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965B1 -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965B1
KR101349965B1 KR1020120031283A KR20120031283A KR101349965B1 KR 101349965 B1 KR101349965 B1 KR 101349965B1 KR 1020120031283 A KR1020120031283 A KR 1020120031283A KR 20120031283 A KR20120031283 A KR 20120031283A KR 101349965 B1 KR101349965 B1 KR 101349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rbon dioxide
temperature
housing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513A (ko
Inventor
윤득중
Original Assignee
(주)소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6317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4996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소하테크 filed Critical (주)소하테크
Priority to KR1020120031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965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0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gases, e.g. multi-gas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11Sample conditioning
    • G01N33/0014Sample conditioning by eliminating a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 G01N33/4975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gaseous biological material, e.g. breath other than oxygen, carbon dioxide or alcohol, e.g. organic vapou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는 가스가 입출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적외선을 방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 대향하게 배치된 광량측정센서가 구비된 가스감지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각각 장착되어 응결된 수분 및 먼지를 거르는 다공성 필터 및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습도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Carbon dioxide analyzer having integral filter}
본 발명은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 재배사나, 과채류등을 재배하는 온실이나, 가축들을 사육하는 시설내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조절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딸기나 토마토등을 재배하는 온실 내에서는 적절한 농도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해야지만 광합성 등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반면, 사육시설 내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너무 높아지면 동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온실이나 저장고 및 사육시설 내에 현존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적당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인 가스측정장치를 설치하여,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가스측정장치가 밀폐된 공간내의 각종 먼지와 응결된 수분에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이들 먼지와 응결된 수분으로 인한 가스측정장치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동식물을 잘 생육 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더불어 온도 및 습도조건이 잘 맞아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가스측정장치 내부에 온습도계를 내장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를 함께 검출하였으나, 온습도계가 가스측정장치 내부에 설치됨에 따라 센서의 반응속도가 느려 즉각적으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응결된 수분이나 먼지가 가스감지모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가스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온습도 센서를 외부에 장착하여 온습도 센서의 반응속도를 향상시켜 주며, 온습도 센서의 센서부와 맞닿는 면에 수분방지 필터를 장착하고, 몰딩처리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는, 가스가 입출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적외선을 방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 대향하게 배치된 광량측정센서가 구비된 가스감지모듈;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각각 장착되어 응결된 수분 및 먼지를 거르는 다공성 필터; 및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습도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측정장치에 필터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비닐하우스 내의 가스측정장치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가스측정장치의 사용이 편리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응결된 수분이나 먼지가 가스감지모듈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가스측정이 가능하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습기가 많거나 물이 분사되는 장소에서도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의 외부에는 온습도 센서를 장착하여, 이산화 탄소의 농도와 더불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온습도 센서가 외부에 위치함에 따라 온습도 센서의 반응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온습도 센서의 센서부와 맞닿는 면에 수분방지 필터를 부착하고, 몰딩처리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온습도 센서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3에 있어서, 다공성 필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100)는 버섯이나, 야채, 꽃 등을 재배하는 온실이나 저장고와 같이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어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적합한 환경과 에너지원을 공급해 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온도와 습도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100)는 하우징(110)과, 다공성 필터(120)와, 가스감지모듈(130) 및 온습도 센서(14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상부하우징(111)과 하부하우징(112)이 결합되는 박스 형태로 구성되며, 공기가 입출되는 유입구(113) 및 유출구(114)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온실이나 저장고 내부의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냉난방장치나 수분공급을 위한 물 분사장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냉난방장치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나, 물 분사장치 등에서 배출되는 물이 가스측정장치에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보호하여 보다 정확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습도를 측정하고, 장기간 온습도 센서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다공성 필터(120)는 하우징(110)의 유입구(113) 및 유출구(114)에 각각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응결된 수분 및 먼지가 하우징(11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응결된 수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가스감지모듈(130)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스감지모듈(130)은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며, 하우징(110) 내부에 유입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적외선을 이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분석하는 적외선 분광분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감지모듈(130)은 공기에 적외선을 방사하는 광원부(131)와, 광원부(131)에 대향하게 배치되고, 공기를 통과한 적외선 중에서 특정 파장대의 것만을 선택적으로 감지하여 광량을 측정하는 광량측정센서(132) 및 적외선 광이 외부로 산란 및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파관(13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스감지모듈(130)의 광원부(131)와, 광량측정센서(132) 및 도파관(133)의 구성요소는 통상 적외선 분광분석 구조에서 적용되는 광원부와, 광량측정센서 및 도파관과 대응되는 구성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광원부(131), 광량측정센서(132) 및 도파관(133) 등이 장착되는 가스감지모듈(130)의 기판은 수분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습도 센서(140)는 하우징(110)의 유출구(114)의 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온실이나 저장고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한다. 이때, 온습도 센서(140)의 측정값은 주변 환경 및 부착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온습도 센서(140)는 텐션이 있는 수지재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장애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100)는 가스측정장치에 필터를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온실이나 저장고 내에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가스측정장치의 사용이 편리해진다.
아울러, 하우징(110)의 유입구(113) 및 유출구(114)에 다공성 필터(120)를 장착함으로써, 응결된 수분이나 먼지가 가스감지모듈(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이산화탄소의 측정이 가능하며,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습기가 많거나 물이 분사되는 장소에서도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100)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해 진다.
한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100)는, 순환팬(150)과 가이드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팬(150)은 하우징(110)의 유출구(114) 측면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순환팬(150)은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킴으로써 가스감지모듈(130)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순환팬(150)은 설계상 다른 구성과의 배치관계를 고려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순환팬(150)의 배치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순환팬(150)이 하우징(110)의 유입구(113) 측에 배치되는 경우, 다공성 필터(120)에서 투과한 공기와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순환팬(150)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공기는, 가이드판(160)을 통해 이동경로가 안내된다. 가이드판(160)은 하우징(110)의 유입구(113) 측에 설치되어 다공성 필터(120)를 투과한 공기를 가스감지모듈(130)쪽으로 안내한다. 이 가이드판(160)은 경사진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공성 필터(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판(160)에 의해 가스감지모듈(130)로 이동된 후 순환팬(150)을 거쳐 외부로 유출되므로, 하우징(110) 내 공기의 흐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온습도 센서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온습도 센서(140)는 센서의 반응 속도를 향상하기 위해 하우징(110) 외부에 장착되며, 센서부(141)가 있는 방향으로 각도가 형성된다. 온습도 센서(140)가 각을 형성함에 따라, 이슬이 센서부(141)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온도 및 습도를 보다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결로로 인한 온습도 센서(140)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140)는 센서부(141) 내부로 물이 들어가거나 결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부(141)와 맞닿는 면에 수분방지 필터(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온습도 센서(140)를 몰딩처리함으로써 온습도 센서(14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온습도 센서(140)는 물 흐름 가이드(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흐름 가이드(142)는 센서부(141)가 몰딩처리된 측면에 위치하며, 온습도 센서(140) 길이 방향으로 홈이 파여진 형상이다. 이는, 온습도 센서(140)에 이슬이 맺힐 경우에 센서부(141) 내부로 이슬이 스며들지 않고, 이슬이 물 흐름 가이드(141)를 따라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 다공성 필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공성 필터(120)는 하우징(110)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며,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고온의 가열 및 융착을 통해 형성되고, 직격 1~2mm 정도의 폴리에틸렌 알갱이(122)가 적층되는 다층 구조를 이룬다.
즉, 다공성 필터(120)는 여러 겹을 이루는 복수의 폴리에틸렌 알갱이(122) 사이로 에어가 유동되는 공극유로(123)를 형성한다. 공극유로(123)는 폴리에틸렌 알갱이(122)들 사이에 형성되는 좁은 틈으로, 이 틈으로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일정크기 이상의 응결된 수분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거를 수 있다. 공극유로(123)에 모아진 응결된 수분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다공성 필터(120)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알갱이(122)로 구성되는 다공성 구조체인 바, 응결된 수분이 일정량 이상이 모이면 아래로 흘러내리므로, 다공성 필터(120)는 응결된 수분을 계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로써, 이러한 다공성 필터(120) 구조는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수하여, 일정 이상의 수분이 흡수되면 더 이상의 수분 흡수가 불가능한 종래 부직포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공극유로(123)의 크기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가열 및 융착하는 가공과정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갱이(122)가 조밀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공극유로(123)가 좁아지므로, 작은 입자의 수분 입자만이 통과할 수 있으며,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갱이(122)가 성글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공극유로(123)가 넓어지므로, 다소 큰 입자의 수분 입자라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다공성 필터(120)는 유동되는 공기로부터 응결된 수분 및 먼지를 거르고, 수증기 상태의 수분만을 하우징(110) 내로 투과시킴으로써, 응결된 수분으로 인한 하우징(110) 내 가스감지모듈(130)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공성 필터(120)는 원통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원통형의 다공성 필터(120)는 주위 공간의 에어를 방사 방향으로 흡입할 수 있으므로, 동일 공간 내에서 다량의 공기를 흡입하는데 효과적이다.
한편, 다공성필터는 필터커버(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커버(121)는 다수의 통공을 갖는 그릴 형태로 구성되며, 다공성 필터(120)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필터커버(121)는 다공성 필터(1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다수의 통공을 통해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200)는 다공성필터가 장착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에 내장되는 가스감지모듈(130)과,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켜주는 순환팬(150)과, 순환되는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부(260)는 하우징(110)의 유입구(113) 측과 유출구(114) 측에 각각 배치되는 구조이다. 즉, 가이드부(260)는 가스감지모듈(130)을 향하도록 곡률지게 형성되는 곡률판 형상으로, 하우징(110)의 유입구(113) 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판(261)과, 하우징(110)의 유출구(114) 측에 배치된는 제2 가이드판(26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가이드판(261)의 곡률면을 따라 원활히 유동되어 가스감지모듈(130)로 이동될 수 있으며, 가스감지모듈(130)로 이동된 공기는 제2 가이드판(262)의 곡률면을 따라 유출구(114)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하우징 111.. 상부하우징
112.. 하부하우징 113.. 유입구
114.. 유출구 120.. 다공성필터
121.. 필터커버 122.. 폴리에틸렌 알갱이
123.. 공극유로 130.. 가스감지모듈
131.. 광원부 132.. 광량측정센서
133.. 도파관 140.. 온습도 센서
141.. 센서부 142.. 물 흐름 가이드
143.. 수분방지 필터 150.. 순환팬
160.. 가이드판 260.. 가이드부
261.. 제1 가이드판 262.. 제2 가이드판

Claims (6)

  1. 가스가 입출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적외선을 방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 대향하게 배치된 광량측정센서가 구비된 가스감지모듈;
    상기 유출구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의 가스를 강제적으로 순환시켜주는 순환팬;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상기 가스감지모듈로 유도해주기 위해 각도가 형성된 가이드판;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 및 유출구에 각각 장착되어 응결된 수분 및 먼지를 거르는 다공성 필터; 및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습도 센서;
    를 포함하는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센서는 센서 반응을 높이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외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센서는 결로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부가 있는 방향으로 각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센서는 센서부와 맞닿는 면에 수분방지 필터를 더 포함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몰딩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터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통공을 갖는 그릴 형태의 원통형 필터커버에 의해 감싸지며, 폴리에틸렌이 고온으로 융착되어 가스가 이동되는 공극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1020120031283A 2012-03-27 2012-03-27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101349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283A KR101349965B1 (ko) 2012-03-27 2012-03-27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283A KR101349965B1 (ko) 2012-03-27 2012-03-27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513A KR20130109513A (ko) 2013-10-08
KR101349965B1 true KR101349965B1 (ko) 2014-01-16

Family

ID=4963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283A KR101349965B1 (ko) 2012-03-27 2012-03-27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9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8422A (zh) * 2015-07-23 2015-12-16 山西新华化工有限责任公司 滤毒罐口颈排灰标准级差比色板的制作方法
KR101650651B1 (ko) 2015-02-17 2016-08-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 유입 생분해성 물질의 생분해도 및 관련 미생물의 활성 측정을 위한 자동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91064B1 (ko) 2018-04-09 2018-08-27 주식회사 소암컨설턴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102053371B1 (ko) * 2019-06-19 2020-01-08 주식회사 누리플랜 미세먼지 측정장치
US10791962B2 (en) 2017-01-26 2020-10-06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Insulating a protective cover for a seal to sensor associated with a spacesu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0235A (zh) * 2017-02-15 2017-05-17 西安硅光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主动循环吸气式红外多光路气体浓度测量装置
CN108008087A (zh) * 2017-12-28 2018-05-08 北京理工大学 机动监测汽车尾气中二氧化碳排放量的系统及方法
KR102387883B1 (ko) * 2019-12-06 2022-04-1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송풍기능이 구비된 통합형 환경 감지 단말기
KR102387876B1 (ko) * 2019-12-06 2022-04-18 주식회사 무하기술 필터가 구비된 통합형 환경 감지 단말기
CN110953693B (zh) * 2019-12-24 2024-04-19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过滤网拥堵监测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1382A (ja) 1999-02-22 2000-09-08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
JP2008070165A (ja) 2006-09-12 2008-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ンサ装置
KR100892122B1 (ko) 2007-06-01 2009-04-09 (주)센코 일산화탄소 가스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1382A (ja) 1999-02-22 2000-09-08 Ngk Spark Plug Co Ltd ガスセンサ
JP2008070165A (ja) 2006-09-12 2008-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ンサ装置
KR100892122B1 (ko) 2007-06-01 2009-04-09 (주)센코 일산화탄소 가스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8년도 정보 및 제어 학술대회 논문집, PP. 127-128, 2008.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651B1 (ko) 2015-02-17 2016-08-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 유입 생분해성 물질의 생분해도 및 관련 미생물의 활성 측정을 위한 자동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N105148422A (zh) * 2015-07-23 2015-12-16 山西新华化工有限责任公司 滤毒罐口颈排灰标准级差比色板的制作方法
CN105148422B (zh) * 2015-07-23 2018-02-27 山西新华化工有限责任公司 滤毒罐口颈排灰标准级差比色板的制作方法
US10791962B2 (en) 2017-01-26 2020-10-06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Insulating a protective cover for a seal to sensor associated with a spacesuit
KR101891064B1 (ko) 2018-04-09 2018-08-27 주식회사 소암컨설턴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102053371B1 (ko) * 2019-06-19 2020-01-08 주식회사 누리플랜 미세먼지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513A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965B1 (ko)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101796918B1 (ko)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KR102421014B1 (ko) 미립자 센서 장치
JP4940038B2 (ja) 粒子検出器、煙検出器および埃検出器、ならびに、熱分解、燻り火および煙のうちの少なくともいずれかの発生に対応した警報条件を決定する方法
KR20150070004A (ko) 바이오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1314165B1 (ko) 습지의 가스를 채집하기 위한 부력식 챔버
ATE531018T1 (de) Rauchmelder mit verschmutzungsüberwachung
KR101891064B1 (ko)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US20190152685A1 (en) Aerosol-generating system
KR101959271B1 (ko) 내부 환경 조절기능을 갖는 비닐하우스
CA28971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ammonia in a fluid
CN103852110A (zh) 可检测污染层的环境传感器
KR102559490B1 (ko) 차량용 먼지 검출장치
KR20170089046A (ko) 환기 장치 및 환기 시스템
US7626168B2 (en) Method for reducing condensation water in gas sensor arrangements
US11268908B2 (en) Air dryer cartridge and device comprising an air dryer cartridge
JP5046552B2 (ja) 光電式煙感知器
KR102215186B1 (ko) 대기가스 다종 오염물질 측정장치 및 이의 교정방법
JP2009145125A (ja) 気体サンプル室及びこの気体サンプル室を備えた濃度測定装置
US20140268157A1 (en) Open-path gas analyzer with environmental protection
KR102579663B1 (ko) 공기 가열을 통해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공기성분측정 장치
US112313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zone concentration in liquids having a positive scaling factor
KR20220065577A (ko) 수경 재배 모듈의 물 순환 시스템
KR101779496B1 (ko) 블랙카본 측정 장치
US9151678B2 (en) Sensor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