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582B1 -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 - Google Patents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582B1
KR101799582B1 KR1020170023029A KR20170023029A KR101799582B1 KR 101799582 B1 KR101799582 B1 KR 101799582B1 KR 1020170023029 A KR1020170023029 A KR 1020170023029A KR 20170023029 A KR20170023029 A KR 20170023029A KR 101799582 B1 KR101799582 B1 KR 10179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vertical frame
membrane
anchor
righ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스트
주식회사 에스씨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스트, 주식회사 에스씨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스트
Priority to KR1020170023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Constructions, or methods of constructing,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14Sealing joints between adjacent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Paleont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앙카를 이용하여 막을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벽(9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고정기둥(102)과; 상기 내벽(98)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1직각수직프레임(104)과;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을 내벽(98)에 고정시키는 제1수직프레임고정앙카와;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고정기둥(102)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2직각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을 제1고정기둥(102)에 고정시키는 제2수직프레임고정앙카와;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과 제2직각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물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는 제1막(108)과;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의 일측에 제1막(108)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막고정앙카와;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제1막(108)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2막고정앙카와; 상기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바닥에 위치되는 제1직각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제1직각수평프레임(110)을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제1바닥고정앙카(112)와; 상기 제1직각수평프레임(110)의 일측에 제1막(108)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3막고정앙카(114)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Anchor Flow Guiding Wall System using Fabric}
본 발명은 도류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앙카를 이용하여 막을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 처리장과 같은 수처리장의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에는 구조물 표면의 부식을 방지하면서 부식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도록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시트를 시공하여 라이닝 처리를 함과 아울러 수처리장의 물의 처리 효과를 높이기 위해 물의 흐름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유도하여 수처리장에서 흐르는 물과 약품 간의 체류시간을 늘려서 처리효과를 극대화하고 기타 불순물의 침전시간을 증대시키는 도류벽이 설치된다.
상기 도류벽은, 수처리장이 건설과 함께 시공되는 일체형 콘크리트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일정 크기로 미리 제작된 후에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시공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방식으로 시공되는 도류벽은, 거푸집과 철근 설치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거푸집의 해체로 이어지는 일련의 공정으로 인하여 전반적인 공사기간이 늘어남은 물론 새롭게 설치하거나 변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3년 03월 14일자 출원번호 제10-2013-0027132호(발명의 명칭 : 수처리장의 도류벽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로 특허청에 출원된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수처리장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기둥구조물이 구성되고, 상기 기둥구조물 및 수처리장의 측벽과 바닥면을
합성수지 시트로 마감한 후, 수처리장의 바닥면과 기둥구조물에 도류벽을 설치하는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류벽의 하단부와 바닥면에 마감된 합성수지 시트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부와; 상기 기둥구조물 및 도류벽의 중간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중간연결부와; 상기 도류벽의 상단부를 수용하여 연결하는 상부연결부와; 상기 하,중,상부 연결부와 도류벽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하부연결부 중 측면이 면접촉되는 한 쌍의 도류벽에 중첩되도록 하부연결부에 안착되면서 바닥면 마감된 합성수지 시트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바닥고정부와; 상기 상부연결부와 수처리장의 천정을 연결하여 도류벽의 유동을 방지하는 천정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의 도류벽 조립구조. " 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수처리장의 도류벽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은 시트(또는 막)를 확실하게 고정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시트를 다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앙카를 이용하여 막을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은,
내벽(9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고정기둥(102)과;
상기 내벽(98)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1직각수직프레임(104)과;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을 내벽(98)에 고정시키는 제1수직프레임고정앙카와;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고정기둥(102)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2직각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을 제1고정기둥(102)에 고정시키는 제2수직프레임고정앙카와;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과 제2직각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물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는 제1막(108)과;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의 일측에 제1막(108)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막고정앙카와;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제1막(108)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2막고정앙카와;
상기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바닥에 위치되는 제1직각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제1직각수평프레임(110)을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제1바닥고정앙카(112)와;
상기 제1직각수평프레임(110)의 일측에 제1막(108)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3막고정앙카(114)와;
상기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천장(96)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1막(108)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제1막(108)의 처짐을 방지해 주는 제1처짐방지수단(116)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앙카를 이용하여 막을 확실하게 고정시킴으로써, 막을 다시 설치하지 않아도 때문에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처짐방지수단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처짐방지수단의 요부 분해도,
도 6은 도 2의 처짐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처짐방지수단의 요부 분해도,
도 8은 도 6의 처짐방지수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분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의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100)은,
천장(96)과;
상기 천장(96)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내벽(98)과;
상기 내벽(9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고정기둥(102)과;
상기 내벽(98)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1직각수직프레임(104)과;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을 내벽(98)에 고정시키는 제1수직프레임고정앙카(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고정기둥(102)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2직각수직프레임(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을 제1고정기둥(102)에 고정시키는 제2수직프레임고정앙카와;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과 제2직각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물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는 제1막(108)과;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의 일측에 제1막(108)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막고정앙카(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제1막(108)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2막고정앙카(도시는 생략함 )와;
상기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바닥에 위치되는 제1직각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제1직각수평프레임(110)을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제1바닥고정앙카(112)와;
상기 제1직각수평프레임(110)의 일측에 제1막(108)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3막고정앙카(114)와;
상기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천장(96)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1막(108)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제1막(108)의 처짐을 방지해 주는 제1처짐방지수단(116)과;
상기 제1고정기둥(1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고정기둥(118)과;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고정기둥(102)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3직각수직프레임(120)과;
상기 제3직각수직프레임(120)을 제1고정기둥(102)에 고정시키는 제3수직프레임고정앙카(122)와;
상기 제3직각수직프레임(1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고정기둥(118)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4직각수직프레임(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제4직각수직프레임을 제2고정기둥(118)에 고정시키는 제4수직프레임고정앙카(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3직각수직프레임(120)과 제4직각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물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는 제2막(124)과;
상기 제3직각수직프레임(120)의 일측에 제2막(124)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4막고정앙카(126)와;
상기 제4직각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제2막(124)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5막고정앙카(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1고정기둥(102)과 제2고정기둥(118) 사이의 바닥에 위치되는 제2직각수평프레임(128)과;
상기 제2직각수평프레임(128)을 제1고정기둥(102)과 제2고정기둥(118) 사이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제2바닥고정앙카(130)와;
상기 제2직각수평프레임(128)의 일측에 제2막(124)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6막고정앙카(132)와;
상기 제1고정기둥(102)과 제2고정기둥(118) 사이의 천장(96)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2막(124)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제2막(124)의 처짐을 방지해 주는 제2처짐방지수단(134)과;
상기 제2고정기둥(11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3고정기둥(136)과;
상기 제4직각수직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고정기둥(118)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5직각수직프레임(138)과;
상기 제5직각수직프레임(138)을 제2고정기둥(118)에 고정시키는 제5수직프레임고정앙카(140)와;
상기 제5직각수직프레임(13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3고정기둥(136)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6직각수직프레임(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제6직각수직프레임을 제3고정기둥(136)에 고정시키는 제6수직프레임고정앙카(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5직각수직프레임(138)과 제6직각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물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는 제3막(142)과;
상기 제5직각수직프레임(138)의 일측에 제3막(142)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7막고정앙카(144)와;
상기 제6직각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제3막(142)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8막고정앙카(도시는 생략함)와;
상기 제2고정기둥(118)과 제3고정기둥(136) 사이의 바닥에 위치되는 제3직각수평프레임(146)과;
상기 제3직각수평프레임(146)을 제2고정기둥(118)과 제3고정기둥(136) 사이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제3바닥고정앙카(148)와;
상기 제3직각수평프레임(146)의 일측에 제3막(142)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9막고정앙카(150)와;
상기 제2고정기둥(118)과 제3고정기둥(136) 사이의 천장(96)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3막(142)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제3막(142)의 처짐을 방지해 주는 제3처짐방지수단(1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제3처짐방지수단(116, 134, 152)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96)에 설치되는 천장앙카(154)와;
상기 천장앙카(15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제1막, 제2막, 제3막(108, 124, 142)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156)와;
상기 천장앙카(154)의 일단부와 고정부(156)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천장앙카(154)와 고정부(156) 사이 간격을 가까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제1막, 제2막, 제3막(108, 124, 142)의 텐션(tension)을 조절해 주는 턴바클(15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56)는,
상기 턴바클(158)에 나사 결합 되는 볼트(160)와;
상기 볼트(160)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 되는 연결판(162)과;
상기 연결판(162)에 결합 되되, 하단부에 돌기(164)를 구비하여 막(108, 124, 142)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제1가압판(166)과;
상기 연결판(162)에 결합 되되, 제1가압판(166)의 돌기(164)를 관통공(168)에 삽입시켜 막(108, 124, 142)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제2가압판(170)을 포함한다.

한편, 도 6은 도 2의 처짐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처짐방지수단의 요부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처짐방지수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제3처짐방지수단(116, 134, 152)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천장(96)에 설치되는 천장앙카(154)와;
상기 천장앙카(15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제1막, 제2막, 제3막(108, 124, 142)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156)와;
상기 천장앙카(154)의 일단부와 고정부(156)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천장앙카(154)와 고정부(156) 사이 간격을 가까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제1막, 제2막, 제3막(108, 124, 142)의 텐션(tension)을 조절해 주는 턴바클(158)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56)는,
상기 턴바클(158)에 나사 결합 되는 볼트(160)와;
상기 볼트(160)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 되는 연결판(162)과;
상기 연결판(162)에 결합 되되, 삽입공(172)을 구비하여 제1막, 제2막, 제3막(108, 124, 142)의 상단부가 삽입공(172)에 끼움 되도록 하는 끼움체결부(17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설치과정은 설치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내벽(9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고정기둥(102)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내벽(98)의 일측에 수직으로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을 위치시킨 후, 제1수직프레임고정앙카로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을 내벽(98)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고정기둥(102)의 일측에 수직으로 제2직각수직프레임(도시는 생략함)을 위치시킨 후, 제2수직프레임고정앙카로 제2직각수직프레임을 제1고정기둥(102)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과 제2직각수직프레임 사이에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물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는 제1막(108)을 위치시킨 후, 제1막고정앙카로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의 일측에 제1막(108)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한다.

그리고, 제2막고정앙카로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제1막(108)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바닥에 제1직각수평프레임(110)을 위치시킨 후, 제1바닥고정앙카(112)로 제1직각수평프레임(110)을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바닥에 고정한다.

그리고, 제3막고정앙카(114)로 상기 제1직각수평프레임(110)의 일측에 제1막(108)의 하단부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천장(96) 일측에 제1처짐방지수단(116)을 설치한 후, 제1처짐방지수단(116)의 일측을 제1막(108)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처짐방지수단(116)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천장앙카(154)을 천장(96)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천장앙카(15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볼트(160)와 연결판(162)과 돌기(164)를 구비하여 제1막(108)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제1가압판(166)과 관통공(168)을 구비하여 제1막(108)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제2가압판(170)을 포함한 고정부(156)를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부(156)를 제1막(108)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막(108)의 텐션(tension)을 조절해 주는 턴바클(158)을 천장앙카(154)와 고정부(156)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턴바클(158)의 일측에 천장앙카(154)를 설치한 후, 턴바클(158)의 타측에 고정부(158)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막(108)이 팽팽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기둥(1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고정기둥(118)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고정기둥(102)의 일측에 제3직각수직프레임(120)을 위치시킨 후, 제3수직프레임고정앙카(122)로 제3직각수직프레임(120)을 제1고정기둥(102)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3직각수직프레임(1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고정기둥(118)의 일측에 제4직각수직프레임을 위치시킨 후, 제4수직프레임고정앙카로 제4직각수직프레임을 제2고정기둥(118)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3직각수직프레임(120)과 제4직각수직프레임 사이에 정체하지 않도록 물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는 제2막(124)을 위치시킨 후, 제4막고정앙카(126)로 제3직각수직프레임(120)의 일측에 제2막(124)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한다.
그리고, 제5막고정앙카로 상기 제4직각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제2막(124)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기둥(102)과 제2고정기둥(118) 사이의 바닥에 제2직각수평프레임(128)을 위치시킨 후, 제2바닥고정앙카(130)로 제2직각수평프레임(128)을 제1고정기둥(102)과 제2고정기둥(118) 사이의 바닥에 고정한다.

그리고, 제6막고정앙카(132)로 상기 제2직각수평프레임(128)의 일측에 제2막(124)의 하단부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기둥(102)과 제2고정기둥(118) 사이의 천장(96) 일측에 제2처짐방지수단(134)을 설치한 후, 제2처짐방지수단(134)의 일측을 제2막(124)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처짐방지수단(134)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천장앙카(154)을 천장(96)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천장앙카(15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볼트(160)와 연결판(162)과 돌기(164)를 구비하여 제1막(108)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제1가압판(166)과 관통공(168)을 구비하여 제1막(108)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제2가압판(170)을 포함한 고정부(156)를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부(156)를 제1막(108)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막(108)의 텐션(tension)을 조절해 주는 턴바클(158)을 천장앙카(154)와 고정부(156)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턴바클(158)의 일측에 천장앙카(154)를 설치한 후, 턴바클(158)의 타측에 고정부(158)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막(124)이 팽팽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기둥(11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3고정기둥(136)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4직각수직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고정기둥(118)의 일측에 제5직각수직프레임(138)을 위치시킨 후, 제5수직프레임고정앙카(140)로 제5직각수직프레임(138)을 제2고정기둥(118)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5직각수직프레임(13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3고정기둥(136)의 일측에 제6직각수직프레임을 위치시킨 후, 제6수직프레임고정앙카로 제6직각수직프레임을 제3고정기둥(136)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5직각수직프레임(138)과 제6직각수직프레임 사이에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물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는 제3막(142)을 위치시킨 후, 제7막고정앙카(144)로 제5직각수직프레임(138)의 일측에 제3막(142)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한다.
그리고, 제8막고정앙카로 상기 제6직각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제3막(142)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기둥(118)과 제3고정기둥(136) 사이의 바닥에 제3직각수평프레임(146)을 위치시킨 후, 제3바닥고정앙카(148)로 제3직각수평프레임(146)을 제2고정기둥(118)과 제3고정기둥(136) 사이의 바닥에 고정한다.

그리고, 제9막고정앙카(150)로 상기 제3직각수평프레임(146)의 일측에 제3막(142)의 하단부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기둥(118)과 제2고정기둥(136) 사이의 천장(96) 일측에 제3처짐방지수단(152)을 설치한 후, 제3처짐방지수단(152)의 일측을 제3막(142)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3처짐방지수단(152)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천장앙카(154)을 천장(96)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천장앙카(15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볼트(160)와 연결판(162)과 돌기(164)를 구비하여 제1막(108)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제1가압판(166)과 관통공(168)을 구비하여 제1막(108)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제2가압판(170)을 포함한 고정부(156)를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부(156)를 제1막(108)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막(108)의 텐션(tension)을 조절해 주는 턴바클(158)을 천장앙카(154)와 고정부(156)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턴바클(158)의 일측에 천장앙카(154)를 설치한 후, 턴바클(158)의 타측에 고정부(158)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막(142)이 팽팽하게 설치된다.

다른 한편,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분해도로,
제1막, 제2막, 제3막(108, 124, 142)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공(300)을 형성시킨 후, 관통형 보호캡(302)으로 관통공(300)을 씌우는 과정을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관통형 보호캡(302)은,
관통공(300)이 형성된 제1막, 제2막, 제3막(108, 124, 142)의 정면을 가압해 주되, 가장자리에 막수용고정홈(302-2)을 구비하고 있는 상부캡(302-4)과;
상기 상부캡(302-4)에 대응되게 관통공(300)이 형성된 제1막, 제2막, 제3막(108, 124, 142)의 배면을 가압해 주되, 끝단부에 돌출부(302-6)를 구비하여 상부캡(302-4)에 나사 결합 시 돌출부(302-6)가 막수용고정홈(302-2)에 수용되는 하부캡(302-8)을 포함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
96 : 천장
98 : 내벽
102 : 제1고정기둥
104 : 제1직각수직프레임
108 : 제1막
110 : 제1직각수평프레임
112 : 제1바닥고정앙카
114 : 제3막고정앙카
116 : 제1처짐방지수단
154 : 천장앙카
156 : 고정부
158 : 턴바클

Claims (6)

  1. 내벽(9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1고정기둥(102)과;
    상기 내벽(98)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1직각수직프레임(104)과;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을 내벽(98)에 고정시키는 제1수직프레임고정앙카와;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1고정기둥(102)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2직각수직프레임과;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을 제1고정기둥(102)에 고정시키는 제2수직프레임고정앙카와;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과 제2직각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물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는 제1막(108)과;
    상기 제1직각수직프레임(104)의 일측에 제1막(108)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1막고정앙카와;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제1막(108)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2막고정앙카와;
    상기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바닥에 위치되는 제1직각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제1직각수평프레임(110)을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제1바닥고정앙카(112)와;
    상기 제1직각수평프레임(110)의 일측에 제1막(108)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3막고정앙카(114)와;
    상기 내벽(98)과 제1고정기둥(102) 사이의 천장(96)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1막(108)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제1막(108)의 처짐을 방지해 주는 제1처짐방지수단(116)과;
    상기 제1고정기둥(10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제2고정기둥(118)과;
    상기 제2직각수직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고정기둥(102)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3직각수직프레임(120)과;
    상기 제3직각수직프레임(120)을 제1고정기둥(102)에 고정시키는 제3수직프레임고정앙카(122)와;
    상기 제3직각수직프레임(1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고정기둥(118)의 일측에 수직으로 위치되는 제4직각수직프레임과;
    상기 제4직각수직프레임을 제2고정기둥(118)에 고정시키는 제4수직프레임고정앙카와;
    상기 제3직각수직프레임(120)과 제4직각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물이 정체하지 않도록 물을 일정한 속도로 흐르게 하는 제2막(124)과;
    상기 제3직각수직프레임(120)의 일측에 제2막(124)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4막고정앙카(126)와;
    상기 제4직각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제2막(124)의 가장자리 일측을 고정시키는 제5막고정앙카와;
    상기 제1고정기둥(102)과 제2고정기둥(118) 사이의 바닥에 위치되는 제2직각수평프레임(128)과;
    상기 제2직각수평프레임(128)을 제1고정기둥(102)과 제2고정기둥(118) 사이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제2바닥고정앙카(130)와;
    상기 제2직각수평프레임(128)의 일측에 제2막(124)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제6막고정앙카(132)와;
    상기 제1고정기둥(102)과 제2고정기둥(118) 사이의 천장(96) 일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제2막(124)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제2막(124)의 처짐을 방지해 주는 제2처짐방지수단(134)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처짐방지수단(116, 134)은,
    천장(96)에 설치되는 천장앙카(154)와;
    상기 천장앙카(15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제1막, 제2막(108, 124)의 일측 상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부(156)와;
    상기 천장앙카(154)의 일단부와 고정부(156)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천장앙카(154)와 고정부(156) 사이 간격을 가까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제1막, 제2막(108, 124)의 텐션(tension)을 조절해 주는 턴바클(158)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56)는,
    상기 턴바클(158)에 나사 결합 되는 볼트(160)와;
    상기 볼트(160)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 되는 연결판(162)과;
    상기 연결판(162)에 결합 되되, 하단부에 돌기(164)를 구비하여 제1막, 제2막(108, 124)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제1가압판(166)과;
    상기 연결판(162)에 결합 되되, 제1가압판(166)의 돌기(164)를 관통공(168)에 삽입시켜 제1막, 제2막(108, 124)의 상단부를 가압하는 제2가압판(17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막, 제2막(108, 124)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관통공(300)을 형성시킨 후, 관통형 보호캡(302)으로 관통공(300)을 씌우되,
    상기 관통형 보호캡(302)은,
    관통공(300)이 형성된 제1막, 제2막(108, 124)의 정면을 가압해 주되, 가장자리에 막수용고정홈(302-2)을 구비하고 있는 상부캡(302-4)과;
    상기 상부캡(302-4)에 대응되게 관통공(300)이 형성된 제1막, 제2막(108, 124)의 배면을 가압해 주되, 끝단부에 돌출부(302-6)를 구비하여 상부캡(302-4)에 나사 결합 시 돌출부(302-6)가 막수용고정홈(302-2)에 수용되는 하부캡(302-8)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23029A 2017-02-21 2017-02-21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 KR10179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029A KR101799582B1 (ko) 2017-02-21 2017-02-21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029A KR101799582B1 (ko) 2017-02-21 2017-02-21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582B1 true KR101799582B1 (ko) 2017-11-20

Family

ID=6080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029A KR101799582B1 (ko) 2017-02-21 2017-02-21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5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18B1 (ko) * 2007-12-05 2008-11-17 문광모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KR100906193B1 (ko) * 2009-01-30 2009-07-03 권혁종 장력조절이 용이한 막구조물 및 천막의 장력 조절장치
JP2010270433A (ja) * 2009-05-19 2010-12-02 San E Protent Co Ltd テント
KR101286255B1 (ko) * 2013-03-14 2013-07-15 주식회사 성지기공 수처리장의 도류벽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96423B1 (ko) * 2015-12-04 2017-01-16 주식회사 시스턴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류벽용 통수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918B1 (ko) * 2007-12-05 2008-11-17 문광모 장력의 분산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천막조형물의 차양막고정설치구
KR100906193B1 (ko) * 2009-01-30 2009-07-03 권혁종 장력조절이 용이한 막구조물 및 천막의 장력 조절장치
JP2010270433A (ja) * 2009-05-19 2010-12-02 San E Protent Co Ltd テント
KR101286255B1 (ko) * 2013-03-14 2013-07-15 주식회사 성지기공 수처리장의 도류벽 조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96423B1 (ko) * 2015-12-04 2017-01-16 주식회사 시스턴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류벽용 통수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62222A1 (en) Structural Attachment Sealing System
KR101775378B1 (ko) 막을 이용한 무앙카 도류벽 시스템
RU2365720C2 (ru) Натяж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аркасов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тягиваемых архитектурных элементов
KR101887659B1 (ko) 방음패널 마운팅 어셈블리
KR100788999B1 (ko)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9995043B2 (en) Mounting assembly for glass balustrade
KR101445639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KR101810453B1 (ko) 도포방수제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방수 시공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신축이음장치
KR101799582B1 (ko) 막을 이용한 앙카 도류벽 시스템
KR101080430B1 (ko) 수처리장 간벽장치
US10508443B2 (en) Securing clip and system for installation of flooring elements comprising such a securing clip
KR200437103Y1 (ko) 막구조물의 주름방지장치
KR1021756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매립용 앙카 볼트 설치장치
CH700939B1 (de) Montagemittel zur Montage einer Ablauf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Ablaufvorrichtung.
KR101447070B1 (ko) 수처리장 내 도류벽 설치수단
KR101508751B1 (ko)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KR101868944B1 (ko) 건물 외벽 마감용 마감패널 고정장치
KR20110049064A (ko)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내진 보강공법
KR102422489B1 (ko)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앵글과 강봉의 인장력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 보강공법
KR20210112038A (ko) 교량의 신축이음부용 배수장치
KR101788305B1 (ko) 연속막을 이용한 도류벽 시스템
KR101414729B1 (ko) 건축물의 수전구가 결합된 플레이트 고정장치
KR102455364B1 (ko) 밴드를 이용한 패널형 도류벽 설치수단
KR102199601B1 (ko) 막 조절이 가능한 도류벽 시스템 및 그 설치공법
JP2006161407A (ja) コンクリート躯体壁面の補修構造及び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