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388Y1 - 독서대 - Google Patents
독서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6388Y1 KR200486388Y1 KR2020160003673U KR20160003673U KR200486388Y1 KR 200486388 Y1 KR200486388 Y1 KR 200486388Y1 KR 2020160003673 U KR2020160003673 U KR 2020160003673U KR 20160003673 U KR20160003673 U KR 20160003673U KR 200486388 Y1 KR200486388 Y1 KR 2004863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book
- support
- coupled
- bol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16—Book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받침대(20)에 상기 책지지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준점이 되는 지지중심볼트(112)는 외곽을 감싸는 결합돌기(110)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231)이 내측에 형성된 받침대 결합부(230)로 이루어진 결합부재(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기(110)의 중심부에 볼트결합통공(111)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결합통공(111)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책지지대(10)의 측부에 형성된 볼트결합공(1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책받침대(20)의 하부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책받침대(20)의 배면과 결합되는 배면결합턱(21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저면과 결합되는 저면결합턱(22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정면에 위치하여 앞쪽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상기 결합홈(231)이 형성되는 받침대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결합부(230)의 일측에 관통홀(232)이 형성되어 나사(233)에 의하여 지지판(200)의 측면 모서리에 결합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독서할 때 사용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을받치는 받침대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책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시선과 책이 고정되는 경사도를 조절하여 바른 자세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독서대는 지지판과 지지대로 이루어져 있고, 책의 페이지가 무단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에 한 쌍의 지지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독서대를 필기대 등의 독서 이외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 하부플레이트를 접어 사용하게 됨에 따라, 하부플레이트가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서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어 그만큼 상부플레이트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고, 상부플레이트의 상면에 종이를 올려놓고 필기하는 과정에서 하부플레이트에 종이나 손이 걸리게 되어 필기를 원활하게 하는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독서대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탄성바를 회동시킴으로 인한 볼트의 회전을 통해 볼트가 체결된 하부플레이트 체결공의 내경이 늘어나게 되어 볼트의 체결상태가 헐거워짐에 따라 탄성바가 쉽게 분리되어 탄성바의 결합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음은 물론, 책의 페이지에 대한 가압력이 부족해져 책 페이지의 고정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특허 10-1528425호(독서대)에서는 독서를 할 때는 물론 필기대 등의 독서 이외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독서대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책의 페이지를 가압하는 누름핀의 잦은 회동에도 받침대 끼움홈의 내경이 늘어나지 않게 되어 누름핀의 삽입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독서할 때 사용하는 독서대(1)에 관한 것으로, 책을 받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 결합되어 책을 지지하는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의 배면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20)을 지지하여 책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10)는 상기 지지판(2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10)는 외측면에 결합돌기(110)가 돌출 형성되는 보호부재(100)가 양측면에 각각 결합 구성된다.
상기 보호부재(100)는 상기 받침대(10)의 측면과 대응되도록 ''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받침대(10)의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측면에 결합되도록 사선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재(100)가 상기 받침대(10)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됨으로써, 사용 중 발생될 수 있는 상기 받침대(10)의 마모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대(10)는 평면 또는 저면에 눈금자(12)가 형성되어 필요할 때 상기 지지판(20)으로부터 상기 받침대(10)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0)은 상기 결합돌기(11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231)이 형성된 결합부재(200)가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00)는 ''자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며 상기 지지판(20)의 하부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사용 중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지지판(20)의 마모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지지판(20)의 배면과 결합되는 배면 결합부(210)와, 상기 지지판(20)의 저면과 결합되는 저면 결합부(220)와, 상기 지지판(200)의 정면에 위치하여 앞쪽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상기 결합홈(231)이 형성되는 받침대 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면 결합부(210) 및 저면 결합부(220)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지지판(20)의 배면 및 저면과 접착 결합된다.
특히, 상기 배면 결합부(210)는 하측에 나사공(211)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20)의 배면과 나사로 체결 결합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결합홈(231)은 상기 받침대 결합부(230)의 정면으로부터 일정 길이까지 형성된 제1홈(231a)과, 상기 제1홈(231a)과 교차되어 위에서 아래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된 제2홈(231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홈(231a) 및 제2홈(231b)은 각각 상기 결합돌기(110)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10)가 결합된다.
상기 결합돌기(110)가 상기 결합홈(231)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받침대(10)가 상기 지지판(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독서대(1)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효율성과 편의성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즉, 상기 독서대(1)를 독서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결합돌기(110)를 상기 제1홈(231a)에 결합하여 상기 받침대(10)와 지지판(20)이 직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상기 받침대(10) 및 지지판(20)이 책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독서대(1)를 필기대 등의 독서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결합돌기(110)를 상기 제1홈(231a)으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지지판(20)의 상면에 종이를 올려놓고 필기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받침대(10)는 외측면에 결합돌기(110)가 돌출 형성되는 보호부재(100)가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보호부재의 경우 지지대의 커버일 뿐 원목 등에는 이의 보호부재가 오히려 외관상 미려하지 않고, 구조적으로도 결합 부분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보기가 싫거나 결합작업이 번거로운 결과를 초래하고 있었고, 상기 결합돌기(110)가 상기 결합홈(231)에 정위치되지 않아 다시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사용상 결합돌기(110)의 위치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기 받침대(10)에 외측면에 결합돌기(110)가 돌출 형성되는 보호부재(100)를 없애고, 상기 결합돌기(110)를 독립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지지대가 원목일 경우에는 자연미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책지지대(10)에 결합되어 책을 지지하는 책받침대(2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배면에 연결되어 상기 책받침대(20)을 지지하여 책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책받침대(20)에 상기 책지지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준점이 되는 지지중심볼트(112)는 외곽을 감싸는 결합돌기(110)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231)이 내측에 형성된 받침대 결합부(230)로 이루어진 결합부재(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기(110)의 중심부에 볼트결합통공(111)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결합통공(111)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책지지대(10)의 측부에 형성된 볼트결합공(1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책받침대(20)의 하부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책받침대(20)의 배면과 결합되는 배면결합턱(21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저면과 결합되는 저면결합턱(22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정면에 위치하여 앞쪽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상기 결합홈(231)이 형성되는 받침대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결합부(230)의 일측에 관통홀(232)이 형성되어 나사(233)에 의하여 지지판(200)의 측면 모서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결합돌기(110)이 책지지대(10)에 견고하게 하고, 위치를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책지지대(10)의 측부에 안착홈(1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지지중심볼트(112)는 외곽을 감싸는 결합돌기(110)에 의하여 결합부재(200)의 상부가 개방되어 관통될 수 있는 결합홈(2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볼트결합통공(111)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결합통공(111)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결합홈(231)의 내부 측부에는 이탈방지돌기(231a)(23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돌기(231a)(231b)는 상기 결합돌기(110)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10a)(110b)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상기 받침대(10)에 외측면에 결합돌기(110)가 돌출 형성되는 보호부재(100)를 없애고, 상기 결합돌기(110)를 독립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함으로써, 지지대를 원목으로 사용하여 자연미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원목이 아니더라도 간편한 구조로 제작 및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분리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서대의 분리사시도이다.
본건 고안은 독서할 때 사용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책을 받치는 책지지대(10)와, 상기 책지지대(10)에 결합되어 책을 지지하는 책받침대(2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배면에 연결되어 상기 책받침대(20)을 지지하여 책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책지지대(10)는 상기 책받침대(20)에 3가지 방향(책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책받침 수직방향, 보관용으로 상부 젖힘방향, 터블렛 사용용으로 하부 젖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책받침대(20)에 상기 책지지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준점이 되는 지지중심볼트(112)는 외곽을 감싸는 결합돌기(110)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231)이 내측에 형성된 받침대 결합부(230)로 이루어진 결합부재(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기(110)의 중심부에 볼트결합통공(111)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결합통공(111)으로 끼워지고, 상기 책지지대(10)의 측부에 형성된 볼트결합공(1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10)이 책지지대(10)에 견고하게 하고, 위치를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책지지대(10)의 측부에 안착홈(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각형상의 결합돌기(110)는 별개의 금형에 의하여 제작되며, 상기 책지지대(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110)의 크기를 여러가지로 제작하여 양측 받침대결합부(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책받침대(20)은 상기 결합돌기(11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에서 개방된 결합홈(231)이 형성된 결합부재(200)가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책받침대(20)의 하부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책받침대(20)의 배면과 결합되는 배면결합턱(21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저면과 결합되는 저면결합턱(220)과, 상기 지지판(200)의 정면에 위치하여 앞쪽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상기 결합홈(231)이 형성되는 받침대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결합부(230)의 일측에 관통홀(232)이 형성되어 나사(233)에 의하여 지지판(200)의 측면 모서리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231)이 받침대결합부(23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측부에서 보면 외관이 막혀 있으므로 외향이 미려하게 보이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결합부(230)의 결합홈(231)은 각각 상기 결합돌기(110)와 대응되는 사각형상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10)가 원하는 각도로 결합된다.
누름핀(300)은 상기 책지지대(10)의 결합공(11)에 누름핀결합공(310)에 의하여 볼트(320)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지지대를 원목으로 사용하여 자연미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원목이 아니더라도 간편한 구조로 제작 및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독서대 기능은 물론 필요시에 책지지대를 제거하고, 필기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본건 고안은 독서할 때 사용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책을 받치는 책지지대(10)와, 상기 책지지대(10)에 결합되어 책을 지지하는 책받침대(2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배면에 연결되어 상기 책받침대(20)을 지지하여 책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책지지대(10)는 상기 책받침대(20)에 3가지 방향(책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책받침 수직방향, 보관용으로 상부 젖힘방향, 터블렛 사용용으로 하부 젖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책받침대(20)에 상기 책지지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준점이 되는 지지중심볼트(112)는 외곽을 감싸는 결합돌기(110)에 의하여 결합부재(200)의 상부가 개방되어 관통될 수 있는 결합홈(2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볼트결합통공(111)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결합통공(111)으로 끼워지고, 상기 책지지대(10)의 측부에 형성된 볼트결합공(12)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231)의 내부 측부에는 이탈방지돌기(231a)(23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돌기(231a)(231b)는 상기 결합돌기(110)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10a)(110b)와 결합되어 상기 책지지대(1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미미하게 돌출된 돌기이어서 상기 결합돌기(110)의 결합이 자유롭다.
상기 사각형상의 결합돌기(110)는 별개의 금형에 의하여 제작되며, 상기 책지지대(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110)의 크기를 여러가지로 제작하여 양측 받침대결합부(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책받침대(20)은 상기 결합돌기(11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상부에서 개방된 결합홈(231)이 형성된 결합부재(200)가 하부 양측에 각각 결합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책받침대(20)의 하부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책받침대(20)의 배면과 결합되는 배면결합턱(21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저면과 결합되는 저면결합턱(220)과, 상기 지지판(200)의 정면에 위치하여 앞쪽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상기 결합홈(231)이 형성되는 받침대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결합부(230)의 일측에 관통홀(232)이 형성되어 나사(233)에 의하여 지지판(200)의 측면 모서리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결합부(230)의 결합홈(231)은 각각 상기 결합돌기(110)와 대응되는 사각형상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10)가 원하는 각도로 결합된다.
누름핀(300)은 상기 책지지대(10)의 결합공(11)에 누름핀결합공(310)에 의하여 볼트(320)로 회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연의 독서대 기능은 물론 필요시에 책지지대를 제거하고, 필기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독서대
10 : 받침대 11 : 끼움홈
12 : 눈금자 20 : 지지판
30 : 조절부재 100 : 보호부재
110 : 결합돌기 120 : 끼움돌기
121 : 결속홈 200 : 결합부재
210 : 배면 결합부 211 : 나사공
220 : 저면 결합부 230 : 받침대 결합부
10 : 받침대 11 : 끼움홈
12 : 눈금자 20 : 지지판
30 : 조절부재 100 : 보호부재
110 : 결합돌기 120 : 끼움돌기
121 : 결속홈 200 : 결합부재
210 : 배면 결합부 211 : 나사공
220 : 저면 결합부 230 : 받침대 결합부
Claims (4)
- 책지지대(10)에 결합되어 책을 지지하는 책받침대(2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배면에 연결되어 상기 책받침대(20)을 지지하여 책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독서대에 있어서,
상기 책받침대(20)에 상기 책지지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준점이 되는 지지중심볼트(112)는 외곽을 감싸는 결합돌기(110)가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231)이 내측에 형성된 받침대 결합부(230)로 이루어진 결합부재(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돌기(110)의 중심부에 볼트결합통공(111)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결합통공(111)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책지지대(10)의 측부에 형성된 볼트결합공(1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책받침대(20)의 하부 양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책받침대(20)의 배면과 결합되는 배면결합턱(21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저면과 결합되는 저면결합턱(220)과, 상기 책받침대(20)의 정면에 위치하여 앞쪽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상기 결합홈(231)이 형성되는 받침대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결합부(230)의 일측에 관통홀(232)이 형성되어 나사(233)에 의하여 지지판(200)의 측면 모서리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돌기(110)이 책지지대(10)에 견고하게 하고, 위치를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책지지대(10)의 측부에 안착홈(1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중심볼트(112)는 외곽을 감싸는 결합돌기(110)에 의하여 결합부재(200)의 상부가 개방되어 관통될 수 있는 결합홈(2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중심부에 볼트결합통공(111)를 형성하여 상기 볼트결합통공(111)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231)의 내부 측부에는 이탈방지돌기(231a)(23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탈방지돌기(231a)(231b)는 상기 결합돌기(110)의 측면에 형성된 홈부(110a)(110b)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3673U KR200486388Y1 (ko) | 2016-06-27 | 2016-06-27 | 독서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3673U KR200486388Y1 (ko) | 2016-06-27 | 2016-06-27 | 독서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047U KR20180000047U (ko) | 2018-01-04 |
KR200486388Y1 true KR200486388Y1 (ko) | 2018-05-14 |
Family
ID=6127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3673U KR200486388Y1 (ko) | 2016-06-27 | 2016-06-27 | 독서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6388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9596B1 (ko) * | 2020-08-19 | 2022-01-10 | 천원석 | 독서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49814A (ja) * | 2001-08-07 | 2003-02-21 | Makiko Suematsu | 角パイプジョイント部品 |
KR101528425B1 (ko) * | 2014-10-07 | 2015-06-12 | 천승일 | 독서대 |
-
2016
- 2016-06-27 KR KR2020160003673U patent/KR20048638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49814A (ja) * | 2001-08-07 | 2003-02-21 | Makiko Suematsu | 角パイプジョイント部品 |
KR101528425B1 (ko) * | 2014-10-07 | 2015-06-12 | 천승일 | 독서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0047U (ko) | 2018-01-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45163A (en) | Clip board desk and stand | |
KR101528425B1 (ko) | 독서대 | |
KR101383647B1 (ko) | 독서대 | |
KR200486388Y1 (ko) | 독서대 | |
KR200477599Y1 (ko) | 독서대 | |
KR200436158Y1 (ko) | 독서대 | |
JP7338232B2 (ja) | 書見台 | |
KR101767917B1 (ko) | 지지대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의 지지대 구조 | |
KR101532884B1 (ko) | 독서대 | |
KR101392421B1 (ko) |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 |
CN214258364U (zh) | 一种读写套装 | |
KR200407154Y1 (ko) | 접이식 독서대 | |
KR20100009058U (ko) | 독서대 | |
KR101822994B1 (ko) | 북커버 | |
CN101719320B (zh) | 电子阅读器 | |
KR20230001446A (ko) | 독서대 | |
CN218484007U (zh) | 一种阅读架 | |
KR20200017670A (ko) | 2단 페이지 클립을 갖는 북마크 독서대 | |
KR102287717B1 (ko) | 스마트 기기 및 책 거치대 | |
CN212325790U (zh) | 一种桌垫 | |
US20030193003A1 (en) | Book safe device for holding an open book | |
KR200284182Y1 (ko) | 탈·부착기능 및 사무용품 보관함을 갖는 독서대 | |
KR200212844Y1 (ko) | 컴퓨터 모니터용 서적 재치대 | |
KR20030063093A (ko) | 컴퓨터용 카피홀더 | |
KR200274204Y1 (ko) | 컴퓨터용 카피홀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X70R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