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72U - 필기구 받침대 - Google Patents

필기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72U
KR20200000172U KR2020180003222U KR20180003222U KR20200000172U KR 20200000172 U KR20200000172 U KR 20200000172U KR 2020180003222 U KR2020180003222 U KR 2020180003222U KR 20180003222 U KR20180003222 U KR 20180003222U KR 20200000172 U KR20200000172 U KR 202000001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riting instrument
base plate
support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인
Original Assignee
김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인 filed Critical 김병인
Priority to KR2020180003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172U/ko
Publication of KR202000001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43K23/002Supporting means with a fixed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2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3/00Writing or drawing underlays, e.g. blotting pads
    • B43L3/008Writing or drawing underlays, e.g. blotting pads with support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필기구 받침대(300)는, 베이스판(100)의 전방 변과 상판(200)의 전방 변 사이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연결판(350)과, 상기 연결판(350)의 전방 변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지지부(37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350)에는 전후방으로 긴 장공(360)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체결보스(150)와 체결되며, 상기 필기구 받침대는 상기 상판(200)이 회동각도가 커지도록 펼쳐짐에 따라 상기 지지부(370)를 밀어냄으로써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370)는 상기 상판(200)이 더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상기 상판(200)을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기구 받침대{Writing instrument stand}
본 고안은 필기구 받침대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도가 조절되는 상판을 가지는 독서대나 책상을 사용할 때, 필기구나 책이 상판에서 흘러 내리지 않도록 해주는 필기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98608호(발명의 명칭: 휴대형 다단 독서대)에 나오는 독서대의 경우, 제2거치부의 경사가 조절되어 학습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그런데 제2거치부의 경사가 만들어지면 그 위에 올려진 필기구나 물건들이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 제품에는 제2거치부의 과도한 펼쳐짐을 규제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B1) 10-1798608(휴대형 다단 독서대), 공개일자 2017.11.01)
본 고안의 목적은 각도가 조절되는 상판을 가지는 독서대나 책상에 필기구 받침대를 장착하되 기존 제품의 구조 변형을 최소화하면서도 간단하게 장착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판의 회동과 연동시켜 사용자가 상판의 경사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상태가 완성되는 필기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판의 과도한 펼쳐짐을 방지하도록 상판을 지지하는 필기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 변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동각도가 조절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기구에 설치되는 필기구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받침대는,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 변과 상기 상판의 전방 변 사이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전방 변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에는 전후방으로 긴 장공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체결보스와 체결되며, 상기 필기구 받침대는 상기 상판이 회동각도가 커지도록 펼쳐짐에 따라 상기 지지부를 밀어냄으로써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이 더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상기 상판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의 높이(T1)가, 상기 베이스판에 접힌 상태의 상판의 높이(T2) 보다 큰 값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의 상단에 전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필기구 받침대가 베이스판에 대하여 각도 조절이 되는 상판을 가지는 독서대나 책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베이스판에 체결시키는 것으로 간단하게 설치되며 베이스판이나 상판의 구조 변경을 요구하지 않는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필기구 받침대의 인출이 상판의 회동과 연동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상판을 펼치면 필기구 받침대의 사용 상태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의 필기구 받침대는 상판을 지지하여 상판의 과도한 펼쳐짐을 방지한다. 따라서 필기구 받침대를 경사가 조절되는 상판을 가지는 독서대나 책상에 장착하면 상판을 조작할 때 안전성이 확보되고 독서대나 책상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 필기구 받침대가 장착된 독서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필기구 받침대의 구성을 보인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 필기구 받침대의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상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로서 필기구 받침대가 장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필기구 받침대 부분이 확대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상판과 필기구 받침대의 동작 과정이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고안 필기구 받침대(300)가 장착되는 대상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기구에는 대표적으로 독서대와 책상이 있으며, 상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방 변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동각도가 조절되는 상판(2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100)이 바닥에서부터 높은 위치에 있도록 지지다리를 가지면 그 기구는 책상이 된다.
본 고안 필기구 받침대(300)는 위와 같이 상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장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필기구 받침대가 설치된 독서대를 실시예로 삼아 설명한다.
베이스판(100)은 바닥 면이나 책상 위에 놓일 수 있다. 상판(200)은 베이스판(100)의 전방 변에 힌지(H)로 연결된다. 상판(200)은 힌지(H)에 의해 베이스판(100)의 전방 변을 중심축으로 하여 베이스판(100)에 대하여 회동한다. 상판(200)을 회동시키면 상판이 경사지게 된다.
상판(200)의 후방에는 상판(200)의 경사를 유지함과 동시에 경사 각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경사조절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러한 경사조절구에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상판(200)의 후방 저면에 지지다리가 돌출되고 베이스판(100)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상판(200)을 지지하는 지지다리가 상기 홈에 끼워지는 구조가 있다. 상기 지지다리가 베이스판(100)에서 돌출되고 상기 홈이 상판(200)의 저면에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도 2와 같이 필기구 받침대(3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방 변과 상기 상판(200)의 전방 변 사이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다. 필기구 받침대(300)는 경사진 상태의 상판(200) 위에 놓여진 물건이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필기구 뿐만 아니라 책을 지지할 수도 있다.
필기구 받침대(300)는 상기 베이스판(100)에 체결되는 연결판(350)과, 상기 연결판(350)의 전방 변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지지부(370)를 포함한다. 지지부(370)의 상단에는 전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절곡부(38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안전을 위해 절곡부(380)는 모난 부분 없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곡부(380)는 필기구 받침대(300)의 인입 또는 인출시 손잡이가 될 수 있다.
연결판(350)에는 전후방으로 긴 장공(360)이 적어도 두 곳에 형성되며 베이스판(100)에서 돌출되는 체결보스(150)가 상기 장공(360)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연결판(350)이 상기 베이스판(100)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연결판(350)의 이동거리는 상기 장공(360)의 길이와 체결보스(150)의 지름값으로 결정된다.
지지부(370)는 상기 연결판(350)의 전방 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인데, 도 3a를 참고하면 연결판(350)과 지지부(370)가 직각을 이루고 있다. 지지부(370)가 물건을 지지하면 되므로 지지부(370)는 연결판(350)과 반드시 직각을 이룰 필요는 없다.
도 3a에 보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100)을 기준으로 지지부(370)의 높이(T1)는 베이스판(100)에 접힌 상태인 상판(200)의 전방 변의 높이(T2) 보다 큰 값을 가진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판(200)을 회동시킬 때 상판(200)의 전방 변이 상기 지지부(370)를 밀어주기 위해서이다.
필기구 받침대(300)는 사용자가 직접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필기구 받침대(300)를 전방으로 당기면 연결판(350)에 장공(36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기구 받침대(300)가 전방으로 나온다. 필기구 받침대(3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필기구 받침대(300)를 후방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그런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370)의 높이(T1)를 상판(200)의 전방 변의 높이(T2) 보다 높여서 상판(200)을 회동시킴에 따라 필기구 받침대(300)를 전방으로 나오게 했다. 이러한 동작을 도 3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먼저 도 3a 부터 도 3c를 보자. 상판(200)을 베이스판(100)으로부터 펼치면 상판(200)이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하는데 이때 상판(200)의 전방 변이 필기구 받침대(300)의 지지부(370) 상단을 밀어주기 때문에 필기구 받침대(300)가 전방(도에서는 우측)으로 밀려 나오게 된다(도 3b).
도 3c의 상태는 필기구 받침대(300)의 인출이 완료된 상태인데, 이때 필기구 받침대(300)의 지지부(370)가 상판(200)을 지지하여 상판(200)의 추가 회동을 방지한다. 즉 본 고안에서는 필기구 받침대(300)가 경사진 상판(200)에서 물건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 외에 상판(200)의 과도한 펼쳐짐을 막는 기능을 한다. 상판(200)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므로 상판(200)과 베이스판(100)의 전방 변 사이에서 손가락이 다치는 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이며, 힌지(H)와 그 주변부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d는 필기구 받침대(300)와 상판(200)의 세팅이 완료된 상태이다. 도 3c와 같이 필기구 받침대(300)가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 상판(200)을 회동시킨 다음에 도 3d와 같이 상판(200)을 다시 베이스판(100)을 향해 접어가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각도에 도달했을 때 앞서 설명한 경사조절구로 상판(200)을 고정시킨다.
필기구 받침대(3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필기구 받침대(300)를 도 3d의 상태에서 필기구 받침대(300)의 후방(도면에서는 좌측)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이와 같은 필기구 받침대(300)에 따르면 베이스판에 간단하게 설치되고 설치 대상물의 구조 변경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상판을 펼치면 동시에 필기구 받침대가 앞으로 나오게 되어 편리하다. 또한, 필기구 받침대가 상판의 과도한 펼침을 방지하므로 제품 내구성이 좋아지고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베이스판 150: 체결보스
200: 상판 300: 필기구 받침대
350: 연결판 360: 장공
370: 지지부 380: 절곡부
H: 힌지

Claims (3)

  1. 베이스판(100)과,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방 변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회동각도가 조절되는 상판(200)을 포함하는 기구에 설치되는 필기구 받침대(300)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받침대(300)는, 상기 베이스판(100)의 전방 변과 상기 상판(200)의 전방 변 사이에 삽입되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연결판(350)과, 상기 연결판(350)의 전방 변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지지부(37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350)에는 전후방으로 긴 장공(360)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100)의 체결보스(150)와 체결되며, 상기 필기구 받침대는 상기 상판(200)이 회동각도가 커지도록 펼쳐짐에 따라 상기 지지부(370)를 밀어냄으로써 인출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370)는 상기 상판(200)이 더 이상 펼쳐지지 않도록 상기 상판(200)을 지지하는 필기구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0)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부(370)의 높이(T1)가, 상기 베이스판(100)에 접힌 상태의 상판(200)의 높이(T2) 보다 큰 값을 가지는 필기구 받침대.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70)의 상단에 전방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절곡부(380)를 더 포함하는 필기구 받침대.
KR2020180003222U 2018-07-13 2018-07-13 필기구 받침대 KR202000001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22U KR20200000172U (ko) 2018-07-13 2018-07-13 필기구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222U KR20200000172U (ko) 2018-07-13 2018-07-13 필기구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72U true KR20200000172U (ko) 2020-01-22

Family

ID=69227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222U KR20200000172U (ko) 2018-07-13 2018-07-13 필기구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172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608B1 (ko) 2016-09-30 2017-11-16 김병화 휴대형 다단 독서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608B1 (ko) 2016-09-30 2017-11-16 김병화 휴대형 다단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4004B2 (ja) タブレットコンピュータ支持物
US8162268B1 (en) Monitor support device
US6027090A (en) Supporting assembly for articles
US9198507B1 (en) Stand for adjustable display
US4763865A (en) Foldable keyboard stand
US5503361A (en) Adjustable stand device
US4856749A (en) Expandable easel
US3961822A (en) Footrest for desks
US6332407B1 (en) Computer work station
US10117510B2 (en) Portable adjustable desk system
US7393050B2 (en) Foldable structure of highchair
US20040149869A1 (en) Electric appliance stand with simple telescopic support rod
US6234441B1 (en) Book stand
US4815391A (en) Wheeled adjustment computer desk
US20070227408A1 (en) Computer Desk
KR20200000172U (ko) 필기구 받침대
US3980266A (en) Desk top work support device
KR20170065914A (ko)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US7025416B1 (en) Resin chair with removable desk top
KR101798608B1 (ko) 휴대형 다단 독서대
JP6451952B2 (ja) 書見台
JP4673399B2 (ja) 角度可変型物品保持台
US20040037027A1 (en) Keyboard with adjustable support devices
KR20100114179A (ko)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JP3085955U (ja) コンピューター用デ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