 따라서, 그러한 방사의 생성이 선험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공지되는 경우에도, 일부 플랫폼(platform)들에 의해 생성되는 부수적 방사는 "의도된 방사"를 단독으로 나타내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 선형 가속기 x선 기계(Linac X-ray machine)들은 마그네트론/클라이스트론에서 및 건(gun)에서 및 가속 구조의 본체를 따라 소위 소프트(soft) x선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 소프트 x선들은 x선 타겟에서 생성되지 않고 빔 에너지의 일부 및 기계의 출력 정격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하나의 접근법에 의해, 이 제어는 에너지 저장 유닛에 대한 에너지 보충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접근법에 의해, 상술한 내용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이 제어는 에너지 저장 유닛의 비유효 에너지 회수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비유효 에너지 회수(non-productive energy withdrawal)"는 그렇게 회수된 에너지의 양에 비례하는, 의도된 최종 생성을 초래하지 않는 에너지의 회수를 지칭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RF 입자 가속기 기반 방사 소스의 특정한 예시적인 예에서, "비유효 에너지 회수"는 의도된 방사 빔 출력을 야기하지 않는다. 하나의 접근법에 의해, "비유효 에너지 회수"는 에너지의 적어도 실질적인 부분(적어도 60%, 75% 90%, 또는 심지어 100%와 같은)을 출력 부하(변압기의 1차 권선 또는 마그네트론 또는 클라이스트론) 대신에 의사 부하에 전달함으로써 달성된다. 다른 접근법에 의해, "비유효 에너지 회수"는 에너지의 적어도 실질적인 부분을 출력 부하에 전달함으로써 달성되지만, RF 입자 가속기의 다른 부분(입자 소스와 같은)이 디스에이블되어 어떤 대응하는 의도된 방사 빔 출력이 생성되지 않을 때에도 달성된다.)
이 기능적 구성요소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제어함으로써, 이 프로세스(100)는 차례로, 일련의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획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펄스들은 선택된 및 의도된 진폭들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교시들은 인터레이스 다중 에너지 방사 소스와 함께 용이하게 및 유익하게 이용된다.
에너지 보충의 제어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 교시들은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의 에너지 저장 유닛의 에너지 보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제공함으로써 일련의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의 진폭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200)는 충전 제어 회로(2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접근법에 의해, 이 충전 제어 회로(207)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어 기능을 자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접근법에 의해, 이 충전 제어 회로(207)는 예를 들어, 제어 신호(208)에 응답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추가적인 충전 제어 회로(도시되지 않음)가 그 제어 신호(208)를 소싱(sourcing)하는 경우에).
그렇게 구성되면, 저장 커패시터(201)는 각각의 방전의 경우에 이어 반드시 그리고 자동으로 재충전되는 것은 아니다. 이 점에 있어서의 일례로서, 이 충전 제어 회로(207)는 일련의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후자로부터 일부 에너지를 회수한 후에 의도적으로 저장 커패시터(201)를 완전히 재충전하지 않도록 서브할 수 있다. 하나의 접근법에 의해, 이것은 저장 커패시터(들)(201)를 이하의 모든 하나 이상의 그러한 회수들에서 재충전하지 않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또한, 이 교시들이 필요에 따라, 주어진 회수에 이어 저장 커패시터들(201) 중 하나 이상을 단지 부분적으로 재충전하는 것을 수용할지라도).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특정한 예시적인 예가 이 점에 있어서 제공될 것이다. 이 예는 예시적인 정전 용량(capacity)으로 서브하고, 이 점에 있어서 임의의 특정한 제한들을 제안하도록 의도되지 않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2개의 현상(301 및 302)을 공유된 타임라인(timeline)으로 도시한다. 제 1 현상(301)은 상술한 저장 커패시터(들)의 충전을 나타낸다. 차례로, 제 2 현상(302)은 대응하는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에 의해 제공되는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도시한다.
이 타임라인이 시작됨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들)는 충전되며(303), 완전히 충전된다(304). 주어진 시간(305)에서, 펄스 발생기는 에너지가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 회수되어(306) 출력 부하에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응하는 제 1 진폭을 갖는 대응하는 출력 제 1 펄스(307)를 생성한다. 이 교시들에 따라, 그리고 이 점에 있어서 통상의 실시와 반대로, 저장 커패시터(들)는 이 에너지 회수(306)에 이어 의도적으로 재충전되지 않는다(308).
다음 주어진 시간(309)에서, 펄스 발생기는 에너지가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 회수되어(310) 출력 부하에 제공되는 것을 다시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응하는 제 2 출력 펄스(311)를 생성한다. 저장 커패시터(들)가 이전 방전의 경우에 비해서 다소 감소되므로, 이 제 2 출력 펄스(311)는 이전 출력 펄스(307)보다 작은 진폭을 갖는다.
이 예에서, 그리고 다시 이 교시들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들)는 이 에너지 회수(310)에 이어 다시 의도적으로 재충전되지 않는다(312).
다음 주어진 시간(313)에서, 펄스 발생기는 에너지가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 회수되어(314) 출력 부하에 제공되는 것을 다시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응하는 제 3 출력 펄스(315)를 생성한다. 저장 커패시터(들)가 이전 방전의 경우에 비해 훨씬 더 감소되므로, 이 제 3 출력 펄스(315)는 이전 출력 펄스(311)보다 작은 진폭을 갖는다.
이 예에서, 펄스 발생기는 이제 저장 커패시터(들)를 완전히 충전되는 포인트(317)까지 충전한다(316). 따라서, 저장 커패시터(들)가 방전되는 다음 시간(318)에서, 대응하는 출력 펄스(319)는 상술한 제 1 펄스(307)와 동일한 진폭을 다시 갖는다. 그 다음, 상술한 내용은 유사한 일련의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계속해서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대로 반복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내용은 다수의 방식들로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제공하는 대신에, 이 교시들은 요구되는 대로 단지 2개의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또는 4개 이상의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초래하기 위해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펄스 발생기가 2개 이상의 에너지 저장 유닛들 및 대응하는 스위치들(변압기의 1차 권선에 각각 연결되는)을 포함할 때, 이 교시들은 하나 이상의 에너지 저장 유닛들을 의도적으로 충전하지 않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에너지 저장 유닛들이 충전될 수 있게 하는 것을 수용할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예로서, 이 교시들은 원하는 진폭을 갖는 대응하는 출력 전기 펄스를 획득하기 위해 일부 회수의 경우들 후에 저장 커패시터(들)가 부분적으로(그러나 완전하지 않게) 재충전될 수 있게 하는 것을 수용할 것이다.
비유효 에너지 회수의 제어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술한 내용 대신에, 또는 그와 함께 조합하여, 이 교시들은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 비유효 에너지 회수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결과들을 달성하는 것을 수용할 것이다.
이 점에 있어서의 예시적 일례로서(이 점에 있어서의 제한들을 제안하도록 다시 의도되지 않고), 도 4는 대응하는 스위치(402)와 직렬로, 및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200)의 출력 부하(202) 및 대응하는 스위치(203)와 병렬로 구성되는 의사 부하(401)를 도시한다. 모두는 저장 커패시터(들)(201)에 연결된다. 제어 회로(403)는 차례로, 이 의사 부하 스위치(402)(및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 부하 스위치(203))를 제어하고, 따라서 의사 부하(401)가 저장 커패시터(들)(201)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때를 제어한다. 그렇게 구성되면, 제어 회로(403)는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를 생성하기 전에 저장 커패시터(들)(201)로부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의사 부하(401)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차례로, 제어 회로(403)가 그러한 펄스의 진폭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이 점에 있어서 하나의 예시적 예를 제공한다. 전과 같이, 이 예는 이 점에 있어서 모든 가능한 포괄적인 예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이 예에서, 타임라인은 완전히 충전(304)될 때까지 저장 커패시터(들) 충전(303)으로 시작한다. 이전의 예에서와 같이, 주어진 시간(305)에서, 펄스 발생기는 대응하는 진폭을 갖는 대응하는 제 1 펄스(307)를 초래하기 위해, 에너지가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 회수(306)되고 출력 부하에 의해 이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제, 펄스 발생기는 저장 커패시터(들)를 다시 재충전(501)하고, 저장 커패시터(들)가 완전히 충전(502)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다음 유효 전기 펄스를 다시 생성하기 전에, 펄스 발생기는 이제 특정한 충전 레벨(504)을 달성하기 위해 상술한 의사 부하를 후자에 연결함으로써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 에너지의 비유효 회수(503)를 초래한다. 이 특정 충전 레벨(504)을 달성하면(또는, 대안에서, 의사 부하 기반 방전 시간의 특정량을 달성하면), 펄스 발생기는 비유효 방전 프로세스를 중지하기 위해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 의사 부하를 분리한다.
이제, 지정된 시간(309)에, 펄스 발생기는 저장 커패시터(들)를 출력 부하에 연결함으로써, 이전의 제 1 전기 펄스(307)보다 작은 진폭을 갖는 대응하는 제 2 전기 펄스(311)를 초래하는, 대응하는 에너지의 회수(310)를 가능하게 한다.
전과 같이, 이제 펄스 발생기는 후자가 완전히 충전(506)될 때까지 저장 커패시터(들)를 다시 재충전(505)한다. 그리고 다시 전과 같이, 펄스 발생기는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 에너지를 비유효적으로 회수(507)하기 위해 의사 부하를 이용한다. 이 비유효 방전은 바로 이전의 의사 부하 기반 방전보다 낮은 레벨(508) 아래로 저장 커패시터(들)의 에너지를 추출한다.
그 다음, 지정된 시간(313)에서, 펄스 발생기는 후자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기(314) 위해 출력 부하를 저장 커패시터(들)에 연결함으로써, 대응하는 제 3 전기 펄스(315)를 초래한다. 저장 커패시터(들)의 충전 레벨이 설명된 의사 부하에 의해 낮은 레벨로 추출되기 때문에, 이 제 3 전기 펄스(315)는 이전의 전기 펄스들(즉, 제 1 및 제 2 전기 펄스들(307 및 311))보다 낮은 진폭을 연속하여 갖는다.
그 다음, 이 예에서, 저장 커패시터(들)는 설명된 시퀀스가 반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완전히 충전(510)될 때까지 다시 충전(509)된다. 그렇게 구성되면, 일련의 3개의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이 확실히 생성된다. 전과 같이, 소수의 또는 다수의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은 이 접근법의 이용에 의해 용이하게 생성된다.
상술한 예에서, 의사 부하는 저장 커패시터(들)의 저장된 에너지 레벨을 원하는 레벨로 추출하도록 서브한다. 필요에 따라,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의 출력 부하가 이 점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서브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출력 부하를 저장 커패시터(들)에 연결하는 것 및 어떤 의도된 방사 빔도 생성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전기 펄스를 전달하는 동시에 RF 입자 가속기 기반 방사 소스의 다른 부분을 디스에이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것이 전기 펄스를 출력 부하에서 생성할지라도(및 RF 전력이 RF 가속기 기반 입자 소스의 예에서 생성될 수 있을지라도), 그 전기 펄스는 유효 전기 펄스라기보다는 오히려 비유효 전기 펄스이다. 그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디스에이블된 소자는 RF 입자 가속기의 입자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입자 소스는 어떤 의도된 방사 빔도 생성되지 않도록, 가속될 입자들을 제공하지 않는다(RF 전력이 생성되는 것에도 불구하고).
이 교시들은 이 점에 있어서도 또 다른 접근법들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유연하다. 도 6은 그러한 예를 제공한다. 다시, 도 6은 임의의 대응하는 제한들을 제안하는 어떤 의도 없이 제공된다.
여기서,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200)는 각각, 대응하는 스위치(603 및 604)에 병렬로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부하들 A 및 B(참조 번호 601 및 602에 의해 표시됨)를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의사 부하들은 전력을 소모시키고, 열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액체 냉각 저항(liquid-cooled resistive)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2개의 스위치들(603 및 604)은 차례로, 출력 부하(202)와 직렬로 연결되고, 저장 커패시터(들)(201)에 연결된다.
그렇게 구성되면, 이 스위치들(603 및 604) 둘 다가 폐쇄된(또한, 출력 부하 스위치(203)가 폐쇄되는 것을 가정한) 상태에서, 출력 부하(202)는 저장 커패시터(들)(201)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고, 부하 A 또는 B 중 어느 것도 이 회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부하 A의 스위치(603)가 폐쇄되고 부하 B의 스위치(604)가 개방된 상태에서, 이 에너지의 회수는 이제 출력 부하(202) 뿐만 아니라 부하 B도 포함할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부하 A의 스위치(603)가 개방되고 부하 B의 스위치(604)가 폐쇄된 상태에서, 이 에너지의 회수는 출력 부하뿐만 아니라 부하 A도 포함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스위치들(603 및 604) 둘 다가 개방된 상태에서, 이 에너지 회수는 출력 부하(202)와 직렬로 부하 A 및 B 둘 다를 포함할 것이다.
그렇게 구성되면, 이 추가 부하들 중 하나 이상은 출력 부하(202)와 이 의사 부하들(601 및 60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사이의 저장 커패시터(들)에서 진폭을 선택적으로 분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접근법을 이용하면, 선택된 의사 부하(601 및/또는 602)는 주어진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를 생성하면서 저장 커패시터(들)에서 이용가능한 전압의 일부를 부담하여, 출력 부하(202)는 유효 이용을 위해 미리 결정된 및 원하는 진폭을 수용한다.
도 7은 이 점에 있어서 비제한의 예시적인 예를 제공한다. 다시 전과 같이, 이 타임라인은 정전 용량(304)까지 저장 커패시터(들) 충전(303)으로 시작한다. 지정된 시간(305)에서, 도 6(203, 603, 및 604)에 도시된 모든 3개의 스위치들이 폐쇄된다. 그렇게 구성되면, 출력 부하만이 유효하게 연결되고, 따라서 출력 부하만이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 에너지를 추출(306)한다. 이것은 전과 같이, 대응하는 제 1 전기 펄스(307)를 초래한다.
그 다음, 저장 커패시터(들)는 정전 용량(502)으로 재충전(501)된다. 다음 지정된 시간(309)에서, 출력 부하 스위치(203) 및 부하 A 스위치(603)가 폐쇄된다. 차례로,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의 전류는 출력 부하 및 부하 B 둘 다를 통해 흐른다. 부하 B가 전압의 일부들을 부담하기 때문에, 출력 부하는 전보다 소량의 에너지를 수용한다. 따라서, 대응하는 제 2 전기 펄스(311)는 제 1 전기 펄스(307)보다 작은 진폭을 갖는다.
저장 커패시터(들)는 다시 정전 용량(506)으로 재충전(702)된다. 다음 지정된 시간(313)에서, 출력 부하 스위치(203)만이 폐쇄된다. 따라서, 저장 커패시터들로부터의 전류는 출력 부하 및 부하들 A 및 B 둘 다를 통해 흐른다. 부하 A 및 부하 B 둘 다가 전압의 일부를 부담하기 때문에, 훨씬 더 작은 부분이 출력 부하 자체에 의해 수용된다. 그 결과, 대응하는 제 3 전기 펄스(315)는 이전의 제 1 및 제 2 전기 펄스들(307 및 311)보다 작은 진폭을 갖는다.
이 예에서, 저장 커패시터(들)는 다시 정전 용량(510)으로 재충전(704)되고, 설명된 일련의 상황들이 반복되어, 제 1 전기 펄스들의 다른 것(319)의 생성을 시작한다.
그렇게 구성되면, 이 교시들은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의 일부를 포함하는 바와 같이,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의 에너지 보충을 제어하고 및/또는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의 에너지의 비유효 에너지 회수를 제어함으로써, 일련의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제공하는 접근법을 제공한다. 이 각종 접근법들은 요구되는 대로,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수의 조합들 및 순열들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교시들은 실제로 유연성이 크고 다양한 적용 설정들을 수용하기 위해 용이하게 축척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또한, 이 교시들은 경제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그러한 기존 자산에 더 영향을 주기 위해 이전의 현장 장비에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당업자들은 다양한 수정예들, 변경예들, 및 조합들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고, 그러한 수정예, 변경예들, 및 조합들이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서 생각되어야 하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100: 프로세스
101: 단계
200: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
201: 저장 커패시터(들)
202: 출력 부하
203: 스위치
204: 제어 신호
205: 전원
206: 아이솔레이터
207: 충전 제어 회로
208: 제어 신호
401: 의사 부하
402: 의사 부하 스위치
403: 제어 회로
601, 602: 부하
603, 604: 스위치

Claims (30)

  1.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energy-storing capacitor)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유닛을 갖는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hard-tube type pulse generator)를 이용하여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interlaced amplitude pulsing)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의 에너지 보충 및 비유효(non-productive) 에너지 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유효(productive) 전기 펄스들을 형성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회수되어 출력 부하에 제공되는 에너지의 양을 제어하여, 일련의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는,
    무선 주파수 입자 가속기(radio frequency particle accelerator) 기반의, 인터레이스 다중 에너지 방사 소스(interlaced multi-energy radiation)의 일부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의 에너지 보충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일련의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일부 에너지를 회수한 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을 의도적으로 완전히 재충전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을 의도적으로 완전히 재충전하지 않는 단계는,
    상기 일련의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상기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를 회수한 후에,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을 재충전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의 에너지 보충을 제어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각각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의 각각의 회수에 이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을 의도적으로 완전히 재충전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의 비유효 에너지 회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주어진 하나를 생성할 때 이용될 특정한 에너지 유효성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상기 주어진 하나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상기 주어진 하나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의사 부하(dummy load)를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부하는,
    상기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에 대한 출력 부하와 전기적으로 병렬인,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상기 주어진 하나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는,
    어떤 원하는 시스템 생성물도 생성되지 않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펄스를 출력 부하에 전달하는 동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입자 가속기 기반 방사 소스의 다른 부분을 디스에이블(disable)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입자 가속기 기반 방사 소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입자 소스(particle source)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주어진 하나를 생성할 때 출력 부하에 특정한 진폭 유효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사 부하와 상기 출력 부하 사이의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에서 상기 진폭을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부하는,
    선택적으로 구성가능한 의사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부하가 유효 이용을 위해 미리 결정된 및 원하는 진폭을 수용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에서 이용가능한 전압의 베어부(bear part)에 상기 의사 부하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상기 주어진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하는,
    변압기의 1차 권선을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하는,
    다른 형태들의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6.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저장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유닛을 갖는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하여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의 에너지 보충 및 비유효 에너지 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함으로써 유효 전기 펄스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회수되어 출력 부하에 제공되는 에너지의 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일련의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을 획득하고,
    상기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는,
    무선 주파수 입자 가속기 기반의, 인터레이스 다중 에너지 방사 소스의 일부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17. 삭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일련의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일부 에너지를 회수한 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을 의도적으로 완전히 재충전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의 에너지 보충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을 의도적으로 완전히 재충전하지 않는 것은,
    상기 일련의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상기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를 회수한 후에,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을 재충전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복수의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각각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의 각각의 회수에 이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을 의도적으로 완전히 재충전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의 에너지 보충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주어진 하나를 생성할 때 이용될 특정한 에너지 유효성을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함으로써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의 비유효 에너지 회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상기 주어진 하나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함으로써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도록 구성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의사 부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상기 주어진 하나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도록 구성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부하는,
    상기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에 대한 출력 부하와 전기적으로 병렬인,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어떤 원하는 시스템 생성물도 생성되지 않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펄스를 출력 부하에 전달하는 동시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입자 가속기 기반 방사 소스의 다른 부분을 디스에이블함으로써,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상기 주어진 하나를 생성하기 전에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도록 구성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입자 가속기 기반 방사 소스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입자 소스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사 부하와 출력 부하 사이의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에서 상기 진폭을 선택적으로 분배함으로써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주어진 하나를 생성할 때 상기 출력 부하에 특정한 에너지 진폭 유효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도록 구성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 부하는,
    선택적으로 구성가능한 의사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출력 부하가 유효 이용을 위해 미리 결정된 및 원하는 진폭을 수용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에서 이용가능한 전압의 베어부에 상기 의사 부하를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상기 주어진 하나를 생성함으로써, 의사 부하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유닛으로부터 상기 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회수하는 또한 동시에 상기 유효 인터레이스 진폭 전기 펄스들 중 상기 주어진 하나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2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하는,
    변압기의 1차 권선을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3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하는,
    다른 형태들의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KR1020127034157A 2010-06-08 2011-06-07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에 관련된 방법 및 장치 KR101800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95,894 2010-06-08
US12/795,894 US9960754B2 (en) 2010-06-08 2010-06-08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aced amplitude pulsing using a hard-tube type pulse generator
PCT/US2011/039469 WO2011156393A2 (en) 2010-06-08 2011-06-07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interlaced amplitude pulsing using a hard-tube type pulse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072A KR20130129072A (ko) 2013-11-27
KR101800690B1 true KR101800690B1 (ko) 2017-11-23

Family

ID=4506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157A KR101800690B1 (ko) 2010-06-08 2011-06-07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에 관련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60754B2 (ko)
EP (1) EP2580862B1 (ko)
KR (1) KR101800690B1 (ko)
RU (1) RU2607234C2 (ko)
WO (1) WO2011156393A2 (ko)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7854A (en) * 1970-04-20 1971-11-02 Raytheon Co Pulse transformer
US3739385A (en) * 1970-07-15 1973-06-12 Texas Instruments Inc Mechanically swept radar antenna for use with an aircraft landing monitor system
US3778636A (en) * 1971-12-03 1973-12-11 Tachisto Inc Line-type generator having an active charging circuit
US3927366A (en) * 1972-05-24 1975-12-16 Medtronic Inc Method for determining the end of life of a pulse generator power source
US3930335A (en) * 1973-04-02 1976-01-06 Controlled Environment Systems, Inc. Plant growth system
US3832568A (en) * 1973-08-10 1974-08-27 Sperry Rand Corp Circuit for generating a single high voltage subnanosecond pulse from a step recovery diode
JPS6014653B2 (ja) 1980-02-26 1985-04-15 株式会社井上ジャパックス研究所 放電加工装置
IL78810A (en) * 1986-05-16 1990-11-29 Israel Aircraft Ind Ltd Current pulse generator
US4827267A (en) * 1987-11-19 1989-05-02 Itt Gilfillan High availability solid state modulator for microwave cross-field amplifiers
RU2017308C1 (ru) * 1991-12-19 1994-07-30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научного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я Ураль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АН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напряжения
US5495209A (en) * 1995-04-14 1996-02-27 Hughes Missile Systems Company Switched-inverter modulator for producing modulated high voltage pulses
US5587680A (en) * 1995-06-30 1996-12-24 Mts Systems Corporation Pulse generator with charge pump
US5804967A (en) * 1996-11-15 1998-09-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hort pulses for NMR and NQR processing
US6076018A (en) * 1998-09-04 2000-06-13 Woodside Bio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power regulated output in battery powered electrotherapy devices
AU1963400A (en) * 1999-03-08 2000-09-28 Gunther Bebenroth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a luminous element
US6298266B1 (en) * 1999-08-10 2001-10-02 Intermedic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fibrillation and creating defibrillation waveforms
DE10036519B4 (de) 2000-07-27 2005-09-01 Forschungszentrum Karlsruhe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steuerbaren Stromquelle und einer steuerbaren Spannungsquelle zum Laden der Energiespeicher eines Leistungsmodulators
DE10109203C1 (de) 2001-02-26 2002-09-26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von Aufrechterhaltungsimpulsen für die Aufrechterhaltung von HF-Schwingungen
RU2218654C2 (ru) * 2001-10-22 2003-12-10 Военный инженерно-косм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А.Ф. Можайского Способ заряда емкостного накопите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US6741484B2 (en) 2002-01-04 2004-05-25 Scandinova Ab Power modulator having at least one pulse generating module; multiple cores; and primary windings parallel-connected such that each pulse generating module drives all cores
US6617586B2 (en) 2002-01-18 2003-09-09 Scandinova Ab Beam delivery system
US6686596B2 (en) 2002-02-21 2004-02-03 Scandinova Ab System and method of irradiating products being conveyed past an electron beam delivery device
RU2234804C1 (ru) * 2003-03-31 2004-08-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 В.И.Ленина" Импульсный модулятор (варианты)
US20050090732A1 (en) * 2003-10-28 2005-04-28 Triton Biosystems, Inc. Therapy via targeted delivery of nanoscale particles
SE0401780D0 (sv) * 2004-07-02 2004-07-02 Scandinova Ab Skyddskrets
US7209373B2 (en) * 2004-12-28 2007-04-24 Kaiser Systems, Inc. High voltage pulse generator
EP1749607B1 (en) 2005-08-01 2012-03-14 Agie Charmilles SA Method and generator for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US7830040B2 (en) * 2007-05-15 2010-11-09 Sci-Eng Solutions, LLC Coiled transmission line pulse generators
EP2068343B1 (en) 2007-11-13 2011-08-31 ICT Integrated Circuit Testing Gesellschaft für Halbleiterprüftechnik mbH Charged particle source with automated tip formation
ITTO20070862A1 (it) * 2007-11-29 2009-05-30 St Microelectronics Srl Convertitore di tensione isolato con retroazione al primario e rete di snubber passiva, e relativo metodo di controllo
US8115343B2 (en) 2008-05-23 2012-02-14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Nanosecond pulse generator
US7903434B2 (en) 2008-06-23 2011-03-08 Scandinova Systems Ab Power switch grouping
JP5341442B2 (ja) * 2008-09-17 2013-11-13 古野電気株式会社 マグネト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072A (ko) 2013-11-27
RU2012156023A (ru) 2014-07-20
EP2580862A2 (en) 2013-04-17
WO2011156393A2 (en) 2011-12-15
US9960754B2 (en) 2018-05-01
EP2580862A4 (en) 2013-11-13
WO2011156393A3 (en) 2012-04-05
RU2607234C2 (ru) 2017-01-10
EP2580862B1 (en) 2015-05-06
US20110298299A1 (en)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30779A1 (en) Inductively coupled pulsed rf voltage multiplier
JP4195390B2 (ja) 電力変調器
US8189741B2 (en) X-ray tube electrical power supply, associated power supply process and imaging system
CN101202509A (zh) 用于回扫功率转换器的同步整流电路的方法和设备
US8755491B2 (en) Rise/fall time control for X-ray pulses
JP2017503110A (ja) 高エネルギーイグニッションコイル
JP200551489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エネルギー回収駆動回路
CN105743341A (zh) 一种电压倍增电路
US20120161690A1 (en) Electrical circuit for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to drive an inductive load
Jeong et al. Development of all power supplies with a new design utilized for NBI-2 system on KSTAR
KR101800690B1 (ko) 하드 튜브형 펄스 발생기를 이용한 인터레이스 진폭 펄싱에 관련된 방법 및 장치
EP1672792B1 (en) Electric discharger
JP4516308B2 (ja) パルス発生装置
CN103727840B (zh) 一种电子制动装置及方法
Boscolo et al. A Cockcroft-Walton for FELTRON: the new mu-wave source for TeV colliders
Cassel et al. A new type high voltage fast rise/fall time solid state Marx pulse modulator
Liu et al. A new pulse-compression circuit with residual energy recovered
Zhang et al. Nanosecond-range multiple-pulse synchronization controlled by magnetic switches based on a communal magnetic core
Sack et al. Modular trigger generator for an overvoltage-triggered Marx generator
Todorčević et al. A modulation strategy for wide voltage output in DAB based DC-DC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Aguglia Design of a system of high voltage pulsed power converters for CERN's Linac4 H− ion source
Casey et al. Solid-state modulators for the international linear collider
PL213859B1 (pl) Sposób ksztaltowania impulsu wysokiego napiecia w module generatora i uklad generatora impulsów wysokiego napiecia
Askinazi et al. Resistive loss compensation in the power supply system of the toroidal field winding in the TUMAN-3M tokamak
Ilic et al. An isolated high-voltage DC-to-DC converter with fast turn-off capability for X-ray tube grid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