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238B1 - 배터리 커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터리 커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238B1
KR101799238B1 KR1020170072281A KR20170072281A KR101799238B1 KR 101799238 B1 KR101799238 B1 KR 101799238B1 KR 1020170072281 A KR1020170072281 A KR 1020170072281A KR 20170072281 A KR20170072281 A KR 20170072281A KR 101799238 B1 KR101799238 B1 KR 101799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plate
gas
buf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현
Original Assignee
김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현 filed Critical 김국현
Priority to KR1020170072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72
    • H01M2/1094
    • H01M2/1252
    • H01M2/1264
    • H01M2/362
    • H01M2/36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5Gas exhaust passages comprising elongated, tortuous or labyrinth-shaped exhaust pass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68Means for preventing spilling of liquid or electrolyte, e.g. when the battery is tilted or turned o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이 충전되는 케이스(2)로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2)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케이스(2)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20); 상기 본체(10) 저면에 상기 가스 배출부(20)와 나란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20)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연장되며, 상기 가스 배출부(20)와 대응하는 통로가 형성된 보조 배출부(60); 상기 보조 배출부(60)와 상기 가스 배출부(20)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된 연통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스 배출부(20) 또는 보조 배출부(60)에 구비된 가스 유입부(30); 상기 가스 배출부(2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스 유입부(30)를 통해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유입되는 가스는 통과시키고, 상기 케이스(2) 내부의 전해액이 유출되는 것은 차단하는 차단부(40); 및 상기 가스 배출부(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본체(10)에 체결되는 필터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2)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단층구조로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차단부를 통해 전해액의 유출은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 및 자체적인 내부의 하중에 따른 버퍼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커버 조립체 {Battery cover assembly}
본 발명은 배터리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층구조로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미로 구조로 형성된 차단부를 통해 전해액의 유출은 차단할 수 있는 배터러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배터리는 1차 전지와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나뉘는데, 그 중 대용량의 배터리는 전해액을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전해액은 액체로서 별도의 보안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우선, 전해액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야 하고, 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는 폭발 방지를 위하여 외부로 방출시켜야 한다. 종래의 배터리는 크게, 전해액이 충전되는 전조(이하, 케이스)와, 케이스를 덮는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는 단자, 손잡이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커버와, 상부 커버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의 하부 커버는 단자, 손잡이 수납부 외에도 상부 커버로 덮여 있던 부분에 환수구와 케이스에 형성된 셀에 맞추어 격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 커버의 저면은 격벽에 대응되는 격벽, 환수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배기 가스는 배출시키고, 전해액은 통과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방폭 필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폭 필터는 외부의 발화에 케이스 내부의 배기 가스 및 전해액이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겸하여 배터리의 폭발 위험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커버 구조는 환수구 주변을 상부 커버가 덮어 미로 구로를 이루고 있데, 이는 환수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전해액이 상부 및 하부 커버가 체결되어 형성되는 일정공간인 환수부로 전해액이 쉽게 흘러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에 위치한 환수구는 환수부로 유입된 전해액을 케이스로 되돌려 보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커버는 전해액의 유입 방지, 배기 가스의 배출, 폭발 방지, 환수부로 유입된 전해액의 환원 등을 고려하여 커버 내부를 구성해야 하는 이유로, 상부와 하부 2층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2층 구조의 커버는 상부와 하부 각각에 해당하는 공정과,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체결을 위한 공정 등이 필요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850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산이 용이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전해액의 유출은 차단할 수 있는 배터리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해액이 충전되는 케이스로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 상기 본체 저면에 상기 가스 배출부와 나란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연장되며, 상기 가스 배출부와 대응하는 통로가 형성된 보조 배출부; 상기 보조 배출부와 상기 가스 배출부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된 연통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가스 배출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스 배출부 또는 보조 배출부에 구비된 가스 유입부; 상기 가스 배출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스 유입부를 통해 상기 가스 배출부로 유입되는 가스는 통과시키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전해액이 유출되는 것은 차단하는 차단부; 및 상기 가스 배출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본체에 체결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상방에서 상기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유닛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충진재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조립체는 단층구조로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이 용이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차단부를 통해 전해액의 유출은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 및 자체적인 내부의 하중에 따른 버퍼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스 유입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스 유입부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스유입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가스 유입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가스 유입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가스 유입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가스 유입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10은 차단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차단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차단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가스유입부를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다.
도 15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7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은 도 17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7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은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제작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1)는 전해액이 충전되는 케이스(2))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2))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케이스(2))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20);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스 배출부(20)에 구비된 가스 유입부(3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는 상면에 단자(11)와, 손잡이 수납부(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케이스(2)) 내부에 형성된 셀 분리벽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격벽(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13)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가스 배출부(20)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격벽(13)은 케이스(2)) 내부에 다수의 구획된 셀을 구성하는 셀 분리벽에 대응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는 부위로서, 배터리 케이스(2))의 셀 분리벽과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스 배출부(20)은 케이스(2)) 내부에 충전된 전해액의 화학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케이스(2))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의 저면에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통로를 갖는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 배출부(20)의 외주면에는 케이스(2))의 내부공간과 통로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는 연통구멍(2)1)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통구멍(2)1)들은 후술하는 가스 유입부(30)가 위치하는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유입부(30)는 가스 배출부(20)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되고 상단이 개방되며 내측에 연통구멍(2)1)에 의해 상기 가스 배출부(20)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바디(31)와, 상기 공간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로 유입되는 가스를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안내하는 내벽과, 상기 바디(31)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31)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케이스(2)) 내부에서 상기 공간부로 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개구부(34a)가 형성된 덮개(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디(31)는 상단이 개방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가스 배출부(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벽 중 어느 한 측벽이 다른 한 측벽의 보다 상방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가스 배출부(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에 위치하는 양 측벽의 상단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바디는 내부가 빈 사각 기둥 형상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원형 기둥 또는 다각 기둥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내벽은 중앙내벽(33a)과, 좌측내벽(33b), 우측내벽(33c)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내벽(33a)은 상기 바디(31)의 상기 공간부를 좌우방향으로 제1공간부(32a)와 제2공간부(32b)로 각각 구획하도록 상기 바디(31)의 서로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좌측내벽(33b)은 후술하는 덮개(34)의 일 측에 구비된 개구부(34a)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32a)로 유입되는 가스가 제1유입경로(P1)를 따라 가스 배출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유입경로(P1)는 덮개(34)의 좌측 개구부(34a)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중앙내벽(33a)을 향하여 우측으로 진행하다 하방으로 꺾어 다시 좌측으로 진행하도록 경로이다. 상기 제1유입경로(P1)의 끝 지점에 대응하는 가스 배출부(20)의 외주면에는 제1유입경로(P1)를 따라 이동하는 가스가 가스 배출부(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공간부(32a)와 가스 배출부(20)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내벽(33c)은 후술하는 덮개(34)의 타 측에 구비된 개구부(34a)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32b)로 유입되어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이동하는 가스가 제2유입경로(P2)를 따라 가스 배출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측내벽(33c)은 상기 중앙내벽(33a)에 대하여 상기 좌측내벽(33b)과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내벽(33c)에 의해 형성되는 제2유입경로(P2)또한 중앙내벽(33a)에 대하여 제1유입경로(P1)와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유입경로(P2)는 덮개(34)의 우측 개구부(34a)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중앙내벽(33a)을 향하여 좌측으로 진행하다 하방으로 꺾어 다시 우측으로 진행하도록 연장된 경로이다. 상기 제2유입경로(P2)의 끝 지점에 대응하는 가스 배출부(20)의 외주면에는 제2유입경로(P2)를 따라 이동하는 가스가 가스 배출부(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공간부(32b)와 가스 배출부(20)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구멍(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내벽(33a), 좌측내벽(33b), 우측내벽(33c) 및 바디(31)에는 제1유입경로(P1) 및 제2유입경로(P2)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제1유입경로(P1) 및 제2유입경로(P2) 측으로 향하여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벽(35)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스 유입부(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 내부에 충전된 전해액에 의해 상기 덮개(34)의 개구부(34a)가 폐쇄될 때, 상기 케이스(2)) 내부의 가스를 상기 공간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31)의 일 측에 우회구멍(31c)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우회구멍(31c)은 바디(31)의 서로 마주하는 양 측벽 중 길이가 긴 측 측벽에 형성되고, 중앙내벽(33a)을 기준으로 중앙내벽(33a)과 먼지점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바디(3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가스 배출부(2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회구멍(31c)은 바디(3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전해액에 의해 덮개(34)의 개구부(34a)가 폐쇄되지 않은 정상 상태에서도 케이스(2)) 내부의 가스가 제1공간부(32a)와 제2공간부(32b)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우회구멍(31c)이 형성된 가스 유입부(30)는 전해액에 의해 덮개(34)의 개구부(34a)가 폐쇄된 상태일 때는 케이스(2)) 내부의 가스가 우회구멍(31c)을 통과하여 공간부로 진입 및 가스 배출부(20)로 유입될 수 있고, 덮개(34)의 개구부(34a)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일 때에도 덮개(34)의 개구부(34a) 및 우회구멍(31c)을 통해 케이스(2)) 내부의 가스가 공간부로 진입 및 가스 배출부(2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덮개(34)는 상기 바디(31)의 서로 마주하는 양 측벽 중에서 길이가 짧은 측 측벽의 상단에 일 측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 측 모서리 부분에는 개구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34a)는 덮개(34)가 바디(31)의 상부를 폐쇄할 때, 케이스(2)) 내부의 가스가 공간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한 것으로서, 바디(31)의 서로 마주하는 양 측벽 중에서 길이가 긴 측벽의 모퉁이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에는 가스 유입부(13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스 유입부(130)의 내벽은 중앙내벽(133a)와, 제1칸막이벽(133b)과, 제2칸막이벽(133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내벽(133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31)의 상기 공간부를 좌우방향으로 제1공간부(32a)와 제2공간부(32b)로 각각 구획하도록 상기 바디(31)의 서로 마주하는 양 측벽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칸막이벽(133b)은 상기 덮개(34)의 일 측에 구비된 개구부(34a)를 통해 상기 제1공간부(32a)로 유입되는 가스가 지그재그 구조를 갖는 제1유입경로(P11)를 따라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칸막이벽(133b)은 상기 가스 배출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일 측단부는 바디(31)와 연결되되 타 측 단부는 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바디(31)와 이격되어 있으며, 바디(31)의 서로 마주하는 양 측벽에 각각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칸막이벽(133c)은 상기 덮개(34)의 타 측에 구비된 개구부(34a)를 통해 상기 제2공간부(32b)로 유입되는 가스가 상기 중앙내벽(133a)에 대하여 상기 제1유입경로(P11)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제2유입경로(P12)를 따라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칸막이벽(133c)은 상기 가스 배출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일 측단부는 바디(31)와 연결되되 타 측 단부는 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바디(31)와 이격되어 있으며, 바디(31)의 서로 마주하는 양 측벽에 각각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유입부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여러 갈래로 분기된 제1칸막이벽(133b)과 끝단이 절곡되게 형성된 제2칸막이벽(133c)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칸막이벽(333b)들과 제2칸막이벽(333c)들을 일 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스 유입부는 도시된 예로만 한정하지 않고, 바디(31) 내의 공간부로부터 가스 배출부(20)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경로를 미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한편, 도 9에는 가스 유입부(43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스 유입부(430)는 덮개(34)의 개구부(34a)가 전해액에 의해 폐쇄될 때를 대비하여 바디(431)의 일 측에 우회구멍(431b)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유입부(430)는 바디(431)가 가스 배출부(20)를 기준으로 가스 배출부(2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일 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있으며, 바디(431)의 바닥(431d) 일부가 외부로 노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상기 바디(431)의 바닥에는 바디(431) 내의 공간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우회구멍(43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회구멍(431b)은 도 8에 도시된 바디(31)의 우회구멍(31b)과 같은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충전된 전해액에 의해 상기 덮개(34)의 개구부(34a)가 폐쇄될 때, 상기 케이스 내부의 가스를 상기 공간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전해액이 바디(431)의 바닥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차오르기 전까지는 상기 우회구멍(431b)을 통해 가스가 가스 유입부(430)의 공간부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배출부(20) 내부에 삽입되어 가스 유입부를 통해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유입되는 가스는 통과시키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전해액이 유출되는 것은 차단하는 차단부(4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차단부(40)는 상기 연통구멍(2)1)을 통해 가스 배출부(20)로 유입되는 가스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고, 케이스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기울어질 때, 케이스 내부의 전해액이 가스 배출부(2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차단하도록 가스 배출부(20)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40)는 가스 배출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고 내부에 중공부(41a)가 형성되며 하부에 다수의 구멍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개방된 파이프 구조의 몸체(41)와, 중공부(41a)로 전해액이 진입할때, 몸체(41)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전해액에 간섭되도록 몸체(41) 내부에 상호 엇갈리게 또는 지그재그 구조를 형성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차단막(45)들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40)는 상기 차단막(45)들에 의해 미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전해액의 유출을 저지한다.
도 12에는 차단부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140)는 내부에 중공부(141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중공부(141a)와 연통되는 개방구(141b)들이 형성된 몸체(141)와, 몸체(141) 내부에 형성된 구획벽(14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벽(145)은 몸체(141) 내부에 각각의 개방구(141b)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중공부(141a)를 구획하도록 몸체(14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구(141b)를 통해 중공부(141a)로 유입되는 가스가 구획벽(145)들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하는 일 측 구획벽(145)의 상부와 타 측의 구획벽(145)의 하부에 각각 통과구멍(14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일 측 구획벽(145)의 상부와 타 측 구획벽(145)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통과구멍(145a)에 의해 개방구(141b)를 통해 중공부(141a)로 유입되는 가스는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으나, 개방구(141b)를 통해 중공부(141a)로 유입되는 전해액은 통과구멍이 형성된 일 측 구획벽(145a)의 상부까지 도달해야 하므로 통과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는 가스는 배출시키고, 전해액의 유출을 차단하며, 외부의 열화가 케이스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폭발 방지하기 위한 필터부(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필터부(50)는 가스 배출부(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삽입되며 본체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50)는 본체에 체결되는 필터하우징(51)과, 필터하우징(51) 내부에 배치되는 방폭필터(5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스 유입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가스 유입부(530)는 가스 배출부(20)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가스 배출부(20)로부터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공간부(531a)가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에 삽입되는 삽입체(535) 및 상기 삽입체(535)의 상단에 결합되어 몸체(531)의 상부를 폐쇄시키는 덮개(537)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531)의 내측에는 덮개(537)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턱이 몸체(53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절개슬릿(531b)이 안착턱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531)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중간 부분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31)에 형성된 절개슬릿(531b)이 전해액에 의해 폐쇄될 때를 대비하여, 가스를 몸체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우회구멍(53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체(535)는 몸체(531)의 하부에 안착되는 바닥부(535a)와, 상기 바닥부(535a)의 중앙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기둥(535b)과, 상기 기둥(535b)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구조로 형성된 안내판(535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판(535c)은 절개슬릿(531b)을 통과하여 몸체(531) 내부로 진입하는 가스가 기둥(535b)을 중심으로 빙빙 돌아 나가도록 안내하며, 기둥(535b)으로부터 몸체(531)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535a)의 일 측에는 가스 배출부(20)의 연통구멍(2)1)과 몸체(531) 내부의 공간부(531a)를 서로 연통시킬 수 있는 개구(53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537)는 몸체(531)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타원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537)는 삽입체(535)가 몸체(531) 내부로 삽입될 때, 몸체(531)의 공간부(531a)를 폐쇄하도록 결합되나 몸체(53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절개슬릿(531b)에 의해 실질적으로 몸체(531)를 완전히 폐쇄하지는 못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절개슬릿(531b)의 일 부분을 통하여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몸체(531)의 공간부(531a)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슬릿(531b)을 통과하여 몸체(531) 내부의 공간부(531a)로 진입되는 가스는 삽입체(535)의 안내판(535c)에 의해 기둥(535b)의 주변을 돌아 이동하게 되며, 기둥(535b)의 하단 측에서는 바닥부(535a)에 형성된 개구(535a`)를 통해 바닥부(535a)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스 배출부(20)의 연통구멍(2)1)으로 진입하게 된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는 본체(10) 저면에 가스 배출부(20)와 나란하고 가스 배출부(20)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연장된 보조 배출부(60)와, 보조 배출부(60)와 가스 배출부(2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통부(70)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가스 유입부(30)가 보조 배출부(60)에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가스 유입부(30)를 가스 배출부(20)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조 배출부(60)는 내부에 가스 배출부(20)와 대응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0)의 길이방향 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본체(10)의 길이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연통부(70)에 의해 가스 배출부(20)와 연통된다. 상기 연통부(70)는 가스 유입부(3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가 길이중심 부분에서 가스 배출부(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보조 배출부(60)의 통로와 가스 배출부(20)의 통로를 서로 연통시킨다. 상기 연통부(70)는 가스 유입부(30)와 유사한 구조로 결합된 덮개를 구비하여 상기 연통공간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를 구비한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버퍼모듈(181)은 바닥부과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케이스(2))의 저면부에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케이스(2))의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1811c, 1811d)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되,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며,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버퍼공간(H1)이 복수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버퍼공간(H1)은 상기 내부 보강판의 너비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T2)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T2)와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판(1811h) 및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가 상기 버퍼공간(H1)을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는 상호 형합적인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유닛(1812)과 상기 인출수단(4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리프팅수단(LU)이 구비되는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하부유닛(1812) 상에서 일정 범위 내로 유동 가능하도록 복수 구비된다.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하부유닛(1812)의 각 모서리부 상에 위치되는 제1모드와, 상기 각 모서리부로부터 상기 하부유닛(1812)의 가상의 중심점을 향하여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유동되는 제2모드로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팅수단(LU)을 통하여 상기 하부유닛(1812)과 상기 인출수단(40) 사이를 일정하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버퍼유닛(1811)을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동작시킨다. 상기 리프팅수단(LU)은 상기 제1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버퍼유닛(1811) 사이에 구비되는 제1리프팅수단(LU1)과, 상기 제1모드 상태에서 상기 버퍼유닛(1811)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모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리프팅을 수행하는 제2리프팅수단(LU2)과, 상기 제1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버퍼유닛(1811) 사이에 상기 제1리프팅수단(LU1)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3리프팅수단(LU3)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1차적으로 상기 제1리프팅수단(LU1)과 상기 제3리프팅수단(LU3)을 1차적으로 구동시키며, 2차적으로 상기 버퍼유닛(1811)을 제1모드로 동작시키며, 3차적으로 상기 제2리프팅 수단을 구동시킨다.
도 19는 도 16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프레임(101)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b1)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 및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과 마주 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1)에 대한 버퍼을 위한 버퍼구(1811i)가 구비된다. 상기 버퍼구(1811i)는 탄성수단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도 20은 도 16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은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접촉되는 최상단상판(1811f1)과, 상기 최상단 상판과 탄성체(E2)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상단하판(1811f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상단하판(1811f2)의 저면에는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상기 중단 보강판(1811h)은 상기 버퍼공간(H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최상단 하판(1811f)과 대향하는 중단상판(1811h1)과, 상기 중단상판(1811h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중단하판(1811h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단상판(1811h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T2)가 형성된다.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기 버퍼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단하판(1811h2)과 대향하는 최하단상판(1811g1)과, 상기 최하단상판(1811g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하단하판(1811g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하단상판(1811g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T2)가 형성된다.
도 21은 도 16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UT)가 형성된다.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방돌출부(DT)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방돌출부(U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고정판(1811a1)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상방돌출부(UT) 및 상기 제1고정판(1811a1)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5)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상기 하방돌출부(D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고정판(1811b2)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하방돌출부(DT) 및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6)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한편 상기 버퍼유닛(1811)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즉, 상기 상부고정판(1811a),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상기 탄성하우징(1811c)은 직육면체 또는 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1811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보다 원활한고 안정적인 버퍼기능이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 버퍼구(1811i) 역시 상기 탄성하우징(1811c)와 함께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보다 용이한 버퍼기능이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 보강판(1811h) 역시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충진체(1811e) 상에서 상기 버퍼공간(H1)을 경유한채 상호 상방과 하방 간에 버퍼되어 접촉한다. 이때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 보강판(1811h)은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를 통해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여 추가적으로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시키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버퍼유닛(1811)은 충격이 가해지기 전과 충격이 가해진 후를 비교 했을 때, 충격이 가해진 후의 형상은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하게 가압된 형상을 뛰게 되는 것이다.
도 22은 도 16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을 참조하면, 상기 인출수단(40)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케이스(2))의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케이스(2))의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판(1811h)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가 상기 버퍼공간(H1)를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며,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인출수단(40)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과 마주 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버퍼공간(H1)들은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로(TH)가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H1)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캡슐(C1)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캡슐(C1)이 파손되면 상기 내용물이 유출되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연통로(TH)를 통해 상기 각 버퍼공간(H1)으로 유입된다.
상기 버퍼공간(H1) 상에는 상기 캡슐(C1) 또는 상기 캡슐(C1)로부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1 히팅수단(HT1)이 구비되며, 상기 연통로(TH) 상에는 경유되는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지그재그 형태의 상기 외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AH)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인출수단(40)에 대한 버퍼을 위한 버퍼구(1811i)가 구비된다. 상기 버퍼구(1811i)는 탄성수단(E)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 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 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2 캡슐(C2)이 내장되며, 상기 탄성수단(E)의 양측에서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 이웃하도록 종방향을 따라 한 쌍의 종보강체(LP)가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3 캡슐(C3)이 내장된다.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상기 제2 캡슐(C2)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의 외측에는 상기 제3 캡슐(C3)을 히팅하기 위한 제3 히팅수단(HT3)이 구비된다.
상기 종보강체(LP)는 상기 종보강체(LP)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캡슐(C3)의 내용물이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는 면의 길이방향 상에 복수의 토출구(DC)가 형성된다. 상기 캡슐(C1), 상기 제2 캡슐(C2) 및 상기 제3 캡슐(C3)의 각 내용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도 23은 도 17에 따른 구성들 중 버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여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설명하면,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파쇄되는 소정의 파쇄형 버퍼모듈(BM)이 구비된다. 상기 파쇄형 버퍼모듈(BM)은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 구비되는 용기부(SH)와, 상기 용기부(SH) 내부에 구비되어 파쇄되는 파쇄물를 포한한다.
상기 파쇄물은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일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2 파쇄물(BM2)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타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3 파쇄물(BM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파쇄물(BM1) 내지 상기 제3 파쇄물(BM3)은, 외측면 상에 요철형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호 간에 형합되어 마주 접한다. 상기 제1 파쇄물(BM1)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1-1 파쇄물(BM1-1)이 내장되며, 상기 제2 파쇄물(BM2)는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2-1 파쇄물(BM2-1)이 내장되고, 상기 제3 파쇄물(BM3)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3-1 파쇄물(BM3-1)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제1-1 파쇄물(BM1-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며, 상기 제2 파쇄물(BM2)와 상기 제2-1 파쇄물(BM2-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고, 상기 제3 파쇄물(BM3)과 상기 제3-1 파쇄물(BM3-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진다.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2 파쇄물(BM2)의 외측과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3 파쇄물(BM3)의 외측에는 각각 소정의 충진물(PM)이 충진되며, 상기 충진물(PM)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SH)와 대응되는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제1영역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제2영역 상에는 각각 상기 파쇄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수단(AM)이 구비된다. 상기 파쇄수단(AM)은 발열을 위한 제5 히팅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 및 상기 제4고정판(1811b2) 상에서 각각 상방과 하방간의 유동되어 상기 파쇄물을 가압하기 위한 제1 유동모드 및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파쇄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제2 유동모드로 동작 된다. 한편,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과 상기 용기부(SH) 사이에는 소정의 히팅수단(PH)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수단(PH)는 제어부를 통한 외부의 제어하에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상기 용기부(SH)를 가열한다.
도 24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커버 조립체 제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4을 참조하면, 배터리 커버 조립체는 전해액이 충전되는 케이스(2))에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1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2)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케이스(2)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2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본체(10) 저면에 상기 가스 배출부(20)와 나란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20)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연장되며, 상기 가스 배출부(20)와 대응하는 통로가 형성된 보조 배출부(6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보조 배출부(60)와 상기 가스 배출부(20)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된 연통부(7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스 배출부(20) 또는 보조 배출부(60)에 구비된 가스 유입부(3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가스 배출부(2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스 유입부(30)를 통해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유입되는 가스는 통과시키고, 상기 케이스(2) 내부의 전해액이 유출되는 것은 차단하는 차단부(40)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가스 배출부(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본체(10)에 체결되는 필터부(50)를 구비하는 단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 커버 2 : 케이스
10 : 본체 13 : 격벽
20 : 가스 배출부 21 : 연통구멍
30 : 가스 유입부 31 : 바디
31c : 우회구멍 34 : 덮개
40 : 차단부 41 : 몸체
45 : 차단막 50 : 필터부
51 : 필터하우징 55 : 방폭필터
60 : 보조 배출부 70 : 연통부

Claims (14)

  1. 전해액이 충전되는 케이스(2)로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2)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케이스(2)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부(20); 상기 본체(10) 저면에 상기 가스 배출부(20)와 나란하고 상기 가스 배출부(20)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연장되며, 상기 가스 배출부(20)와 대응하는 통로가 형성된 보조 배출부(60); 상기 보조 배출부(60)와 상기 가스 배출부(20)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내부에 연통공간이 형성된 연통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지정된 위치에서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스 배출부(20) 또는 보조 배출부(60)에 구비된 가스 유입부(30); 상기 가스 배출부(2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스 유입부(30)를 통해 상기 가스 배출부(20)로 유입되는 가스는 통과시키고, 상기 케이스(2) 내부의 전해액이 유출되는 것은 차단하는 차단부(40); 및 상기 가스 배출부(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본체(10)에 체결되는 필터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2)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버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버퍼모듈(18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버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버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되,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상기 탄성하우징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며,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버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판(1811h)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가 상기 버퍼공간(H1)를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며,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저면부에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과 마주 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H1)들은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로(TH)가 형성되며, 상기 버퍼공간(H1)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캡슐(C1)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캡슐(C1)이 파손되면 상기 내용물이 유출되고, 유출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연통로(TH)를 통해 상기 각 버퍼공간(H1)으로 유입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상기 버퍼공간(H1) 상에는 상기 캡슐(C1) 또는 상기 캡슐(C1)로부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1 히팅수단(HT1)이 구비되며,
    상기 연통로(TH) 상에는 경유되는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지그재그 형태의 상기 외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AH)이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저면부에 대한 버퍼을 위한 버퍼구(1811i)가 구비되며,
    상기 버퍼구(1811i)는 탄성수단(E)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 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 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2 캡슐(C2)이 내장되며,
    상기 탄성수단(E)의 양측에서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 이웃하도록 종방향을 따라 한 쌍의 종보강체(LP)가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3 캡슐(C3)이 내장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상기 제2 캡슐(C2)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의 외측에는 상기 제3 캡슐(C3)을 히팅하기 위한 제3 히팅수단(HT3)이 구비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종보강체(LP)는,
    상기 종보강체(LP)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캡슐(C3)의 내용물이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는 면의 길이방향 상에 복수의 토출구(DC)가 형성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캡슐(C1), 상기 제2 캡슐(C2) 및 상기 제3 캡슐(C3)의 각 내용물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파쇄되는 소정의 파쇄형 버퍼모듈(BM)이 구비되며,
    상기 파쇄형 버퍼모듈(BM)은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 구비되는 용기부(SH)와,
    상기 용기부(SH) 내부에 구비되어 파쇄되는 파쇄물를 포함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파쇄물은,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일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2 파쇄물(BM2)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타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3 파쇄물(BM3)을 포함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물(BM1) 내지 상기 제3 파쇄물(BM3)은,
    외측면 상에 요철 형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호 간에 형합되어 마주 접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1-1 파쇄물(BM1-1)이 내장되며, 상기 제2 파쇄물(BM2)는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2-1 파쇄물(BM2-1)이 내장되고, 상기 제3 파쇄물(BM3)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3-1 파쇄물(BM3-1)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제1-1 파쇄물(BM1-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며, 상기 제2 파쇄물(BM2)와 상기 제2-1 파쇄물(BM2-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고, 상기 제3 파쇄물(BM3)과 상기 제3-1 파쇄물(BM3-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2 파쇄물(BM2)의 외측과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3 파쇄물(BM3)의 외측에는 각각 소정의 충진물(PM)이 충진되며,
    상기 충진물(PM)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SH)와 대응되는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제1영역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제2영역 상에는 각각 상기 파쇄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수단(AM)이 구비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AM)은
    발열을 위한 제5 히팅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 및 상기 제4고정판(1811b2) 상에서 각각 상방과 하방간의 유동되어 상기 파쇄물을 가압하기 위한 제1 유동모드 및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파쇄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제2 유동모드로 동작 되는 배터리 커버 조립체.
KR1020170072281A 2017-06-09 2017-06-09 배터리 커버 조립체 KR101799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281A KR101799238B1 (ko) 2017-06-09 2017-06-09 배터리 커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281A KR101799238B1 (ko) 2017-06-09 2017-06-09 배터리 커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238B1 true KR101799238B1 (ko) 2017-11-17

Family

ID=6080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281A KR101799238B1 (ko) 2017-06-09 2017-06-09 배터리 커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2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3559A (ja) * 2016-10-26 2018-05-1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KR102308759B1 (ko) * 2021-05-20 2021-10-05 주식회사 해찬 배터리 커버
CN114982056A (zh) * 2020-11-23 2022-08-30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WO2023068657A1 (ko) * 2021-10-18 2023-04-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WO2023229254A1 (ko) * 2022-05-24 2023-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 채널과 쿨링 채널을 일체로 통합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055B1 (ko) 2012-11-29 2013-07-10 세방전지(주)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
KR101323919B1 (ko) 2011-05-31 2013-10-31 세방전지(주)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커버
KR101521774B1 (ko) * 2015-04-03 2015-05-21 주식회사 문창 내진장치를 구비한 물탱크
KR101564439B1 (ko) * 2014-02-12 2015-10-29 (주)현태금형 배터리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919B1 (ko) 2011-05-31 2013-10-31 세방전지(주)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커버
KR101285055B1 (ko) 2012-11-29 2013-07-10 세방전지(주) 축전지의 내누액 방지 커버
KR101564439B1 (ko) * 2014-02-12 2015-10-29 (주)현태금형 배터리 커버
KR101521774B1 (ko) * 2015-04-03 2015-05-21 주식회사 문창 내진장치를 구비한 물탱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3559A (ja) * 2016-10-26 2018-05-1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CN114982056A (zh) * 2020-11-23 2022-08-30 株式会社Lg新能源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KR102308759B1 (ko) * 2021-05-20 2021-10-05 주식회사 해찬 배터리 커버
WO2023068657A1 (ko) * 2021-10-18 2023-04-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강화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WO2023229254A1 (ko) * 2022-05-24 2023-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 채널과 쿨링 채널을 일체로 통합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KR20230163704A (ko) * 2022-05-24 2023-12-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 채널과 쿨링 채널을 일체로 통합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KR102659210B1 (ko) 2022-05-24 2024-04-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 채널과 쿨링 채널을 일체로 통합한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238B1 (ko) 배터리 커버 조립체
KR101564439B1 (ko) 배터리 커버
US9269931B2 (en) Battery cover for prevention of electrolyte leakage
KR20080041447A (ko) 배터리 케이스 커버
JP5556491B2 (ja) バッテリパック
JP4715089B2 (ja) 鉛蓄電池
JP5095992B2 (ja) 蓄電池の液漏れ防止装置
KR101323919B1 (ko)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축전지용 커버
US20150107198A1 (en) Gas-liquid separator for vehicle-mounted fuel cell
KR101799239B1 (ko) 배터리 커버 조립체 제작방법
KR20220091852A (ko) 배터리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JP2023530296A (ja) ガスベント流路を備えたバッテリーパック
JP2010205587A (ja) 鉛蓄電池
JP5183985B2 (ja) 蓄電池
JP2009238631A (ja) 鉛蓄電池
KR20160032482A (ko) 리튬 이차전지
CA1070377A (en) Gas removal means for storage batteries
US11355798B2 (en) Device for cooling battery pack
KR20070099843A (ko) 이차 전지 모듈
US20230327278A1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gas venting path
KR102173031B1 (ko) 이차전지
CA2680846A1 (en) Fuel cell separator and fuel cell
JP4715090B2 (ja) 鉛蓄電池
ES2279918T3 (es) Acumulador, en particular acumulador de plomo.
WO2023189654A1 (ja) 鉛蓄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