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534B1 - 통신기기 영상 수리장치 - Google Patents
통신기기 영상 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7534B1 KR101797534B1 KR1020170096686A KR20170096686A KR101797534B1 KR 101797534 B1 KR101797534 B1 KR 101797534B1 KR 1020170096686 A KR1020170096686 A KR 1020170096686A KR 20170096686 A KR20170096686 A KR 20170096686A KR 101797534 B1 KR101797534 B1 KR 1017975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relay switch
- alarm signal
- circuit
- communica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86—Replacement and removal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기기 영상 수리장치에 있어서, 특히 통신기기를 해체시에 카메라로 통신기기의 결합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체할 볼트를 특정지은후에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고 동시에 수직승하강 및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를 구동시켜 통신기기를 자동으로 해체하면서 빠른 수리가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영상 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되 바닥면(110)과, 바닥면의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지지축(120)과, 수직 지지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수평 지지축(130) 및, 상기 상부 수평 지지축을 덮는 지사각 패널형태의 덮게(140)로 이루어지는 장비 안치용 구조물(100)과;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며 직사각 패널 형태의 바닥면(210)과, 바닥면의 모서리면에 설치되는 수직축(210)과, 수직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면(230)으로 이루어지는 통신기기 고정부(200)와; 상기 통신기기 고정부의 상부에 설치하되 직사각형 패널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수리가 필요한 통신기기를 안착시키도록하며, 통신기기가 안착된 상태로 통신기기 고정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통신기기 안착부(300)와;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전동 드라이버(440)와 상기 전동드라이버를 x, y, z축으로 유동하는 피딩부(410, 420, 430)로 이루어져 볼트 위치에 전동 드라이버를 위치시켜 통신기기의 볼트를 해체하기 위한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400)와; 상기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설치되며 통신기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통신기기를 촬영하여 해체할 볼트의 위치를 판독하는 역할을 하는 영상 촬영부(500)와;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통신기기의 볼트 위치로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를 움직여 통신기기를 결합하고 있는 볼트를 해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통신기기의 볼트의 위치정보와 기존에 미리 저장된 위치정보가 다르면 정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볼트를 해체하도록 유도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되 바닥면(110)과, 바닥면의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지지축(120)과, 수직 지지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수평 지지축(130) 및, 상기 상부 수평 지지축을 덮는 지사각 패널형태의 덮게(140)로 이루어지는 장비 안치용 구조물(100)과;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며 직사각 패널 형태의 바닥면(210)과, 바닥면의 모서리면에 설치되는 수직축(210)과, 수직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면(230)으로 이루어지는 통신기기 고정부(200)와; 상기 통신기기 고정부의 상부에 설치하되 직사각형 패널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수리가 필요한 통신기기를 안착시키도록하며, 통신기기가 안착된 상태로 통신기기 고정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통신기기 안착부(300)와;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전동 드라이버(440)와 상기 전동드라이버를 x, y, z축으로 유동하는 피딩부(410, 420, 430)로 이루어져 볼트 위치에 전동 드라이버를 위치시켜 통신기기의 볼트를 해체하기 위한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400)와; 상기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설치되며 통신기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통신기기를 촬영하여 해체할 볼트의 위치를 판독하는 역할을 하는 영상 촬영부(500)와;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통신기기의 볼트 위치로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를 움직여 통신기기를 결합하고 있는 볼트를 해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통신기기의 볼트의 위치정보와 기존에 미리 저장된 위치정보가 다르면 정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볼트를 해체하도록 유도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신기기 영상 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기기를 해체시에 카메라로 통신기기의 결합부분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해체할 볼트를 특정지은후에 전후방향으로 유동가능하고 동시에 수직승하강 및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를 구동시켜 통신기기를 자동으로 해체하면서 빠른 수리가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영상 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기술이 발전하고,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개개인이 누구나 용이하게 휴대하도록 생산된 것으로, 상기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면 적어도 하나 이상 소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증가됨에 따라 고장 발생률이 증가됨으로 제품의 조속한 수리를 위해 수리센터를 곳곳에 운영하여 고장 발생 시, 용이하게 수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휴대폰의 기판에 문제가 발생 된 경우, 상기 기판의 수리를 위해 고정대를 사용하여 고정시 킨 후, 부품을 교체하게 되는데, 상기 부품이 작아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기 않기 때문에 작업시간 및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네비게이션과 같은 통신기기를 고장수리하는 경우 볼트를 찾아서 일일이 사람손으로 해체하면서 작업이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즉, 각종 통신기기 고장시에 현재까지는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모든 체결부위의 볼트를 해체하면서 고장부위를 관찰해야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해체작업에 많은 시간이 투여되게 되어 실제로 수리가 필요한 중요부위의 빠른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1. 특허공개공보 10-2006-0057401 (2006년 5월 26일 공개)
(특허문헌 0002) 2. 등록특허공보 10-1270787 (2013년 06월 05일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장비 안치용 구조물과,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통신기기 고정부와,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되 통신기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통신기기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되 통신기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통신기기의 볼트를 해체시키는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볼트 해체작업을 진행하여 보다 빠르게 통신기기의 고장수리를 가능토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되 바닥면(110)과, 바닥면의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지지축(120)과, 수직 지지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수평 지지축(130) 및, 상기 상부 수평 지지축을 덮는 지사각 패널형태의 덮게(140)로 이루어지는 장비 안치용 구조물(100)과;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며 직사각 패널 형태의 바닥면(210)과, 바닥면의 모서리면에 설치되는 수직축(210)과, 수직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면(230)으로 이루어지는 통신기기 고정부(200)와; 상기 통신기기 고정부의 상부에 설치하되 직사각형 패널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수리가 필요한 통신기기를 안착시키도록하며, 통신기기가 안착된 상태로 통신기기 고정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통신기기 안착부(300)와;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전동 드라이버(440)와 상기 전동드라이버를 x, y, z축으로 유동하는 피딩부(410, 420, 430)로 이루어져 볼트 위치에 전동 드라이버를 위치시켜 통신기기의 볼트를 해체하기 위한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400)와; 상기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설치되며 통신기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통신기기를 촬영하여 해체할 볼트의 위치를 판독하는 역할을 하는 영상 촬영부(500)와;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통신기기의 볼트 위치로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를 움직여 통신기기를 결합하고 있는 볼트를 해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통신기기의 볼트의 위치정보와 기존에 미리 저장된 위치정보가 다르면 정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볼트를 해체하도록 유도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비 안치용 구조물과,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통신기기 고정부와,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되 통신기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통신기기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되 통신기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통신기기의 볼트를 해체시키는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볼트 해체작업을 진행하여 보다 빠르게 통신기기의 고장수리를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시 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작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기기 일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기기 수리장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통신기기 수리장치 사진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기기 일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기기 수리장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통신기기 수리장치 사진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작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기기 일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통신기기 수리장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통신기기 수리장치 사진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장비 안치용 구조물(100)과, 통신기기 고정부(200)와, 통신기기 안착부(300)와,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400)와, 영상 촬영부(500)와, 제어부(600)와,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100)은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되 바닥면(110)과, 바닥면의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지지축(120)과, 수직 지지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수평 지지축(130) 및, 상기 상부 수평 지지축을 덮는 지사각 패널형태의 덮게(14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100)은 바닥면에 지지되어 장비 전체를 작업하기 용이하도록 상부에 위치시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직육면체 형태의 지지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원통형 구조 또는 단순한 지지체 구조여도 무방하며, 본 발명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이 오픈된 구조의 육면체형 지지구조를 예시하였다.
상기 통신기기 고정부(200)는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며 직사각 패널 형태의 바닥면(210)과, 바닥면의 모서리면에 설치되는 수직축(220)과, 수직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면(230)으로 이루어진다.
즉, 통신기기 고정부(200)는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하여 통신기기(10)를 상부 일정한 높이에 존재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닥면과 상부면이 존재하고 상기 바닥면과 상부면 사이를 수직한 수직축이 지지시키는 구조이다. 물론, 상하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제작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원통형 구조나 단순한 패널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기기 안착부(300)는 통신기기 고정부의 상부에 설치하되 직사각형 패널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수리가 필요한 통신기기(10)를 안착시키도록하며, 통신기기가 안착된 상태로 통신기기 고정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통신기기 안착부(300)는 실제로 수리할 통신기기를 상부에 올려놓고 임시로 고정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구성하여 그 상부에 안착시켜 원할하게 볼트(11)를 해체하여 수리작업을 빠른 시간내에 용이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400)는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전동 드라이버(440)와 상기 전동드라이버를 x, y, z축으로 유동하는 피딩부(410, 420, 430)로 이루어져 볼트 위치에 전동 드라이버를 위치시켜 통신기기의 볼트(11)를 해체시킨다.
즉, 상기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400)는 영상 촬영부에서 제공한 이미지에 따라 볼트의 위치를 특정하고 그 위치에 x, y, z 축을 움직여서 도착시키고 이어 전동 드라이버를 회전시켜 통신기기를 결합시키고 있는 볼트를 용이하게 해체시킨다.
상기 영상 촬영부(500)는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설치되며 통신기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통신기기를 촬영하여 해체할 볼트의 위치를 판독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영상 촬영부(500)는 통신기기 안착부에 안착된 통신기기를 촬영하여 해체할 볼트의 위치를 특정하여 전동드라이버로 용이하게 볼트를 해체시킬 수 있도록 촬영 이미지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영상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통신기기의 볼트 위치로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를 움직여 통신기기를 결합하고 있는 볼트를 해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통신기기의 볼트의 위치정보와 기존에 미리 저장된 위치정보가 다르면 정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볼트를 해체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600)는 통신기기 기종에 따른 영상 이미지를 미리 저장하고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한 이미지와 비교 분석하여 저정된 이미지와 다르게 볼트 위치가 있으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볼트를 해체시키도록 한다. 이는 통상의 통신기기를 미리 촬영하여 이미지를 기억시키고 이어 영상 촬영부로 촬영한 통신기기의 이미지를 미리 기억한 이미지와 매칭시켜 볼트 위치를 정확하게 확정시킨후 전동 드라이버로 볼트를 해체시키기 위한 것인바, 만약에 저장된 이미지와 다르게 볼트 위치가 있으면 이는 개조된 것이거나 정품이 아닌 것이므로 자동으로 볼트를 해체시키지 않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해체시키도록하여 안전하게 볼트 해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네비게이션과 같은 통신기기의 종류에 따른 모델을 이미지를 제어부에 미리 저장시켜서 정품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전동 드라이버로 해체가 가능토록하고 정품이 아닌 경우에는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수동으로 해체를 유도시켜 제품의 파손을 막도록 하는 것이며, 이는 정품이 아닌 경우 볼트의 위치가 다르거나 규정된 볼트를 사용하지 않았을 수 있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영상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정품 이미지가 아니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품의 해체를 하도록 유도하여 수리에 맡겨진 제품이 전동 드라이버에 의해서 파손될 수 있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였다.
한편, 에러상황이 발생하면 경보신호 자동출력부(1000)를 통해 에러상황을 경보하여 빠른 시간내에 해결토록 유도하는바,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10: 통신기기
100: 장비 안치용 구조물
200: 통신기기 고정부
300: 통신기기 안착부
400: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
500: 영상 촬영부
600: 제어부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100: 장비 안치용 구조물
200: 통신기기 고정부
300: 통신기기 안착부
400: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
500: 영상 촬영부
600: 제어부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Claims (2)
-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되 바닥면(110)과, 바닥면의 측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수직 지지축(120)과, 수직 지지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수평 지지축(130) 및, 상기 상부 수평 지지축을 덮는 지사각 패널형태의 덮게(140)로 이루어지는 장비 안치용 구조물(100)과;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며 직사각 패널 형태의 바닥면(210)과, 바닥면의 모서리면에 설치되는 수직축(210)과, 수직축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면(230)으로 이루어지는 통신기기 고정부(200)와;
상기 통신기기 고정부의 상부에 설치하되 직사각형 패널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 수리가 필요한 통신기기를 안착시키도록하며, 통신기기가 안착된 상태로 통신기기 고정부의 상부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통신기기 안착부(300)와;
상기 장비 안치용 구조물의 일측에 설치되고 전동 드라이버(440)와 상기 전동드라이버를 x, y, z축으로 유동하는 피딩부(410, 420, 430)로 이루어져 볼트 위치에 전동 드라이버를 위치시켜 통신기기의 볼트를 해체하기 위한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400)와;
상기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설치되며 통신기기 안착부에 설치되는 통신기기를 촬영하여 해체할 볼트의 위치를 판독하는 역할을 하는 영상 촬영부(500)와;
상기 영상 촬영부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통신기기의 볼트 위치로 전동 드라이버 결합체를 움직여 통신기기를 결합하고 있는 볼트를 해체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동시에 통신기기의 볼트의 위치정보와 기존에 미리 저장된 위치정보가 다르면 정품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볼트를 해체하도록 유도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영상 수리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6686A KR101797534B1 (ko) | 2017-07-31 | 2017-07-31 | 통신기기 영상 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6686A KR101797534B1 (ko) | 2017-07-31 | 2017-07-31 | 통신기기 영상 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7534B1 true KR101797534B1 (ko) | 2017-11-14 |
Family
ID=6038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6686A KR101797534B1 (ko) | 2017-07-31 | 2017-07-31 | 통신기기 영상 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75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07063A (zh) * | 2022-08-12 | 2022-09-27 | 武汉库柏特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远程超声机器人操作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4397B1 (ko) * | 2002-10-15 | 2005-03-08 | 주식회사 케이디 |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
KR101592206B1 (ko) * | 2014-07-24 | 2016-02-05 | 지이티 주식회사 | 스크류 체결시스템 및 그 체결방법 |
KR101704582B1 (ko) * | 2016-09-08 | 2017-02-09 |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 신호선 분배기 조립체 |
-
2017
- 2017-07-31 KR KR1020170096686A patent/KR1017975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4397B1 (ko) * | 2002-10-15 | 2005-03-08 | 주식회사 케이디 | 핸들의 조립 및 검사장치 |
KR101592206B1 (ko) * | 2014-07-24 | 2016-02-05 | 지이티 주식회사 | 스크류 체결시스템 및 그 체결방법 |
KR101704582B1 (ko) * | 2016-09-08 | 2017-02-09 |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 신호선 분배기 조립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07063A (zh) * | 2022-08-12 | 2022-09-27 | 武汉库柏特科技有限公司 | 一种智能远程超声机器人操作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30220B2 (en) | Motor control center unit with retractable stab assembly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 |
KR101797534B1 (ko) | 통신기기 영상 수리장치 | |
KR102363430B1 (ko) | 원격관리가 가능한 전력구 배치 지중배전라인용 행거기구 | |
KR102363424B1 (ko) | 전력구 내 배치가 용이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장치 | |
KR20140040950A (ko) | 특수차량용 아웃트리거의 위치선정장치 | |
KR100878006B1 (ko) | 공동주택의 수배전반 보호케이스 | |
US9520248B2 (en) | Portable racking device with fixed anti-torque tang for drawout power circuit breakers | |
US20130258103A1 (en) | Portable racking device with sliding anti-torque tang for drawout power circuit breakers | |
JP2020162145A (ja) | 建設機械用俯瞰画像生成装置の取り付け構造 | |
JP2015162957A (ja) | 制御盤装置 | |
JP5758342B2 (ja) | 建設機械の点検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点検方法 | |
JPH05156811A (ja) | コンクリート自動締め固めシステム | |
JP2015082877A (ja) | 制御装置取替方法および制御装置用架台 | |
CN217801664U (zh) | 协作操作巡检机器人 | |
KR20190047936A (ko) | 카메라를 장착한 진공 청소기 | |
CN210475795U (zh) | 磁性吸附安装机构及具有磁性吸附安装机构的切割装置 | |
US20170141550A1 (en) | Portable Racking System and Device for Drawout Power Circuit Breakers | |
JP2004224560A (ja) | 乗客コンベアの監視装置 | |
US11970340B2 (en) | Stand alone start/stop station for use within conveyor system | |
CN101959401A (zh) | 供料器校正装置 | |
JP2020135832A (ja) | 制御盤の配線作業方法及び制御盤の配線作業補助装置 | |
KR102286524B1 (ko) | 접지 작업용 로봇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 |
JP3163231U (ja) | 短絡接地器具 | |
JP2001139281A (ja) | 接触センサおよびその使用方法 | |
JP2002059167A5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