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179A -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 Google Patents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179A
KR20170073179A KR1020150181776A KR20150181776A KR20170073179A KR 20170073179 A KR20170073179 A KR 20170073179A KR 1020150181776 A KR1020150181776 A KR 1020150181776A KR 20150181776 A KR20150181776 A KR 20150181776A KR 20170073179 A KR20170073179 A KR 20170073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bar
support plat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훈
Original Assignee
정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훈 filed Critical 정일훈
Priority to KR1020150181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3179A/ko
Publication of KR2017007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대가 지지판과, 지지판지지대와, 지지대고정구로 이루어진 독서대의 지지대로서, 지지판지지대(730)은 고정지지대(730a)와 확장지지대(73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대(730a)는 그 안측 끝단에 형성된 힌지(218)가 일방향탄성스프링(228)과 함께 끼워져 일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확장지지대(730b)는 고정지지대(730a)로부터 확장가능하도록 조절바(731b)가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바(731b)는 고정지지대(730a)에 형성된 지지대조절공(731a)에 끼워지면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이다.

Description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Adusting supporter of reading book device}
본 발명은 독서대의 지지대 길이 조절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독서대의 지지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지지판이 벽면 가까이 부착될 수 있도록 지지대의 구조를 개선한 독서대의 지지대 길이 조절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제1발명에 따른 독서대는 등록특허 10-1498653호에 의하면, 책지지밑판은 책지지상판(10)과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고, 경첩, 힌지 등의 회동수단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책지지상판(10)에 대해서 회전하며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 것도 있다.
그리고, 상기 책지지밑판에는 책장을 고정하기 위하여 탄성재질로 형성된 책장가압부(12)가 배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한, 바닥지지판(20)은 지면에 밀착되고, 상기 책지지상판(10)은 물론, 책지지밑판 및 책지지상판(10)에 놓여지는 책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닥지지판(20)의 상면에 복수의 걸림고정판(40)이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경사지지대(30)의 자유단이 걸림고정판(40) 상에 걸림 고정됨에 따라 책지지상판(10)의 경사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바닥지지판(20)의 저면에는 독서대의 미끄러짐을 방지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미끄럼방지 패드(도시안됨)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 패드는 탄성력을 가진 고무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종래 제2발명은 도 2,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4749호에서 살펴 보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독서대의 후면사시도로서, 좌,우받침판(10,11)의 후면의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받침판(10)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책의 크기에 적응하도록 하는 확장받침판(50), 좌받침판(10)과 우받침판(11)을 체결하는 체결핀(20), 잠금홈(13)과 잠금턱(14)에 의해 휴대 및 보관시에 펼쳐짐을 방지하도록 하며,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독서대를 지지하는 지지대(60), 수납홈(17)을 이용하여 필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독서대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좌받침판(10)과 우받침판(11)을 결합하여 체결핀(20)으로 체결하고 확장받침판(50)은 좌,우받침판(10,11)의 안내홈(18)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며, 받침대(30)와 고정대(40)는 체결핀(31)으로 회절가능하게 결합되고, 받침대(30)는 결합홈(12)에 회절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치한다. 본 고안의 지지대(60)는 보조지지대(61)를 지지대(60)의 가우데에 두고 체결핀(63)에 의해 좌받침판(10)과 우받침판(11)에 결합되어 구성되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기술1은 책상이 벽면에 붙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책지지상판(10)의 각도에 따라 상기 바닥지지판(20)이 거리(a)(b)를 달라지게 형성되고, 이러한 거리(a)(b)는 결국 벽면과의 떨어지는 거리이고, 이러한 거리(a)(b)가 책상을 점유하는 거리가 되어 결과적으로는 책상이 좁아지게 되는 것이어서 좁은 책상에서는 더욱 문제가 되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독서대는 작은 사이즈로 되어 책을 펼치더라도 책만을 간신히 지탱하는 결과이어서, 종이가 세워지거나 큰 종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구입한 독서대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였고, 특히 종래기술 2에서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확장받침판(50)을 양측으로 하고, 이를 끼우기 위하여 몸체인 받침판(10)에 안내홈(18)을 별도로 형성하고, 여기에 확장받침판(50)를 끼우는 형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받침판(10) 자체 내에 안내홈(18)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더구나 받침판(10)이 얇게 되는 경우에는 안내홈(18) 자체를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얇은 종이 등을 부착하면 클립할 수 있는 구조도 없었기 때문에 A4용지 등은 그대로 넘어져 사용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10-1498653호(공고일자 2015. 3. 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4749호(공고일자 지지판지지대(200)2. 8. 1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좁은 책상 내에서도 독서대에 의하여 벽과의 거리(a)(b)가 공백으로 남지 않도록 벽에 밀착되는 독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 작은 독서대라도 큰 책이나 큰 종이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독서대가 지지판과, 지지판지지대와, 지지대고정구로 이루어진 독서대의 지지대로서, 지지판지지대(730)은 고정지지대(730a)와 확장지지대(73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대(730a)는 그 안측 끝단에 형성된 힌지(218)가 일방향탄성스프링(228)과 함께 끼워져 일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확장지지대(730b)는 고정지지대(730a)로부터 확장가능하도록 조절바(731b)가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바(731b)는 고정지지대(730a)에 형성된 지지대조절공(731a)에 끼워지면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의 독서대의 경우, 벽과의 거리(a)(b)가 공백으로 남아 책상의 사용공간이 좁아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좁은 책상 내에서도 독서대에 의하여 벽과의 거리(a)(b)가 공백으로 남지 않도록 벽에 밀착되는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은 독서대라도 큰 책이나 큰 종이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지지대를 형성함으로써 큰 책은 물론 얇고 큰 종이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기구를 지지판에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지지판의 외부 배면이나 상면에 볼트나 접착제로 부착하여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제1 발명의 독서대의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제2 발명의 독서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타낸 사용상태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종래 제2 발명의 독서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독서대 지지대를 펼쳐 사용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독서대 지지대의 중간부를 꺽어 사용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독서대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독서대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대를 짧게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독서대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대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도 4는 본 발명의 독서대 지지대를 펼쳐 사용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독서대 지지대의 중간부를 꺽어 사용하고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독서대는 지지판(100)과, 지지판지지대(200)와, 지지판높이조절구(300)와, 지지대고정구(4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판(100)은 지지판배면(110)과 지지판테두리(120)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판배면(110)에 지지판지지대(200)가 볼트 등으로 결합되어 있고, 지지판배면(110)과 지지판테두리(120)에 지지판높이조절구(300)이 볼트 등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지지대(200)는 크게 지지대회전판(210)과 지지대꺽임판(230)으로 구분하였고, 상기 지지대회전판(210)과 지지대꺽임판(230)의 결합은 지지대힌지부(220)에 의하여 접을 수 있도록 결합되도록 하였고, 상기 지지대회전판(210)의 회전판돌출힌지부(211)에는 회전저지수용홈(212)과 꺽임판힌지수용공(213)이 각각 편심원판테두리(214)의 측부 및 중심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판돌출힌지부(211)의 끝단에는 회전저지돌출저지턱(2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힌지부(220)에 형성된 지지대꺽임판(230)의 회전저지돌출부(232)가 상기 회전저지수용홈(2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지지대꺽임판(230)의 꺽임판지지대(231)에 형성된 꺽임판지지대힌지(233)는 상기 꺽임판힌지수용공(213)에 끼워져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상기 회전저지돌출저지턱(215)까지 회동되면, 상기 지지대꺽임판(230)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편심원판테두리(214)의 구조는 꺽임판힌지수용공(213)을 중심으로 상부로 편심되게 형성하여 상기 꺽임판지지대(231)의 회전저지돌출부(232)가 상기 꺽임판지지대힌지(233)을 중심으로 회동시에 회전저지돌출부(232)의 원상복귀되는 힘을 받아 상기 편심원판테두리(214)의 좌우측인 회전저지수용홈(212) 및 회전저지돌출저지턱(215)측으로 회동되는 힘이 주어져 손쉽게 상기 지지대꺽임판(230)을 재키거나 원상복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판높이조절구(300)는 높이조절봉과 높이조절틀로 구분하여 제작되어 있고, 상기 높이조절틀은 지지판(100)의 지지판배면(110)에 볼트 등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고정구(400)는 상부의 지지대하부편(410)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하부편(410)의 각각 측부에 지지대힌지(411)가 형성되어 좌우측으로 형성된 지지대힌지부(440)의 지지대힌지공(441)에서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들을 회동시켜 상기 지지대고정구의 끝단인 지지대고정편(420)을 상기 지지대회전판(210)에 형성된 지지대고정편걸림턱부(219)에 걸려놓게 하면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판(100)의 각도가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힌지부(440)은 상기 지지판배면(110)의 배면에 볼트나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힌지부(440)의 하단부에도 지지대힌지공(441)이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지지대회전판(210)의 끝단에 형성된 힌지(218)가 일방향탄성스프링(228)과 함께 끼워져 일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들의 각도는 상기 지지대고정구의 위치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독서대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대를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독서대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대를 짧게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독서대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대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부분은 그대로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730)은 고정지지대(730a)와 확장지지대(73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대(730a)는 그 안측 끝단에 형성된 힌지(218)가 일방향탄성스프링(228)과 함께 끼워져 일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들의 각도는 상기 지지대고정구(400)의 위치에 의하여 정하여 진다.
상기 확장지지대(730b)는 고정지지대(730a)로부터 확장가능하도록 조절바(731b)가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바(731b)는 고정지지대(730a)에 형성된 지지대조절공(731a)에 끼워지면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고정구(400)에 의하여 지지대(730)에 형성된 지지대고정편걸림턱부(219)(219a)에 걸려놓게 하면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판(100)의 각도가 결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확장지지대(730b)의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판(100)의 각도에 따라 상기 지지판(100)의 끝단부가 벽면에 상당히 떨어져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이를 좀 더 벽면에 가까이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73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즉 확장지지대(730b)의 조절바(731b)를 고정지지대(730a)의 지지대조절공(731a) 속으로 끼워 넣으므로써 상기 지지판(100)의 끝단은 벽면에 더 가까이 붙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지지판
110 : 지지판배면
200 :지지판지지대
210 : 지지대회전판
220 : 지지대힌지부
230 : 지지대꺽임판
300 : 지지판높이조절구
310 : 높이조절봉
320 : 높이조절봉헤드
330 : 높이조절봉지지대
370 : 지지판평면조절부
400 : 지지대고정구
410 : 지지대하부편
420 : 지지대고정편
440 : 지지대힌지부

Claims (1)

  1. 독서대가 지지판과, 지지판지지대와, 지지대고정구로 이루어진 독서대의 지지대로서, 지지판지지대(730)은 고정지지대(730a)와 확장지지대(730b)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대(730a)는 그 안측 끝단에 형성된 힌지(218)가 일방향탄성스프링(228)과 함께 끼워져 일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확장지지대(730b)는 고정지지대(730a)로부터 확장가능하도록 조절바(731b)가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바(731b)는 고정지지대(730a)에 형성된 지지대조절공(731a)에 끼워지면서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KR1020150181776A 2015-12-18 2015-12-18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KR20170073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776A KR20170073179A (ko) 2015-12-18 2015-12-18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776A KR20170073179A (ko) 2015-12-18 2015-12-18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179A true KR20170073179A (ko) 2017-06-28

Family

ID=5928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776A KR20170073179A (ko) 2015-12-18 2015-12-18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31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322B1 (ko) * 2020-06-25 2021-11-17 (주)나이스통상 독서대의 변형 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322B1 (ko) * 2020-06-25 2021-11-17 (주)나이스통상 독서대의 변형 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720A (en) Stand for supporting and securing items such as a portable computer
US20170251803A1 (en) Portable adjustable desk system
KR102411776B1 (ko) 휴대용 독서대
KR101381608B1 (ko) 다기능 거치대
KR101767917B1 (ko)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US9980562B2 (en) Tray table apparatus
KR20170073179A (ko)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KR101256024B1 (ko) 접이식 독서대
KR101244983B1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KR101767918B1 (ko) 지지판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판 구조
KR20150003152U (ko) 침대용 다기능 거치대
KR200477392Y1 (ko) 각도조절형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KR101392421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20210001472U (ko) 휴대용 독서대
KR20120037056A (ko) 노트북 받침대 겸용 마우스 보드
KR200486388Y1 (ko) 독서대
KR100552005B1 (ko) 독서대가 부설된 상
KR100734947B1 (ko) 탁상용을 겸한 휴대용 독서대
KR101450465B1 (ko) 크기조절가능한 접이식 독서대
KR102402593B1 (ko) 독서대
KR20190127189A (ko) 다과상 등의 다기능으로 사용가능한 독서대
CN110159653A (zh) 一种止转结构以及支架底座
KR102493375B1 (ko) 독서대
KR200490772Y1 (ko) 휴대형 다단 독서대
KR100785407B1 (ko) 독서대 스탠드와 이에 마련되는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