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661B1 -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661B1
KR101800661B1 KR1020110084431A KR20110084431A KR101800661B1 KR 101800661 B1 KR101800661 B1 KR 101800661B1 KR 1020110084431 A KR1020110084431 A KR 1020110084431A KR 20110084431 A KR20110084431 A KR 20110084431A KR 101800661 B1 KR101800661 B1 KR 101800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social network
content
network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1891A (ko
Inventor
유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4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661B1/ko
Priority to US13/558,683 priority patent/US8649804B2/en
Priority to EP12180850.5A priority patent/EP2563047B1/en
Priority to CN201210305959.7A priority patent/CN102957741B/zh
Publication of KR20130021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891A/ko
Priority to US14/147,161 priority patent/US962150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은,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 여부 판단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가상 접속 위치 정보 획득 단계; 상기 획득한 가상 접속 위치 정보에 따라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공간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가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성이 떨어지는 단말기 사용 시에도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LOCATION BASED SERVICE}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가 실제 공간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휴대 단말기의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해,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 보급률의 급속한 증가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기기로 변모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는데, 위치 기반 서비스가 그 중 하나이다.
위치 기반 서비스란, 이동통신망 또는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한 장소를 지나는 경우, 인근 매장의 온라인 쿠폰 등의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근래에는 위치 기반 서비스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결합된 형태의 위치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위치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지인들에게 알려주고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위치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장소를 통해서 지인들과 의견을 주고받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단순히 게시물을 통한 상호소통을 넘어 위치 정보에 따른 상호소통을 가능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 주변의 매장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비즈니스에 활용된다.
이와 같이, 위치 기반 서비스의 활용도는 증가하고 있으나, 스마트 TV 와 같이 이동성이 떨어지는 단말기에서는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기존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휴대 단말기가 실제 공간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휴대 단말기의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해,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성이 떨어지는 단말기 사용 시에도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은,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 여부 판단 단계;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실제 공간에 대응하는 가상 위치 정보 획득 단계; 상기 획득한 가상 위치 정보에 따라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 가능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명령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재생되는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수신한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 여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실제 공간에 대응하는 가상 위치 정보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가상 위치 정보에 따라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가 실제 공간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휴대 단말기의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해,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성이 떨어지는 단말기 사용 시에도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실제 적용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실제 적용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특정 위치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지인들에게 알려주고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위치 정보란, 특정 장소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위도 정보, 경도 정보,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상 접속 위치 정보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해 현재 위치한 장소가 아닌 위치에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하여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의 가상 접속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란,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로, 디지털 방송, 동영상, 이미지 등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컨텐츠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 제공자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든 장치로, 방송국, 다른 단말기 및 서버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밀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얻은 휴대 단말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한다. 기존의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그 위치의 주변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는 위치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스마트 TV 와 같이 이동성이 떨어지는 단말기에서는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기존의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휴대 단말기가 실제 공간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휴대 단말기의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해,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성이 떨어지는 단말기 사용 시에도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표시부(21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2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10)는 휴대 단말기(2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표시부(210)는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위치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시 서비스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10)는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컨텐츠를 재생 시 재생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20)는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2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230)는 휴대 단말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입력부(230)는 3*4자판, Qwerty 자판 등 숫자 키, 문자 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기(200)의 기능들(통화 기능,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기능, 이미지 디스플레이 기능, 방송 시청 기능, 카메라 촬영 기능, 오디오 녹음 기능, 계산기, 일정 관리 등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등)을 실행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70)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입력부(2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제어부(270)에 전달한다.
저장부(240)는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휘발성(volatile) 저장 매체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저장 매체의 조합(combination)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RAM, DRAM,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semiconductor memory)가 포함되며,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는 하드 디스크(hard disk)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240)는 컨텐츠 제공자(미도시)로부터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부(250)는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 장치이다. 위치 정보 획득부(250)는 대표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에 해당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모든 장치가 본 발명의 위치 정보 획득부(250)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획득부(25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치 정보 획득부(250)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60)는 휴대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26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26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270)로 출력하고, 제어부(27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부(260)는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획득부(250) 이외에 무선통신부(260)을 통해서도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60)는 적어도 3개의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70)로 송신하면, 제어부(270)는 적어도 3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셀(cell)에서만 사용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200)의 경우, 무선통신부(260)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270)로 송신하면 제어부(270)는 현재 휴대 단말기(200)가 상기 특정 셀에 위치했음을 알 수 있게 되며, 휴대 단말기(200)의 대략적인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부(260)는 컨텐츠 제공자와의 통신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2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70)는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먼저 가상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가상 위치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위치 정보 획득부(250) 또는 무선통신부(260)를 제어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270)는 무선통신부(260)를 제어하여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한다.
제어부(270)는 가상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먼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270)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무선통신부(260)를 제어하여 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부(2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270)는 수신한 컨텐츠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위치 정보란, 특정 장소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위도 정보, 경도 정보,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가 수신한 컨텐츠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컨텐츠로부터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제어부(270)는 추출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들 중에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시 이용하고자 하는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선택하여 이를 획득한다.
제어부(270)가 수신한 컨텐츠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표시부(210)를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접속하고자 하는 장소의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재생되는 컨텐츠를 캡처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무선통신부(260)를 제어하여 인터넷 등에 접속해 추출한 이미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로부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270)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30)를 통해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입력받아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270)는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한 가상 접속 위치 정보로 무선통신부(260)를 제어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한다.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 가상 접속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휴대 단말이 위치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다만,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가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인지,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인지 구별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다른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무선통신부(260)를 통해 접속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상이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이한 서비스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상으로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실제 공간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가상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200)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를 이용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어부(270)는 3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30)를 통해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구동 명령을 수신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제어부(270)는 310단계에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시 가상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동 후 제어부(270)가 표시부(210)를 제어하여 가상 위치 정보 이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입력부(230)를 통해 가상 위치 정보 이용 여부를 선택하고, 제어부(270)는 입력부(23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70)가 가상 위치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315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위치 정보 획득부(250) 또는 무선통신부(260)를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270)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도록 무선통신부(260)를 제어한다.
제어부(270)가 310단계에서 가상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인 획득 과정은 아래에서 도 4와 함께 설명한다.
제어부(270)는 340단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한 가상 접속 위치 정보로 무선통신부(260)를 제어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한다.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 가상 접속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에 휴대 단말이 위치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다만,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는 사용자가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인지,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것인지 구별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다른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고 350단계로 진행하여, 접속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상이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무선통신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이한 서비스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어부(270)는 400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표시부(210)를 제어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수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입력부(230)를 통해 컨텐츠 수신 여부를 선택하고, 제어부(270)는 입력부(23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70)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무선통신부(260)를 제어한다. 제어부(270)는 수신이 완료되면, 406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컨텐츠를 저장부(2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270)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컨텐츠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 위치 정보란, 특정 장소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위도 정보, 경도 정보, 주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가 수신한 컨텐츠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컨텐츠로부터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423단계로 진행하여, 추출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로부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시 이용하고자 하는 위치 정보를 선택하여 460단계에서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270)가 410단계에서 수신한 컨텐츠에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70)는 425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표시부(210)를 제어한다.
컨텐츠 재생 시, 제어부(270)는 430단계로 진행하여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접속하고자 하는 장소의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미지를 추출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재생되는 컨텐츠를 캡처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440단계에서 무선통신부(260)를 제어하여 인터넷 등에 접속해 추출한 이미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460단계에서 검색 결과로부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제어부(270)가 400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45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30)를 통해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460단계에서 입력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표시부(210)를 제어하여 위치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창은 위도 정보, 경도 정보 또는 주소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TV(501)는 서버(500)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전송받는다(510 단계). 컨텐츠 전송 과정을 서버(500)로부터 전송하는 것으로 한정할 것은 아니고 방송국으로부터 디지털 방송을 전송 받는 등 다양한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의 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말기도 TV(501) 외에 휴대폰, 노트북, PC, PMP 등 컨텐츠를 재생 가능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단말기를 이용가능하다.
TV(501)는 컨텐츠를 재생 중(520), 컨텐츠 전송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530). 사용자가 컨텐츠 시청 중, 위치 정보 기반 서비스를 이용해 접속하고 싶은 장소를 발견하면 컨텐츠 전송 명령을 내리게 된다. TV(501)가 컨텐츠 전송 명령 입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TV(501)는 휴대용 단말기(502)로 컨텐츠를 전송하게 된다(540). TV(501)가 컨텐츠 전송 명령 입력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컨텐츠 재생을 계속한다(520).
휴대용 단말기(502)는 TV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550)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56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TV(601)에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602)로 전송하면 휴대 단말기(602)에서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경우와 다르게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휴대 단말기(700)로 직접 위치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를 수신한다. 휴대 단말기(602)는 직접 수신한 컨텐츠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상 위치를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경우와 접속 루트가 구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James, Benn, Pill은 모두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Best Coffee Shop이라는 커피숍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에 접속하였다.
사용자 James와 Benn은 checked in at Best coffee 다음에 아무런 표시가 없어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했음을 알 수 있고 Pill은 checked in at Best coffee on TV 라고 표시되어 있다. 즉, TV에서 Best Coffee Shop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 후, 휴대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접속하였음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의 경우에서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해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 on TV 라고 표시되어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해 접속하는 것과 구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내용도 달라질 수 있다.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해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실제로 카페에 방문하면 공짜 커피를 받을 수 있다는 제안 메시지를 휴대 단말기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한 제안 메시지가 저장된 휴대 단말기를 가지고 실제 카페에 방문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해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면, 공짜 커피 쿠폰을 휴대 단말기로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바로 현재 위치 정보만을 이용해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경우와 상이한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200: 휴대 단말기
220: 오디오 처리부
230: 입력부
240: 저장부
250: 위치 정보 획득부
260: 무선통신부
270: 제어부
600: 디지털 TV
601: 휴대 단말기
700: 휴대 단말기

Claims (14)

  1. 휴대 단말기에서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요구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가상 위치 정보의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 대신에 상기 가상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아닌 가상의 위치에서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가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위치 정보인 것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위치 정보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가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상기 위치 정보들 중에서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시 이용하고자 하는 상기 위치 정보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3.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4.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상기 위치 정보 포함 여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가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상기 실제 공간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이미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로부터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5. 상기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시 이용하고자 하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이미지를 캡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6.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해 접속하는 경우와 상이한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7.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위치 정보의 이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상 위치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8.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 명령의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재생되는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수신한 상기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램 구동 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가상 위치 정보의 이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 대신에 상기 가상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의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아닌 가상의 위치에서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기 가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위치 정보인 것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9. 상기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 획득 시,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추출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추출한 하나 이상의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들 중에서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시 이용하고자 하는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의 선택 명령을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상기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수신 여부 판단 시,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상기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 포함 여부 판단 시,
    상기 컨텐츠가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상기 실제 공간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이미지를 검색하며, 상기 검색 결과로부터 상기 가상 접속 위치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상기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추출 시,
    상기 재생되는 컨텐츠로부터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시 이용하고자 하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실제 공간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상기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속 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해 접속하는 경우와 상이한 상기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상기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상 위치 정보의 이용 여부 판단 시,
    상기 가상 위치 정보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10084431A 2011-08-24 2011-08-24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KR101800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431A KR101800661B1 (ko) 2011-08-24 2011-08-24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US13/558,683 US8649804B2 (en) 2011-08-24 2012-07-26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location based services by determin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virtual location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12180850.5A EP2563047B1 (en) 2011-08-24 2012-08-17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location based service
CN201210305959.7A CN102957741B (zh) 2011-08-24 2012-08-24 用于访问基于位置的服务的方法和设备
US14/147,161 US9621506B2 (en) 2011-08-24 2014-01-03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location based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431A KR101800661B1 (ko) 2011-08-24 2011-08-24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891A KR20130021891A (ko) 2013-03-06
KR101800661B1 true KR101800661B1 (ko) 2017-11-24

Family

ID=4702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431A KR101800661B1 (ko) 2011-08-24 2011-08-24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649804B2 (ko)
EP (1) EP2563047B1 (ko)
KR (1) KR101800661B1 (ko)
CN (1) CN1029577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5127B1 (en) 2013-06-14 2016-03-01 Microstrategy Incorporated Location categorization
KR101660030B1 (ko) * 2013-07-12 2016-09-27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68635B1 (ko) * 2013-12-31 2020-10-21 주식회사 케이티 정보 포스팅 장치 및 방법
KR102302686B1 (ko) * 2014-12-05 202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0846A (ja) * 2001-11-13 2003-05-23 Casio Comput Co Ltd イベント発生サービス提供サーバ、イベント発生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イベント発生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KR101048644B1 (ko) * 2010-11-04 2011-07-13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스마트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4639A (en) * 1995-11-15 1998-06-09 Staples; Leven 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mote user with a virtual presence to an office
JP2002118656A (ja) * 2000-08-04 2002-04-19 Csd:Kk 携帯電話を通じた広告方法
US7848765B2 (en) * 2005-05-27 2010-12-07 Where, Inc. Location-based services
KR100738686B1 (ko) 2005-08-03 2007-07-11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쿠폰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882025B1 (ko) 2006-11-17 2009-0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피에스 이미지 검색 방법, 지리적 위치 서비스 기반의지피에스 이미지 검색 방법, 블로그 서비스 기반의지피에스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지역별 블로그 서비스 제공방법
US8073460B1 (en) * 2007-03-08 2011-12-06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based on mobile device travel patterns
US7836151B2 (en) 2007-05-16 2010-11-1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virtual content
US10454995B2 (en) 2007-06-11 2019-10-22 Crackle, Inc.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d sharing content associat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CN101252731B (zh) * 2008-04-11 2012-05-23 天津华永无线科技有限公司 基于混合定位方式的移动社交网络构建系统
US8635645B2 (en) * 2008-09-30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providing and receiving venue level transmissions and services
KR20100046586A (ko) 2008-10-27 201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맵 기반의 웹 검색 방법 및 장치
US20100197323A1 (en) * 2009-02-05 2010-08-05 Alcatel-Lucent Technologies Inc. Proactive menu-driven links or triggers for location-based services and mobile advertising
US8370762B2 (en) * 2009-04-10 2013-02-05 Cellco Partnership Mobile functional icon use in operational area in touch panel devices
KR101112190B1 (ko) 2009-06-25 2012-02-24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공간에서 실생활 기반의 정보 제공방법
US9119027B2 (en) 2009-10-06 2015-08-25 Facebook, Inc. Sharing of location-based content item in social networking ser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0846A (ja) * 2001-11-13 2003-05-23 Casio Comput Co Ltd イベント発生サービス提供サーバ、イベント発生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イベント発生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KR101048644B1 (ko) * 2010-11-04 2011-07-13 한국문화관광콘텐츠개발(주) 스마트 큐알코드를 이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통합 플랫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2611A1 (en) 2014-05-01
EP2563047A1 (en) 2013-02-27
CN102957741B (zh) 2017-10-27
CN102957741A (zh) 2013-03-06
KR20130021891A (ko) 2013-03-06
EP2563047B1 (en) 2019-05-08
US20130053070A1 (en) 2013-02-28
US8649804B2 (en) 2014-02-11
US9621506B2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5195B2 (en)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signal quality-context based recording and playback of multimedia data from a conference session
JP5620517B2 (ja) モバイルユーザーによるマルチメディアタグ付けのためのシステム
KR101894394B1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컨텐츠 공유 단말
US20080051081A1 (en) Profile trac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80075698A (ko) 사용자 단말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3493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US9904506B1 (en) Method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omputer servers and computer programs for identifying an audio source that is outputting audio
EP34963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ervice
KR101800661B1 (ko)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CN105323244A (zh) 网络识别方法和装置
KR20130141039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차량용 에이브이엔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848287A (zh) 一种终端定位处理方法、装置、路由器及系统
EP3087512B1 (en) A method for rendering an electronic content on a rendering device
CN106455118A (zh) 屏幕投影装置和方法
JP4814753B2 (ja) データ情報と音声情報とを結びつけ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00273464A1 (en) System for multimedia content-assisted trigger location, and service methods thereof
KR101406425B1 (ko) 홈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차등적인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51893A (ko) 멀티미디어 지도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공방법
CN108038197A (zh) 照片管理方法及装置
JP2012018148A (ja) 位置情報提供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30050539A (ko) 음원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시스템, 및 음원 정보 제공 방법
KR101617235B1 (ko) 이동통신 서비스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20140072446A (ko) 위치기반을 이용한 음악추천방법 및 장치
KR20130082914A (ko) 위치 기반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134685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