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918B1 -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918B1
KR101796918B1 KR1020170070899A KR20170070899A KR101796918B1 KR 101796918 B1 KR101796918 B1 KR 101796918B1 KR 1020170070899 A KR1020170070899 A KR 1020170070899A KR 20170070899 A KR20170070899 A KR 20170070899A KR 101796918 B1 KR101796918 B1 KR 101796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mperature
humidity
carbon dioxide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득중
Original Assignee
(주)소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하테크 filed Critical (주)소하테크
Priority to KR102017007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0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gases, e.g. multi-gas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11Sample conditioning
    • G01N33/0014Sample conditioning by eliminating a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5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other than oxygen, carbon dioxide or alcohol, e.g. organic vapours
    • G01N2033/497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비 본체의 외부에 이중의 수분 및 불순물 차단수단을 제공하여 불순물의 내부 침투를 방지함과 아울러,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한 온도 변화 최소화 기능이 있는 온습도 센서를 장착하여 정밀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스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구비된 가스감지모듈과; 상기 유출구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가스를 순환시켜주도록 설치되는 순환팬과; 상기 유입구로부터 배치되어 유입된 가스를 상기 가스감지모듈로 유도해주기 위한 가이드판과;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각각 장착되어 응결된 수분 및 먼지를 걸러주기 위한 다공성 필터; 및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습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다공성 필터에는 외측으로 구비되어 외부 수분 및 불순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단계별 수분 및 불순물 차단수단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온/습도 센서에는 장치 본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온/습도 센서와 장치 본체와 열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열 차단용 슬리브를 더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Integral filter carbon dioxide analyzer and temperature humidity measuring devices}
본 발명은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장비 본체의 외부에 이중의 불순물 차단수단을 제공하여 수분 및 불순물의 내부 침투를 방지함과 아울러,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한 온도 변화 최소화 기능이 있는 온습도 센서를 장착하여 정밀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 재배사나, 과채류 등을 재배하는 온실이나, 가축들을 사육하는 시설 내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조절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딸기나 토마토 등을 재배하는 온실 내에서는 적절한 농도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해야지만 광합성 등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반면, 사육시설 내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너무 높아지면 동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온실이나 저장고 및 사육시설 내에 현존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적당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인 가스측정장치를 설치하여,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가스측정장치가 밀폐된 공간 내의 각종 먼지와 응결된 수분에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이들 먼지와 응결된 수분으로 인한 가스측정장치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동식물을 잘 생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더불어 온도 및 습도조건이 잘 맞아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가스측정장치 내부에 온/습도계를 내장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를 함께 검출하였으나, 온/습도계가 가스측정장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센서의 반응속도가 느려 즉각적으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근래에 들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349965호(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를 제공하여 응결된 수분이나 먼지가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가스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온습 센서를 외부에 장착하여 온습도 센서의 반응속도를 향상시켜 주며, 온습도 센서부와 맞닿는 면에 수분방지 필터를 장착하여 몰딩 처리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를 제공한 바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에서는 온실 등에 물을 주거나 소독할 경우, 기존에는 물 분사 시나 소독약 분사 시에 일일이 비닐을 씌우거나 센서를 탈착하여 외부에 두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혹 탈착하는 것을 잠시 잊고 분사하여 제품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직접 분사에 따른 수분이나 이물질이 장비 본체의 내부에 투과되어 장비 본체에 손상이 올 수 있었고, 온실 내 복사열로 인한 환경 변화에 따른 온도 편차가 생겨 실제 작물이 느끼는 온도와 다를 수 있어 장비 제어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에 있어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온도 편차를 줄 일수 있어 내구성을 갖는 개량된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KR 등록특허공보 B1 10-1349965 (2014. 01. 03)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비 본체의 외부에 이중의 불순물 차단수단을 제공하여 수분 및 불순물의 내부 침투를 방지함과 아울러,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한 온도 변화 최소화 기능이 있는 온습도 센서를 장착하여 정밀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물 인터넷과 ICT 융복합 사업의 일환인 온실 환경제어, CA저장고 및 통합관리시스템, 첨단 버섯 시설 등에 적용되는 CO/온도/습도 센서 일체형으로 어느 현장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트랜스미터인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침투하는 수분이 제품 내에 투과되어 제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환경 변화에 따른 온도 편차를 방지하여 실제 작물이 느끼는 온도와 같을 수 있도록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공성 필터에 직접 침투하는 수분이나 먼지 등이 닿지 않도록 단계별로 수분 및 먼지 등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 캡을 제공하여 수분 및 불순물의 차단을 방지함은 물론, 장치 본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온/습도 센서와 장치의 본체와 열을 차단하는 열 차단용 슬리브를 장착한 온습도 센서를 갖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스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구비된 가스감지모듈과; 상기 유출구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가스를 순환시켜주도록 설치되는 순환팬과; 상기 유입구로부터 배치되어 유입된 가스를 상기 가스감지모듈로 유도해주기 위한 가이드판과;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각각 장착되어 응결된 수분 및 먼지를 걸러주기 위한 다공성 필터; 및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습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다공성 필터에는 외측으로 구비되어 외부 불순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단계별 수분 및 불순물 차단수단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온/습도 센서에는 장치 본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온/습도 센서와 장치 본체와 열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열 차단용 슬리브를 더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외측으로 설치되는 수분 및 불순물 차단수단으로서, 상기 다공성 필터에 떨어지는 수분 및 불순물을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배출 유도홈을 더 가지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필터는 외측으로 설치되는 수분 및 불순물 차단수단으로서 보호커버를 가지도록 설치하되,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다공성 필터의 외측으로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형성되어 유입된 장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 둘레부에 관통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침투하는 불순물을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벤트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차단용 슬리브는 장치 본체와 온/습도 센서를 연결하는 파이프 관 구조로서, 상기 열 차단용 슬리브는 외측면에 다수개로 관통되어 열을 방출하도록 하는 열 방출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는 장비를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 장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설치되는 안정 장착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 패널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 홈부와; 상기 결합 가이드 홈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장비를 구조물에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고정 브래킷은 일측면에 적어도 2곳 정도 관통 형성되어 구조물에 장치를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하기 위한 볼트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고정 브래킷은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벨크로에 의해 구조물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 연결구를 더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비 본체의 외부에 이중의 수분 및 불순물 차단수단을 제공하여 수분 및 불순물의 내부 침투를 방지함과 아울러, 주변 환경 변화에 대한 온도 변화 최소화 기능이 있는 온습도 센서를 장착하여 정밀한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과 ICT 융복합 사업의 일환인 온실 환경제어, CA저장고 및 통합관리시스템, 첨단 버섯 시설 등에 적용되는 CO/온도/습도 센서 일체형으로 어느 현장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실에 물을 주거나 소독할 경우 직접 분사 시 수분이 제품 내에 투과되어 제품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 케이스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성 필터에 직접 분사되는 물이 닿지 않도록 단계별로 수분이나 불순물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 캡(커버)을 제공하여 수분 및 불순물의 차단을 방지함은 물론, 장치 본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온/습도 센서와 장치의 본체와 열을 차단하는 열 차단용 슬리브를 장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실제 온도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정확히 측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온습도 센서를 갖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따른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따른 전체 사사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내부 요부를 보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따른 전체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분해한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따른 안정 장착수단을 보인 예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따른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100)는 장비를 구성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스감지모듈(120)과; 순환팬(130); 가이드판(140);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연결되어 수분 및 먼지를 걸러주는 다공성 필터(150)(150a); 및 온/습도 센서(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일측에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타측에 가스가 배출되는 유출구(11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기타 장치들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 장치들을 보호하는 케이스로서, 온실이나 저장고 내부의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냉난방장치나 수분공급을 위한 물 분사장치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난방장치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나, 물 분사장치 등에서 배출되는 물이 가스측정장치에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하여 더욱 정확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습도를 측정하고, 장기간 온습도 센서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스감지모듈(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유입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적외선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분석하는 적외선 분광분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감지모듈(120)은 공기에 적외선을 방사하는 광원부(121)와, 광원부(121)에 대향하게 배치되고, 공기를 통과한 적외선 중에서 특정 파장대의 것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하여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측정센서(122) 및 적외선 광이 외부로 산란 및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파관(미도시)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스감지모듈의 광원부와, 광량측정센서 및 도파관의 구성요소는 통상 적외선 분광분석 구조에서 적용되는 광원부와, 광량측정센서 및 도파관과 대응되는 구성요소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들 광원부, 광량측정센서 및 도파관 등이 장착되는 가스감지모듈의 기판은 수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순환팬(130)은 하우징(110)의 유출구(112) 측면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순환팬(130)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가스감지모듈(120)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팬(130)은 설계상 다른 구성과의 배치관계를 고려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순환팬(130)의 배치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순환팬(130)이 하우징(110)의 유입구(111) 측에 배치되는 경우, 다공성 필터(120)에서 투과한 공기와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순환팬(130)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공기는, 가이드판(140)을 통해 이동경로가 안내된다. 가이드판(140)은 하우징(110)의 유입구(111) 측에 설치되어 다공성 필터(150)(150a)를 투과한 공기를 가스감지모듈(120) 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140)은 경사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공성 필터(150)(150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판(140)에 의해 가스감지모듈(120)로 이동된 후 순환팬(130)을 거쳐 외부로 유출되므로, 하우징(110) 내 공기의 흐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필터(150)(150a)는 상기 하우징(110)의 유입구(111) 및 유출구(112)에 각각 일체형으로 상/하부 한 쌍으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응결된 수분 및 먼지가 하우징(11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응결된 수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스감지모듈(120)의 고장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필터(150)(150a)는 하우징(110)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며,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고온의 가열 및 융착을 통해 형성되고, 미세한 폴리에틸렌 알갱이가 적층되는 다층 구조의 필터(151)를 가진다. 즉, 상기 필터(151)는 여러 겹을 이루는 복수의 미세한 폴리에틸렌 알갱이 사이로 에어가 유동되는 공극 유로를 형성하며, 공극 유로는 미세한 폴리에틸렌 알갱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좁은 틈으로, 이 틈으로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일정크기 이상의 응결된 수분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거를 수 있다. 이때 공극 유로에 모인 응결된 수분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151)는 고밀도 미세한 폴리에틸렌이 알갱이로 구성되는 다공성 구조인 바, 응결된 수분이 일정량 이상이 모이면 아래로 흘러내리므로, 다공성 필터는 응결된 수분을 계속 흡수할 수 있다.
이로써, 이러한 다공성 필터의 필터 구조는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수하여, 일정 이상의 수분이 흡수되면 더 이상의 수분 흡수가 불가능한 종래 부직포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공극유로의 크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가열 및 융착하는 가공과정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갱이가 조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공극유로가 좁아지므로, 작은 입자의 수분 입자만이 통과할 수 있으며,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갱이가 성글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공극 유로가 넓어지므로, 다소 큰 입자의 수분 입자라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다공성 필터는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응결된 수분 및 먼지를 거르고, 공기만을 하우징 내로 투과시킴으로써, 응결된 수분으로 인한 하우징 내 가스감지모듈의 고장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다공성 필터(150)(150a) 원통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통형의 다공성 필터(150)(150a)는 필터(151)의 주위 공간의 공기를 방사 방향으로 흡입할 수 있으므로, 동일 공간 내에서 다량의 공기를 흡입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다공성 필터(150)(150a)는 내부의 필터(151)를 보호하는 필터커버(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커버(152)는 다수의 통공을 갖는 그릴 형태로 구성되며, 필터(151)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필터커버(152)는 필터(151)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다수의 통공을 통해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다공성 필터(150)(105a)에는 외측으로 구비되어 외부 수분이나 불순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수분 및 불순물 차단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외측으로 설치되는 수분 및 불순물 차단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110)의 유출부(112)에 장착되는 다공성 필터(150)의 하부에 절개된 유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다공성 필터(150)에 떨어지는 불순물을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배출 유도홈(113)을 더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온습도 센서(160)는 센서부 내부로 물이 들어가거나 결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부와 맞닿는 면에 수분방지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온습도 센서(160)를 몰딩 처리함으로써 온습도 센서(16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습도 센서(160)는 물 흐름 가이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 흐름 가이드는 센서부가 몰딩 처리된 측면에 위치하며, 온습도 센서(160) 길이 방향으로 홈이 파여진 형상이다. 이는, 온습도 센서(160)에 이슬이 맺힐 경우에 센서부 내부로 이슬이 스며들지 않고, 이슬이 물 흐름 가이드를 따라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온/습도 센서(160)에는 장치 본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온/습도 센서와 장치 본체와 열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열 차단용 슬리브(161)를 더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 차단용 슬리브(161)는 장치 본체와 온/습도 센서를 연결하는 파이프 관 구조로서, 상기 열 차단용 슬리브(161)는 외측면에 다수개로 관통되어 열을 방출하도록 하는 열 방출공(161a)이 다수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공성 필터(150)(150a)는 외측으로 설치되는 수분 및 불순물 차단수단으로서 보호커버(170)를 더 가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170)는 상기 다공성 필터의 외측으로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케이스(171)와; 상기 케이스(171)의 상측에는 유입된 장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172)와; 상기 케이스(171)의 하측 둘레부에 관통되어 상측의 공기 배출구(172)를 통해 침투하는 수분 및 불순물을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벤트(vent)홈(17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배출구(172)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나 수분 등과 같은 불순물은 상기 벤트홈(173)을 통해서 흘러내리면서 상기 하우징(110)의 유도홈(113)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별 배출과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온습도 센서(160)는 센서의 반응 속도를 향상하기 위해 하우징(110) 외부에 장착되며, 센서부가 있는 방향으로 각도가 형성된다. 온습도 센서(160)가 각을 형성함에 따라, 이슬이 센서부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온도 및 습도를 더욱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결로로 인한 온습도 센서(160)의 고장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에서 장비를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 장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안정 장착수단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 패널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 홈부(115)와; 상기 결합 가이드 홈부(115)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장비를 구조물에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고정 브래킷(18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고정 브래킷(180)은 일측면에 적어도 2곳 정도 관통 형성되어 구조물에 장치를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되기 위한 볼트공(181)이 형성되며, 전방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결합 가이드 홈부(115)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돌기(18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고정 브래킷(180)은 후방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벨크로(Velcro)(190)에 의해 구조물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 연결구(183)를 더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크로를 이용한 연결은 파이프와 같은 구조물에 장치를 편리하게 탈부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조물에 설치되는 장비인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100)는 다공성 필터(150)(150a)에 의해 수분 및 먼지가 걸러지고,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판(140)의 따라 원활히 유동되어 가스감지모듈(120)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가스감지모듈(120)로 이동된 공기는 이산화탄소 측정이 이루어진 후에 공기는 상기 순환팬(130)에 의해 유출구(112)를 통해 다공성 필터(150)(150a)를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의해 측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온실에 물을 주거나 소독할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 및 다공성 필터에 형성된 수분 및 불순물 차단수단인 보호커버에 의해 보호되거나 상기 다공성 필터에 떨어지는 수분이나 불순물을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배출 유도홈에 의해 단계적으로 수분 및 불순물을 원활하게 배출시켜 장비 내부로의 침입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장비의 원활한 설치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거나 탈부착하는 안정 장착수단에 의해 안정적인 장비의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110 : 하우징
111 : 유입구
112 : 유출구
113 : 배출 유도홈
115 : 결합 가이드 홈부
120 : 가스감지모듈
130 : 순환팬
140 : 가이드판
150, 150a : 다공성 필터
160 : 온습도 센서
161 : 열 차단용 슬리브
161a : 열 방출공
170 : 보호커버
171 : 케이스
172 : 공기 베출구
173 : 벤트홈
180 : 고정 브래킷
181 : 볼트공
182 : 가이드 돌기
183 : 벨크로 연결구
190 : 벨크로

Claims (8)

  1. 가스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구비된 가스감지모듈과; 상기 유출구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가스를 순환시켜주도록 설치되는 순환팬과; 상기 유입구로부터 배치되어 유입된 가스를 상기 가스감지모듈로 유도해주기 위한 가이드판과;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각각 장착되어 응결된 수분 및 먼지를 걸러주기 위한 다공성 필터; 및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습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센서에는 장치 본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온/습도 센서와 장치 본체와 열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외측으로 다수개로 관통되어 열을 방출하도록 하는 열 방출공을 갖는 열 차단용 슬리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다공성 필터에는, 외부 불순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단계별 수분 및 불순물 차단수단을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유출구에 장착되는 다공성 필터의 하부에 절개된 유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다공성 필터에 떨어지는 불순물을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배출 유도홈을 더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필터는 외측으로 결합되어 수분 및 불순물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더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다공성 필터의 외측으로 씌워지도록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형성되어 유입된 장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하측 둘레부에 관통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침투하는 수분이나 불순물을 배출하도록 형성되는 벤트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나 수분 등과 같은 불순물은 상기 벤트홈을 통해서 흘러내리면서 상기 하우징의 유도홈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별 배출과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는 장비를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 장착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설치되는 안정 장착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패널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 홈부와;
    상기 결합 가이드 홈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장비를 구조물에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 고정 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6. 삭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고정 브래킷은 일측면에 적어도 2곳 정도 관통 형성되어 구조물에 장치를 볼트로 고정하여 설치하기 위한 볼트공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고정 브래킷은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벨크로에 의해 구조물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 연결구를 더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KR1020170070899A 2017-06-07 2017-06-07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KR101796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899A KR101796918B1 (ko) 2017-06-07 2017-06-07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0899A KR101796918B1 (ko) 2017-06-07 2017-06-07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918B1 true KR101796918B1 (ko) 2017-12-12

Family

ID=6094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0899A KR101796918B1 (ko) 2017-06-07 2017-06-07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9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8152A (zh) * 2018-03-30 2018-09-07 风纹物联(深圳)技术有限公司 空气质量检测仪
CN110953693A (zh) * 2019-12-24 2020-04-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空调器
KR102098901B1 (ko) * 2019-10-30 2020-04-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바닥재의 수분 발생량 측정 장치
KR20200062871A (ko) * 2018-11-27 2020-06-04 한국원자력연구원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KR20210056120A (ko) * 2019-11-08 2021-05-18 한국원자력연구원 습도센서의 센서튜브, 습도센서 조립체, 튜브 조립체 및 습도센서 시스템
KR102579663B1 (ko) * 2023-06-27 2023-09-18 시스트로닉스 주식회사 공기 가열을 통해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공기성분측정 장치
EP4116698A4 (en) * 2020-08-06 2024-03-20 Gonggam Sensors Co Ltd DEVICE FOR MEASURING FINE DUST BY LIGHT DIFFU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0477B2 (ja) * 2006-05-22 2012-04-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水素センサ
WO2016093773A1 (en) 2014-12-08 2016-06-16 Mikrovent 5 D.O.O. Device and method for venti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0477B2 (ja) * 2006-05-22 2012-04-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水素センサ
WO2016093773A1 (en) 2014-12-08 2016-06-16 Mikrovent 5 D.O.O. Device and method for ventilatio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08152A (zh) * 2018-03-30 2018-09-07 风纹物联(深圳)技术有限公司 空气质量检测仪
KR20200062871A (ko) * 2018-11-27 2020-06-04 한국원자력연구원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WO2020111502A1 (ko) * 2018-11-27 2020-06-04 한국원자력연구원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KR102170028B1 (ko) * 2018-11-27 2020-10-26 한국원자력연구원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KR102098901B1 (ko) * 2019-10-30 2020-04-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바닥재의 수분 발생량 측정 장치
WO2021085770A1 (ko) * 2019-10-30 2021-05-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바닥재의 수분 발생량 측정 장치
KR20210056120A (ko) * 2019-11-08 2021-05-18 한국원자력연구원 습도센서의 센서튜브, 습도센서 조립체, 튜브 조립체 및 습도센서 시스템
KR102278093B1 (ko) 2019-11-08 2021-07-16 한국원자력연구원 습도센서의 센서튜브, 습도센서 조립체, 튜브 조립체 및 습도센서 시스템
CN110953693A (zh) * 2019-12-24 2020-04-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空调器
CN110953693B (zh) * 2019-12-24 2024-04-19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过滤网拥堵监测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116698A4 (en) * 2020-08-06 2024-03-20 Gonggam Sensors Co Ltd DEVICE FOR MEASURING FINE DUST BY LIGHT DIFFUSION
KR102579663B1 (ko) * 2023-06-27 2023-09-18 시스트로닉스 주식회사 공기 가열을 통해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공기성분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918B1 (ko)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KR101349965B1 (ko)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US7497187B2 (en) Rodent cage to accommodate monitoring devices
KR101297693B1 (ko) 방역형 축사
KR101297694B1 (ko) 축사 운영 시스템
JP5815377B2 (ja) ガス濃度測定装置
US96449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mmonia
KR102598425B1 (ko) 미세먼지 감지 센서 어셈블리
WO2019172853A1 (en) Integrated fit testing ventilator for facemasks
US20080100826A1 (en) Devices For Monitoring Particulate Accumulation On A Filter And Related Methods
KR101891064B1 (ko)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EP2489978B1 (en) A measuring device for a harvesting head
KR102559490B1 (ko)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GB2598617A (en) An air sterilisation device
KR20200054682A (ko) 식물 재배 장치
WO2010038055A1 (en) Insect holder
KR102387876B1 (ko) 필터가 구비된 통합형 환경 감지 단말기
KR200267416Y1 (ko) 농축산용 공기의 냉각장치
KR102497902B1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JP4235511B2 (ja) 校正用ガスの導入方法およびガス検知装置
CN214628517U (zh) 一种植物生长设备
KR101812783B1 (ko) 블랙카본 측정 장치
US9151678B2 (en) Sensor shield
US112313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zone concentration in liquids having a positive scaling factor
WO2010038054A2 (en) Insect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