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710B1 -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 Google Patents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710B1
KR101797710B1 KR1020160100757A KR20160100757A KR101797710B1 KR 101797710 B1 KR101797710 B1 KR 101797710B1 KR 1020160100757 A KR1020160100757 A KR 1020160100757A KR 20160100757 A KR20160100757 A KR 20160100757A KR 101797710 B1 KR101797710 B1 KR 10179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late
paper feed
roll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원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원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원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60100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판의 좌우양측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좌우한쌍의 측판을 갖추고, 상기 하판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재판을 갖추어 다량의 종이가 올려지는 본체트레이 ; 상기 적재판에 올려지는 다량의 종이 중 최상층의 종이와 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지롤러를 일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급지모터를 갖추어 종이를 이송하는 급지부 ; 상기 종이와 급지롤러사이에 접촉압이 발생되도록 상기 적재판을 급지롤러측으로 탄력지지지하는 탄성부 ; 상기 적재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연결부재를 갖추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어롤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모터를 갖추어 상기 하판에 대하여 탄력지지되는 적재판의 위치를 제어하는 판제어부 ;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감김에 의해서 상기 하판측으로 이동된 적재판에 다량의 종이를 적재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풀림제어에 의해서 상기 본체트레이로부터 배출되는 종이 급지량에 맞추어 상기 탄성부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는 적재판의 복귀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종이와 급지롤러간의 접촉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Description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PAPER FEEDER FOR PAPER SHREDDER}
본 발명은 문서 및 서류와 같은 시트상의 종이를 자동으로 급지하는 장치 및 이를 갖는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 세단기는 근래 들어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사무용 기기로서, 사용 후 용도가 폐기된 문서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서류문서를 잘게 잘라서 폐기시키는 기기이다.
이러한 문서 세단기는 수동급지 기능을 기본으로 갖추고, 여기에 자동급지 기능을 추가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단대상물인 문서가 공급되는 방식에 따라 대별되는 방식 중 수동급지방식은 소용량의 문서를 파지하여 급지하는 것이고, 자동급지방식은 대용량의 문서를 파지하여 급지하는 것이다.
한편, 수동급지방식의 문서 세단기는 문서의 세단시에 작업자가 항상 옆에 대기하면서 항상 적정 수량 이하의 문서가 투입되도록 주의를 기울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동급지방식의 문서 세단기는 사용자가 매번 급지부에 세단할 문서를 일일이 투입할 필요없이 한번의 문서 적재를 통해 많은 양의 문서를 계속해서 세단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다량의 문서가 일시에 과도하게 투입되는 경우, 구동모터가 정지되어 문서 세단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자동급지 기능을 갖춘 문서세단기는 종이의 자동급지 수량을 동시에 여러장씩 급지하도록 하기 위해 급지롤러에 금속으로 된 침 또는 날카로운 돌기를 추가하여 급지 성능을 높였는데, 이 경우 사용자의 손이 금속으로 된 침이나 날카로운 돌기에 부딪히게 되면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자동급지 기능을 갖춘 문서세단기를 이용하여 다량의 종이를 자동으로 투입하여 세단하는 경우,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종이에 의한 문제로 인하여 종이 걸림(jam), 미끌림에 의한 문서 과다 투입 등으로 문서 세단기에 고장 및 파손이 발생되거나 걸림시 사용자가 문서 세단기의 내부에 걸린 종이를 일일이 제거해야만 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584578 B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대량으로 파지된 문서의 급지시 종이걸림을 방지하고, 파지된 문서의 과다 투입로 인한 과부하를 방지하고, 급지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안전성을 높이고 기기의 손상도 막을 수 있는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한쌍의 커팅롤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갖추어 종이를 세단처리하는 문서 세단기의 투입구측으로 종이를 급지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하판의 좌우양측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좌우한쌍의 측판을 갖추고,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재판을 갖추고, 상기 적재판의 타단인 자유단 양측에 절곡형성된 걸림편이 걸림배치되도록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에 절개형성된 안내공을 각각 구비하여 다량의 종이가 올려지는 본체트레이 ; 상기 적재판에 올려지는 다량의 종이 중 최상층의 종이와 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지롤러를 일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급지모터를 갖추어 종이를 이송하는 급지부 ; 상기 적재판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하판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적재판과 하판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하단은 상기 적재판과 하판간의 접촉시 수축되는 탄성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판에 일정깊이 함물형성된 제2연결구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종이와 급지롤러사이에 접촉압이 발생되도록 상기 적재판을 급지롤러 측으로 탄력지지지하는 탄성부 ; 및 상기 하판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적재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연결부재를 갖추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어롤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모터를 상기 하판에 고정설치하여 상기 하판에 대하여 상기 탄성체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는 적재판의 위치를 제어하는 판제어부 ;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롤에 연결된 연결부재의 감김제어에 의해서 상기 하판측으로 이동된 적재판에 다량의 종이를 적재하고, 상기 제어롤에 감겨진 연결부재의 풀림제어에 의해서 상기 본체트레이로부터 배출되는 종이 급지량에 맞추어 상기 적재판과 하판사이에서 수축된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는 적재판이 원상태로 복귀하는 이동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종이와 급지롤러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종이와 급지롤러간의 접촉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세단기용 급지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트레이에는 전원인가시 상부 발광센서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적재판에 관통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하부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급지부는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종이와 외접하는 제1급지롤러와, 상기 제1급지롤러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어 급지이송되는 종이와 외접하는 제2급지롤러 및 상기 급지모터의 회전구동력을 제1,2급지롤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2급지롤러의 롤러축사이에 감겨지는 제1벨트부재와, 상기 제1,2급지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축과 상기 급지모터의 구동축사이에 감겨지는 제2벨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림직하게, 상기 제1,2급지롤러의 각 롤러축은 상기 제1,2급지롤러사이에 배치되는 롤러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지지되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에는 상기 롤러브라켓을 관통하는 브라켓지지축의 양단과, 상기 급지모터와 제2벨트부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제2급지롤러의 롤러축의 양단이 조립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급지부는 상기 제2급지롤러의 외면과 일측면이 접하는 종이에 균일한 접촉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종이의 타측면과 접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급지롤러와 대응하는 종이의 타측면과 접하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으로부터 하항연장되는 복수개의 조립봉이 대응결합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를 상기 본체트레이에 고정설치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모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의 감김작동은 상기 하판에 고정설치된 접촉형 센서와 적재판간의 접촉에 의한 신호에 의해서 중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하판과 적재판사이에 개재된 탄성체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는 적재판과 연결된 연결부재의 감김에 의해서 종이를 적재판에 적재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2) 적재판과 연결된 연결부재의 풀림제어에 의해서 급지롤러와 종이사이의 접촉압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급지롤러의 회전에 의한 종이급지시 균일한 마찰력에 의해서 종이걸림이나 급지불량없이 종이를 한 장씩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종이과다 급지로 인한 과부하를 방지하고,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가 문서 세단기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에 채용되는 급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에 채용되는 접촉부가 본체트레이에 설치되는 구성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지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커팅롤(210)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갖추어 급지되는 서류,문서와 같은 종이를 세단처리하는 문서 세단기(200)의 투입구(201)측으로 다량의 문서를 자동으로 한 장씩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트레이(110), 급지부(120), 탄성부(130) 및 판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트레이(110)는 하판(111)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는 좌우한쌍의 측판(112a,112b)을 갖추고, 상기 하판(11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재판(113)을 갖추어 다량의 종이가 올려져 적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트레이(110)는 상기 적재판(113)에 다량으로 종이가 적재된 적재물과 접하도록 상기 종이가 이송배출되는 방향으로 투입구와 대응하는 하판(11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판(114)을 갖추고, 상기 연장판(114)에는 상기 급지롤러의 회전구동시 적재판으로부터 이송배출되는 종이를 외부로 급지하도록 안내배출하는 안내통로(114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트레이(110)의 좌우양측에는 후술하는 급지모터(123) 및 제어모터(14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시작버튼, 급지버튼 및 정지버튼과 같은 전장품이 설치되는 박스체(116a,116b)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트레이(11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급지부(1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측판에 조립되어 상기 본체트레이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덮개판(119)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트레이(1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단대상물인 종이가 투입되는 투입구(201)를 형성한 문서 세단기(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사기, 인쇄기와 같이 종이와 같은 시트류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트레이(110)는 상기 문서세단기와 같은 기기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거치대(160)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는바, 이러한 거치대(160)는 상기 본체트레이가 고정설치되는 수평대(161)와, 상기 수평대(161)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문서세단기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160)를 매개로 하여 상기 문서세단기(200)에 구비되는 본체트레이(110)는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종이를 상기 투입구(201)측으로 원활하게 하향 배출하여 급지할 수 있도록 가상의 수평선에 대하여 대략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트레이(110)는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종이가 상기 투입구에 정확히 급지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160)의 수평대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급지부(120)는 상기 본체트레이(110)의 적재판(113)에 올려지는 다량의 종이 중 최상층의 종이와 외접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급지롤러(121,122)를 갖추고, 전원인가시 급지대상물인 종이와 외접하는 급지롤러를 일방향으로 동시에 회전구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급지모터(123)를 갖추어 종이를 투입구측으로 한 장씩 급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급지부(120)는 상기 적재판(113)과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적재판에 적재된 종이와 외접하는 제1급지롤러(121)와, 상기 제1급지롤러(121)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어 상기 제1급지롤러에 의해서 급지이송되는 종이와 외접하는 제2급지롤러(122) 및 상기 급지모터(123)의 회전구동력을 제1,2급지롤러(121,12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급지롤러(121,122)의 롤러축사이에 감겨지는 제1벨트부재(124a)와, 상기 제1,2급지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축(122a)과 상기 급지모터(123)의 구동축사이에 감겨지는 제2벨트부재(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벨트부재(124a,124b)는 상기 급지모터(123)의 회전구동력을 제1,2급지롤러(121,122)에 정밀하게 전달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2급지롤러(121,122)의 각 롤러축(121a,122a)과 구동축에 구비되는 각각의 풀리(123a,122b)에 감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급지모터(123)는 제2벨트부재(124b)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2급지롤러(122)와 연결되어 상기 제1,2급지롤러(121,122)를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벨트부재(124b)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급지롤러(121)와 연결되거나 2개의 급지모터에 의해서 제1,2벨트부재의 필요없이 제1,2급지롤러의 롤러축과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급지롤러(121,122)의 각 롤러축(121a,122a)은 상기 제1,2급지롤러사이에 배치되는 롤러브라켓(125)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지지되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112a,112b)에는 상기 롤러축(121a,122a)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롤러브라켓(125)을 관통하는 브라켓지지축(125a)의 양단과, 상기 급지모터(123)와 제2벨트부재(124b)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제2급지롤러(122)의 롤러축(122)의 양단이 조립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지지축(125a)의 양단이 조립되는 상기 한쌍의 측판(112a,122b)에는 상기 제2급지롤러(122)의 롤러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롤러브라켓(125)의 회동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롤러축(122a)의 외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내경을 갖는 지지공을 관통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측판(112a,112b)에는 상기 적재판(113)의 타단인 자유단 양측에 절곡형성된 걸림편(113a)이 걸림배치되도록 절개형성된 안내공(112c)을 각각 갖추어 종이적재 및 종이급지시 상기 하판과 일단이 연결된 적재판(112)의 타단인 자유단에 대한 상하방향으로의 회동작동을 허락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급지롤러(122)와 대응하는 본체트레이(110)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이급지시 상기 제2급지롤러(122)의 외면과 일측면이 접하는 종이에 균일한 접촉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종이의 타측면과 접하는 접촉부(126)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촉부(126)는 상기 제2급지롤러(122)와 대응하는 종이의 타측면과 접하는 접촉판(126a)을 갖추고, 상기 접촉판(126a)으로부터 하항 연장되는 복수개의 조립봉(126b)이 대응결합되는 조립공을 관통형성한 고정구(126c)을 갖추는 한편, 상기 고정구(126c)를 상기 본체트레이에 구비되는 연장판(114)에 고정설치하는 고정브라켓(126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판(126a)에는 상기 조립봉(126b)과 나란하게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고정공에 형성되는 고정공에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고정바(126d)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접촉판과 고정구간의 결합관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접촉판(126a)은 상기 제2급지롤러(122)의 길이 및 폭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는 사각판상의 수지 또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종이가 안내배출되는 안내통로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제2급지롤러와 접촉판사이에 개재되어 급지이송되는 종이가 안내통로(114a)를 통하여 투입구측으로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급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급지모터(123)의 회전구동에 의한 상기 제1,2급지롤러의 회전구동시 상기 적재판(113)에 적재된 종이는 상기 제1급지롤러(121)와 접하면서 발생하는 접촉압에 기인하는 마찰력에 의해서 한 장씩 하향 이송되고, 상기 안내통로(114a)측으로 배출이송되는 종이는 상기 제1급지롤러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된 제2급지롤러와 상기 접촉부의 접촉판사이에서 상기 제2급지롤러와 접하여 발생하는 접촉압에 기인하는 마찰력에 의해서 투입구측으로 최종적으로 배출이송되어 급지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130)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판(113)에 적재된 종이와 상기 급지롤러 중 제1급지롤러(121)간의 접촉부에서 급지를 위한 접촉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적재판(113)을 급지롤러측인 상방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130)는 상기 적재판(113)의 하부면에 일단인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하판(111)의 상부면에 타단인 하단이 연결되어 상기 하판과 적재판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31)의 상단은 상기 적재판(113)의 하면에 구비된 제1연결구(131a)에 수용되어 연결고정되고, 상기 탄성체(131)의 하단은 상기 적재판과 하판간의 접촉시에도 수축된 탄성체(1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판에 일정깊이 함물된 제2연결구(131b)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131)는 상기 적재판(113)과 하판(111)사이에서 수축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판(113)은 상기 하판의 일단인 상단과 힌지핀(133)을 매개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첩과 같은 회동부재를 매개로 하여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종이가 다량으로 적재되는 적재판(113)은 상기 탄성체에 의해서 상기 종이와 급지롤러가 서로 접하도록 상방으로 탄력지지되고, 상기 적재판(113)이 후술하는 제어모터(142)의 구동력에 의해서 하판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적재판과 하판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접하게 되면 상기 탄성체는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수축변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판제어부(140)는 상기 적재판(113)에 일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연결부재(141)를 갖추고, 상기 연결부재(141)의 타단은 전원인가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제어모터(142)의 구동축에 구비되는 제어롤(142a)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어모터(12)의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어롤에 감기거나 풀려지면서 종이급지시 상기 적재판(113)을 종이의 급지배출량에 맞추어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롤(142a)과 연결된 연결부재(141)는 상기 하판(111)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11a)을 통하여 상기 적재판(113)의 하부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어모터(142)는 상기 관통공에 인접하는 하판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고정브라켓(144)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41)는 강선이나 벨트와 같이 외력에 의한 길이변형이 없고, 상기 제어롤에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는 가요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즉, 종이적재시에는 상기 본체트레이(110)에 구비되는 시작버튼 조작에 의해서 상기 제어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연결부재가 제어롤에 감겨지면서 상기 적재판을 하판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급지롤러로부터 멀어지는 적재판(113)과 급지롤러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급지대상물인 다량의 종이를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41)의 감김작동에 의해서 상기 하판(111)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접해지는 적재판(113)이 상기 하판에 고정설치된 리미트스위치와 같은 접촉형 센서부재(143)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접촉형 센서부재(143)와의 접촉시에서 발생하는 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어모터(142)의 정방향 구동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재의 감김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판과 급지롤러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급지 및 세단 대상물인 서류문서와 같은 종이를 다량으로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문서세단기(200)와 같은 기기의 투입구(201)측으로의 종이급지시에는 상기 본체트레이(110)에 구비되는 급지시작버튼 조작에 의해서 상기 급지모터를 회전구동시키면, 도 7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제1,2급지롤러(121,122)와 접하는 종이는 안내통로를 통하여 세단기와 같은 기기의 투입구(202)측으로 급지되도록 배출이송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급지모터(123)의 회전구동에 의한 종이 급지와 더불어 상기 제어모터(142)가 연결부재의 감김작동시 회전구동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현저히 낮은 회전속도로 서서히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어롤에 감겨져 있던 연결부재(141)의 풀림이 서서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재(141)의 풀림제어는 상기 본체트레이의 적재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종이 급지량에 맞추어 서서히 이루어짐에 따라 수축된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는 적재판이 원상태로 복귀하는 이동량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재(141)의 풀림제어에 의해서 상기 종이와 이에 외접하는 제1,2급지롤러사이의 접촉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면, 상기 종이와 제1,2급지롤러사이에서 일정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탄성체(131)는 고정판인 하판과 이동판인 적재판사이에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종이급지 초기에는 상기 적재판에 필요이상의 과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되고, 종이급지가 시작되면서 탄성복원력의 전달이 서서히 감소되고, 종이급지 말기에는 상기 적재판에 상대적으로 미약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급지롤러와 종이사이에 형성되는 접촉압을 급지시작부터 종료시까지 일정하게 유지하기 곤란하고, 이로 인하여 급지초기에 과도한 접촉압에 기인하여 여러 장의 종이가 동시에 급지되거나 급지롤러의 과부하를 발생시키고, 급지말기에는 미약한 접촉압에 기인하여 롤러 슬립이 발생하여 급지불량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어모터에 의하여 종이급지량에 맞추어 상기 연결부재(141)의 풀림을 서서히 제어함으로써, 급지초기로부터 급지종료까지 상기 종이와 제1,2급지롤러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압을 균일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적재판에 적재되어 상기 제1,2급지롤러와 외접하는 종이를 투입구측으로 급지하는 작업을 급지불량없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트레이(110)에는 전원인가시 상부 발광센서(145a)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적재판(113)에 관통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하부 수광센서(14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c 와 같이, 상기 적재판(113)에 적재된 종이가 모두 급지되면, 상기 상부 발광센서(145a)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상기 하판(111)에 설치된 하부 수광센서(145b)에서 수신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종이에 대한 급지완료를 인지하여 확인하고, 알림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본체트레이
111 : 하판
112a,112b : 측판
113 : 적재판
114 : 연장판
119 : 덮개판
120 : 급지부
121,122 : 제1,2급지롤
123 : 급지모터
124a,124b : 제1,2벨트부재
125 : 롤러브라켓
126 : 접촉부
130 : 탄성부
131 : 탄성체
140 : 판제어부
141 : 연결부재
142 : 제어모터

Claims (11)

  1. 한쌍의 커팅롤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갖추어 종이를 세단처리하는 문서 세단기의 투입구측으로 종이를 급지하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하판의 좌우양측으로부터 절곡연장되는 좌우한쌍의 측판을 갖추고,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재판을 갖추고, 상기 적재판의 타단인 자유단 양측에 절곡형성된 걸림편이 걸림배치되도록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에 절개형성된 안내공을 각각 구비하여 다량의 종이가 올려지는 본체트레이 ;
    상기 적재판에 올려지는 다량의 종이 중 최상층의 종이와 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급지롤러를 일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급지모터를 갖추어 종이를 이송하는 급지부 ;
    상기 적재판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하판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적재판과 하판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하단은 상기 적재판과 하판간의 접촉시 수축되는 탄성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판에 일정깊이 함물형성된 제2연결구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종이와 급지롤러사이에 접촉압이 발생되도록 상기 적재판을 급지롤러 측으로 탄력지지지하는 탄성부 ; 및
    상기 하판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적재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연결부재를 갖추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어롤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모터를 상기 하판에 고정설치하여 상기 하판에 대하여 상기 탄성체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는 적재판의 위치를 제어하는 판제어부 ;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롤에 연결된 연결부재의 감김제어에 의해서 상기 하판측으로 이동된 적재판에 다량의 종이를 적재하고,
    상기 제어롤에 감겨진 연결부재의 풀림제어에 의해서 상기 본체트레이로부터 배출되는 종이 급지량에 맞추어 상기 적재판과 하판사이에서 수축된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탄력지지되는 적재판이 원상태로 복귀하는 이동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종이와 급지롤러사이에 일정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종이와 급지롤러간의 접촉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트레이에는 전원인가시 상부 발광센서에서 발생된 광을 상기 적재판에 관통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하부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는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종이와 외접하는 제1급지롤러와, 상기 제1급지롤러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되어 급지이송되는 종이와 외접하는 제2급지롤러 및 상기 급지모터의 회전구동력을 제1,2급지롤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2급지롤러의 롤러축사이에 감겨지는 제1벨트부재와, 상기 제1,2급지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축과 상기 급지모터의 구동축사이에 감겨지는 제2벨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급지롤러의 각 롤러축은 상기 제1,2급지롤러사이에 배치되는 롤러브라켓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지지되고, 상기 좌우한쌍의 측판에는 상기 롤러브라켓을 관통하는 브라켓지지축의 양단과, 상기 급지모터와 제2벨트부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되는 제2급지롤러의 롤러축의 양단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는 상기 제2급지롤러의 외면과 일측면이 접하는 종이에 균일한 접촉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종이의 타측면과 접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2급지롤러와 대응하는 종이의 타측면과 접하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으로부터 하항연장되는 복수개의 조립봉이 대응결합되는 고정구 및 상기 고정구를 상기 본체트레이에 고정설치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한 상기 연결부재의 감김작동은 상기 하판에 고정설치된 접촉형 센서와 적재판간의 접촉에 의한 신호에 의해서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11. 삭제
KR1020160100757A 2016-08-08 2016-08-08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KR10179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757A KR101797710B1 (ko) 2016-08-08 2016-08-08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757A KR101797710B1 (ko) 2016-08-08 2016-08-08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710B1 true KR101797710B1 (ko) 2017-11-15

Family

ID=6038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757A KR101797710B1 (ko) 2016-08-08 2016-08-08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8019A (zh) * 2021-11-24 2022-03-15 黄彬强 一种可调整粉碎程度的高效纸张粉碎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841B1 (ko) * 2007-09-10 2009-05-27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문서세단기의 자동급지장치
KR101051462B1 (ko) * 2004-12-22 2011-07-22 주식회사신도리코 급지부의 저판구동 동력전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462B1 (ko) * 2004-12-22 2011-07-22 주식회사신도리코 급지부의 저판구동 동력전달장치
KR100899841B1 (ko) * 2007-09-10 2009-05-27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문서세단기의 자동급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8019A (zh) * 2021-11-24 2022-03-15 黄彬强 一种可调整粉碎程度的高效纸张粉碎机
CN114178019B (zh) * 2021-11-24 2024-03-08 济南华章实业有限公司 一种可调整粉碎程度的高效纸张粉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3541B1 (en) Sheet discharge apparatus including pressing member for giving wavy shape to shee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157123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3993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witching member
JP6031497B2 (ja) 用紙後処理装置
KR101797710B1 (ko) 문서 세단기용 급지장치
JP2725123B2 (ja) シート計数機
US9592974B2 (en) Sheet feeder
JP6800822B2 (ja) 積載装置、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20210088956A1 (en) Post-proces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68021B2 (ja) 自動原稿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50146224A (ko) 인쇄매체 후처리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JP2007106573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168161A (ja) 中継ユニット
JP6422004B2 (ja) 印刷装置、及び給紙装置
KR100860864B1 (ko) 출력용지의 정렬 및 순차적 적재기능을 구비한화상형성장치용 후처리장치
JP2021024713A (ja) シート後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システム
KR20070077414A (ko) 화상형성기기 및 용지정렬방법
JP7262165B2 (ja) 給紙装置
JP2012176842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540670B2 (ja) シート緩衝装置およびシート緩衝方法
JP2834987B2 (ja) 給紙装置
JP6594118B2 (ja) 媒体搬送装置
JP3962710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250627B1 (en) Selective sheet delivery apparatus
US20100264578A1 (en) Media Sheet Exit Baff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