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942B1 - Apparatus for Exercis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xerc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942B1
KR101799942B1 KR1020160058960A KR20160058960A KR101799942B1 KR 101799942 B1 KR101799942 B1 KR 101799942B1 KR 1020160058960 A KR1020160058960 A KR 1020160058960A KR 20160058960 A KR20160058960 A KR 20160058960A KR 101799942 B1 KR101799942 B1 KR 101799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user
unit
power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병안
Original Assignee
권병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병안 filed Critical 권병안
Priority to KR102016005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9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9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9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kne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xercise equipment, comprising: a power device generating power; and an exercis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n arc motion by receiv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device, wherein the equipment is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surface of a user so that the user can move in a state where at least two joints of the users lower limbs are bent when the user is seated.

Description

운동기구{Apparatus for Exercise}Apparatus for Exercise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휜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tness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tness apparatus for correcting a bowing leg.

휜 다리(Bow-legs, Knock-Knee)라 함은, 오다리("O"자형 다리) 또는 안장다리로 흔히 알려져 있으며 무릎 사이가 벌어져 보이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신체적 변형은 무릎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무릎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엉덩이 관절(Coxa, 고관절)을 비롯하여 골반(Pelvis, 骨盤)과 발목관절에서도 변형이 나타나게 된다. Bow-legs (Knock-Knee) are commonly known as legs ("O" -shaped legs) or saddle legs, which are seen between the knees. These physical deformities are not only seen in the knee but also in the pelvis (the pelvis) and the ankle joint, as well as in the hip joint (Coxa), which is closely connected to the knee.

다시 말하자면, 골반과 하체를 연결해주고 있는 고관절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면, 허벅지를 이루고 있는 대퇴골(大腿骨, Femur)이 틀어지는 원래의 정렬상태가 깨지게 되어 이와 연결된 무릎관절(Knee joint, 슬관절)에도 변화가 일어나 결국에는 두 슬관절이 활처럼 휘어 다리가 벌어져 보이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발목에도 영향을 주어 발끝이 안쪽을 향해 틀어져 안장걸음을 걷게 된다. In other words, if the hip joint connecting the pelvis and lower body is displaced from its normal position, the original alignment of the femur (femur), which is formed by the thigh, is broken, and the knee joint (Knee joint) In the end, the two knees are bent like a bow, so that the legs are visible. Moreover, it also affects the ankle, and the toe is turned toward the inside, and the saddle is walked.

참고로, 출산 직후의 신생아들은 모두 "O"자형 다리를 가진다. 그러나 2세 정도로 신체가 성장하면 곧은 다리가 되었다가, 2세부터 6세까지는 약간의 "X"자형 다리를 가지게 되고, 대략 4세에서 6세 정도부터 곧은 다리를 회복한다. For reference, newborn babies immediately after birth have "O" shaped legs. However, when the body grows to about 2 years old, it becomes a straight leg. From 2 years old to 6 years old, it has a little "X" -shaped leg and restores straight leg from about 4 years old to 6 years old.

허나, 휜 다리가 나타날 나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 휜 다리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우리 몸이 정상적이지 못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몸 스스로가 휜 다리를 만들었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 몸의 정상적이지 못한 변화를 고쳐주기만 한다면 자연스럽게 정상적인 다리 형태를 회복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fingers continue to grow, even though the fingers are not of the age to appear, we may have built our own legs to adapt to unusual changes. Therefore, we can naturally regain normal leg shape if we fix the unusual change of our body.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휜 다리가 단순히 신체적인 변형 정도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신체의 올바르지 못한 정렬은 "부정렬증후군"이라 하여 두발로 섰을 때 체중부하가 한 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으로 더 많은 부하를 받는 해당 관절이 빠른 퇴행성 변화와 함께 통증을 함께 유발하게 된다는 점이다. 또한, 척추의 만곡에도 영향을 주어 "척추후만증(脊椎後彎症)"이 나타날 수 있으며 평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더불어, 신체적인 질병유발의 문제로써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성들에게 있어 간과할 수 없는 외모적 컴플렉스(complex)와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로 이루어진다. The problem here is that the fin legs do not just end up with a degree of physical deformation, but the incorrect alignment of the body is called "partial alignment syndrome" This rapid degenerative change causes pain together. It also affects the curvature of the vertebrae, leading to "vertebrae" (spine vertebrae) and can cause flat feet. In addition, it is not only a problem of inducing physical illness, but also a mental stress such as an appearance complex that women can not overlook.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0-20대 여성들 10명 중 절반 이상은 "O"자형 다리를 가지고 있으나, 만만치 않은 치료비용 및 치료시간 등등의 여건 때문에 상당수가 교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statistics, more than half of the 10 women in their 10-20s in Korea have "O" shaped legs, but many have not been corrected because of unfavorable treatment costs and treatment time.

현재에는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운동장치(또는 교정장치)가 없어 종아리나 허벅지 부위를 끈으로 묶어 교정하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At present, there is no exercise device (or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solving all of these problems, and therefore, it relies on a method of calibrating a calf or a thigh by tying 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반 스트레스(valgus stress)를 최소화하고, 하지 관절의 균형을 조절하여 골반균형을 맞추도록 제어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tness device that minimizes valgus stress and controls the balance of the lower limbs to balance the pelvis.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인의 도움없이도 스스로 하체 교정이 가능하며, 하체 교정을 간단하고 편안하게 구현하도록 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tness apparatus which can perform lower body correction by itself without assistance of others, and can easily and comfortably perform lower body cor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 장치; 및 상기 동력 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원호 운동이 수행 가능한 운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장치는, 사용자가 안착시 상기 사용자의 하지(下肢) 중 적어도 두 개의 관절에 굴곡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동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안착면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tn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unit for generating power; And a mo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rcuate movement by receiv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device, wherein the exercise device is capable of performing motion in a state where at least two joints of the user's lower limbs are flexed when the user is seated And is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user.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 장치는, 한 쌍이 상기 안착면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하지를 운동시키는 운동바;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하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사용자의 고관절과 무릎관절에 굴곡이 발생하도록 또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에 굴곡이 발생하도록, 상기 한 쌍의 운동바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xercising device may include a motion bar, a pair of which is extended up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and moves the base of the user; And a seat portion on which the user's legs are seated, wherein the seat por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flex the knee joint and the ankle joint so that bending occurs in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of the user, And may exten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ovement bar.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바는, 상기 사용자의 하지를 운동시키는 운동 프레임; 및 상기 운동 프레임과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운동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안착부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위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tion bar may include a motion frame for moving the user's lower limb; And a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connecting the moving frame and the seating unit, wherein the seating unit is vertically movably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지가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 및 상기 안착 프레임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하지가 상기 안착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에서 좌우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위치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at portion includes a seat frame on which the user's foot is seated; And a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extending upward from the seating frame and connected to the seating frame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so that the base of the user can be fixed to the seating frame.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 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발생된 상하 운동을 상기 원호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운동 장치로 전달하는 변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version device that converts the up and down motion generated by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power device into the circular motion and transmits the circular motion to the motion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변환 장치는, 상기 동력장치로부터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운동을 발생시키는 상하운동부; 및 상기 상하운동부로부터 상기 상하 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원호 운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원호 운동을 상기 운동 장치로 전달하는 원호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version device may include: a vertical movement part that receives the power from the power device and generates vertical motion; And an arcuate motion unit that receives the up / down motion from the up / down motion unit to generate the circular motion, and transmits the circular motion to the motion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운동부는, 상기 동력장치의 구동축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에서 발생되는 회전 운동을 전달받는 회전운동부; 및 상기 회전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운동부로부터 상기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상하 운동을 발생시키는 제1 운동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p-and-down motion unit includes: a rotary motion unit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power unit and receiving rotational motion generated from the drive shaft; And a first motion converting part connected to the rotating part and receiving the rotational motion from the rotational part to generate the up / down motion.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운동부는, 스크류(Screw)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운동변환부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tat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screw and may be screwed with the first motion converting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원호운동부는, 상기 제1 운동변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운동변환부로부터 상기 상하 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원호 운동을 발생시키는 제2 운동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ircular motion unit may include a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and receiving the up / down motion from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to generate the circular mo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운동변환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운동변환부에 상기 원호운동의 회전 중심점을 가지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운동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 may have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to have a rotation center point of the circular motion,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exercise devic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눕거나 엎드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은, 상기 베드에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bed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user can lie down or upside down, and the seating surface may be formed in the bed.

구체적으로, 상기 베드는, 상기 사용자의 상부가 안착되는 상부 베드; 및 상기 사용자의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 베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베드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이 인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ed comprises: an upper bed o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user is seated; And a lower bed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user is seated, wherein the upper bed may be formed with a hole into which the face of the user can be inserted.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 장치의 운동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 상기 운동 장치의 운동 시간을 제어하는 시간 제어부; 및 상기 제1 위치조절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위치 조절부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a spe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motion of the exercise device; A tim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movement time of the exercise device; And a posi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position adjuster or the second position adjuster.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장치 또는 상기 운동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운동장치의 원호 운동을 정의하는 원호 운동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ower unit or the exercise device, the housing may include an arc motion line defining an arc motion of the exercise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장치는, 모터(Motor)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ower unit may be a motor.

구체적으로, 상기 두 개의 관절의 굴곡은, 60도 내지 120도 이내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bending of the two joints may be within 60 to 120 degrees.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안착시 상기 하지가 'ㄱ'의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사용자의 안착면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xercise device may be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surface of the user so that the lower leg has a shape of 'a' when the user is seated.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운동할 때 고관절 굴곡과 무릎관절 굴곡이 발생하도록 설계되어 하지가 받는 중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의 회전력이 극대화되어 외반 스트레스(valgus stress)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generate hip joint flexion and knee joint flexion when exercising in a lying posture, minimizing gravity applied to the lower limbs, maximiz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knee joint and ankle joint, stress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하체 교정시 타 부위에 별도의 힘을 요구하지 않아, 정확한 하체 교정이 구현가능하고 교정시 와식(臥式)으로 교정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편안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orce on the other parts during the lower body calibration, accurate lower body calibration can be implemented and correction can be performed by a worm type during calibration,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기계장치를 통해 교정이 수행되어 타인의 도움없이도 스스로 교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calib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mechanical device and can be calibrated by itself without the help of oth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단계별로 교정강도를 선택할 수 있어 교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교정뿐만아니라 하체의 운동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rrecting the correction strength by selecting the correction strength at each step,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not only the correction but also the lower body mo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지도록 구현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게 구동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xercis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o be adapted to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user, and can be driven to suit various body conditions of the user, thereby widening the range of choices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내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제어부 개념도이다.
도 10에서 (a)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좌우로 벌리는 등장성 운동을 수행하는 수행도이고, (b)는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좌우로 벌리는 등장성 운동을 수행하는 수행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tn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right side view of a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fitn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fitn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of a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diagram of a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internal view of a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a fitn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0, (a) shows an isometric exercise performed by the user in a lying position, and FIG. 10 (b) shows an isometric exercise in which the user spreads left and right in a prone posi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저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사용도이다. 2 is a right side view of a fitn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view of a fitn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of the fitness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of a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 Fig. 6 is a use diagram of a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도 1 내지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1)는, 베드(10), 구동 장치(20) 및 운동 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to 7, the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ed 10, a drive device 20, and an exercise device 30. [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각 구성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through FIG.

베드(10)는, 상부 베드(101) 및 하부 베드(102)로 구성되어 지지대(11)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됨과 함께 지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U)가 눕거나 엎드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사용자(U)가 안착하는 면인 안착면(S)이 형성될 수 있다.The bed 10 is composed of an upper bed 101 and a lower bed 102 and is spaced from the ground by the support 11 and can be supported from the ground, And the seating surface S, which is the surface on which the user U is seated, can be formed.

상부 베드(101)는, 베드(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사용자(U)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다. The upper bed 10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d 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ser U can be seated.

구체적으로, 상부 베드(101)는, 윗면에는 사용자(U)가 안착하는 안착면(S)이 형성되고, 아랫면에는 지지대(11)가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하측에는 하부 플랫폼(102)이 마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ed 101 is formed with a seating surface S on which the user U is seated, and a support table 11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ed 101, (Not shown).

또한, 상부 베드(101)는, 사용자(U)의 안면이 인입될 수 있는 홀(12)이 구성될 수 있다. 홀(12)은, 사용자(U)가 엎드려서 하지의 운동을 수행할 경우에 사용자(U)가 호흡이 편하도록 하기위해 상부 베드(101)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형성되며,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일 수 있다. Further, the upper bed 101 may be formed with a hole 12 through which the face of the user U can be inserted. The hole 12 is forme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bed 101 to allow the user U to relax in breathing when the user U performs a lower limb movement and its shape is not limited Preferably circular.

하부 베드(102)는, 베드(10)의 하측에 위치하며, 사용자(U)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다. The lower bed 102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ed 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ser U can be seated.

구체적으로, 하부 베드(102)는, 윗면에는 사용자(U)가 안착하는 안착면(S)이 형성되고 아랫면에는 지지대(11)가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상측에는 상부 베드(101)가 마련되고, 하측에는 구동 장치(20) 및 운동 장치(30)가 마련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ed 102 is formed with a seating surface S on which the user U is seated, and a support table 11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ed 10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urface. 101 and a driving device 20 and an exercise device 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상기에서 상부 및 하부 베드(101,102)의 형상은, 직육면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U)가 안착하기에 편한 형상이면 족하다.The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beds 101 and 102 may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동 장치(20)는, 동력 장치(25)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운동 장치(30)에 전달하여 운동 장치(30)가 원호 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변환 장치(21), 제어부(22), 하우징(23), 스위치(24) 및 동력 장치(2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driving device 20 can transmit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device 25 to the exercising device 30 so that the exercising device 30 can perform the arcuate motion. The driving device 20 includes the converting device 21, the control part 22, A housing 23, a switch 24, and a power unit 25. [

구동 장치(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구동장치(20)의 내부도를 도시한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driving device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showing an internal view of the driving device 20.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내부도이다. 8 is an internal view of a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변환 장치(21)는, 동력 장치(2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발생된 상하운동을 원호운동으로 변환시켜 운동 장치(3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하운동부(211) 및 원호운동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ducer 21 includes a vertically moving part 211 and a circular motion part 212. The vertically moving part 211 and the circular motion part 2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ransducer 21, can do.

여기서 변환 장치(21)는, 두 단계의 운동 변환과정을 거칠 수 있다. 먼저 동력 장치(25)로부터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상하운동으로 변환시킨 후(1차 변환), 최종적으로 상하운동을 원호운동으로 변환(2차 변환)시킬 수 있다. 1차 변환은 상하운동부(211)에서 구현되며, 2차 변환은 원호운동부(212)에서 구현되며 이에 대해서 하기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 the conversion device 21 can undergo a two-step motion conversion process. First, the rotational motion generated from the power unit 25 is converted into up / down motion (first conversion), and finally, the up / down motion is converted into circular motion (second conversion). The primary transformation is implemented in the up / down motion unit 211, and the secondary transformation is implemented in the circular motion unit 212,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하운동부(211)는, 동력 장치(2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운동을 발생시키고(1차 변환), 발생된 상하 운동을 원호운동부(212)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1 운동변환부(211a)와 회전운동부(211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and-down motion unit 211 receives the power from the power unit 25 to generate up-and-down motion (primary convers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up and down motion to the circular motion unit 212. The up- And a turning part 211b.

제1 운동변환부(211a)는, 회전운동부(211b)와 연결되며, 회전운동부(211b)로부터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하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운동변환부(211a)는, 내부에 나사산(도시하지 않음; 일례로 암나사산)이 구성된 중공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회전운동부(211b)와 수직하게 나사결합할 수 있다. The first motion converting portion 211a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portion 211b and can receive the rotating motion from the rotating portion 211b to generate the up-and-down motion. At this time, the first motion converting portion 211a may have a hollow portion (not shown) formed therein with a thread (not shown) (for example, a female thread) and screwed vertically to the rotating portion 211b .

구체적으로, 제1 운동변환부(211a)는, 중앙에 홀이 형성된 중공부가 마련되고, 중공부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구성되어 회전운동부(211b)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치합됨으로써 회전운동부(211b)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운동부(211b)에서 전달되는 회전운동이 나사의 결합운동에 의해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게 됨으로써, 운동의 1차 변환이 발생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motion converting portion 211a is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formed with a hole at the center there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mountain so as to engage with a male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portion 211b, As shown in Fig. As a result, the rotary motion transmitted from the rotary motion unit 211b is converted into the vertical motion by the engagement motion of the screw, thereby causing the primary conversion of the motion.

회전운동부(211b)는, 동력 장치(25)의 구동축(부호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되며, 구동축에서 발생되는 회전운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회전운동부(211b)는, 스크류(Screw)로 형성되어 제1 운동변환부(211a)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The rotary motion portion 211b is connected to a drive shaft (not shown) of the power unit 25 and can receive rotational motion generated from the drive shaft. At this time, the rotary motion part 211b may be formed of a screw and may be screwed to the first motion conversion part 211a.

구체적으로, 회전운동부(211b)는, 구동축의 형성방향과 나란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산(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이 제1 운동변환부(211a)의 암나사산과 치합됨으로써 제1 운동변환부(211a)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운동변환부(211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운동부(211b)의 회전운동이 상하운동으로 변환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turning portion 211b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parallel to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and is formed with a male screw thread (not shown)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 motion converting portion 211a by screwing. As a result,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onal part 211b is converted into the up-down motion as described in the first motion converting part 211a.

일례로 동력 장치(2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운동부(211b)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운동변환부(211a)가 회전운동부(211b)로부터 시계방향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나사의 결합운동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게된다. For example, when the power unit 25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rotary motion unit 211b also rotates clockwise, and the first motion conversion unit 211a receives a clockwise rotation motion from the rotary motion unit 211b And is moved upward by the engagement motion of the screw.

반대로 동력 장치(2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운동부(211b)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운동변환부(211a)가 회전운동부(211b)로부터 반시계방향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나사의 결합운동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Conversely, when the power unit 25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rotary motion unit 211b also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first motion conversion unit 211a rotates counterclockwise from the rotary motion unit 211b And is moved downward by the coupling motion of the screw.

원호운동부(212)는, 상하운동부(211)로부터 상하 운동을 전달받아 원호 운동을 발생시키고(2차 변환), 발생된 원호 운동을 운동 장치(3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2 운동변환부(212a,b) 및 회전 고정구(212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ircular motion unit 212 receives the up and down motion from the up and down motion unit 211 to generate the circular arc motion (secondary conversion), and can transmit the generated circular arc motion to the motion device 30, 212a, b, and a rotating fixture 212c.

제2 운동변환부(212a,b)는, 제1 운동변환부(211a)와 연결되며, 제1 운동변환부(211a)로부터 상하운동을 전달받아 원호운동(A)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운동변환부(212a,b)는, 회전 고정구(212c)를 통해 제1 운동변환부(211a)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운동변환부(211a)의 상하운동을 원호운동(A)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s 212a and 212b are connected to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211a and can receive the up and down movement from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211a to generate the circular motion A '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s 212a and 212b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211a through the rotating fastener 212c so that the up and down motions of the first moving converting unit 211a are circularly moved (A).

구체적으로, 제2 운동변환부(212a,b)는, 한 쌍의 바(bar) 형태로 구성되어 각각의 한 쌍의 일측이 제1 운동변환부(211a)에 원호운동(A)의 회전 중심점을 가지도록 회전 고정구(212c)를 통해 제1 운동변환부(211a)와 한 점에서 연결되고, 타측이 각각 한 쌍의 운동 프레임(311)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고정구(212c)는, 제1 운동변환부(211a)와 한 점에서 연결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의 점에서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 고정구(212c)는 한 개가 아니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s 212a and 212b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air of bars, and one pair of the pair of the first and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s 212a and 212b has the rotation center point of the circular motion A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pair of moving frames 311,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s 211a and 211b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rotating fixture 212c. Although the rotary fixture 212c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211a at one poin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nected at a plurality of points. That is, a plurality of the rotary fixtures 212c may be provided instead of one.

회전 고정구(212c)는, 제1 운동변환부(211a)와 제2 운동변환부(212a,b)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제2 운동변환부(212a,b)의 각각의 일측만을 고정하여, 제1 운동변환부(211a)의 상하운동이 제2 운동변환부(212a,b)에 토크를 발생시키게 하고, 발생된 토크가 제2 운동변환부(212a,b)의 회전을 수행시켜 제2 운동변환부(212a,b)의 원호운동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2차 변환이 발생하게 된다. The rotary fixture 212c rotatably fixes the first motion converting portion 211a and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portions 212a and 212b while fixing only one side of each of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portions 212a and 212b Up and down motion of the first motion converting portion 211a causes torque to be generated in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portion 212a, b, and the generated torque makes the rotation of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portion 212a, b By performing the circular motion of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sections 212a and 212b, a quadratic transformation of the motion occurs.

일례로 제1 운동변환부(211a)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운동변환부(212a,b) 중 좌측 제2 운동변환부(212a)는 반시계방향으로, 우측 제2 운동변환부(212b)는 시계방향으로 원주운동을 하게되어, 한 쌍의 운동 프레임(311)이 사용자(U)에게 벌림운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211a moves upward, the left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 212a of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s 212a and 212b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 right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 212b May perform a circumferential movement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a pair of the motion frames 311 may cause the user U to perform the opening motion.

반대로, 제1 운동변환부(211a)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 운동변환부(212a,b) 중 좌측 제2 운동변환부(212a)는 시계방향으로, 우측 제2 운동변환부(212b)는 반시계방향으로 원주운동을 하게되어, 한 쌍의 운동 프레임(311)이 사용자(U)에게 모음운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211a moves downward, the left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 212a of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s 212a and 212b clockwise and the right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 212b, So that a pair of motion frames 311 can cause the user U to perform vowel motion.

제어부(22)는, 구동 장치(20)를 제어하여 운동 장치(30)의 속도 또는 시간을 제어하거나, 제1 위치조절부(312) 및 제2 위치조절부(322)를 제어할 수 있고, 중앙처리장치(CPU) 등의 칩으로 형성되어 제어 객체와 전기,전자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2 can control the speed or time of the exercise device 30 by controlling the driving device 20 or can control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part 312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part 322, And may be formed as a chip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can be controlled by being electrically and electron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object.

제어부(2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구동장치(20)의 내부도를 도시한 도 8 및 제어부(22)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the control unit 22 and the internal view of the drive unit 20. As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의 내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의 제어부 개념도이다. FIG. 8 is an internal view of a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a fitn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22)는, 제1 위치조절부(312) 및 제2 위치조절부(322)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221), 운동 장치(30)의 운동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222) 및 운동 장치(30)의 운동 시간을 제어하는 시간 제어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2 includes a position control unit 221 for controlling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12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322, a speed controlling unit 222 for controlling the moving speed of the exercise device 30, And a time control unit 223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time of the device 30. [

위치 제어부(221)는, 제1 위치조절부(312) 및 제2 위치조절부(322)와 기계적 및 전기, 전자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U)의 하지의 사이즈(size)에 맞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조절부(312) 및 제2 위치조절부(322)는 유압식으로 형성되어 제어될 수도 있다. The position control unit 221 is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and electron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12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322 to control the size of the base of the user U have. Here,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portion 312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portion 322 may be formed to be hydraulic and controlled.

구체적으로 위치 제어부(221)는, 안착프레임(321)의 위치가 사용자(U)의 대퇴부 길이에 맞춰짐으로써 족부가 안착프레임(321)에 편안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제1 위치조절부(312)를 상하측방향(B)으로 위치 제어할 수 있고, 안착프레임(321)에 족부가 견착될 수 있도록, 제2 위치조절부(322)를 좌우방향(C)으로 위치제어할 수 있다. The position control unit 221 controls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312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at frame 321 to the thigh length of the user U so that the foot can be comfortably positioned on the seat frame 321. [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portion 322 can be contro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C so that the foot frame can be attached to the seat frame 321. [

속도 제어부(222)는, 동력장치(25)와 전기, 전자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장치(25)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U)의 운동강도에 맞추어 운동 장치(3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speed control unit 222 can control the speed of the exercise device 30 in accordance with the exercise intensity of the user U by being electrically and electron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device 25 to control the power device 25. [

구체적으로, 속도 제어부(222)는, 사용자(U)가 큰 운동강도를 원하는 경우, 동력장치(25)의 발생동력을 증가시켜 운동 프레임(311)에 발생되는 토크를 증가시킴으로써, 운동 프레임(311)의 원호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U)가 작은 운동강도를 원하는 경우, 동력장치(25)의 발생동력을 감소시켜 운동 프레임(311)에 발생되는 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운동 프레임(311)의 원호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속도 제어부(222)는, 동력장치(25)의 발생동력을 점진적인 증가 또는 감소, 단속적인 증가 또는 감소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Specifically, the speed control section 222 increases the generating power of the power unit 25 to increase the torque generated in the moving frame 311, thereby increasing the driving frame 311 By reducing the generated power of the power unit 25 and reducing the torque generated in the moving frame 311 when the user U desires a small exercise intensity, 311 can be reduced. At this tim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peed control unit 222 can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the generated power of the power unit 25, or intermittently increase or decrease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unit 25.

시간 제어부(223)는, 동력장치(25)와 전기, 전자적으로 연결되어 동력장치(25)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U)의 운동시간에 맞추어 운동장치(3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time control unit 223 can control the speed of the exercise device 30 in accordance with the exercise time of the user U by being electrically and electron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device 25 to control the power device 25. [

구체적으로, 시간 제어부(223)는, 사용자(U)가 일정시간만의 운동시간을 원하는 경우, 동력장치(25)의 발생동력을 사용자(U)가 설정한 기설정시간만 발생시키고 기설정시간 이후에는 동력의 발생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ime control unit 223 generates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unit 25 only at the preset time set by the user U, when the user U wants the exercise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after,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stop the generation of the power.

상기 속도 및 시간 제어부(222,223)는 서로 조합되어 제어될 수 있으며, 또한, 위치 제어부(221)는, 속도 및 시간 제어부(222,223)와 병행하여 제어될 수 있다. The speed and time control units 222 and 223 can be controll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position control unit 221 can be controlled in parallel with the speed and time control units 222 and 223.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2)를 통해서 단계별로 교정강도를 선택할 수 있어 교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교정뿐만 아니라 하체의 운동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ibration intensity can be selected step by step through the control unit 22, so that the calibration can be accurately performed, and not only the calibration but also the lower body motion can be implemented.

하우징(23)은, 구동 장치(20)의 외면을 형성하며 변환 장치(21), 제어부(22) 및 동력 장치(25)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운동 장치(30)의 적어도 일부만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23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transducer 21, the control unit 22 and the power unit 25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unit 20 an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exercise unit 30 .

구체적으로, 하우징(23)은,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직육면체의 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변환장치(21), 제어부(22) 및 동력장치(25)가 내장될 수 있고, 운동 프레임(311)의 적어도 일부가 내재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ousing 23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ell shape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The internal space may include a conversion device 21, a control unit 22, and a power unit 25, and at least a part of the moving frame 311 may be internal.

즉, 운동프레임(311)이 하우징(23)의 내부공간에 내장된 제2 운동변환부(212a,b)와 연결됨으로써,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23)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가 하우징(23)의 상측 외부로 운동 프레임(311)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moving frame 311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tion converting portion 212a, b, which is built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3,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moving frame 311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3, A moving frame 31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23.

또한, 하우징(23)은, 운동장치(30)가 원호운동할 수 있도록 좌 및 우 원호 운동 라인(231,232)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23 can be formed with left and right arc motion lines 231 and 232 so that the motion device 30 can perform arc motion.

좌 원호 운동라인(231)은, 하우징(23)의 상측에 운동 장치(30)와 구동 장치(20)가 연결되는 근방에 형성되며, 운동 장치(30)의 좌측 원호운동(A)을 정의하도록 하우징(23)의 상부 중앙에서 상부 좌측으로 라인 형태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left circular arc motion line 231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23 to which the motion device 30 and the drive device 20 are connected and defines the left circular motion A of the motion device 30 A line-shaped hole may be formed from the upper center of the housing 23 to the upper left.

구체적으로, 좌 원호 운동라인(231)은, 하우징(23)의 상측에 운동 프레임(311)이 좌측 제2 운동변환부(212a)와 연결되는 근방에 형성되며, 운동 프레임(311)의 좌측 원호운동(A)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eft circular arc motion line 231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23 in which the moving frame 311 is connected to the left second motion converting section 212a, A range of motion (A) can be defined.

우 원호 운동라인(232)은, 좌 원호 운동라인(231)과 방향만 반대일뿐, 그 외에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ince the right circular motion line 232 is opposite to the left circular motion line 231 only in the other direction, the description is omitted.

스위치(24)는, 구동 장치(20)의 가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온-오프(On-Off)동작을 통해 외부에서 동력 장치(25)로의 전력의 공급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The switch 24 can control whether the drive device 20 is in operation or not and more specifically can control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from the outside to the power device 25 through an on- have.

즉, 스위치(24)는 온(On)동작시 외부로부터 동력 장치(25)로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을 개시하도록 제어하고, 오프(Off)동작시 외부로부터 동력 장치(25)로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을 중단하도록 제어한다. That is, the switch 24 controls to start supply of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power unit 25 during the on operation, and controls the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power unit 25 during off operation To stop the supply.

동력 장치(25)는, 스위치(24)의 온(On)동작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며 스위치(24)의 오프(Off)동작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중단시켜 동력발생을 중단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동력은 바람직하게 회전 운동일 수 있다. The power unit 25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N operation of the switch 24 to generate power and stops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off operation of the switch 24, The generation can be stopped. Where the power may preferably be a rotational motion.

동력 장치(25)는, 일례로 모터(Motor)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이면 모두 가능하다. The power unit 25 may be, for example, a mo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power.

운동 장치(30)는, 동력 장치(25)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원호 운동을 수행하며, 사용자(U)가 안착시 사용자(U)의 하지(下肢) 중 적어도 두 개의 관절에 굴곡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동가능하도록, 사용자(U)의 안착면(S)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하지란 인체의 하체, 즉 인체의 다리부분을 말할 수 있으며, 하지의 관절에는 고관절(ux), 무릎관절(uy) 및 발목관절(uz)이 포함될 수 있다. The exercising device 30 performs the arcuate movement by receiv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device 25 and generates a bending motion in at least two of the lower limbs of the user U when the user U is seated (S) of the user (U) so as to be movable in a state where the user (U) Here, the leg is the lower body of the human body, that is, the leg portion of the human body, and the joint of the lower leg may include the hip joint (ux), the knee joint (uy), and the ankle joint (uz).

구체적으로, 운동 장치(30)는, 한 쌍이 안착면(S)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사용자(U)의 하지를 운동시키는 운동바(31), 및 사용자(U)의 하지가 안착되는 안착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xercising apparatus 30 includes a pair of moving bars 31 extending up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S for moving the base of the user U and a seat on which the legs of the user U are seated (32). ≪ / RTI >

운동바(31)는, 사용자(U)의 하지를 운동시키는 한 쌍의 운동 프레임(311), 및 운동 프레임(311)과 안착부(32)를 연결하며 운동 프레임(311)으로부터 안착부(32)가 상하이동(B)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위치조절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tion bar 31 includes a pair of motion frames 311 for moving the base of the user U and a connection portion 322 for connecting the motion frame 311 and the mount portion 32, And a first position adjuster 312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on adjuster 312 and the second position adjuster 312 to be movable up and down.

운동 프레임(311)은, 동력 장치(25)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원호운동하고, 사용자(U)의 하지와 맞닿아 사용자(U)에게 상기 원호운동을 전달함으로써 사용자(U)의 휜다리가 교정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oving frame 311 receives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unit 25 and performs arc motion and transmits the circular motion to the user U by abutting against the base of the user U, So that it can be calibrated.

일례로 운동 프레임(311)은, 좌측 운동 프레임(311) 및 우측 운동 프레임(311)으로 한 쌍 마련되며, 좌측 운동 프레임(311) 및 우측 운동 프레임(311)이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원호운동을 하는 경우, 사용자(U)의 하지가 좌측 및 우측 프레임(311)의 원호운동에 저항함으로써, 하지가 벌림 운동 및 모음 운동(등장성 운동(isotonic exercise) 또는 동적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air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frames 311 and 311 is provided in the moving frame 311. The left and right moving frames 311 and 31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houlder motion and the vowel motion (isotonic exercise or dynamic motion) can be performed by the base of the user U resisting the circular motion of the left and right frames 311. [

또한, 운동 프레임(311)은, 사용자(U)가 베드(10)에 누운자세(supine)로 안착시 사용자(U)의 고관절(hip joint; ux)과 무릎관절(Knee joint; uy)에 굴곡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동가능하도록 또는 사용자(U)가 베드(10)에 엎드린자세(prone)로 안착시 사용자(U)의 무릎관절(uy)과 발목관절(ankle joint; uz)에 굴곡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동가능하도록 사용자(U)의 안착면(S)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도 7 및 도 10 참조)The motion frame 311 may be formed by flexing a hip joint ux and a knee joint uy of the user U when the user U is seated in a supine position on the bed 10, The knee joint of the user U and the ankle joint are bent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U is able to mov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U is in a sitting position or in a prone position where the user U is lying on the bed 10 And can be extend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surface S of the user U so as to be able to move on the user side (see Figs. 7 and 10)

이때, 사용자(U)의 각 관절의 굴곡은, 60도 내지 120도 이내(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일 수 있으며, 사용자(U)가 안착시 하지가 'ㄱ'의 형상을 가지도록 사용자(U)의 안착면(S)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ending of each joint of the user U may be within 60 to 120 degrees (preferably, about 90 degrees), and the user U may have a shape of ' U of the seating surface S,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운동 프레임(311)을 통해서 사용자(U)는 고관절(ux) 굴곡과 무릎 관절(uy) 굴곡이 대략 90도 또는 무릎관절(uy) 굴곡과 발목관절(uz) 굴곡이 대략 90도가 발생된 상태에서 운동하게 되어, 사용자(U)의 휜다리 교정 운동시 고관절(ux), 무릎관절(uy) 및 발목관절(uz)의 회전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외반 스트레스(valgus stress) 또한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exercise frame 31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U can see that the ux flexion and knee flexion are approximately 90 degrees or the knee flexion and the uz flexion are approximately 90 degrees (U), the knee joint (Uy), and the ankle joint (Uz) can be maximized when the user U is in a corrective motion of the foot, and the valgus stress There is an effect of being minimized.

휜 다리가 발생하는 원인은 골반 비틀림과 고관절(ux), 무릎관절(uy) 및 발목관절(uz)의 영향을 받아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휜 다리 발생원인을 역으로 고려하여 고관절(ux), 무릎관절(uy) 및 발목관절(uz)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골반 균형을 교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U)의 휜다리 교정 운동시 고관절(ux), 무릎관절(uy) 및 발목관절(uz)의 회전력이 극대화하여 휜 다리 교정을 극대화하고, 외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교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도 7 및 도 10 참조) The cause of fin legs is caused by pelvic torsion and the effects of hip (ux), knee joint (uy) and ankle joint (uz).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ntemplates reversing the cause of the fingernails and correcting the pelvis balance by adjusting the balance between the hip joint (ux), the knee joint (uy) and the ankle joint (uz). As described above, (Ux), knee joint (uy), and ankle joint (uz) are maximized during the bending of the leg (U) to maximize the bending leg correction and minimize the valgus stress and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orrection. (See Figs. 7 and 10)

제1 위치조절부(312)는, 운동 프레임(311)의 하측에 구비되어 운동 프레임(311)과 안착부(32)를 연결하며 운동 프레임(311)으로부터 안착부(32)가 상하이동(B)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part 312 is provided below the moving frame 311 and connects the moving frame 311 and the seating part 32.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part 312 moves the moving part 311 from the moving frame 311 up and down ).

제1 위치조절부(312)는, 위치 제어부(221)와 전기, 전자적 및 기계적(유압식)으로 연결되어 상하이동(B)이 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U)가 직접 조임쇠(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상하이동(B) 후 고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unit 312 may be connected to the position control unit 221 by electric, electronic, or mechanical (hydraulic)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B) (B)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B).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위치조절부(312)를 통해서 사용자(U)의 신체조건에 맞춰지도록 운동기구(1)가 구현되므로, 다양한 사용자(U)의 신체조건에 적합하게 구동될 수 있어, 사용자(U)의 선택의 폭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xercise machine 1 is implemented to match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U through the first position adjuster 312,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ange of selection of the user U is increased.

안착부(32)는, 사용자(U)의 고관절(ux)과 무릎관절(uy)에 굴곡이 발생하도록 또는 사용자(U)의 무릎관절(uy)과 발목관절(uz)에 굴곡이 발생하도록 한 쌍의 운동바(31)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seat part 32 is formed so that a bend is generated in the hip joint ux and knee joint uy of the user U or in the knee joint uy and the ankle joint uz of the user U Can be extend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exercise bars (31).

구체적으로 안착부(32)는, 한 쌍 마련되며 사용자(U)의 하지가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321), 및 한 쌍 마련되며 안착 프레임(321)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 위치조절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eat portion 32 includes a pair of seat frames 321 provided with a pair of seats on which the legs of the user U are seated, and a pair of second positioning portions 321, 322 < / RTI >

안착 프레임(321)은, 사용자(U)가 누운 자세(supine)에서 사용자(U)의 고관절(ux)과 무릎관절(uy)에 굴곡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동가능하도록 또는 사용자(U)가 엎드린 자세(prone)에서 사용자(U)의 무릎관절(uy)과 발목관절(uz)에 굴곡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동가능하도록 한 쌍의 운동바(31) 각각의 임의의 지점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The seat frame 321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U to mov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U is bent in the hip joint ux and the knee joint uy of the user U in a supine position, is formed to extend leftward or rightward from any point of each of the pair of motion bars 31 so as to be movable in a state in which the knee joints uy of the user U and the ankle joint uz are bent in a prone manner .

안착 프레임(321)은, 제1 위치조절부(312)에 의해 사용자(U)가 누운 자세(supine)에서 사용자(U)의 고관절(ux)과 무릎관절(uy)에 굴곡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동가능한 운동 프레임(311) 상의 위치 또는 사용자(U)가 엎드린 자세(prone)에서 사용자(U)의 무릎관절(uy)과 발목관절(uz)에 굴곡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동가능한 운동 프레임(311) 상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The seat frame 321 is moved in the state where the user U is bent in the hip joint ux and the knee joint uy of the user U in the supine position by the first position adjuster 312, (U) of the user (U) and the ankle joint (Uz)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U is in a prone position or on the motion frame 311 Position.

이를 통해 사용자(U)는 족부를 안착 프레임(321)에 편안하게 안착한 후 등장성 운동이 가능하게되어 휜다리 교정 운동에만 힘이 사용되도록 할 수 있고, 하체 교정시 타 부위에 별도의 힘을 요구하지 않아, 정확한 하체 교정이 구현가능하고 교정시 와식(臥式)으로 교정이 이루어져 사용자(U)의 편안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allows the user U to comfortably place the foot on the seat frame 321 and then perform isotonic motion, so that the force can be used only for the bending of the foot, and a separate force is required for the other parts (U) can be implemented, and the correction can be performed by the worm type at the time of calibration, thereby maximizing the comfort of the user (U).

제2 위치조절부(322)는, 한 쌍의 안착 프레임(321) 각각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U)의 하지가 안착부(32)에 견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portion 322 is extended upward from each of the pair of seat frames 321 so that the base of the user U can be attached to the seat portion 32.

또한, 제2 위치조절부(322)는, 사용자(U)의 하지가 사이즈에 맞게 안착 프레임(321)에 견착될 수 있도록 안착 프레임(321)에서 좌우 이동(C)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position adjuster 322 may be connected to the seat frame 321 so as to move left and right (C) so that the base of the user U can be attached to the seat frame 321 according to the size.

제2 위치조절부(322)는, 위치 제어부(221)와 전기, 전자적 및 기계적(유압식)으로 연결되어 좌우이동(C)이 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U)가 직접 조임쇠(부호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좌우이동(C) 후 고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second position adjuster 322 may be electrically and electronically and mechanically (hydraul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on controller 221 so that the second position adjuster 322 can move left and right (C) (C) and then perform the fixation after moving left and right (C).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위치조절부(322)를 통해서 사용자(U)의 신체조건에 맞춰지도록 운동기구(1)가 구현되므로, 다양한 사용자(U)의 신체조건에 적합하게 구동될 수 있어, 사용자(U)의 선택의 폭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xercise device 1 is implemented through the second position adjuster 322 to match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U,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ange of selection of the user U is increased.

운동 장치(30)의 운동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A method of exercising the exercise device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에서 (a)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좌우로 벌리는 등장성 운동을 수행하는 수행도이고, (b)는 사용자가 엎드린 자세에서 좌우로 벌리는 등장성 운동을 수행하는 수행도이다. In FIG. 10, (a) shows an isometric exercise in which the user spreads right and left in a lying position, and (b) shows an isometric exercise in which a user spreads left and right in a lying position.

먼저, 사용자(U)가 베드(10)에 안착후 족부를 안착프레임(321)에 위치시킨다. 이때, 사용자(U)가 베드(10)에 눕는 경우 운동자세는 도 10의 (a)와 같고, 사용자(U)가 베드(10)에 엎드리는 경우 운동자세는 도 10의 (b)와 같다. First, the user U is placed on the bed 10, and then the foot is placed on the seat frame 321. 10 (a). When the user U lies on the bed 10, the exercise posture is the same as that of FIG. 10 (b).

이후 사용자(U)가 제어부(22)를 통해서 족부를 체형에 맞게 위치시켜 안착프레임(321)에 안착시키고, 다시 제어부(22)를 통해 운동 강도 및 시간을 선택한다. Thereafter, the user U places the foot part on the seat frame 321 through the control part 22 and selects the exercise intensity and time through the control part 22 again.

이후, 동력장치(25)에 의해 운동장치(30)가 원호운동(A)을 수행하면, 사용자(U)는 휜다리의 교정운동 또는 하체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exercise device 30 performs the circular motion A by the power device 25, the user U performs a calibrating motion or a lower body motion of the swinging leg.

이때, 좌측 및 우측 운동 프레임(311)이 좌우로 벌어지게되면, 사용자(U)의 하지는 운동프레임(311)의 원호 운동 중 좌우 벌어짐 운동에 저항함으로써 모음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U)의 내전이나 내회전 근육들은 등장성 수축을 하면서 길이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운동효과가 발휘된다. At this time, when the left and right motion frames 311 are widened to the left and right, the base of the user U resists the right and left widening motions during circular motion of the moving frame 311, thereby performing vowel motion. As a result, the muscular endurance or inner rotation of the user U is elongated while being isotropically contracted, whereby the exercise effect is exerted.

또한, 좌측 및 우측 운동 프레임(311)이 모아지게 되면, 사용자(U)의 하지는 운동프레임(311)의 원호 운동 중 모음 운동에 저항함으로써 벌림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로 인해 사용자(U)의 외전이나 외회전 근육들은 등장성 수축을 하면서 길이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운동효과가 발휘된다. In addition, when the left and right motion frames 311 are collected, the base of the user U performs an opening motion by resisting the vowel motion during the circular motion of the motion frame 311. [ As a result, the abduction or external rotation of the user U is elongated while being isotropically contracted, thereby exercising the exercise effect.

이상 상기에서 살펴본 각 구성들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기구(1)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realiz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1)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운동할 때 고관절(ux) 굴곡과 무릎관절(uy) 굴곡이 발생하도록 설계되어 하지가 받는 중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무릎관절(uy)과 발목관절(uz)의 회전력이 극대화되어 외반 스트레스(valgus stress)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generate ux flexion and knee flexion when exercising in a lying position to minimize gravity applied to the lower limb, And the torque of the ankle joint (uz) is maximized, so that valgus stress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1)는, 하체 교정시 타 부위에 별도의 힘을 요구하지 않아, 정확한 하체 교정이 구현가능하고 교정시 와식(臥式)으로 교정이 이루어져 사용자(U)의 편안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orce on the other part when performing lower body calibration, so that an accurate lower body calibration can be implemented and calibration is performed in a worm type during the calibration,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comf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1)는, 기계장치를 통해 교정이 수행되어 타인의 도움없이도 스스로 교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xercise machin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calib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mechanical device and can be calibrated by itself without the help of othe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1)는, 단계별로 교정강도를 선택할 수 있어 교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교정뿐만 아니라 하체의 운동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calibration strength can be selected for each step, so that the calibration can be accurately performed, and the exercise of the lower body as well as the calibration can be real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1)는, 사용자(U)의 신체조건에 맞춰지도록 구현되어 다양한 사용자(U)의 신체조건에 적합하게 구동될 수 있어, 사용자(U)의 선택의 폭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xercis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o be adapted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U and driven to suit the physical conditions of various users U, There is an enlargement effect.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운동기구 10: 베드
101: 상부 베드 102: 하부 베드
11: 지지대 12: 홀
20: 구동 장치 21: 변환 장치
211: 상하 운동부 211a: 제1 운동변환부
211b: 회전 운동부 212: 원호 운동부
212a,b: 제2 운동변환부 212c: 회전 고정구
22: 제어부 221: 위치 제어부
222: 속도 제어부 223: 시간 제어부
23: 하우징 231: 좌 원호 운동라인
232: 우 원호 운동라인 24: 스위치
25: 동력 장치 30: 운동 장치
31: 운동바 311: 운동 프레임
312: 제1 위치조절부 32: 안착부
321: 안착 프레임 322: 제2 위치조절부
S: 안착면 A: 원호 운동 궤적
B: 제1 위치조절부 조절궤적 C: 제2 위치조절부 조절궤적
U: 사용자 ux: 고관절
uy: 무릎관절 uz: 발목관절
1: exercise device 10: bed
101: upper bed 102: lower bed
11: support 12: hole
20: driving device 21: converting device
211: Up and down motion part 211a:
211b: rotational movement part 212: circular motion part
212a, b: second motion converting section 212c:
22: control unit 221: position control unit
222: speed control section 223: time control section
23: housing 231: left circular motion line
232: right circular motion line 24: switch
25: power unit 30: exercise unit
31: Exercise bar 311: Exercise frame
312: first position adjustment unit 32:
321: a seat frame 322:
S: Seat face A: Circular motion locus
B: Adjusting locus of first position adjusting portion C: Adjusting locus of second position adjusting portion
U: User ux: Hip
uy: knee joint uz: ankle joint

Claims (17)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
사용자가 안착시 상기 사용자의 하지(下肢) 중 적어도 두 개의 관절에 굴곡이 발생한 상태에서 운동가능하도록, 상기 사용자의 안착면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동력 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원호 운동이 수행 가능한 운동장치; 및
상기 동력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발생된 상하 운동을 상기 원호 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운동장치로 전달하는 변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A power unit for generating power;
And a control unit that is extended above the seating surface of the user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 state in which at least two joints of the user's lower limbs are flexed when the user is seated and receives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device, An exercise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this exercise; And
And a conversion device for converting the up and down motion generated by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power device into the circular motion and delivering the motion to the exercis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장치는,
한 쌍이 상기 안착면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하지를 운동시키는 운동바;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하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사용자의 고관절과 무릎관절에 굴곡이 발생하도록 또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무릎관절과 발목관절에 굴곡이 발생하도록, 상기 한 쌍의 운동바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moving bars extending upward from the seating surface for moving the base of the user; And
And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base of the user is seated,
The seat (1)
Wherein the joint member is extend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exercise bars so that flexion occurs in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of the user or flexion occurs in the knee joint and the ankle joint of the us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바는,
상기 사용자의 하지를 운동시키는 운동 프레임; 및
상기 운동 프레임과 상기 안착부를 연결하며, 상기 운동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안착부가 상하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3. The apparatus of claim 2,
A motion frame for moving the user's lower limb; And
And a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connecting the moving frame and the seating unit and connecting the seating unit from the moving fram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지가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 및
상기 안착 프레임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상기 하지가 상기 안착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프레임에서 좌우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위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seat according to claim 3,
A seat frame on which the legs of the user are seated; And
And a second position adjuster extending upward from the seat frame and connected to the seat frame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so that the base of the user can be fixed to the seat fram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장치는,
상기 동력장치로부터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 운동을 발생시키는 상하운동부; 및
상기 상하운동부로부터 상기 상하 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원호 운동을 발생시키고, 상기 원호 운동을 상기 운동 장치로 전달하는 원호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vertically moving part that receives the power from the power unit and generates a vertical motion; And
Further comprising an arcuate motion unit that receives the up and down movement from the up and down motion unit to generate the circular motion and transmits the circular motion to the exercise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운동부는,
상기 동력장치의 구동축과 연결되며, 상기 구동축에서 발생되는 회전 운동을 전달받는 회전운동부; 및
상기 회전운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운동부로부터 상기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상하 운동을 발생시키는 제1 운동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7] The apparatus of claim 6,
A rotatable part connected to a drive shaft of the power unit and receiving rotational motion generated from the drive shaft; And
And a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coupled to the rotational unit and receiving the rotational motion from the rotational unit to generate the up / down mo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부는,
스크류(Screw)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운동변환부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And is screwed with the first motion converting par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운동부는,
상기 제1 운동변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운동변환부로부터 상기 상하 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원호 운동을 발생시키는 제2 운동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And a second motion converting unit connected to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and receiving the up / down motion from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to generate the circular mo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동변환부는,
일측이 상기 제1 운동변환부에 상기 원호운동의 회전 중심점을 가지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운동장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1] The apparatus of claim 9,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motion converting unit so as to have a rotation center point of the circular mo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exercis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눕거나 엎드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은,
상기 베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e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user can lie down or upside down,
The seat surface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formed on the b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는,
상기 사용자의 상부가 안착되는 상부 베드; 및
상기 사용자의 하부가 안착되는 하부 베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베드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이 인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12. The apparatus of claim 11,
An upper bed o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user is seated; And
And a lower bed o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user is seated,
Wherein the upper bed comprises:
And a hole through which the face of the user can be inserted is form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장치의 운동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부;
상기 운동 장치의 운동 시간을 제어하는 시간 제어부; 및
상기 제1 위치조절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위치 조절부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5. The method of claim 4,
A spe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peed of motion of the exercise device;
A tim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movement time of the exercise device; And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position adjusting unit or the second position adjus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 또는 상기 운동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운동장치의 원호 운동을 정의하는 원호 운동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ower device or the exercise device,
The housing includes:
And an arc motion line defining an arc motion of the exercis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장치는,
모터(Mo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power un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tor is a mo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관절의 굴곡은,
60도 내지 12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lexion of the two joints comprises:
60 < / RTI > to 120 < RTI ID = 0.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안착시 상기 하지가 'ㄱ'의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사용자의 안착면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ser's seat is formed so as to have a shape of 'A' when the user is seated.
KR1020160058960A 2016-05-13 2016-05-13 Apparatus for Exercise KR1017999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960A KR101799942B1 (en) 2016-05-13 2016-05-13 Apparatus for Exerc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960A KR101799942B1 (en) 2016-05-13 2016-05-13 Apparatus for Exerci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942B1 true KR101799942B1 (en) 2017-11-21

Family

ID=6080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960A KR101799942B1 (en) 2016-05-13 2016-05-13 Apparatus for Exerc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94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1432B2 (en) * 1997-03-19 2008-03-19 株式会社安川電機 Exercise therapy equipment
KR101614752B1 (en) * 2014-12-03 2016-04-22 김재익 Orthopedics Correc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1432B2 (en) * 1997-03-19 2008-03-19 株式会社安川電機 Exercise therapy equipment
KR101614752B1 (en) * 2014-12-03 2016-04-22 김재익 Orthopedics Correc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683B1 (en) Method for correcting pathological configurations of segments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device for realizing same
US6821288B2 (en) Automated therapy table and method therefor
US9205015B2 (en) Linear motion therapy device
JP6739625B2 (en) Varus knee correction device
EP1289470A2 (en) Combination pro/supination and flexion therapeutic mobilization device
US9539134B2 (en) Orthotic method and device for newborn babies
KR101287134B1 (en) Chiropractic and parasp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pparatus
KR20100050019A (en) Spinal correction device
KR101596477B1 (en) The lower extremity and spine joint exercise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for restoring the balance of the body
KR20090099497A (en) Hip joint flexibillity exercise divice
KR101848643B1 (en) Apparatus for correcting bowlegs
KR101035675B1 (en) The rehabilitative therapeutic device for the normalization of trunk and pelvic
KR20170066816A (en) Device for stretching ankles and calves
KR101799942B1 (en) Apparatus for Exercise
KR101666211B1 (en) A angular defomity correction device using air pressure
KR100388136B1 (en) Biomechanical Ankle foot Orthoses
CN110302000A (en) It is a kind of for intervening the dynamic orthotic appliance and method of children's hip anormogenesis
KR101272352B1 (en) Correction apparatus for lower body
KR101964790B1 (en) Joint correction device
KR20190010151A (en) The stretching apparatus of the lower leg muscle
KR20190135812A (en) Orthosis for pelvic and hip joint
KR101564501B1 (en) Device for maintaining correct posture
CN216676060U (en) Posture correction fixer for lower limbs
KR101417353B1 (en) The straightening device for bow legs
KR200450660Y1 (en) a device for pelvis corr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