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659B1 - 천공기 - Google Patents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659B1
KR101799659B1 KR1020157024133A KR20157024133A KR101799659B1 KR 101799659 B1 KR101799659 B1 KR 101799659B1 KR 1020157024133 A KR1020157024133 A KR 1020157024133A KR 20157024133 A KR20157024133 A KR 20157024133A KR 101799659 B1 KR101799659 B1 KR 101799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main body
wire insertion
bush
wir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573A (ko
Inventor
도시키 요코야마
겐지 오츠카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3542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9965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2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1Housing of the drill, e.g. handg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57Devices for securing hand tools to the work
    • B25H1/0064Stands attached to the workpiece
    • B25H1/0071Stands attached to the workpiece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36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02Use of a particular power source
    • B23B2270/022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4Drills for trepanning
    • B23B51/044Drills for trepanning with core hol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과제] 천공기의 리드선을, 만곡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리드선에 대한 부하가 작아지도록 배선한다.
[해결 수단] 천공기 (10) 의 본체부 (20) 내의 구동 제어 회로 (12) 와 천공 구동부 (30) 내의 모터 (36) 를 접속하는 리드선 (50) 을, 모터로부터 연장되어 본체부와 천공 구동부 사이의 리드선 삽입 통과로 (60) 를 통과하여 본체부 내의 리드선 수용부 (70) 내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시키고, 리드선 수용부 내에서 만곡되어 상방을 향하게 하고, 상방을 향한 부분 (52) 이 유지부 (84) 에 의해 유지되어, 구동 제어 회로에 도달하게 한다. 이로써, 천공 구동부 (30) 가 본체부 (20) 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리드선 (50) 의 일부가 리드선 수용부 (70) 로부터 리드선 삽입 통과로 (60) 내로 상방으로 송출되어 만곡된 부분 (54) 이 리드선 수용부 내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천공 구동부가 본체부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리드선이 그 반대의 움직임을 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천공기{DRILLING MACHINE}
본 발명은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는 천공 구동부에 형성된 모터에서부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된 구동 제어 회로에까지 배선된 리드선을 갖는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천공기는, 통상적으로 전원 회로나 구동 제어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부와, 그 본체부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장착된 천공 구동부를 구비하고 있다. 천공 구동부의 하부에는 드릴이나 환상 커터 등의 천공 공구를 장착하기 위한 천공 공구 장착부를 갖고, 그 상부에는 천공 공구 장착부에 장착된 천공 공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 모터에 전력이나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리드선이, 모터에서부터 본체 내부의 구동 제어 회로에까지 배선되어 있다. 천공 구동부가 본체부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면 모터도 본체부에 대해 상하로 움직여, 모터에서부터 구동 제어 회로까지의 거리 및 경로가 변화하기 때문에, 모터에 접속된 리드선은 이 상하로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갖고 휜 상태에서 배선되어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천공기에 있어서는,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와 천공 구동부 사이에 연장되는 리드선이, 당해 천공기의 외측을 통과하도록 배선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리드선에 물건을 걸거나 작업자가 리드선을 들고 천공기를 운반하거나 하는 등 하여, 리드선에 큰 부하가 걸려, 그 결과, 리드선이 단선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드선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선한 천공기도 개발되어 있다. 이 천공기에서는, 리드선의 천공 구동부로부터 나와 본체부 내로 들어가는 부분을 천공 구동부와 본체부 사이의 비교적으로 좁은 공간에서 만곡시키도록 하여 배선하고 있다. 만곡시켜 휨을 갖게 함으로써, 천공 구동부의 상하로의 움직임에 수반하는 모터에서부터 구동 제어 회로까지의 거리 변화를 허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리드선의 이 만곡된 부분은 본체부와 천공 구동부 사이의 좁은 공간에 형성되므로, 곡률 반경이 작은 것이 되고, 천공 구동부를 상하로 움직이도록 시켰을 때에는 이 만곡된 부분의 곡률이 크게 변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천공 구동부의 상하로의 움직임을 반복하여 실시하면, 리드선에 큰 응력이 반복하여 작용하여 피로가 축적되고, 그것에 의해 리드선이 단선될 우려가 있었다.
미국특허 5,342,153호 미국특허 5,415,503호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리드선의 만곡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또한 리드선에 대한 부하가 작아지도록 리드선이 배선된 천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구동 제어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부와,
천공 공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갖고, 본체부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장착된 천공 구동부와,
상기 모터에서부터 상기 구동 제어 회로에까지 연장되는 리드선을 구비하는 천공기로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천공 구동부 사이에는, 상기 리드선을 상하 방향에서 통과시키는 리드선 삽입 통과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리드선 삽입 통과로와 연통되는 리드선 수용부와, 당해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리드선의 일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모터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리드선 삽입 통과로를 통과하여 상기 리드선 수용부 내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리드선 수용부 내에서 만곡되어 상방을 향하고, 상방을 향한 부분이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어, 상기 구동 제어 회로에까지 도달하도록 배선되어 있고,
상기 천공 구동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상기 리드선의 일부가 상기 리드선 수용부로부터 상기 리드선 삽입 통과로 내로 상방으로 송출되어 상기 만곡된 부분이 상기 리드선 수용부 내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천공 구동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상기 리드선의 일부가 상기 리드선 삽입 통과로로부터 상기 리드선 수용부로 하방으로 송출되어 상기 만곡된 부분이 상기 리드선 수용부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된, 천공기를 제공한다.
이 천공기에 있어서는, 상하로 움직이는 천공 구동부의 모터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은, 본체부와 천공 구동부 사이에서 하방으로 그대로 연장되고, 또한 본체부에 형성된 리드선 수용부 내로 연장되어, 그 속에서 상방을 향하는 만곡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만곡부는 본체부와 천공 구동부 사이가 아니라 본체부 내에서 형성되므로, 그 곡률 반경을 큰 것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천공 구동부가 상하로 움직였을 때에 당해 만곡부에 발생하는 만곡의 변화는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대폭 작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서술한 종래 장치에 있어서의 리드선의 단선등의 문제를 대폭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드선 삽입 통과로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천공 구동부와의 사이의 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을 갖고, 그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이 상기 리드선을 상기 리드선 수용부 내에 하방을 향하여 연장시키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베이스부 슬라이딩면 및 베이스부 대향면을 갖는 슬라이드 베이스부와,
상기 천공 구동부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부 슬라이딩면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부 슬라이딩면, 및 상기 베이스부 대향면에 근접하여 대향하는 슬라이더부 대향면을 갖고,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이 상기 베이스부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드선 삽입 통과로가, 상기 슬라이더부 대향면에 형성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리드선을 상하 방향에서 통과시키는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으로서, 상기 베이스부 대향면에 형성된 상기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과 연통된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부가, 그 상단부에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부의 상기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내로 돌출되어 그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을 상측으로부터 막도록 된 볼록상 덮개부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리드선 삽입 통과로 내에 물이나 먼지 등이 잘 침입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부가 리드선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그 리드선 수용 용기의 내부 공간이 상기 리드선 수용부를 구성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드선 수용 용기가, 상기 리드선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양측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천공 구동부가 상하로 움직였을 때의 리드선의 만곡부의 측방으로의 이동이 양측면에 의해 제한되므로, 리드선의 만곡부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변화됨과 함께 만곡부의 형상도 안정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부가, 상기 리드선 수용 용기의 상면에 형성된 부시 장착 개구부와, 상기 부시 장착 개구부에 장착된 부시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드선이, 상기 부시에 통과되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시는, 상기 부시 장착 개구부에 걸어맞추는 환상의 장착홈을 외주면에 갖고 있고, 그 장착홈의 바닥부의 외경은 상기 부시 장착 개구부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상기 장착홈의 바닥부와 상기 부시 장착 개구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부시가 상기 리드선 수용 용기에 대해 기울어진 움직임 (Tilting, 傾動) 이 가능하게 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부시는, 리드선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경도 (傾倒) 되어, 리드선의 만곡부의 곡률의 변화를 더욱 작은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리드선으로의 부하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천공기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천공기의 천공 구동부가 상사점에까지 상승한 상태의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천공기의 천공 구동부가 하사점에까지 하강한 상태의 측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천공기의 상면도이다.
도 4 은 도 1 에 나타내는 천공기의 본체부와 천공 구동부를 분해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체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도 4 와는 다른 각도로부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유지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유지부의 부시가 좌측으로 경도된 상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유지부의 부시가 우측으로 경도된 상태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천공기 (1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제어 회로 (12) 를 본체 커버 (21) 에 덮인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부 (20) 와, 이 본체부 (20) 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는 천공 구동부 (30) 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 (20) 밑에는 마그넷 (22) 이 형성되어 있어, 철 등의 자성체로 된 부재에 자기 흡착되어 당해 천공기 (10) 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마그넷 (22) 과 본체부 (20) 사이에는 위치 조정 기구 (96) 가 형성되어 있어, 위치 조정 기구 (96)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위치 조정 핸들 (97) 을 돌림으로써 본체부 (20) 의 위치를 마그넷 (22) 에 대해 전후 좌우로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체부 (20) 의 상부에는 손잡이 (24) 가 형성되어 있어, 당해 천공기 (10) 를 운반하기 쉽게 되어 있다. 천공 구동부 (30) 의 하부에는 아버 (arbor) (33) 에 접속된 천공 공구 장착부 (32) 가 형성되어 있고, 드릴이나 환상 커터 등의 천공 공구 (34) 가 장착되어 있다. 아버 (33) 는 감속기 (도시하지 않음) 를 통하여 천공 구동부 (30) 의 상부의 모터 커버 (90) 내에 형성된 모터 (36) 에 연결되어 있고, 이 모터 (36) 에 의해 천공 공구 (34) 를 회전 구동하게 되어 있다. 본체부 (20) 로부터 모터 (36) 에 전력이나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리드선 (50) 은,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터 커버 (90) 내에서 모터 (36) 로부터 연장되어, 본체부 (20) 와 천공 구동부 (30) 사이에 형성된 리드선 삽입 통과로 (60) 를 통과하여 본체부 (20) 내의 리드선 수용부 (70) 에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이 리드선 수용부 (70) 내에서 만곡되어 상방을 향하고, 이 상방을 향한 부분 (52) 이 부시 (86) 로 이루어지는 유지부 (84) 에 의해 유지되어 구동 제어 회로 (12) 에까지 도달하도록 배선되어 있다. 본체부 (20) 에는 배터리 (98) 가 탑재되어 있고, 이 배터리 (98) 의 전력이 구동 제어 회로 (12) 에 의해 제어된 상태에서 리드선 (50) 을 통하여 모터 (36) 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20) 에는 도브테일 (dovetail) 홈 (41) 이 형성된 슬라이드 베이스부 (40) 가 고정되어 있다. 또, 도 3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공 구동부 (30) 에는 슬라이더부 (44) 가 고정되어 있고, 이 슬라이더부 (44) 는 슬라이드 베이스부 (40) 의 도브테일 홈 (41) 에 대응하는 형상을 한 슬라이드 레일 (45) 을 갖고 있다. 본체부 (20) 와 천공 구동부 (30) 는, 슬라이드 베이스부 (40) 의 베이스부 슬라이딩면 (42) (도 4) 과 슬라이더부 (44) 의 슬라이더부 슬라이딩면 (46) (도 5) 이 슬라이딩하여 걸어맞춰지도록 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슬라이드 베이스부 (40) 의 도브테일 홈 (41) 에는 베이스부 대향면 (43) 이 형성되고 (도 4), 또 슬라이더부 (44) 의 슬라이드 레일 (45) 에는 슬라이더부 대향면 (47) 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본체부 (20) 와 천공 구동부 (30) 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베이스부 대향면 (43) 과 슬라이더부 대향면 (47) 이 서로 근접하여 대향하고, 또 천공 구동부 (30) 에 형성된 래크 (48) (도 5) 와 본체부 (20) 에 형성된 피니언 (49) (도 4) 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걸어맞춘다. 본체부 (20) 의 핸들 장착부 (94) 에 떼어낼 수 있게 장착된 이송 핸들 (95) 을 돌림으로써 피니언 (49) 이 회전하고, 그것에 의해 천공 구동부 (30) 가 본체부 (20) 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또한, 핸들 장착부 (94) 는 본체부 (20) 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송 핸들 (95) 은 어느 핸들 장착부 (94) 에도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베이스부 (40) 의 베이스부 대향면 (43) 에는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이 상하 방향으로 상단부에서부터 중간의 위치에까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부 (44) 의 슬라이더부 대향면 (47) 에는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 (62) 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 (20) 와 천공 구동부 (30) 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이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 (62) 과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연통되고,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드선 삽입 통과로 (60) 를 형성한다.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 (62) 의 상단부에는 모터 (36) 를 덮는 모터 커버 (90) 의 내부로 연통되는 개구 (64) 가 형성되어 있고, 모터 (36) 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 (50) 이 그 개구 (64) 를 통과하여 리드선 삽입 통과로 (60) 내에 삽입 통과되게 되어 있다. 또,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의 하단부에는 본체부 (20) 의 내부에 있는 리드선 수용부 (70) 로 연통되는 본체 개구부 (65) 가 형성되어 있고, 리드선 삽입 통과로 (60) 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온 리드선 (50) 은, 이 본체 개구부 (65) 를 통과하여 리드선 수용부 (70) 내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게 되어 있다. 또한, 천공 구동부 (30) 에 형성된 래크 (48) 및 본체부 (20) 에 형성된 피니언 (49) 은, 각각 슬라이드 레일 (45) 및 도브테일 홈 (41) 의 중심으로부터 도 4 및 도 5 에서 보아 바로앞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62) 을 형성하기 위하여 장소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본체부 (20) 의 내부에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체적으로 직방체의 형상을 갖고, 전면 (前面) (73) 과 하면 (74) 이 개구되어 있는 리드선 수용 용기 (7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드선 수용 용기 (72) 는 L 자상의 시일 부재 (79) 를 개재하여, 본체부 (20) 의 전방 내면 (26) 의 시일면 (27) 과 하방 내면 (28) 에 대해 밀봉되어 걸어맞춰지도록, 본체부 (20) 에 나사 (92) 로 고정된다. 리드선 수용 용기 (72) 의 개구된 전면 (73) 은 시일 부재 (79) 의 개구부 (80) 를 통하여 본체 개구부 (65) (도 1, 도 4, 도 6) 와 연통되어 있고, 리드선 삽입 통과로 (60) 를 통과하여 온 리드선 (50) 을 그 내부 공간 (77) 의 리드선 수용부 (70) 에 수용하게 되어 있다. 리드선 수용 용기 (72) 의 상면 (76) 에는 부시 장착 개구부 (78) 가 형성되어 있고, 리드선 (50) 을 유지하는 유지부 (84) 로서 기능하는 부시 (86) 가 끼워넣어지도록 하여 장착되어 있다. 본체부 (20) 의 전방 내면 (26) 에 있어서의 리드선 수용 용기 (72) 의 전면의 하단에 위치하는 장소에는, 외부에까지 관통하는 배수구 (81) (도 1, 도 4, 도 6) 가 형성되어 있고, 리드선 수용 용기 (72) 내로 침입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선 삽입 통과로 (60) 로부터 리드선 수용부 (70) 내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온 리드선 (50) 은, 리드선 수용부 (70) 내에서 비교적으로 완만하게 만곡되어 상방을 향한다. 리드선 (50) 의 상방을 향한 부분 (52) 은 부시 (86) 에 의해 유지되고, 리드선 (50) 의 부시 (86) 로 유지된 부분 이후가 더욱 연장되어 구동 제어 회로 (12) 에까지 도달하도록 배선되어 있다.
천공 구동부 (30) 가 상사점에까지 상승한 상태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36) 로부터 연장되는 리드선 (50) 은,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 (62) 으로부터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을 통과하여, 본체 개구부 (65) 로부터 리드선 수용부 (70) 내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리드선 수용부 (70) 의 상측쪽에서 완만하게 만곡되어 부시 (86) 에까지 도달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이송 핸들 (95) 을 회전시켜 천공 구동부 (30) 를 도 2 의 하사점에까지 이동시켜 가면,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 (62) 은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이동한다. 그 때 리드선 (50) 은,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 (62) 에 대해서는 위치를 바꾸지 않고,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에 대해서는 천공 구동부 (30) 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리드선 수용부 (70) 내로 송출되어 간다. 그렇게 하면, 만곡부 (54) 의 위치는 서서히 하방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선 수용부 (70) 의 하측쪽으로까지 이동한다. 이 시점에 있어서도 만곡부 (54) 는, 리드선 수용부 (70) 를 구성하는 하방 내면 (28) 에는 접촉하지 않고, 여전히 완만한 만곡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천공 구동부 (30) 가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을 향하여 상방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 (62) 은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고, 천공 구동부 (30) 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리드선 (50) 은 리드선 수용부 (70) 내로부터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내로 상방으로 송출되어 가고, 만곡부 (54) 의 위치가 리드선 수용부 (70) 내에서 다시 상방으로 이동한다. 리드선 수용부 (70) 의 형상은, 이 리드선 (50) 의 만곡부 (54) 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게 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되어 있다. 또, 리드선 수용 용기 (72) 의 양측면 (75) 사이의 폭은, 리드선 (50) 의 폭보다 조금 커서 리드선 (50) 이 근접하는 크기로 되어 있어, 리드선 (50) 이 측방으로 굽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이로써, 천공 구동부 (30) 가 상하로 움직였을 때의 리드선 (50) 의 만곡부 (54) 의 위치가 항상 안정적으로 이동하고, 또 만곡부 (54) 의 형상도 안정되게 된다. 천공 구동부 (30) 의 슬라이더부 (44) 의 상단에는 슬라이드 베이스부 (40) 의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내로 연장되는 볼록상 덮개부 (82) (도 5) 가 형성되어 있고, 천공 구동부 (30) 가 본체부 (20) 에 대해 어느 위치에 있을 때에도,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의 리드선 (50) 이 통과하고 있는 장소를 상면에서 보아 막게 되어 있다. 이로써, 리드선 삽입 통과로 (60) 를 통하여 본체부 (20) 내에 물이나 먼지 등이 잘 침입되지 않게 하고 있다.
리드선 (50) 을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유지하고 있는 부시 (86)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환상의 장착홈 (87) 을 갖고 있고, 이 장착홈 (87) 이 리드선 수용 용기 (72) 의 부시 장착 개구부 (78) 에 끼워넣어짐으로써, 리드선 수용 용기 (72) 에 장착되어 있다. 장착홈 (87) 의 바닥부 (88) 의 외경은, 부시 장착 개구부 (78) 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어, 장착홈 (87) 과 부시 장착 개구부 (78)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되어 있어, 부시 (86) 는 리드선 수용 용기 (72) 에 대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 기울어진 움직임 (Tilting, 傾動) 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천공 구동부 (30) 가 상사점에까지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부시 (86) 에는 리드선 (50) 에 의해 반시계 반향의 모멘트가 가해지는데, 장착홈 (87) 과 부시 장착 개구부 (78)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시 (86) 는 약간 좌측으로 경도된다. 또, 천공 구동부 (30) 가 하사점에까지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시 (86) 에는 리드선 (50) 에 의해 시계 방향의 모멘트가 가해져, 부시 (86) 는 약간 우측으로 경도된다. 이와 같이, 리드선의 만곡 상태에 따라 부시 (86) 가 경도됨으로써, 리드선 (50) 의 만곡부 (54) 를 그 곡률이 큰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리드선 (50) 에 대한 부하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천공기 (10) 는, 리드선 (50) 이 모터 (36) 에서부터 구동 제어 회로 (12) 에 이를 때까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있으므로, 리드선 (50) 을 부주의하게 걸어 단선시킬 걱정이 없다. 또, 리드선 (50) 은, 모터 (36) 로부터 본체부 (20) 의 내부의 리드선 수용부 (70) 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에 있어서는, 천공 구동부 (30) 의 상하로의 움직임에 수반하는 변형이 거의 없도록 본체부 (20) 와 천공 구동부 (30) 사이에 배선되고, 그리고 공간적인 여유가 있는 본체부 (20) 의 내부의 리드선 수용부 (70) 에 있어서 비교적 완만한 만곡 상태를 유지한 채로, 천공 구동부 (30) 의 상하로의 움직임에 수반하는 모터 (36) 와 구동 제어 회로 (12)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리드선 (50) 에 대한 부하가 작아져 리드선의 단선의 가능성을 대폭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드선 삽입 통과로 (60) 가 제 1 및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62) 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는데, 본체부 (20) 측에 형성된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1) 만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 부시 (86) 의 장착홈 (87) 과 부시 장착 개구부 (78)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여 부시 (86) 가 경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시일성을 높일 목적으로 간극이 형성되지 않게 하여 밀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터리 (98) 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지만, 교류 전원을 구동원으로 해도 된다.
10 : 천공기 12 : 구동 제어 회로
20 : 본체부 21 : 본체 커버
22 : 마그넷 24 : 손잡이
26 : 전방 내면 27 : 시일면
28 : 하방 내면 30 : 천공 구동부
32 : 천공 공구 장착부 33 : 아버
34 : 천공 공구 36 : 모터
40 : 슬라이드 베이스부 41 : 도브테일 홈
42 : 베이스부 슬라이딩면 43 : 베이스부 대향면
44 : 슬라이더부 45 : 슬라이드 레일
46 : 슬라이더부 슬라이딩면 47 : 슬라이더부 대향면
48 : 래크 49 : 피니언
50 : 리드선 52 : 상방을 향한 부분
54 : 만곡부 60 : 리드선 삽입 통과로
61 :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62 :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
64 : 개구 65 : 본체 개구부
70 : 리드선 수용부 72 : 리드선 수용 용기
73 : 전면 74 : 하면
75 : 측면 76 : 상면
77 : 내부 공간 78 : 부시 장착 개구부
79 : 시일 부재 80 : 개구부
81 : 배수구 82 : 볼록상 덮개부
84 : 유지부 86 : 부시
87 : 장착홈 88 : 바닥부
90 : 모터 커버 92 : 나사
94 : 핸들 장착부 95 : 이송 핸들
96 : 위치 조정 기구 97 : 위치 조정 핸들
98 : 배터리

Claims (9)

  1. 구동 제어 회로를 내부에 구비하는 본체부와,
    천공 공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갖고, 본체부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장착된 천공 구동부와,
    상기 모터에서부터 상기 구동 제어 회로에까지 연장되는 리드선을 구비하는 천공기로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천공 구동부 사이에는, 상기 리드선을 상하 방향에서 통과시키는 리드선 삽입 통과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리드선 삽입 통과로와 연통되는 리드선 수용부와, 당해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리드선의 일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고,
    상기 리드선 삽입 통과로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천공 구동부와의 사이의 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과, 상기 천공 구동부의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의 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과 연통되는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을 갖고,
    상기 리드선은, 상기 모터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으로부터 상기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을 통과하여 상기 리드선 수용부 내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리드선 수용부 내에서 만곡되어 상방을 향하고, 상방을 향한 부분이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어, 상기 구동 제어 회로에까지 도달하도록 배선되어 있고,
    상기 천공 구동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상기 리드선의 일부가 상기 리드선 수용부로부터 상기 리드선 삽입 통과로 내로 상방으로 송출되어 상기 만곡된 부분이 상기 리드선 수용부 내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천공 구동부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상기 리드선의 일부가 상기 리드선 삽입 통과로로부터 상기 리드선 수용부로 하방으로 송출되어 상기 만곡된 부분이 상기 리드선 수용부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된 천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베이스부 슬라이딩면 및 베이스부 대향면을 갖는 슬라이드 베이스부와,
    상기 천공 구동부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부 슬라이딩면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부 슬라이딩면, 및 상기 베이스부 대향면에 근접하여 대향하는 슬라이더부 대향면을 갖고,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이 상기 베이스부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는 천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드선 삽입 통과홈이, 상기 슬라이더부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는 천공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가, 그 상단부에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부의 상기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 내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리드선 삽입 통과홈을 상측으로부터 막도록 된 볼록상 덮개부를 갖는 천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리드선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리드선 수용 용기의 내부 공간이 상기 리드선 수용부를 구성하고 있는 천공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수용 용기가, 상기 리드선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양측면을 갖는 천공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가, 상기 리드선 수용 용기의 상면에 형성된 부시 장착 개구부와, 상기 부시 장착 개구부에 장착된 부시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드선이, 상기 부시로 통과되어 유지되도록 된 천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상기 부시 장착 개구부에 걸어맞추는 환상의 장착홈을 외주면에 갖고 있고, 상기 장착홈의 바닥부의 외경은 상기 부시 장착 개구부의 내경보다 작게 되어, 상기 장착홈의 바닥부와 상기 부시 장착 개구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부시가 상기 리드선 수용 용기에 대해 기울어진 움직임 (Tilting, 傾動) 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천공기.
  9. 삭제
KR1020157024133A 2013-02-15 2014-02-14 천공기 KR101799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8270A JP5808765B2 (ja) 2013-02-15 2013-02-15 穿孔機
JPJP-P-2013-028270 2013-02-15
PCT/JP2014/053496 WO2014126206A1 (ja) 2013-02-15 2014-02-14 穿孔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573A KR20150114573A (ko) 2015-10-12
KR101799659B1 true KR101799659B1 (ko) 2017-11-20

Family

ID=5135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133A KR101799659B1 (ko) 2013-02-15 2014-02-14 천공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957370B1 (ko)
JP (1) JP5808765B2 (ko)
KR (1) KR101799659B1 (ko)
CN (1) CN104981312B (ko)
AU (1) AU2014216967B2 (ko)
TW (1) TWI540008B (ko)
WO (1) WO20141262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3364B2 (ja) * 2017-06-07 2022-05-23 株式会社マキタ せん孔装置
AU2020274440B2 (en) * 2019-05-10 2023-09-21 Nitto Kohki Co., Ltd. Portable machine tool
DE202020104161U1 (de) 2020-07-20 2021-10-21 C. & E. Fein Gmbh Bohrmas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5503A (en) 1994-05-02 1995-05-16 Jancy Engineering Company Portable drilling machine with internal motor control cor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7757A (en) * 1973-05-29 1974-09-24 A Levine Drill press
US5342153A (en) * 1993-05-14 1994-08-30 Dobkins Edward L Portable drill support with a work surface engaging base
GB2311028B (en) 1996-03-15 1999-10-13 Rotabroach Ltd Drilling machine
DE10340178B3 (de) * 2003-09-01 2005-04-07 Hilti Ag Elektrowerkzeug
DE102008050383A1 (de) * 2008-10-02 2010-04-08 Kolektor Group D.O.O.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s, handgeführtes Gerät
CN201493508U (zh) * 2009-06-01 2010-06-02 宁波新港工具有限公司 充电式电钻
JP5415159B2 (ja) * 2009-06-16 2014-02-12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5503A (en) 1994-05-02 1995-05-16 Jancy Engineering Company Portable drilling machine with internal motor control co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08765B2 (ja) 2015-11-10
EP2957370B1 (en) 2017-12-13
TW201501841A (zh) 2015-01-16
AU2014216967A1 (en) 2015-08-20
KR20150114573A (ko) 2015-10-12
CN104981312B (zh) 2017-03-08
EP2957370A1 (en) 2015-12-23
EP2957370A4 (en) 2016-09-28
AU2014216967B2 (en) 2016-08-04
TWI540008B (zh) 2016-07-01
WO2014126206A1 (ja) 2014-08-21
JP2014155989A (ja) 2014-08-28
CN104981312A (zh)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659B1 (ko) 천공기
KR101799662B1 (ko) 배터리식 천공기
ATE401173T1 (de) Haarschneidegerät
AR049674A1 (es) Recipiente contenedor de liquido a suministrar a un aparato de consumo de dicho liquido
EP1688046A1 (en) machine for making and dispensing ice drinks
US5415503A (en) Portable drilling machine with internal motor control cord
CN110114546B (zh) 车辆用窗玻璃升降机构
CN104588485A (zh) 安装于夹具上的冲孔装置以及冲压件的加工机构
JP6166973B2 (ja) 板材送り装置
KR20130072418A (ko) 공작기계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JP2016153673A (ja) 電動弁
JP7422359B2 (ja) テープ切断装置
JP5161033B2 (ja) 建具
CN104936732B (zh) 切断方法以及切断装置
JP2005163384A (ja) 吊り戸の下部振止装置
CN104812508B (zh) 切断装置以及切断方法
JP2005307672A (ja) ショーケース用ドア
JP7432866B2 (ja) テープ切断装置
JP4870966B2 (ja) サッシ
JP6468574B1 (ja) コード保持具
JP2008252994A (ja) 給電箱
JP6134150B2 (ja) 引戸装置
CN203891620U (zh) 窗锁
JP4143052B2 (ja) ネジ供給装置
WO2019123541A1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