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530B1 -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530B1
KR101800530B1 KR1020160004278A KR20160004278A KR101800530B1 KR 101800530 B1 KR101800530 B1 KR 101800530B1 KR 1020160004278 A KR1020160004278 A KR 1020160004278A KR 20160004278 A KR20160004278 A KR 20160004278A KR 101800530 B1 KR101800530 B1 KR 101800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board
air
warp
we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886A (ko
Inventor
이상천
Original Assignee
이상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천 filed Critical 이상천
Priority to KR102016000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53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4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 바닥판, 서핑보드과 같은 공기가 충전되어 사용이 이루어지는 공기 충전식 보드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되어 일정하게 팽창 또는 수축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으로 가공되는 판의 형태인 상부보드와 하부보드; 경사와 위사 사이에 기공 형태인 제직부가 형성되도록 제직되어 상기 상부보드와 하부보드의 내측면에 접착되며, 상기 경사와 위사는 폴리프로필렌 원사인 제직원단; 상기 제직원단 사이로 길이방향으로 송출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단부측으로 경사부와 교차되어 경사부와 제직부를 고정하도록 제직되는 위사부이며, 상기 경사부와 위사부는 폴리프로필렌 원사인 연결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직원단과 경사부 및 위사부로 이루어지는 연결사가 일체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사로 인해 제직원단이 각각 접착된 상부보드와 하부보드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공기의 주입 또는 제거 시 또는 사용시에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Board structure for an air filling type}
본 발명은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보드와 하부보드에 각각 경사와 위사 사이에 기공 형태인 제직부가 형성되도록 제직되는 제직원단을 접착하고, 제직원단 사이로 연결사가 제직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 바닥판, 서핑보드과 같은 공기가 충전되어 사용이 이루어지는 공기 충전식 보드는 몸체 외측에 형성된 공기 주입구로 공기를 주입하여 몸체를 일정하게 팽창시켜 주어 매트, 바닥판, 서핑보드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에는 몸체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운반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 충전식 보드는 FRP라고 하는 복합재료로 만들어진 보드를 많이 사용하는데 내부는 우레탄폼이나, PVC폼으로 구성되고 외피는 유리섬유와 수지로 만들어지는 전형적인 복합재료 제품이다.
하지만 상기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공기 충전식 보드는 사용시에 찢어지거나 외부 손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주입된 공기가 손상된 부위로 배출되어 사용이 불가하여 불가피하게 폐기되어야 한다.
이때 공기 충전식 보드는 외피와 내피의 재질이 다르고 외피와 내피가 그대로 붙어 있어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들이 외피와 내피를 따로 제거하여 재활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잔량이 그대로 붙어 있는 외피와 내피를 제거하는 방법은 작업자들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작업시간이 매우 장시간 소요될 뿐 아니라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하여 인건비 및 생산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생산성이 낮아 재생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수작업을 배제한 작업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외피와 내피의 용융점이 서로 달라 코팅지의 완벽한 분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에는 대부분 공기 충전식 보드를 재활용하지 않고 소각 등의 방법으로 폐기처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재활용될 수 있는 자원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재활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에 비추어 볼 때 엄청난 손실을 야기시키는 것으므로, 공기 충전식 보드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67638호(2005.07.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6835호(2002.08.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상부보드와 하부보드에 각각 경사와 위사 사이에 기공 형태인 제직부가 형성되도록 제직되는 제직원단을 접착하고, 제직원단 사이로 연결사가 제직되어 연결사로 인해 제직원단이 각각 접착된 상부보드와 하부보드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공기의 주입 또는 제거 시 또는 사용시에 파손을 최소화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져 별도의 분리작업이 필요치 않으면서도 재활용 작업시 기타 이물질이 없어 양질의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되어 일정하게 팽창 또는 수축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으로 가공되는 판의 형태인 상부보드와 하부보드; 경사와 위사 사이에 기공 형태인 제직부가 형성되도록 제직되어 상기 상부보드와 하부보드의 내측면에 접착되며, 상기 경사와 위사는 폴리프로필렌 원사인 제직원단; 상기 제직원단 사이로 길이방향으로 송출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단부측으로 경사부와 교차되어 경사부와 제직부를 고정하도록 제직되는 위사부이며, 상기 경사부와 위사부는 폴리프로필렌 원사인 연결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사는 경사부가 상부보드와 하부보드에 접착되는 각각의 제직원단에 사선 방향으로 송출되어 제직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직원단과 경사부 및 위사부로 이루어지는 연결사가 일체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사로 인해 제직원단이 각각 접착된 상부보드와 하부보드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공기의 주입 또는 제거 시 또는 사용시에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 하부 보드, 제직원단, 연결사의 재질이 모두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짐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이 가지는 인장력 및 강도로 인해 공기 주입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 하부 보드의 견고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재활용시에 상, 하부 보드와 제직원단와 연결사 간의 별도의 분리작업이 필요치 않아 양질의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분리비용이 따로 소요되지 않고 재활용이 간편하여 자원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직원단에 사선 방향으로 송출되어 다수의 경사부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제직됨으로서 제직원단이 각각 접착된 상부보드와 하부보드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때 상호 교차되는 다수의 경사부로 인해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의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연결사가 제직원단에 제직되는 바람직한 일면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연결사가 제직원단에 제직되는 바람직한 일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는 주로 매트, 바닥판, 서핑보드에 사용되고, 내부에 공기를 주입 또는 배출되어 일정하게 팽창 또는 수축되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는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보드(10, 20), 상기 상, 하부보드(10, 20)에 접착되는 제직원단(30), 상기 제직원단(30) 사이에 제직되는 연결사(40)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도 1, 2,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뒷받침하기 위한 일실시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제직방법은 도 1, 2, 3에 국한되지 않음 알려둔다.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의 상, 하부 측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 접촉되는 부위이다. 또한 상기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가공되는 판의 형태로 구성된다.
제직원단(30)은 경사와 위사 사이에 기공 형태인 제직부(31)가 형성되도록 제직되어 상기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의 내측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직원단(30)으로 하여금 상, 하부 보드(10, 20)를 접힘과 같은 변형은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상, 하부 보드(10, 20)를 지지하는 구조로 인해 상, 하부 보드(10, 20)의 내구성은 유지시켜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직원단(30)을 이루는 경사와 위사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로 이루어진다.
연결사(40)는 상기 제직원단(30) 사이로 길이방향으로 송출되는 경사부(41)와, 경사부(41)의 단부측으로 경사부(41)와 교차되어 경사부(41)와 제직부(31)를 고정하도록 제직되는 위사부(4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경사부(41) 및 위사부(43)로 이루어지는 연결사(40)로 하여금 제직원단(30)이 각각 접착된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가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곡면을 이루면서 부풀지 않게 되어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에 접착된 제직원단(30)과 경사부(41) 및 위사부(43)로 이루어지는 연결사(40)가 일체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사(40)로 인해 제직원단(30)이 각각 접착된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경사부(41)와 위사부(43)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로 이루어져 상, 하부 보드(10, 20), 제직원단(30), 연결사(40)의 재질이 모두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짐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이 가지는 인장력 및 강도로 인해 공기 주입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 하부 보드(10, 20)의 견고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으며, 비중이 작기 때문에 제직 시 가벼운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재활용시에 상, 하부 보드(10, 20)와 제직원단(30)와 연결사(40) 간의 별도의 분리작업이 필요치 않아 양질의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기존의 분리비용이 따로 소요되지 않고 재활용이 간편하여 자원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사(40)는 경사부(41)가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에 접착되는 각각의 제직원단(30)에 사선 방향으로 송출되어 다수의 경사부(41)가 상호 교차되는 형태로 제직됨으로서 제직원단(30)이 각각 접착된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때 상호 교차되는 다수의 경사부(41)로 인해 지지력을 향상시켜 주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직원단(30)의 제직부(31)에 경사부(41)와 위사부(43)가 제직될 때 열융착수단으로 융착시켜 제직원단(30)의 제직부(31)에 경사부(41)와 위사부(43)가 제직되는 제직구조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융착수단은 온도가 160 ~ 180℃로 유지되는 열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의 한정된 온도보다 열융착수단의 온도가 낮으면 융착이 지체되어 제직부(31)에 경사부(41)와 위사부(43)가 제직구조가 흐트러지며 상기의 한정된 온도보다 열융착수단의 온도가 높으면 경사부(41)와 위사부(43)의 파손을 야기시켜 연결사(40)가 안정적으로 제직된 구조를 유지시키지 못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직원단(30)에 형성된 제직부(31)의 직경은 0.1 ~ 0.3mm로 형성시키며, 이는 연결사(40)의 경사부(41) 및 위사부(43)가 제직부(31)에 제직될 수 있는 최적의 직경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상, 하부보드(10, 20)와 제직원단(30)을 접착하는 접착제는 물과 벤토나이트 분말이 90 ~ 97 : 3 ~ 10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벤토나이트용액 76 ~ 82중량%, 숯분말 또는 황토분말로 이루어진 친환경물질 9 ~ 18중량%, 실란커플링제 5 ~ 1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제의 성분 중 벤토나이트용액, 실란커플링제는 접착력 및 점성을 높여주어 상, 하부보드(10, 20)와 제직원단(30)과의 접착력을 발휘시켜 주도록 한다.
친환경물질은 화학성분인 접착제에 친환경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상, 하부보드(10, 20)와 제직원단(30) 사이에 자수정, 옥, 석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 혼용되어 이루어지고, 직경 10 ~ 100㎚로 분쇄가공되는 원적외선발산체가 구비되어 접착제에 혼합된 친환경물질과 더불어 본 발명인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에 친환경기능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사(40)의 경사부(41)와 위사부(43)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열기가 전달되는 전열봉에 귄취하여 굴곡을 형성시킨 후 100 ~ 120℃의 온도와 3kg/㎥의 압력인 공기가 공급되는 챔버 내부에서 고착된 것을 사용한다.
이는 굴곡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연결사(40)에 사용하여 경사부(41)와 위사부(43)가 제직원단에 제직될 때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작용에 의해 경사부(41)와 위사부(43)가 비틀어지지 않고 형상과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경사부(41)와 위사부(43)의 손상없이 계속적으로 수행되는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작용에 대응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10 : 상부보드 20 : 하부보드
30 : 제직원단 31 : 제직부
40 : 연결사 41 : 경사부
43 : 위사부

Claims (7)

  1. 내부에 공기가 주입 또는 배출되어 일정하게 팽창 또는 수축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으로 가공되는 판의 형태인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
    경사와 위사 사이에 기공 형태인 제직부(31)가 형성되도록 제직되어 상기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의 내측면에 접착되며, 상기 경사와 위사는 폴리프로필렌 원사인 제직원단(30);
    상기 제직원단(30) 사이로 길이방향으로 송출되는 경사부(41)와, 경사부(41)의 단부측으로 경사부(41)와 교차되어 경사부(41)와 제직부(31)를 고정하도록 제직되는 위사부(43)이며, 상기 경사부(41)와 위사부(43)는 폴리프로필렌 원사인 연결사(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 하부보드(10, 20)와 제직원단(30)을 접착하는 접착제는 물과 벤토나이트 분말이 90 ~ 97 : 3 ~ 10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벤토나이트용액 76 ~ 82중량%, 숯분말 또는 황토분말로 이루어진 친환경물질 9 ~ 18중량%, 실란커플링제 5 ~ 1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사(40)는 경사부(41)가 상부보드(10)와 하부보드(20)에 접착되는 각각의 제직원단(30)에 사선 방향으로 송출되어 제직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직원단(30)의 제직부(31)에 경사부(41)와 위사부(43)가 제직될 때 열융착수단으로 융착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직원단(30)은 제직부(31)의 직경이 0.1 ~ 0.3mm로 형성되도록 제직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보드(10, 20)와 제직원단(30) 사이에 황토, 자수정, 옥, 석분, 숯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 혼용되어 이루어지고, 직경 10 ~ 100㎚로 분쇄가공되는 원적외선발산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사(40)의 경사부(41)와 위사부(43)는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열기가 전달되는 전열봉에 귄취하여 굴곡을 형성시킨 후 100 ~ 120℃의 온도와 3kg/㎥의 압력인 공기가 공급되는 챔버 내부에서 고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KR1020160004278A 2016-01-13 2016-01-13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KR101800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278A KR101800530B1 (ko) 2016-01-13 2016-01-13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4278A KR101800530B1 (ko) 2016-01-13 2016-01-13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886A KR20170084886A (ko) 2017-07-21
KR101800530B1 true KR101800530B1 (ko) 2017-12-20

Family

ID=5946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278A KR101800530B1 (ko) 2016-01-13 2016-01-13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5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97B1 (ko) * 2014-08-06 2014-12-16 주식회사 경인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997B1 (ko) * 2014-08-06 2014-12-16 주식회사 경인 폴리프로필렌 이중공간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886A (ko) 2017-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75529B (en) Fluid-filled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ear,method for forming the same.article of footware,method for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are,and pressurized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are
US20170006958A1 (en) Lightweight shoes
US9682286B2 (en) Ball for ball gam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ll for ball games
US9289662B2 (en) Blade constructs and methods of forming blade constructs
CA2698291A1 (en) Fabric having a thermoplastic fusible yarn, process of making a fabric containing a thermoplastic fusible yarn, and fabric article formed with a fabric containing a thermoplastic fusible yarn
KR20130078103A (ko) 인조잔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N1630593A (zh) 多镶片安全气囊及其制造方法
JP2011511173A5 (ko)
KR20110096665A (ko) 튜브직물의 표면직물과 포이사를 이면으로한 직물로 제직한 충격흡수용 탄성을 가진 이중직튜브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0530B1 (ko)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
KR101839197B1 (ko) 공기 충전식 보드 구조체의 제조방법
JP2011511174A (ja) 製織方法、ならびに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織機
MX2021013257A (es) Tela de permeabilidad ultrabaja y alta resistencia en la costura y metodos para elaborarla.
CN105077847A (zh) 一种鞋面成型工艺
ES2392988T3 (es) Procedimiento para la separación de un tubo flexible hueco
KR100853117B1 (ko) 공기부품성을 갖는 이중직물
KR101880224B1 (ko) 집진기용 필터와 이를 위한 필터백 제작 방법
JP5196545B2 (ja) タイヤコード織物用導布
US20010031592A1 (en) Wning cloth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2017160571A (ja) 強化繊維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101188203B1 (ko) 인조잔디매트의 원단제조방법
CN107604513B (zh) 结构稳定的织唛及其织造方法
CN213831461U (zh) 一种脚垫
KR20160023031A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원단
KR100829483B1 (ko) 공기부품성을 갖는 이중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