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064B1 -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064B1
KR101891064B1 KR1020180041094A KR20180041094A KR101891064B1 KR 101891064 B1 KR101891064 B1 KR 101891064B1 KR 1020180041094 A KR1020180041094 A KR 1020180041094A KR 20180041094 A KR20180041094 A KR 20180041094A KR 101891064 B1 KR101891064 B1 KR 10189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let
air
sensing module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암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암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암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18004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0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gases, e.g. multi-gas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for CO, CO2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측정수단과 외부를 연통시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 이송수단이 포함되어 이산화탄소의 농도 측정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감지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각각 배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입구와 출구 사이에 하나 이상의 여과지가 중첩 배치되어 유입구 및 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배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습도 센서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실내 공기를 상기 가스감지모듈로 직접 이송시키는 공기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Filter-integrated carbon dioxid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측정수단과 외부를 연통시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 이송수단이 포함되어 이산화탄소의 농도 측정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실내 공조 및 원예, 그리고 버섯, 과체류 등을 재배하기 위한 온실이나, 가축들을 사육하는 시설내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조절이 중요한데, 일 예로 딸기나 토마토 등을 재배하는 온실 내에서는 적절한 농도의 이산화탄소가 존재해야 광합성 등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반면, 사육시설 내에서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너무 높아지면 가축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실, 건물, 축사 등의 실내 공간에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실시간을 측정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작물의 생장, 가축의 성장에 악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온실, 건물, 축사 등에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장치가 설치되어 실내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였는데, 현재 대기 중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광학적인 방법(NDIR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 방식은 이산화탄소가 특정 파장의 적외선만을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적외선의 흡수정도를 측정함으로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광학적인 방법이 선택된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는 선택성과 정량성 및 재현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측정을 위해서 밀폐된 공간이 필요하며 구성요소들과 필터들의 물리적인 크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매우 무겁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동부 및 측정소자가 매우 고가이며 제어를 위한 처리부의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측정 장비의 가격이 높을 수 밖에 없어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고, 특히 열악한 환경에 노출될 경우 광학계가 오염되기 쉽기 때문에 사용범위가 실내로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온실, 건물, 축사 등과 같은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사용자, 작물, 가축 등의 건강과 생장 및 성장에 필요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로서 공개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9965호(2014.01.16., 공고)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하우징의 내부에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감지모듈이 구비되고,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구와 유출구에 각각 응결된 수분 및 먼지를 거르는 다공성 필터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상기 가스감지모듈을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되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가스감지모듈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과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켜주는 순환팬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순환팬과 가이드판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스감지모듈측으로 이동시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순환팬은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유출구측으로 강제로 배출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하우징 내벽에 부딪혀 와류가 형성됨으로써 가스감지모듈을 통과한 후의 공기가 다시 가스감지모듈로 진입하여 이산화탄소의 농도 측정의 정확성이 떨어지고, 또한 다공성 필터에 의해 걸러지지 못한 습기 및 이물질이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면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기판, 가스감지모듈에 흡착되어 이들의 오작동 등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하우징 외부의 상하면에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각 설치됨으로써, 종래기술이 버섯재배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버섯재배사 상부에서 살수되는 물이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된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통해 직접적으로 다공성 필터로 흡수되어 공기 유통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므로 오작동은 물론 기기 파손 등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9965호(2014.01.1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온실, 축사 등의 실내 공기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 이송수단을 통해 가스감지모듈에 직접 이송됨으로써 가스감지모듈의 감응속도를 향상시키고, 하우징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과정의 공기가 하우징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와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고, 필터부재에 의해 걸러지지 못한 습기, 이물질 등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기판 등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을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살수가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된 유입구 또는 유출구로 직접 유입되지 않아 버섯이 재배되는 위치에도 설치 가능한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일측에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감지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유입구와 유출구에 각각 배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고, 입구와 출구 사이에 하나 이상의 여과지가 중첩 배치되어 유입구 및 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배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습도 센서 및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실내 공기를 상기 가스감지모듈로 직접 이송시키는 공기 이송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 이송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 인가에 대응하여 온 또는 오프되는 에어펌프와, 상기 유입구와 가스감지모듈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스감지모듈로 유도하는 유입관과, 상기 가스감지모듈과 에어펌프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가스감지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에어펌프측으로 유도하는 이음관과, 상기 에어펌프와 상기 유출구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에어펌프를 통과한 공기를 유출구 측으로 유도하는 배출관을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유입관은, 양단부에 상기 유입구와 가스감지모듈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단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결합단부는,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텐션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는, 복수개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직렬로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의 직경이 하우징에서 먼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물 입자 또는 먼지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입자는 하우징에서 먼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통해 걸러지며, 사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하우징에서 먼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감지모듈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가스감지모듈에 실내의 공기를 직접 전달함으로써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하우징 내부에서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이동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복수의 필터부재를 직렬로 배치하되 기밀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사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상태에서 일측의 필터부재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된 유입구와 유출구가 바닥을 향하므로 살수가 유입구와 유출구를 통해 필터부재로 직접 유입되지 않게 되어 버섯이 재배되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버섯재배 위치의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어 버섯재배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터부재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2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1)는, 하우징(10)과, 가스감지모듈(20)과, 필터부재(30)와, 온습도 센서(40) 및 공기 이송수단(50)을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일측에 구비된다.
이때, 하우징(10)은 온실, 축사, 건물의 실내의 내벽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벽면 또는 온실, 축사 등을 구성하는 파이프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브라켓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설치 위치는 냉난방장치나 수분공급을 위한 물 분사 장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난방장치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나 물 분사장치 등에서 배출되는 물이 하우징 내부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습도 센서(4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배치되는 PCB기판, 가스감지모듈, 공기 이송수단 등의 구성에 대한 유지보수의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상부와 하부 또는 전면과 후면의 한 쌍이 상호 결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관통 형성되고, 각각에 후술하는 공기 이송수단(50)이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위를 통해 외부로부터 습기 및 이물질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는 하우징(10)이 버섯재배 위치에 설치되어도 살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바닥을 향하도록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버섯이 재배되는 위치의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유입구와 유출구를 통해 필터부재로 직접 유입되는 살수를 차단할 수 있게 되어 공기여과 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가스감지모듈(20)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PCB기판에 배치되어 유입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본 사용하는 가스감지모듈(20)은 비분산 분리 적외선(NDIR : Non-Dispersive separation InfraRed) 측정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필요한 파장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광원필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비분산 분리 적외선 측정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이산화탄소가 가스셀(cell/path)을 통과할 때 감지기는 이산화탄소의 흡수 파장대역에서의 방사량을 측정하며, 만약 이산화탄소가 없을 때에는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감지기의 신호는 최대치에 도달하게 된다. 즉, 이산화탄소가 가스셀 내에 존재할 때에는 이산화탄소의 함량만큼 감지기에서 감지하는 신호가 감소하게 되며, 여기서 핵심이 되는 과정은 흡수 파장대역을 선정하는 것으로, 광원으로부터 파장들은 프리즘(prism)이나 회절격자(diffraction grating)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는데 이를 분산적인 분리(dispersive separation)라 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분산 분리 적외선 측정방법은 파장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광원필터(optical filter)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의 설명 및 본 발명에서 구성하는 가스감지모듈(20)은, 적외선 광원모듈과, 감지기와, 도파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구성에 대한 설명 및 도시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측정대상물인 공기가 통과하는 속이 빈 관체인 도파관(導波管, waveguide)에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복수의 체결구가 형성되며, 각각의 체결구는 후술하는 공기 이송수단이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되고, 결합부위 및 가스감지모듈의 전체적인 외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 처리 및 밀폐를 위한 실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재(30)는, 하우징으로 유입 및 유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습기 등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에 각각 배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입구(31)와 출구(32)가 형성되며 입구와 출구의 사이에 각각 다른 메쉬 크기 또는 각각 다른 소재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지(33)가 중첩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30)는 상기 유입구(11) 또는 유출구(12)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필터부재(3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지(3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흡수된 습기가 일정량 이상 응축되어 형성된 응축수가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알갱이 형태로 구성되는 다공성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일정 이상의 수분이 흡수되면 더 이상 필터로서의 여과 기능을 할 수 없었던 부직포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30)는 입구(31)와 출구(32)의 직경에 비해 상기 여과지(33)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이동속도가 여과과정에서 늦춰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부피가 종래의 필터부재에 비해 소형화됨으로써 설치환경 및 설치장소의 제약을 크게 줄인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재(30)는 유입구(11) 또는 유출구(12)에 복수개가 직렬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습기 등의 포집 효과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각각의 필터부재(30)는 상호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으로부터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30)의 직경이 하우징(10)에서 먼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30)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서 입자가 큰 이물질은 먼 측의 필터부재(30)에서 걸러지도록 한다. 즉, 공기에 포함된 먼지 또는 물 입자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입자는 하우징(10)에서 먼 측의 필터부재(30)를 통해 걸러지게 되고 사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필터부재(30)의 교체 시 하우징(10)과 직접 연결되지 않은 먼 측의 필터부재(30)를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온습도 센서(4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온실, 축사, 건물 실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한다. 이때 온습도 센서(40)는 탄성력을 가진 수지재가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온습도 센서(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60),(70)는 상기 가스감지모듈(20)과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케이블(60) 및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케이블(70)이다.
상기 공기 이송수단(50)은, 온실, 축사 등의 실내 공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이동시키고, 하우징 내부를 통과한 공기는 다시 실내로 배출하며 이와 동시에 측정을 위한 실내 공기가 하우징 내부에 잔존하는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산화탄소 농도 측정의 정확성 및 감응속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펌프(51)와, 상기 유입구(11)와 가스감지모듈(20)을 연결하는 유입관(52)과, 상기 가스감지모듈(20)과 에어펌프(51)를 연결하는 이음관(53)과, 상기 에어펌프(51)와 유출구(12)를 연결하는 배출관(54)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펌프(51)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 인가에 대응하여 온 또는 오프 되면서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압력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이음관(53)의 일단과 상기 배출관(54)의 일단이 상호 독립적으로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펌프(51)는 상기 하우징(10)이 몸체와 상기 몸체를 개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지는 경우 몸체 내부에 배치된 PCB기판 및 가스감지모듈(20) 등의 배치 설계시 제약을 받지 않도록 커버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상기 유입관(52)은 하우징(10)의 유입구(11)와 가스감지모듈(20)을 연결하는 것으로, 중앙이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형태를 가진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입관(52)은 상기 필터부재(30)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데, 필터부재(30)에 형성된 출구(32)에 유입관(52)의 일측 단부가 결합되어 필터부재(3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관(52)을 통해 가스감지모듈(20)로 직접 전달되고 이때 에어펌프(51)의 흡입 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속도가 조절되면서 가스감지모듈(20)을 연속적으로 통과하고, 이 과정에서 하우징 내부의 공기와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이음관(53)은 가스감지모듈(20)과 에어펌프(51)를 연결하는 것으로, 가스감지모듈(20)을 통과한 공기를 에어펌프(51)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출관(54)은 상기 에어펌프(51)와 유출구(12)를 연결하는 것으로, 가스감지모듈(20)을 통과한 후의 공기를 하우징의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유입관(52), 배출관(54), 이음관(53)은 모두 중앙이 빈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텐션을 가지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형태를 가진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좁은 공간에도 배치가 가능하고, 단부에는 상호 연결되는 타 구성과의 결합을 위해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결합단부(5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단부(55)는 일 예로 상기 필터부재(30)의 출구(32)를 감싸며 결합되되 텐션을 가진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결합된 상태에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별도의 실링 수단이 없어도 결합부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단부(55)를 통해 별도의 커플러가 없이도 유입관, 배출관, 이음관의 단부가 맞닿는 구성과 기밀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를 위한 분리시에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단부(55)는 상기 필터부재(30)의 입구 및 출구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인접한 필터부재(30)가 기밀이 유지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공기 이송수단(50)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온실, 축사 등의 실내 공기가 필터부재(3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및 습기가 걸러진 후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유입관(52)을 통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가스감지모듈(20)로 직접 전송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후 에어펌프(51)에 의해 형성된 압력을 통해 공기는 이음관(53)을 거쳐 배출관(54)으로 이송된 후 하우징(10)의 유출구(12)를 통해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
따라서, 하우징으로 유입된 공기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가스감지모듈(20)을 통과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에어펌프(51)를 통해 일정한 속도로 공기를 이동시킴으로써 실시간 및 연속적인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일정한 주기에 따른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가스감지모듈(20)로 직접 측정을 위한 공기를 이송함으로써 가스감지모듈(20)의 감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10 : 하우징
11 : 유입구 12 : 유출구
20 : 가스감지모듈
30 : 필터부재
31 : 입구 32 : 출구
33 : 여과지
40 : 온습도 센서
50 : 공기 이송수단
51 : 에어펌프 52 : 유입관
53 : 이음관 54 : 배출관
55 : 결합단부

Claims (4)

  1.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일측에 구비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감지모듈(20)과,
    상기 하우징(10)의 유입구(11)와 유출구(12)에 각각 배치되며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 입구(31)와 출구(32)가 형성되고, 입구(31)와 출구(32) 사이에 하나 이상의 여과지(33)가 중첩 배치되어 유입구(11) 및 유출구(12)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30)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일측에 배치되어 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는 온습도 센서(40) 및
    상기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실내 공기를 상기 가스감지모듈(20)로 직접 이송시키는 공기 이송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 이송수단(5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원 인가에 대응하여 온 또는 오프되는 에어펌프(51)와, 상기 유입구(11)와 가스감지모듈(2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스감지모듈(20)로 유도하는 유입관(52)과, 상기 가스감지모듈(20)과 에어펌프(51)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가스감지모듈(20)을 통과한 공기를 에어펌프(51)측으로 유도하는 이음관(53)과, 상기 에어펌프(51)와 상기 유출구(12)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에어펌프(51)를 통과한 공기를 유출구(12) 측으로 유도하는 배출관(54)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52)은,
    양단부에 상기 유입구(11)와 가스감지모듈(2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단부(55)가 더 형성되되,
    상기 결합단부(55)는,
    중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텐션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30)는,
    복수개가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직렬로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10)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30)의 직경이 하우징(10)에서 먼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30)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물 입자 또는 먼지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입자는 하우징에서 먼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30)를 통해 걸러지며,
    사용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하우징(10)에서 먼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30)를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1020180041094A 2018-04-09 2018-04-09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10189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94A KR101891064B1 (ko) 2018-04-09 2018-04-09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94A KR101891064B1 (ko) 2018-04-09 2018-04-09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064B1 true KR101891064B1 (ko) 2018-08-27

Family

ID=6345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094A KR101891064B1 (ko) 2018-04-09 2018-04-09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0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8914A (zh) * 2021-06-20 2021-09-07 潍坊新普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大棚二氧化碳检测装置
KR102416813B1 (ko) * 2021-06-21 2022-07-05 (주)이엔에스코리아 필터그립유닛을 포함하는 총탄화수소 측정장치
CN117686433A (zh) * 2024-02-03 2024-03-12 内蒙古北科交大机器人有限公司 一种基于吊轨巡检机器人的红外气体检测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631A (ja) * 1999-03-03 2000-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機化合物捕集装置
KR20040065448A (ko) * 2003-01-14 2004-07-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디젤 매연 측정용 3단 임팩터
KR101349965B1 (ko) 2012-03-27 2014-01-16 (주)소하테크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20160014313A (ko) * 2014-07-29 2016-02-11 이재철 가스 감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9631A (ja) * 1999-03-03 2000-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機化合物捕集装置
KR20040065448A (ko) * 2003-01-14 2004-07-2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디젤 매연 측정용 3단 임팩터
KR101349965B1 (ko) 2012-03-27 2014-01-16 (주)소하테크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20160014313A (ko) * 2014-07-29 2016-02-11 이재철 가스 감지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8914A (zh) * 2021-06-20 2021-09-07 潍坊新普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大棚二氧化碳检测装置
KR102416813B1 (ko) * 2021-06-21 2022-07-05 (주)이엔에스코리아 필터그립유닛을 포함하는 총탄화수소 측정장치
CN117686433A (zh) * 2024-02-03 2024-03-12 内蒙古北科交大机器人有限公司 一种基于吊轨巡检机器人的红外气体检测设备
CN117686433B (zh) * 2024-02-03 2024-04-12 内蒙古北科交大机器人有限公司 一种基于吊轨巡检机器人的红外气体检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064B1 (ko)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101349965B1 (ko) 필터 일체형 이산화탄소 측정장치
KR101796918B1 (ko)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CN102984981B (zh) 用于真空吸尘器的灰尘指示器
CN101201315B (zh) 探针
CN107063951B (zh) 浮游微生物检测装置
CN101765452A (zh) 用于烟雾探测的装置和方法
CN102419304B (zh) 一种高湿度低浓度烟气污染物光学测量探头系统
CN201926618U (zh) 一种高湿度低浓度烟气污染物光学测量探头系统
KR20190076433A (ko) 먼지 센서와 가스 센서를 결합한 센서
KR102598425B1 (ko) 미세먼지 감지 센서 어셈블리
KR20180051527A (ko) 환경의 내외부 공기의 환기 및 생물학적 정화 모듈, 및 관련 방법
CN108547547A (zh) 电子自净式传递窗
CN103257125A (zh) 用于测量流体的co2含量的方法和传感器
KR102215186B1 (ko) 대기가스 다종 오염물질 측정장치 및 이의 교정방법
CN101865825A (zh) 一种微型开放式光纤气体样品池
JP5026940B2 (ja) 気体サンプル室及びこの気体サンプル室を備えた濃度測定装置
CN109490213A (zh) 微型紫外吸收大气臭氧传感器
CN208363970U (zh) 电子自净式传递窗
KR101774145B1 (ko) 가스 누설 감지 장치
CN205449796U (zh) 灰尘传感器
US112313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zone concentration in liquids having a positive scaling factor
KR100329956B1 (ko) 수질의다성분연속오염측정장치
SE9003557L (sv) Metoder och anordningar foer styrning och oevervakning av ett gas- eller vaetskelevererande system med hjaelp av sensorer foer avkaennande av fysikaliska storheter saasom fuktighet, tryck, temperatur etc
CN209542430U (zh) 微型紫外吸收大气臭氧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