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041B1 -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041B1
KR101799041B1 KR1020160127860A KR20160127860A KR101799041B1 KR 101799041 B1 KR101799041 B1 KR 101799041B1 KR 1020160127860 A KR1020160127860 A KR 1020160127860A KR 20160127860 A KR20160127860 A KR 20160127860A KR 101799041 B1 KR101799041 B1 KR 101799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pallet
base
chassis modu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포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포리코리아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포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2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 상기 대차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팔렛 가이드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샤시 가이드핀이 형성된 팔렛; 상기 팔렛을 상기 팔렛 가이드핀에 끼워 상기 베이스 위에 올려 정렬시키고, 차량의 샤시모듈을 상기 샤시 가이드핀에 끼워 상기 팔렛 위에 올려 정렬시키는 샤시모듈 로딩장치;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대차를 메리지 라인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샤시모듈을 지지하는 리프터를 구동하여 상기 프론트 샤시모듈을 상승시킨 후 상기 메리지 라인의 행거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행거고정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vehicle chassis module automatic assembly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디와 샤시모듈을 조립할 때 발생하는 조립공차를 줄임과 동시에 행거와 대차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모든 양산공장 내에서 2만 내지 3만 여개의 부품을 수 많은 용접 및 조립공정을 통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의 양산공장에서 특히, 의장공장은 차체 내에 엔진, 변속기, 현가장치 및 기타 구성부품을 조립하는 공정으로, 각 공정라인으로 메인 행거를 통하여 투입되는 차체에 컨베이어 또는 이송대차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부품들을 장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프런트 샤시모듈과 리어 샤시모듈이 분리된 상태에서 바디와 샤시모듈을 결합하였기 때문에 조립공차를 증가시켰고, 이러한 조립공차는 차량의 얼라인먼트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차량의 직진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디를 고정하는 행거를 대차에 안전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둘째, 샤시모듈를 정렬시켜 조립공차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 상기 대차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팔렛 가이드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샤시 가이드핀이 형성된 팔렛; 상기 팔렛을 상기 팔렛 가이드핀에 끼워 상기 베이스 위에 올려 정렬시키고, 차량의 샤시모듈을 상기 샤시 가이드핀에 끼워 상기 팔렛 위에 올려 정렬시키는 샤시모듈 로딩장치;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대차를 메리지 라인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샤시모듈을 지지하는 리프터를 구동하여 상기 프론트 샤시모듈을 상승시킨 후 상기 메리지 라인의 행거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행거고정 유닛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바디를 고정하는 행거를 대차에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둘째, 샤시모듈를 정렬시켜 조립공차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조립시 샤시모듈과 팔렛과 바디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 일체 조립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 일체 조립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 및 팔렛의 조립 개념을 표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팔렛 및 샤시모듈의 조립 개념을 표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샤시모듈이 조립된 상태에서 바디와의 조립 개념을 표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와 팔렛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차의 하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센터링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 일체 조립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11의 서브라인 단계를 상세히 표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메리지 라인 단계를 상세히 표현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속레버 고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속레버 고정유닛을 변속레버에 적용한 활용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속레버 고정유닛의 작동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디 클램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디 클램프 유닛의 활용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뎀퍼고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뎀퍼고정 유닛의 활용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고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고정 유닛의 활용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트체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볼트체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트체결 유닛의 활용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럿 고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럿 고정유닛의 활용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행거고정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행거고정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행거고정 유닛의 다른 작동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행거고정 유닛의 또 다른 작동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베이스 셋팅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베이스 셋팅 하우징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베이스 셋팅유닛의 활용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 일체 조립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장공장은 샤시 모듈을 적재하고 샤시모듈(10)을 조립하는 서브 라인(S)과, 이송된 대차 시스템에 적재된 샤시 모듈을 차체의 각 부분에 조립하는 메리지 라인(M) 및 메리지 라인(M)에서 적재된 샤시 모듈의 조립이 완료되어 공차된 대차 시스템을 서브 라인(S)으로 이송시키는 턴테이블 구간(T)으로 이루어진다.
서브 라인(S) 및 메리지 라인(M)은 이동하는 대차(1)에 다양한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차(1)에 교류 220V 내지 330V의 3상 전원(R, S, T)이 버스 바(bus bar)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대차 시스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대차 시스템은 버스 바에 구성되는 3상 전원과 슬라이딩 접점(P1, P2, P3)으로 연결되어 교류 220V 내지 330V의 3상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며, 모터 구동부와 모터, 파워 서플라이 및 제어 및 센서류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 구동부는 제어 및 센서류에 구성되는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리프트용 모터를 작동시켜 차체에 엔진모듈이나 서스펜션 모듈 등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파워 서플라이는 버스 바의 3상 전원 중에서 단상 전원인 R상 및 T상의 220V 내지 330V의 전원을 공급받아 제어 및 센서류의 동작에 필요한 5V 내지 24V의 직류 전원을 출력한다.
제어 및 센서류는 파워 서플라이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되어 각 구동수단의 제어 결과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모터 구동부 및 대차 시스템에 구성되는 구동 수단의 제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작업 결과를 메모리 수단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 일체 조립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2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20) 및 팔렛(30)의 조립 개념을 표현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팔렛(30) 및 샤시모듈(10)의 조립 개념을 표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샤시모듈(10)이 조립된 상태에서 바디(7)와의 조립 개념을 표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20)와 팔렛(30)이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일체 조립 시스템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1); 대차(1)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팔렛 가이드핀(21)이 형성된 베이스(20); 베이스(20) 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샤시 가이드핀(35)이 형성된 팔렛(30); 및 팔렛(30)을 팔렛 가이드핀(21)에 끼워 베이스(20) 위에 올려 정렬시키고, 차량의 샤시모듈(10)을 샤시 가이드핀(35)에 끼워 팔렛(30) 위에 올려 정렬시키는 샤시모듈 로딩장치(50)를 포함한다.
대차(1)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거나 컨베이어 벨트(56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샤시모듈 로딩장치(50)는 샤시모듈(10)을 팔렛(30) 위에 올려 샤시모듈(10)을 정렬하고, 정렬된 샤시모듈(10) 및 팔렛(30)을 다시 베이스(20) 위에 올려놓아 재차 정렬시킬 수 있다. 다만 샤시모듈 로딩장치(50)는 복수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는 샤시모듈(10)을 팔렛(30)에 로딩하고, 다른 하나는 팔렛(30) 및 샤시모듈(10)을 베이스(20)에 로딩할 수 있다.
팔렛(30)은 팔렛 가이드핀(21)이 삽입되는 팔렛 관리홀(37)이 형성되고, 샤시 가이드핀(35)은, 샤시모듈(10)에 형성된 샤시 관리홀(15)에 삽입된다.
팔렛(30)은 바디(7)에 형성된 바디 관리홀(8)에 삽입되는 바디 가이드핀(39)이 형성된다. 바디 가이드핀(39)은 팔렛(30)에 형성된다. 바디 가이드핀(39)은 행거에 걸린 바디(7)와의 정렬 기능을 수행한다.
샤시 가이드핀(35)은, 팔렛(30)에 고정된 핀 기저부(41); 및 일단은 기저부에 삽입되고, 상하방향으로 탄성운동하며, 타단은 샤시 관리홀(15)에 끼워지는 삽입핀(43)을 포함하고, 삽입핀(43)은 테이퍼(미도시)가 형성된다.
삽입핀(43)의 테이퍼는 일정한 공차 범위 내에서 샤시모듈(10)과 바디(7), 팔렛(30)과 샤시모듈(10), 팔렛(30)과 베이스(20)간 조립을 하더라도 삽입핀(43)을 각각의 관리홀로 유도할 수 있다.
샤시 관리홀(15)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샤시모듈(11)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샤시모듈(13)과 프런트 샤시모듈(11)과 리어 샤시모듈(13) 사이를 연결하는 센터 샤시모듈(12)에 형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차(1)의 하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센터링 유닛(60)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 및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샤시모듈 로딩장치(50)는, 팔렛(30) 및 샤시모듈(10)을 대차(1)에 적재하는 그립퍼(51); 및 대차(1)의 접근을 감지하여 대차(1)가 정해진 위치에 도착하면 그립퍼(51)를 작동시키는 로딩 제어부(53)를 포함한다.
로딩 제어부(53)는 대차(1)가 정해진 지역으로 진입하면 그립퍼(51)를 구동하여 샤시모듈(10) 및 팔렛(30)을 베이스(20)로 로딩한다.
대차(1)는 베이스(20)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기준봉(3)을 포함하고, 샤시모듈 로딩장치(50)는, 대차(1)가 접근하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기준봉(3)과 체결되는 센터링 유닛(60)을 포함한다.
기준봉(3)은 대차(1)의 베이스(20) 하측에 세워진다. 중앙 제어부(1000)는 각각의 대차(1)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대차(1)의 방향과 속도를 제어한다. 중앙 제어부(1000)는 대차(1)가 정해진 위치에 도착하면 대차(1)를 정지시킨다. 그후 센터링 유닛(60)이 대차(1)의 위치를 조절하여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킨다.
센터링 유닛(60)은, 기준봉(3)을 향해 수평이동하고, 복수로 구비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센터링 삽입부(61); 센터링 삽입부(61)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센터링 엑추에이터(65); 및 센터링 삽입부(61)들 사이에 배치되어 기준봉(3)과 접하면 로딩 제어부(53)에 도킹신호를 전송하는 도킹센서(67)를 포함한다.
센터링 삽입부(61)는, 대략 'L' 형태로 절곡되고 센터링 엑추에이터(65)와 연결된 삽입 이동부(62); 및 삽입 이동부(6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원통형상이며, 기준봉(3)을 도킹센서(67)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63)를 포함한다.
가이드 롤러(63)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기준봉(3)을 도킹센서(67) 방향으로 안내한다.
샤시모듈 로딩장치(50)는, 샤시모듈(10)을 샤시 가이드핀(35)이 샤시 관리홀(15)에 삽입되는 위치에서 하강하여 샤시모듈(10)을 팔렛(30)에 로딩하여 제 1단계 정렬하고, 팔렛(30)을 팔렛 가이드핀(21)이 팔렛 관리홀(37)에 삽입되는 위치에서 하강하여 제 1단계 정렬된 샤시모듈(10) 및 팔렛(30)을 베이스(20)에 로딩하여 제 2단계 정렬한다.
샤시모듈 로딩장치(50)는 샤시모듈(10)을 정해진 팔렛(30)에 정렬시키는 제1단계 정렬을 수행한다. 그 후 대차(1)가 정확한 위치에 도착하면 샤시모듈 로딩장치(50)는 정렬된 팔렛(30) 및 샤시모듈(10)을 베이스(20)에 로딩한다. 정확한 위치는 센터링 유닛(60)에 의해 유도 및 판단된다.
로딩 제어부(53)는, 도킹신호가 전송되면 제 2단계 정렬을 수행하도록 그립퍼(51)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1단계 정렬 및 제2단계 정렬을 거친 상태이므로 프런트 모듈과 센터 모듈과 리어 모듈 공차가 줄어든 상태로 조립 가능하다. 샤시모듈(10)과 바디(7)가 조립되어 공차된 팔렛(30) 및 대차(1)를 서브 라인(S)으로 이송시키는 턴 테이블단계에서 프런트 팔렛(31)과 리어 팔렛(33)을 제거하는 팔렛 제거장치(70)를 포함한다.
제1단계 정렬과 제2단계 정렬을 거친 후 복수의 샤시모듈(10)들은 조립되어 하나의 샤시모듈(10) 상태로 메리지 라인(M)으로 진입한다. 대차(1)는, 샤시모듈(10)과 바디(7)를 조립하는 메리지 라인 단계에서 프런트 팔렛(31) 및 리어 팔렛(33) 및 센터 팔렛(32)을 동시에 리프팅 하는 팔렛 리프터(5)를 포함한다.
메리지 라인(M)에서는 팔렛 리프터(5)가 조립된 샤시모듈(10)을 들어올린다. 따라서 종전과 같이 프런트 샤시모듈(11)과 리어샤시모듈(10)을 각각 바디(7)와 조립할 경우 발생하는 공차 및 정렬 불량이 감소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일체 조립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11의 서브 라인 단계를 상세히 표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메리지 라인 단계를 상세히 표현한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일체 조립 방법은, 샤시모듈(10)을 적재 및 조립하는 서브 라인 단계(S100); 샤시모듈(10)을 바디(7)와 조립하는 메리지 라인 단계(S200); 및 샤시모듈(10)과 바디(7)가 조립되어 빈 대차(1)를 서브 라인(S)으로 이송시키는 턴 테이블단계(S300)를 포함한다.
서브 라인 단계는, 프론트 팔렛(30)과 리어 팔렛(33)에 각각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샤시 가이드핀(35)이 프론트 샤시모듈(10)과 리어 샤시모듈(13)에 각각 형성된 샤시 관리홀(15)에 삽입되도록 프론트 샤시모듈(10)과 리어샤시모듈(10)을 프론트 팔렛(30)과 리어 팔렛(33)에 로딩하는 제1정렬단계(S110) 를 포함한다.
서브 라인 단계는, 베이스(20)에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팔렛 가이드핀(21)이 프론트 팔렛(30)과 리어 팔렛(33)에 각각 형성된 팔렛 관리홀(37)에 삽입되도록 프론트 팔렛(30)과 리어 팔렛(33)을 베이스(20)에 로딩하는 제2정렬단계(S130) 를 포함한다. 서브 라인 단계는, 프론트 샤시모듈(10)과 리어 샤시모듈(13) 사이에 센터 샤시모듈(12) 및 센터 샤시모듈(12)을 지지하는 센터 팔렛(32)을 로딩한 후 프론트 샤시모듈(10)과 센터 샤시모듈(12)과 리어 샤시모듈(13)을 조립하는 샤시모듈(10) 조립단계(S150)를 포함한다.
메리지 라인 단계는, 대차(1)를 메리지 라인(M)으로 이동시킨 후 프론트 샤시모듈(10)과 센터 샤시모듈(12)과 리어 샤시모듈(13)을 지지하는 리프트를 구동하여 프론트 샤시모듈(10)과 센터 샤시모듈(12)과 리어 샤시모듈(13)을 동시에 상승시키는 팔렛 리프트 상승 단계(S210)를 포함한다.
메리지 라인 단계는, 베이스(20)에 고정된 행거고정 유닛(710)을 행거와 결합하는 단계(S230); 바디(7)와 샤시모듈(10)을 결합하는 바디(7) 샤시 조립단계(S250); 및 팔렛 리프트를 하강하여 결합된 바디(7) 및 샤시모듈(10)과 팔렛(30)을 분리하는 팔렛 리프트 하강 단계(S270)를 포함한다.
턴 테이블단계(S300)는 턴 테이블라인(T)에서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제1정렬단계와 제2정렬단계를 거쳐 샤시모듈(10)을 조립하므로, 샤시모듈(10)의 정렬상태가 종래 보다 개선된다. 또한 정렬된 상태로 조립된 샤시모듈(10)을 동시에 들어올려 바디(7)와 체결하기 때문에 바디(7)와 샤시모듈(10)간 조립공차 및 정렬불량이 감소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속레버 고정유닛(100)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속레버 고정유닛(100)을 변속레버(90)에 적용한 활용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변속레버 고정유닛(100)의 작동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팔렛(30)은 팔렛 가이드핀(21)이 삽입되는 팔렛 관리홀(37)이 형성되고, 샤시 가이드핀(35)은, 샤시모듈(10)에 형성된 샤시 관리홀(15)에 삽입되며, 센터 팔렛(32)은, 조립 전에는 차량의 변속레버(90)를 고정 지지하고, 차량의 바디(7) 및 센터 샤시모듈(12)이 조립된 후 팔렛(30)이 하강하면 배기파이프(80)와의 간섭으로 인해 자동으로 변속레버(9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는 변속레버 고정유닛(100)이 배치된다.
변속레버 고정유닛(100)은 센터 샤시모듈(12)에 포함된 배기파이프(80)와의 간섭을 피함과 동시에 변속레버(90)를 고정 지지한다. 따라서 샤시모듈(10)의 조립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변속레버 고정유닛(100)은, 센터 팔렛(32)에 고정된 변속레버 고정 기저부(110); 변속레버 고정 기저부(110)에 Y축 방향으로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배기파이프(80)를 우회하도록 만곡된 변속레버 지지암(120); 및 변속레버 지지암(120)의 상측 단부에 배치되어 변속레버(90)에 형성된 레버 관리홀(91)에 끼워지는 레버 삽입핀(121)을 포함하는 변속레버 고정유닛(100)을 포함한다.
변속레버 지지암(120)은 복수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피봇운동하고, 레버 삽입핀(121)이 레버 관리홀(91)에 끼워졌을 때, 복수의 변속레버 지지암(120)들 사이의 간격은 배기파이프(80)의 직경보다 좁다. 변속레버 고정유닛(100)은, 변속레버 고정 기저부(110)에 배치되어 복수의 변속레버 지지암(120)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 및 변속레버 고정 기저부(110)에 배치되어 레버 삽입핀(121)이 레버 관리홀(91)에 끼워지도록 위치를 유지하는 볼 플런저(127)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변속레버 고정유닛(100)은, 배기파이프(80)의 직경이 복수의 변속레버 지지암(120)들 사이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조립 완료 후 즉 메리지 라인(M)에서 바디(7)와 샤시모듈(10)의 조립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별도로 변속레버(90)의 고정을 해지하기 위한 동력 또는 수작업이 불필요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디 클램프 유닛(200)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디 클램프 유닛(200)의 활용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차 최소화 샤시모듈(10) 조립 시스템은, 팔렛(30)에 배치되어 차량의 바디(7)를 고정하는 바디 클램프 유닛(200)을 포함한다.
바디 클램프 유닛(200)은 메리지 라인(M)에서 자동 조립시 바디(7)와 팔렛(30)간 스프링력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높이 변화를 규제한다.
바디 클램프 유닛(200)은, 팔렛(30)에 고정되어 차량의 휠하우스와 대응되는 위치 하단에 배치된 바디 클램프 기저부(210); 및 바디 클램프 기저부(210)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바디(7)에 형성된 후크홀(7a)에 끼워지는 바디 클램프 후크(220)를 포함한다.
바디 클램프 후크(220)는, 바디 클램프 기저부(210)에 형성된 피봇 축(223) 하단에 평평한 작용면(221)이 피봇 축(223)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다. 바디 클램프 유닛(200)은, 바디 클램프 기저부(210)를 관통하여 작용면(221)에 힘을 가하고, 피봇 축(223)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바디 클램프 연결봉(225); 및 바디 클램프 후크(220)에 탄성력을 가하여 바디 클램프 후크(220)가 피봇 축(22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바디 클램프 기저부(210)는, 작용면(221) 하단에 바디 클램프 연결봉(225)이 관통하는 연결홀(2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차 최소화 샤시모듈(10) 조립 시스템은, 대차(1)에 배치되어 바디 클램프 연결봉(225)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디 클램프 엑추에이터(23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바디 클램프 유닛(200)으로 인해, 메리지 라인(M)에서 발생하는 의도치 않은 바디(7)와 팔렛(30)간 높이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 클램프 엑추에이터(230)로 인해 자동 고정 및 자동 탈거가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뎀퍼고정 유닛(300)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뎀퍼고정 유닛(300)의 활용도이다.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차 최소화 샤시모듈(10) 조립 시스템은, 팔렛(30)에 배치되어 차량의 뎀퍼를 고정하는 뎀퍼고정 유닛(300)을 포함하고, 뎀퍼고정 유닛(300)은, 팔렛(30)에 고정된 뎀퍼고정 기저부(310); 차량의 바디(7)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뎀퍼를 고정하는 뎀퍼고정 집게(320); 및 하측은 뎀퍼고정 기저부(310)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측은 뎀퍼고정 집게(320)와 연결된 뎀퍼고정 암(350)을 포함한다.
뎀퍼고정 유닛(300)은, 샤시모듈(10)의 뎀퍼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뎀퍼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뎀퍼고정 유닛(300)은, 뎀퍼고정 기저부(310)에 힘을 가하고, 피봇 축(223)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뎀퍼고정 연결봉(360); 및 피봇 축(223)에 배치되어 뎀퍼고정 암(350)이 차량의 뎀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로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뎀퍼고정 엑추에이터(370)는 뎀퍼고정 연결봉(360)을 상하방향으로 움직여 뎀퍼고정 유닛(300)을 구동한다. 뎀퍼고정 집게(320)는, 뎀퍼의 외주면과 접하는 제1측면 지지부(321); 뎀퍼의 외주면과 접하고, 제1측면 지지부(321)와 마주하는 제2측면 지지부(322); 및 제1측면 지지부(321)와 제2측면 지지부(322) 사이에 배치된 중간 지지부(323)를 포함하고, 제1측면지지부와 제2측면지지부는, 중간 지지부(323)를 기준으로 서로 간격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뎀퍼고정 집게(320)는, 제1측면 지지부(321)와 제2측면 지지부(322)와 피봇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간 지지부(323)와 연결된 상측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상측 연결부(330)의 측면에는 판 스프링(340)이 배치되고, 판 스프링(340)은, 제1측면 지지부(321)와 제2측면 지지부(322)가 서로 모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상측 연결부(330)는, 뎀퍼가 팔렛(30)으로부터 이탈하면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지도록 뎀퍼고정 암(350)과 피봇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뎀퍼고정 유닛(300)으로 인해, 바디(7)와 샤시모듈(10)의 조립시 바디(7)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뎀퍼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뎀퍼고정 엑추에이터(370)로 인해 뎀퍼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정렬 조립 시스템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1); 대차(1)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팔렛 가이드핀(21)이 형성된 베이스(20); 베이스(20) 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샤시 가이드핀(35)이 형성된 팔렛(30); 및 팔렛(30)을 팔렛 가이드핀(21)에 끼워 베이스(20) 위에 올려 정렬시키고, 차량의 샤시모듈(10)을 샤시 가이드핀(35)에 끼워 팔렛(30) 위에 올려 정렬시키는 샤시모듈 로딩장치(50)를 포함하고, 팔렛(30)은 팔렛 가이드핀(21)이 삽입되는 팔렛 관리홀(37)이 형성되고, 샤시 가이드핀(35)은, 샤시모듈(10)에 형성된 샤시 관리홀(15)에 삽입되며, 샤시모듈 로딩장치(50)는, 샤시모듈(10)을 샤시 가이드핀(35)이 샤시 관리홀(15)에 삽입되는 위치에서 하강하여 샤시모듈(10)을 팔렛(30)에 로딩하여 제1단계 정렬하고, 팔렛(30)을 팔렛 가이드핀(21)이 팔렛 관리홀(37)에 삽입되는 위치에서 하강하여 제1단계 정렬된 샤시모듈(10) 및 팔렛(30)을 베이스(20)에 로딩하여 제2단계 정렬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고정 유닛(400)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고정 유닛(400)의 활용도이다.
도 21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정렬 조립 시스템은, 팔렛(30)에 배치되어 차량에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블랙파이프(450)의 간격을 유지하는 블랙파이프 클립(460)을 고정하는 클립고정 유닛(400)을 포함하고, 클립고정 유닛(400)은, 팔렛(30)에 클립고정 기저부(410); 클립고정 기저부(410)에 삽입되어 상하이동하는 클립고정 연결암(420); 및 블랙파이프 클립(460)이 끼워지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클립수용홈(431)이 형성된 클립고정부(430)를 포함한다.
클립고정 엑추에이터(470)는 클립고정 연결암(42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랙파이프(450) 및 블랙파이프 클립(460)을 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정렬 조립 시스템은, 복수의 블랙파이프(450)를 수용하는 파이프 수용홈(823)이 복수로 형성된 파이프고정부(440)를 포함하고, 클립수용홈(431)은, 파이프 클립의 X축 방향 이동을 억제하도록 Y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파이프수용홈(441)은, 블랙파이프(450)의 Y축 방향 이동을 억제하도록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클립고정 연결암(420)은 측면에 가이드돌기(421)가 형성되고, 클립고정 기저부(410)는 가이드돌기(42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11)이 Z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클립고정 유닛(400)으로 인해, 블랙파이프 클립(460)을 자동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트체결 유닛(500)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볼트체결 유닛(500)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볼트체결 유닛(500)의 활용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정렬 조립 시스템은, 팔렛(30)에 배치되어 차량에 볼트를 고정하는 볼트체결 유닛(500)을 포함하고, 볼트체결 유닛(500)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볼트체결 구동부(510); 볼트체결 구동부(5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측단부에 볼트가 끼워지는 소켓이 형성된 볼트체결 회전부(520); 및 팔렛(30)에 고정배치되고, 볼트체결 구동부(510)와 볼트체결 회전부(5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플로팅부(530)를 포함한다.
볼트체결 엑추에이터(580)는 볼트체결 구동부(51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생성한다.
플로팅부(530)는, 팔렛(30)에 장착되고 볼트체결 구동부(510)와 볼트체결 회전부(520)를 지지하는 플로팅 기저부(540); 및 복수의 볼(ball)과 복수의 볼을 수용 및 지지하는 디스크부(550)를 포함한다.
볼트체결 구동부(510)와 볼트체결 회전부(520)는 서로 동축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정렬 조립 시스템은, 볼트체결 구동부(510)의 회전력을 볼트체결 회전부(520)에 전달하도록 볼트체결 구동부(510)와 볼트체결 회전부(520)를 서로 연결하는 벨트(560); 볼트체결 구동부(510)와 볼트체결 회전부(520)를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시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오프셋 형성부(570)를 포함하고, 플로팅부(530)는, 오프셋 형성부(57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볼트체결 유닛(500)으로 인해, 볼트의 숫놈과 암놈의 중심이 맞지 않더라도 볼트체결 유닛(500)이 플로팅된다. 따라서 스레드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프셋 형성부(570)의 경우 벨트(560)는 사일런트 체인 또는 티이밍 벨트(560)일 수 있다. 오프셋 형성부(570)는 다른 유닛과 간섭이 발생할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럿 고정유닛(600)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트럿 고정유닛(600)의 활용도이다.
도 26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정렬 조립 시스템은, 팔렛(30)에 배치되어 챠량의 서스펜션 스트럿(650)을 고정하는 스트럿 고정유닛(600)을 포함하고, 스트럿 고정유닛(600)은, Z축 방향으로 세워진 스트럿 고정암(610); 스트럿 고정암(610)의 상측 단부에 고정되고 차량의 서스펜션 스트럿(650)을 고정하는 스트럿 고정집게(620); 및 스트럿 고정암(610)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팔렛(30)에 배치된 스트럿 고정 기저부(630)를 포함한다.
스트럿 고정유닛(600)은, 스트럿 고정 기저부(630)를 관통하고 스트럿 고정암(610)을 회전시키는 고정암 회전부(640)를 포함하고, 스트럿 고정 기저부(630)는, 스트럿 고정암(610)이 X축 방향으로 피봇운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스트럿 고정 엑추에이터(680)는 고정암 회전부(64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정렬 조립 시스템은, 팔렛(30)에 배치되어 차량의 브레이크 캘리퍼를 고정지지하는 복수의 캘리퍼 고정부(660)를 포함하고, 고정암 회전부(640)는, 복수의 캘리퍼 고정부(660)들 사이를 통해 팔렛(3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스트럿 고정암(610)은, 스트럿 고정 기저부(630)에 고정된 하측 스트럿 고정암(611); 스트럿 고정집게(620)와 연결된 상측 스트럿 고정암(612); 및 상측 스트럿 고정암(612)와 하측 스트럿 고정암(611)을 연결하는 중간 스트럿 고정암(613)을 포함하고, 중간 스트럿 고정암(613)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스트럿 고정집게(620)와 차량의 서스펜션 스트럿(650) 사이의 거리를 스트럿 고정 기저부(630)와 차량의 서스펜션 스트럿(650)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한다.
상기와 같은 스트럿 고정부로 인해, 자동 조립시 샤시모듈(10)과 바디(7)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프런트 스트럿 또는 리어 스트럿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행거고정 유닛(710)의 사시도이다.
도 28 및 다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자동화 조립 시스템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1); 대차(1)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팔렛 가이드핀(21)이 형성된 베이스(20); 베이스(20) 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샤시 가이드핀(35)이 형성된 팔렛(30); 팔렛(30)을 팔렛 가이드핀(21)에 끼워 베이스(20) 위에 올려 정렬시키고, 차량의 샤시모듈(10)을 샤시 가이드핀(35)에 끼워 팔렛(30) 위에 올려 정렬시키는 샤시모듈 로딩장치(50); 및 베이스(20)에 고정되고, 대차(1)를 메리지 라인(M)으로 이동시킨 후 샤시모듈(10)을 지지하는 리프터를 구동하여 프론트 샤시모듈(10)을 상승시킨 후 메리지 라인(M)의 행거를 베이스(20)에 고정하는 행거고정 유닛(710)을 포함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행거고정 유닛(710)의 작동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행거고정 유닛(710)의 다른 작동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행거고정 유닛(710)의 또 다른 작동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자동화 조립 시스템은, 대차(1)에 고정 배치되어 메리지 라인(M)에서 이동하는 행거와 체결되는 행거고정 유닛(710)을 포함하고, 행거고정 유닛(710)은, 대차(1)에 고정되는 행거고정 기저부(710); 행거고정 기저부(710)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고정된 행거고정 조절부(720); 및 행거고정 조절부(720)가 행거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행거고정 조절부(720) 내부로 삽입되어 행거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행거고정 락킹부(730)를 포함한다.
행거고정 조절부(720)는, 행거고정 락킹부(73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721)을 형성하고, 삽입공간(721) 내부에 행거고정 락킹부(730)의 삽입을 저지하는 스토퍼(722)가 형성된다.
스토퍼(722)는, 행거고정 조절부(72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행거고정 락킹부(730)에 대한 걸림을 해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자동화 조립 시스템은, 행거고정 조절부(720) 내부에 삽입되어 스토퍼(722)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일단은 행거고정 조절부(720)와 맞닿고 타단은 행거고정 기저부와 맞닿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행거고정 락킹부(730)는, 행거고정 기저부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스토퍼(722)는, 행거고정 락킹부(730)의 피봇운동 경로에 배치된다.
행거고정 조절부(720)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탄성 수용부(724)가 형성되고, 행거고정 기저부는, 탄성수용부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부재와 접하는 탄성지지 돌기가 형성된다.
행거고정 조절부(720)는, 탄성지지 돌기가 상하이동하는 조절부 가이드홀(725)이 형성된다.
행거고정 조절부(720)는, 행거고정 기저부와의 상하방향 상대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상대운동 제한턱(726)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샤시모듈(10) 자동화 조립 시스템은, 대차(1)에 배치되어 행거고정 조절부(72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엑추에이터(727); 및 대차(1)에 배치되어 행거고정 락킹부(730)를 피봇운동 시키는 제2엑추에이터(728)를 포함한다.
행거고정 락킹부(730)는, 스토퍼(722)와 걸림되는 위치에 돌출되고, 삽입공간(721)의 외측 방향으로 걸림해제면(733)을 형성하고 삽입공간(721)의 내측 방향으로 걸림면(734)을 형성하는 위치고정돌기(732)가 형성되고, 걸림해제면(733)과 걸림면(734)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팔렛(30)은 팔렛 가이드핀(21)이 삽입되는 팔렛 관리홀(37)이 형성되고, 샤시 가이드핀(35)은, 샤시모듈(10)에 형성된 샤시 관리홀(15)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은 행거고정 유닛(710)으로 인해, 메리지 라인(M)에서 바디(7)와 샤시모듈(10)의 조립시 행거를 팔렛(3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팔렛(30)은, 샤시모듈(10) 중 전방에 위치한 프런트 샤시모듈(11)을 지지하는 프런트 팔렛(31); 샤시모듈(10) 중 후방에 위치한 리어 샤시모듈(13)을 지지하는 리어 팔렛(33); 및 프런트 샤시모듈(11)과 리어 샤시모듈(13)을 연결하는 센터 샤시모듈(12)을 지지하고, 프런트 팔렛(31)과 리어 팔렛(33)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 팔렛(32); 및 베이스(20) 상에서 프런트 팔렛(31)과 리어 팔렛(33)과 센터 팔렛(3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휠베이스 셋팅유닛(800)을 포함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베이스 셋팅유닛(800)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베이스 셋팅 하우징(820)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휠베이스 셋팅유닛(800)의 활용도이다.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면, 휠베이스 셋팅유닛(800)은, X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복수의 팔렛(30)을 연결하며, X축 방향으로 복수의 삽입홈(831)이 형성된 스페이서(830); 삽입홈(831)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삽입부(810); 삽입부(810)를 수용하고 팔렛(30)에 고정된 휠베이스 셋팅 하우징(820); 및 휠베이스 셋팅 하우징(820)에 수용되어 삽입부(810)를 삽입홈(831)을 향해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삽입홈(831)은 베이스(20)의 측면 가장자리에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휠베이스 셋팅 하우징(820)은, 베이스(20)의 측면 가장자리 위에 올려져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L'형상의 걸림판(821)이 형성되고, 걸림판(821)의 상측에는 팔렛(3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출판(822)이 형성되며, 돌출판(822) 내부에는 삽입부(810)가 수용되는 수용홈(823)이 Y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휠베이스 셋팅유닛(800)으로 인해, 다 차종 샌산을 위한 팔렛(30)의 휠베이스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S: 서브 라인
M: 메리지 라인
1: 대차
3: 기준봉
5: 팔렛 리프터
7: 바디
7a: 후크홀
8: 바디 관리홀
10: 샤시모듈
11: 프런트 샤시모듈
12: 센터 샤시모듈
13: 리어 샤시모듈
15: 샤시 관리홀
20: 베이스
21: 팔렛 가이드핀
30: 팔렛
31: 프런트 팔렛
32: 센터 팔렛
33: 리어 팔렛
35: 샤시 가이드핀
37: 팔렛 관리홀
39: 바디 가이드핀
41: 핀 기저부
43: 삽입핀
50: 샤시모듈 로딩장치
51: 그립퍼
53: 로딩 제어부
60: 센터링 유닛
61: 센터링 삽입부
62: 삽입 이동부
63: 가이드 롤러
65: 센터링 엑추에이터
67: 도킹센서
70: 팔렛 제거장치
80: 배기파이프
90: 변속레버
91: 레버 관리홀
100: 변속레버 고정유닛
110: 변속레버 고정 기저부
120: 변속레버 지지암
121: 레버 삽입핀
127: 볼 플런저
200: 바디 클램프 유닛
210: 바디 클램프 기저부
211: 연결홀
220: 바디 클램프 후크
221: 작용면
223: 피봇 축
225: 바디 클램프 연결봉
230: 바디 클램프 엑추에이터
300: 뎀퍼고정 유닛
310: 뎀퍼고정 기저부
320: 뎀퍼고정 집게
321: 제1측면 지지부
322: 제2측면 지지부
323: 중간 지지부
330: 상측 연결부
340: 판 스프링
350: 뎀퍼고정 암
360: 뎀퍼고정 연결봉
370: 뎀퍼고정 엑추에이터
400: 클립고정 유닛
410: 클립고정 기저부
411: 가이드홈
420: 클립고정 연결암
421: 가이드돌기
430: 클립고정부
431: 클립수용홈
440: 파이프고정부
441: 파이프수용홈
450: 블랙파이프
460: 블랙파이프 클립
470: 클립고정 엑추에이터
500: 볼트체결 유닛
510: 볼트체결 구동부
520: 볼트체결 회전부
530: 플로팅부
540: 플로팅 기저부
550: 디스크부
560: 벨트
570: 오프셋 형성부
580: 볼트체결 엑추에이터
600: 스트럿 고정유닛
610: 스트럿 고정암
611: 하측 스트럿 고정암
612: 상측 스트럿 고정암
613: 중간 스트럿 고정암
620: 스트럿 고정집게
630: 스트럿 고정 기저부
640: 고정암 회전부
650: 서스펜션 스트럿
660: 캘리퍼 고정부
680: 스트럿 고정 엑추에이터
700: 행거고정 유닛
710: 행거고정 기저부
711: 탄성지지돌기
720: 행거고정 조절부
721: 삽입공간
722: 스토퍼
724: 탄성 수용부
725: 조절부 가이드홀
726: 상대운동 제한턱
727: 제1엑추에이터
728: 제2엑추에이터
730: 행거고정 락킹부
731: 행거 걸림돌기
732: 위치고정돌기
733: 걸림해제면
734: 걸림면
800: 휠베이스 셋팅유닛
810: 삽입부
820: 휠베이스 셋팅 하우징
821: 걸림판
822: 돌출판
823: 수용홈
830: 스페이서
831: 삽입홈
1000: 중앙제어부

Claims (16)

  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
    상기 대차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팔렛 가이드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위에 올려지고 상측을 향해 돌출된 샤시 가이드핀이 형성된 팔렛;
    상기 팔렛을 상기 팔렛 가이드핀에 끼워 상기 베이스 위에 올려 정렬시키고, 차량의 샤시모듈을 상기 샤시 가이드핀에 끼워 상기 팔렛 위에 올려 정렬시키는 샤시모듈 로딩장치; 및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대차를 메리지 라인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샤시모듈을 지지하는 리프터를 구동하여 상기 샤시모듈을 상승시킨 후 상기 메리지 라인의 행거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하는 행거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행거고정 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행거고정 기저부;
    상기 행거고정 기저부 내부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고정된 행거고정 조절부; 및
    상기 행거고정 조절부가 상기 행거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행거고정 조절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행거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행거고정 락킹부를 포함하는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고정 조절부는,
    상기 행거고정 락킹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간 내부에 상기 행거고정 락킹부의 삽입을 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행거고정 조절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행거고정 락킹부에 대한 걸림을 해제하는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고정 조절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가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일단은 상기 행거고정 조절부와 맞닿고 타단은 상기 행거고정 기저부와 맞닿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고정 락킹부는,
    상기 행거고정 기저부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행거고정 락킹부의 피봇운동 경로에 배치된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고정 조절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탄성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행거고정 기저부는,
    상기 탄성수용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는 탄성지지 돌기가 형성된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고정 조절부는,
    상기 탄성지지 돌기가 상하이동하는 조절부 가이드홀이 형성된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고정 조절부는,
    상기 행거고정 기저부와의 상하방향 상대운동 범위를 제한하는 상대운동 제한턱이 형성된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에 배치되어 상기 행거고정 조절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엑추에이터; 및
    상기 대차에 배치되어 상기 행거고정 락킹부를 피봇운동 시키는 제2엑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고정 조절부는 메리지 라인에서 이동하는 행거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행거고정 락킹부는,
    행거에 걸림되는 행거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행거 걸림돌기는,
    상기 삽입공간 내외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행거고정 기저부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고정 락킹부는,
    상기 스토퍼와 걸림되는 위치에 돌출되고, 상기 삽입공간의 외측 방향으로 걸림해제면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간의 내측 방향으로 걸림면을 형성하는 위치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해제면과 상기 걸림면은 경사지게 형성된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은 상기 팔렛 가이드핀이 삽입되는 팔렛 관리홀이 형성되고,
    상기 샤시 가이드핀은, 상기 샤시모듈에 형성된 샤시 관리홀에 삽입되는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은,
    샤시모듈 중 전방에 위치한 프런트 샤시모듈을 지지하는 프런트 팔렛;
    샤시모듈 중 후방에 위치한 리어 샤시모듈을 지지하는 리어 팔렛; 및
    프런트 샤시모듈과 리어 샤시모듈을 연결하는 센터 샤시모듈을 지지하고, 상기 프런트 팔렛과 상기 리어 팔렛 사이에 위치하는 센터 팔렛; 및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프런트 팔렛과 상기 리어 팔렛과 상기 센터 팔렛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휠베이스 셋팅유닛을 포함하는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휠베이스 셋팅유닛은,
    X축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복수의 팔렛을 연결하며, X축 방향으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스페이서;
    상기 삽입홈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를 수용하고 상기 팔렛에 고정된 휠베이스 셋팅 하우징; 및
    상기 휠베이스 셋팅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삽입부를 상기 삽입홈을 향해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 가장자리에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휠베이스 셋팅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의 측면 가장자리 위에 올려져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L'형상의 걸림판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의 상측에는 상기 팔렛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돌출판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판 내부에는 상기 삽입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Y축 방향으로 형성된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KR1020160127860A 2016-10-04 2016-10-04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KR101799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860A KR101799041B1 (ko) 2016-10-04 2016-10-04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860A KR101799041B1 (ko) 2016-10-04 2016-10-04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041B1 true KR101799041B1 (ko) 2017-11-17

Family

ID=6080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860A KR101799041B1 (ko) 2016-10-04 2016-10-04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0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8810A1 (fr) * 2020-07-08 2022-01-13 Psa Automobiles Sa Châssis d'assemblage pour la production d'un véhicule automob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8810A1 (fr) * 2020-07-08 2022-01-13 Psa Automobiles Sa Châssis d'assemblage pour la production d'un véhicule automobile
FR3112327A1 (fr) * 2020-07-08 2022-01-14 Psa Automobiles Sa Châssis d’assemblage pour la production d’un véhicule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79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ously conveying underbody components for vehicle body
US5513428A (en)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US4723356A (en) Weighty object mounting systems
KR101845731B1 (ko) 차량 샤시모듈 정렬 조립 시스템
CN101326096B (zh) 汽车底盘的自动化螺钉连接装置
JPH02501727A (ja) パレット移送装置及び方法
KR101799041B1 (ko) 차량 샤시모듈 자동화 조립 시스템
CN112455276B (zh) Agv的电池更换方法及电池更换装置
KR101799040B1 (ko) 공차 최소화 샤시모듈 조립 시스템
KR20120050864A (ko) 변속기용 기어 조립 시스템
KR101845730B1 (ko) 차량 샤시모듈 일체 조립 시스템 및 방법
JP2022547119A (ja) Agvのバッテリ着脱機構及びバッテリの取り外し方法
KR100775147B1 (ko) 로봇 로딩 행거장치
JPH10157672A (ja) 車体組立機における車体の位置決め方法、位置決め装置及びその位置決め装置に用いられる位置固定装置
JPH08215946A (ja) 部品の組付装置
JP3257300B2 (ja) ストラット位置決め装置
JP2010076002A (ja) 移載ロボット
JP3719063B2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CN112455275A (zh) Agv的定位机构及定位方法
KR20240043979A (ko) 차량의 글라스 자동 장착시스템 및 장착방법
JP6291532B2 (ja) ロボットによる係合確認方法
KR930005980B1 (ko) 파레트 이송장치
CN218025275U (zh) Agv小车及agv物流系统
US20240178500A1 (en) Vehicle
KR102246793B1 (ko) 자동차 생산라인의 타이어 공급장치 및 타이어 장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