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608B1 - 휴대형 다단 독서대 - Google Patents

휴대형 다단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608B1
KR101798608B1 KR1020160126165A KR20160126165A KR101798608B1 KR 101798608 B1 KR101798608 B1 KR 101798608B1 KR 1020160126165 A KR1020160126165 A KR 1020160126165A KR 20160126165 A KR20160126165 A KR 20160126165A KR 101798608 B1 KR101798608 B1 KR 101798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ounting
respect
mounting plate
moun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030A (ko
Inventor
김병화
Original Assignee
김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화 filed Critical 김병화
Priority to KR102016012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60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42D3/16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means for holding book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다단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의 일 양태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서적이 거치되는 제1거치부; 및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서적이 거치되는 제2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한 상기 제1거치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하여 회동한다.

Description

휴대형 다단 독서대{MULTI-READING DESK FOR PORTABILITY}
본 발명은 휴대형 다단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독서대란, 독서나 필기 등을 위하여 서적을 거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2권 이상의 서적을 거치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단 독서대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거치부에 서적을 거치하고, 제1거치부와 상이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거치부에 다른 서적을 거치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에 따른 거치 각도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체적이 증가되어 휴대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9323호(발명의 명칭: 다단 독서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거치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휴대형 다단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의 일 양태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서적이 거치되는 제1거치부; 및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서적이 거치되는 제2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한 상기 제1거치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하여 회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베이스의 후단에 제1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베이스의 전단에 상기 제1힌지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거치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기 위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거치부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가 상기 제2거치부의 상방에 적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베이스는, 장방형의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단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거치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힌지부가 관통하는 관통공 및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펼쳐진 상기 제1거치부를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거치부에 체결되는 조절 노브가 관통하는 관통 슬롯이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플랜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플랜지부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펼쳐지는 상기 제1거치부의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1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적이 거치되는 장방형의 제1거치판; 상기 제1거치판의 일면에 구비되고, 서적의 일측이 안착되는 제1안착 부재; 상기 제1거치판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한 상기 제1거치판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펼쳐지도록 상기 제2거치부를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구동편;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관통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제1거치판에 체결되어 상기 제1거치판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조절 노브;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제1거치판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거치판에 거치된 서적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아암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는, 상기 제1거치판의 일면에 평행하는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서 그 일부가 상기 제1거치부의 외측에 위치되는 메모 부착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거치부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제2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적이 거치되는 장방형의 제2거치판; 및 상기 제2거치판의 일면에 상기 제2거치판의 일면에 평행하는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펼쳐진 상기 제2거치판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지지부에 지지되는 지지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적이 거치되는 제1 및 제2거치부가 베이스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적의 거치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거치부가 베이스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상하로 적층되거나, 제1 및 제2거치부가 베이스에 대하여 펼쳐지는 과정에서 제2거치부가 제1거치부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및 사용이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서적의 거치를 위하여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가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는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서적의 거치를 위하여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1)는, 베이스(100), 제1거치부(200) 및 제2거치부(300)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거치부(200)(300)는, 서적이 거치되는 곳으로, 상기 베이스(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이스(100)는, 베이스판(110) 및 한쌍의 플랜지(12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10)은,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혀진 상기 제1 및 제2거치부(200)(300)가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방에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120)는, 상기 베이스판(110)의 양측단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다. 상기 플랜지(120)에는, 관통공(121) 및 관통 슬롯(12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1)은, 상기 제1거치부(2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힌지부(H1)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관통 슬롯(123)은,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진 상기 제1거치부(200)를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후술할 조절 노브(260)가 관통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100)가 스토퍼(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플랜지(120)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는 상기 제1거치부(200)의 범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상기 제1거치부(200)는, 상기 스토퍼(130)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00)는 지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진 상기 제2거치부(300)를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후술할 지지 부재(3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14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 돌기(141) 및 서로 인접하는 상기 지지 돌기(141) 사이에 정의되는 지지홈(14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 실질적으로 상기 베이스판(110)의 저면에는 레그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그부(150)는, 상기 베이스판(110)이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대하여 슬립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그부(150)는, 예를 들면, 러버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거치부(200)(3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서적이 거치되는 곳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거치부(300)가,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한 상기 제1거치부(20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하여 회동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거치부(200)(300)가,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기 위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거치부(200)(300)가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200)가 상기 제2거치부(300)의 상방에 적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거치부(200)는,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에 상기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거치부(200)가, 제1거치판(210), 제1안착 부재(220) 및 구동편(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거치판(210)은,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상기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통공(121)을 관통한 상기 제1힌지부(H1)가 상기 제1거치판(210)의 양측단 하부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제1거치판(210)은, 실질적으로 서적이 거치되는 곳으로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 부재(220)는, 상기 제1거치판(210)의 일면, 실질적으로 상기 제1거치부(200)가 상기 베이스(100)에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1거치판(210)의 일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1안착 부재(220)는, 상기 제1거치판(210)의 폭 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1안착 부재(220)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2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 부재(220)에는, 상기 제1거치판(210)에 거치된 서적의 일측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편(230)은,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한 상기 제1거치판(21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2거치부(300)를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도록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편(230)은, 상기 제1거치판(210)이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거치판(21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거치부(200)가, 지지 아암(240) 및 메모 부착 부재(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 아암(240)은, 상기 제1거치판(210)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거치판(210)에 거치된 서적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 아암(240)은, 상기 제1거치판(210)에 거치된 서적의 폭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 슬롯(221)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 부착 부재(250)는, 상기 제1거치판(210)의 일면에 평행하는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메모 부착 부재(250)는,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서 그 일부가 상기 제1거치부(200)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거치부(200)에 서적이 거치된 상태에서도, 서적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메모 부착 부재(250)에 메모 등을 부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거치부(200)가 조절 노브(2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절 노브(260)는, 상기 제1거치판(210)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절 노브(260)는, 상기 제1거치판(210)이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회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 슬롯(123)을 관통하여 상기 제1거치판(210)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제2거치부(3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전단에 상기 제1힌지부(H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거치부(300)가, 제2거치판(310) 및 지지 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거치판(310)은,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힌지부(H2)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10)의 전단 및 상기 제2거치판(310)이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거치판(310)의 하단을 연결하는 경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거치판(310)은, 실질적으로 서적이 거치되는 곳으로, 상기 제1거치판(210)과 유사하게,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320)는,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진 상기 제2거치판(310)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 부재(32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이 상기 제2거치판(310)의 일면에 상기 제2거치판(310)의 일면에 평행하는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320)의 일측이 상기 지지부(140), 실질적으로 상기 지지홈(14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에 인접하는 상기 지지 돌기(141)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가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는 과정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거치부(200)(300)가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2거치부(300)의 일면이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후 상기 제1거치부(200)의 일면이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 및 상기 제2거치부(300)의 타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제1 및 제2거치부(200)(300)를 포함하는 휴대형 다단 독서대(1)의 체적이 최소화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서적을 거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및 제2거치부(200)(300)를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회동시킨다. 즉, 상기 제1거치부(200)를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거치부(200)가 기설정된 위치까지 회동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편(230)이 상기 제2거치부(300)의 일측에 접촉된다.
그리고 계속하여 상기 제1거치부(200)를 상기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구동편(230)에 의하여 상기 제2거치부(300)가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기 시작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거치부(300)가 상기 제1거치부(20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1거치부(200)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거치부(200)의 회동은, 상기 제1거치부(200)의 일측이 스토퍼(130)에 접촉하는 범위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1거치부(200)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조절 노브(260)를 사용하여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상기 제1거치부(20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거치부(200)에 서적을 거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지지 아암(240)을 사용하여 상기 제1거치부(200)에 거치된 서적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거나 메모 부착 부재(250)를 상기 제1거치부(200)에 대하여 회동시킨 상태에서 이에 메모 등을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거치부(300)가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기 시작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2거치부(300)를 상기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회동시켜서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부(140)에 지지되도록 지지 부재(320)의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2거치부(300)에 다른 서적을 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가 완전하게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7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형 다단 독서대(2)에서는, 지지부(150)가 요철부를 포함한다. 상기 요철부는, 실질적으로 다수개의 요홈과 돌출부가 반복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110: 베이스판
120: 플랜지 130: 스토퍼
140: 지지부 150: 레그부
200: 제1거치부 210: 제1거치판
220: 제1안착 부재 230: 구동편
240: 지지 아암 250: 메모 부착 부재
260: 조절 노브 300: 제2거치부
310: 제2거치판 320: 지지 부재
H1, H2: 힌지부

Claims (8)

  1.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100);
    상기 베이스(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서적이 거치되는 제1거치부(200); 및
    상기 베이스(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서적이 거치되는 제2거치부(30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거치부(200)는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에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거치부(300)는, 상기 베이스(100)의 전단에 상기 제1힌지부(H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거치부(200)(3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기 위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1 및 제2거치부(200)(300)가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혀지면, 상기 제1거치부(200)가 상기 제2거치부(300)의 상방에 적층되며,
    상기 제1거치부(200)는, 상기 제2거치부(300)의 상방에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회동하면서 상기 제2힌지부(H2)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상기 제2거치부(300)의 일측을 들어올려서 상기 제2거치부(300)를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한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휴대형 다단 독서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는,
    장방형의 베이스판(110); 및
    상기 베이스판(110)의 양측단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제1거치부(2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힌지부(H1)가 관통하는 관통공(121) 및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진 상기 제1거치부(200)를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거치부(200)에 체결되는 조절 노브(260)가 관통하는 관통 슬롯(123)이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플랜지(120); 를 포함하는 휴대형 다단 독서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0)는, 상기 플랜지(120)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는 상기 제1거치부(200)의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130)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다단 독서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2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적이 거치되는 장방형의 제1거치판(210);
    상기 제1거치판(210)의 일면에 구비되고, 서적의 일측이 안착되는 제1안착 부재(220);
    상기 제1거치판(21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기 위한 상기 제1거치판(21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지도록 상기 제2거치부(300)를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구동편(230); 및
    상기 베이스(100)에 형성되는 관통 슬롯(123)을 관통하여 상기 제1거치판(210)에 체결되어 상기 제1거치판(210)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조절 노브(260); 를 포함하는 휴대형 다단 독서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200)는, 상기 제1거치판(210)의 일면에 직교되는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제1안착 부재(220)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221)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거치판(210)에 거치된 서적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아암(240)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다단 독서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치부(200)는, 상기 제1거치판(210)의 일면에 평행하는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어도 어느 한 위치에서 그 일부가 상기 제1거치부(200)의 외측에 위치되는 메모 부착 부재(250)를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다단 독서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치부(300)는,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서적이 거치되는 장방형의 제2거치판(310); 및
    상기 제2거치판(310)의 일면에 상기 제2거치판(310)의 일면에 평행하는 방향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100)에 대하여 펼쳐진 상기 제2거치판(310)을 기설정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0)에 구비되는 지지부(140)(150)에 지지되는 지지 부재(320); 를 포함하는 휴대형 다단 독서대.
KR1020160126165A 2016-09-30 2016-09-30 휴대형 다단 독서대 KR101798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165A KR101798608B1 (ko) 2016-09-30 2016-09-30 휴대형 다단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165A KR101798608B1 (ko) 2016-09-30 2016-09-30 휴대형 다단 독서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194 Division 2016-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30A KR20170121030A (ko) 2017-11-01
KR101798608B1 true KR101798608B1 (ko) 2017-11-16

Family

ID=6038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165A KR101798608B1 (ko) 2016-09-30 2016-09-30 휴대형 다단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6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72U (ko) 2018-07-13 2020-01-22 김병인 필기구 받침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056A (ja) * 1999-10-08 2001-04-17 Masashi Kanzaki ゴロ寝読書台
KR200359616Y1 (ko) * 2004-05-29 2004-08-21 정영단 필기 겸용 독서대
CN104092854A (zh) * 2014-07-25 2014-10-08 滁州品之达电器科技有限公司 折叠式文件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4056A (ja) * 1999-10-08 2001-04-17 Masashi Kanzaki ゴロ寝読書台
KR200359616Y1 (ko) * 2004-05-29 2004-08-21 정영단 필기 겸용 독서대
CN104092854A (zh) * 2014-07-25 2014-10-08 滁州品之达电器科技有限公司 折叠式文件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172U (ko) 2018-07-13 2020-01-22 김병인 필기구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30A (ko)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608B1 (ko) 휴대형 다단 독서대
CN110065446B (zh) 出风口支架底座以及具有其的便携式设备支架
US20010040207A1 (en) Portable display board system
KR101767917B1 (ko)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KR200483444Y1 (ko) 독서대 세트
KR200485749Y1 (ko) 설치각도 가변형 이젤
KR101256024B1 (ko) 접이식 독서대
KR200490772Y1 (ko) 휴대형 다단 독서대
KR200363813Y1 (ko) 독서대가 구비된 파일케이스
KR20160022529A (ko) 독서대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상판을 갖는 책상
KR20210001472U (ko) 휴대용 독서대
KR20160109637A (ko) 독서대
KR101783631B1 (ko)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한 독서대
KR101996553B1 (ko) 탈부착 및 접이식 기능을 갖는 휴대용 보면대
KR100972504B1 (ko) 휴대가 가능한 접철식 노트북 받침대
JP6451952B2 (ja) 書見台
KR100552005B1 (ko) 독서대가 부설된 상
KR102493375B1 (ko) 독서대
KR20060090951A (ko) 강의용 책상
TWM584390U (zh) 可調式承載架
KR101036372B1 (ko) 곤충 캐릭터 형상을 한 독서대
KR20190120870A (ko) 노트북 지지대
KR101045063B1 (ko) 마찰력 증대용 홀더를 구비한 책갈피 겸용 독서대
KR20020092761A (ko) 회전식 간이책상이 구성된 의자
KR20170073179A (ko)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