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2871A -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2871A KR20200062871A KR1020180148784A KR20180148784A KR20200062871A KR 20200062871 A KR20200062871 A KR 20200062871A KR 1020180148784 A KR1020180148784 A KR 1020180148784A KR 20180148784 A KR20180148784 A KR 20180148784A KR 20200062871 A KR20200062871 A KR 202000628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sensor
- humidity sensor
- main body
- steam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센서튜브는, 습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습도센서에 순환공기를 이용하여 증기를 전달하거나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배출된 순환공기가 유동하는 2개의 연결관을, 서로 연결하는 관체형의 본체; 및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증기가 유입되어 상기 순환공기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소결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설증기를 검출하는 습도센서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센서튜브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원자로냉각제 계통 규제기준에서는 원자로냉각재 압력경계에 대하여 원자로냉각재 누설을 탐지하고, 실제로 가능한 범위 내에서 누설원을 확인하기 위한 누설탐지계통이 구비되어야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원전의 원자로냉각재 누설에 대한 탐지 및 확인을 위해,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다양한 조치들이 이용된다.
원자로냉각재 계통은 고온, 고압으로 운전되다 보니, 단열재로 감싸져 있어, 발생한 누설을 감지하고 누설원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러한 원자로냉각재 계통에 적용되는 누설감지 장치로, FLUS라는 습도 감지기가 사용된다.
기존의 FLUS 시스템에서는, 도 1과 같이 T형 센서튜브(100)의 일측에 돌출되어 설치된 곁가지(101)에 다공성 물질(102)을 충진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센서튜브(100)는, 확산을 이용하여 다공성 물질(102)을 통해 외부 증기를 센서튜브(100) 내부로 유입시키고, 센서튜브(100)와 연결된 연결관(104) 내에서 순환하는 공기가 증기를 습도센서로 이동시켜 습도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센서튜브(100)와 습도센서에 연결된 연결관(104)은, 센서튜브에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103)를 이용해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다공성 물질(102)을 충진한 곁가지(101)를 통해 확산을 이용하여 증기가 내부로 들어오도록 하므로, 증기가 침투할 수 있는 영역의 표면적이 매우 작아, 내부 침투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최소 15분에서 1시간 정도의 응답시간을 가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누설증기를 검출하는 습도센서 어셈블리에서 증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는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는, 습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습도센서에 순환공기를 이용하여 증기를 전달하거나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배출된 순환공기가 유동하는 2개의 연결관을, 서로 연결하는 관체형의 본체; 및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증기가 유입되어 상기 순환공기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소결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는, 습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습도센서에 순환공기를 이용하여 증기를 전달하거나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배출된 순환공기가 유동하는 2개의 연결관을 서로 연결하고, 증기의 출입이 가능한 복수의 내부 통공을 구비하는 관체형의 보강튜브; 상기 보강튜브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되, 증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소결체로 형성되는 본체; 및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센서 어셈블리는, 전달된 공기 중의 습도를 획득하는 습도센서; 다공성 소결체로 형성된 관체형의 본체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증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센서튜브; 상기 센서튜브와 상기 습도센서의 양단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상기 습도센서와 상기 센서튜브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2개의 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내경은, 상기 센서튜브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관의 단부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센서튜브 상에서 증기가 침투할 수 있는 영역의 표면적을 넓혀, 보다 빠른 응답속도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T형 센서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가 이용된 습도센서 어셈블리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가 포함하는 보강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가 이용된 습도센서 어셈블리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가 포함하는 보강튜브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1)가 이용된 습도센서(5) 어셈블리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1)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도센서(5) 어셈블리는, 센서튜브(1)와 습도센서(5) 및 연결관(4)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1)는, 본체(10) 및 커버(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습도센서(5)에 하나의 센서튜브(1)가 연결되는 상황을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습도센서(5)에 복수의 센서튜브(1)가 연결되어 하나의 폐회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습도센서(5)와 연결관(4)
습도센서(5)는 전달받는 공기 중의 습도를 획득하는 구성요소로, FLUS 타입의 습도센서(5)일 수 있다. 그러나 전달받은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획득하는 구성요소라면, 습도센서(5)의 종류는 상술한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습도센서(5)는 입구단과 출구단을 가져, 입구단으로는 후술할 센서튜브(1)로부터 전달받은 증기를 함유한 순환공기를 전달받고, 출구단으로는 순환공기를 배출한다.
연결관(4)은 센서튜브(1)와 습도센서(5)를 연결함으로써, 습도센서(5)와 센서튜브(1)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요소이다. 연결관(4)은 2개로 구성되어, 하나는 센서튜브(1)의 일단과 습도센서(5)의 출구단을, 다른 하나는 센서튜브(1)의 타단과 습도센서(5)의 입구단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튜브(1)가 연결관(4)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상황이 된다.
연결관(4) 중 하나는 센서튜브(1)에 순환공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는 센서튜브(1)에서 증기와 섞여 배출되는 순환공기를 습도센서(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튜브(1) - 본체(10)
본체(10)는, 습도센서(5)와 연결되어 상기 습도센서(5)에 순환공기를 이용하여 증기를 전달하는 2개의 연결관(4)을, 서로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본체(10)는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빈 내부공간(11)을 형성한다. 빈 내부공간(11)을 통해 순환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본체의 외측면(13)은, 연결 영역과 중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영역은 본체의 양단(14)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중간 영역은 본체(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영역은, 연결관(4)의 단부와 연결되기 위해 본체의 양단(14)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영역은 연결관(4)의 단부와 체결부재(3)를 이용해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3)의 내측으로 일측에서 연결관(4)의 단부가 삽입되고, 타측에서 연결 영역이 삽입되어, 체결부재(3)가 두 부재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체결되기 위해, 연결관(4)의 단부의 외경과 연결 영역의 외경(D2)이 체결부재(3)의 내경과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 영역과 연결관(4)의 단부를 체결부재(3)가 연결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체결부재(3)가 너트와 같이 내측면에 나사산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체결부재(3)에 본체(10)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체결부재(3)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되는 형태로 연결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영역은 연결 영역을 제외한 본체의 외측면(13)의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연결관(4)이 본체(10)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 영역은 체결부재(3)에 의해 가로막혀 있으나, 중간 영역은 후술할 커버(20)에 의해서 덮혀있을 뿐, 외부의 증기가 통과하여 내부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 영역은, 본체(10)의 외부에서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가 통과하는 영역인 중간 영역일 수 있다. 커버(20)를 제외하면, 연결관(4)이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가 중간 영역일 수 있다.
본체(10)의 내경(D1)은, 연결관(4)의 내경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공기가 센서튜브(1)를 통과할 때, 갑자기 유속이 변화하거나 압력이 변화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내경간의 관계에 의해, 연결관(4)의 내측면과 본체의 내측면(12)이 연속되게 이어질 수 있다.
본체(10)는, 본체(10)의 외부에서 내부영역으로 증기가 유입되어 순환공기에 의해 이송 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소결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다공성 소결체에는, 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미세통공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공성 소결체는, 금속 분말인 크롬(Cr)과 니켈(Ni) 분말을 소결(sintering)하여 형성된 소결체일 수 있다.
본체의 양단(14)에 연결관(4)이 연결된 후, 순환공기가 연결관(4)을 통해 도면의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유입되어, 동일한 방향을 따라 내부공간(11)에서 유동한다. 본체(10)를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공간(11)으로, 원자로냉각재 계통에서 누설된 증기가 유입될 수 있고, 내부공간(11)으로 유입된 증기는, 일 방향으로 유동하는 순환공기에 의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된다. 순환공기가 증기를 포함한 상태로 센서튜브(1)에서 배출되어 다른 연결관(4)을 통해 습도센서(5)의 입구단으로 전달되고, 습도센서(5)는 유입된 순환공기 중의 증기로부터 습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관체형으로 본체(10)를 구성함에 따라, 증기가 유입될 수 있는 표면적을 용도에 따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공간(11)으로 증기의 유입이 T형 센서튜브(도 1의 100) 또는 벨로우즈 형태의 연결관에 사용되는 우물형(well type)의 센서튜브(미도시)에서 증기가 유입되는 것보다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어, 습도센서(5) 어셈블리의 응답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센서튜브(1)가 연결관(4)과 연속되는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좁은 틈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단순한 형태로 인해 연결관(4)의 유연성과는 무관하게 다양한 연결관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튜브(1) - 커버(20)
커버(20)는 본체(10)를 둘러싸는 구성요소이다. 커버(20)는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본체의 외측면(1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싼다. 여기서 본체의 외측면(13)의 적어도 일부란, 상술한 중간 영역일 수 있다.
커버(20)는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커버(20)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므로, 커버(20)에는, 소정 크기 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외부 통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내부로 커버(20)를 통과하려 하는 경우, 커버(20)의 외부 통공(21)에 의해 가로막혀 진행하지 못한다.
외부 통공(21)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외부 통공(21) 중 서로 인접한 외부 통공(21)들은, 커버(20)의 길이 방향과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그 배열 역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커버(2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본체(1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20)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를 둘러싸는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본체(10)에 충격을 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커버(20)는 본체(1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중간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체결부재(3)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3)간의 간격을 좁히는 방식으로 체결부재(3)가 본체(10)와 연결관(4)을 연결할 때, 체결부재(3)들의 사이에 커버(20)가 끼여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2)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2)가 포함하는 보강튜브(40)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2)는, 보강튜브(40), 본체(30) 및 커버(50)를 포함한다. 이 중 본체(30)와 커버(50)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갈음하며,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만 추가로 설명한다.
보강튜브(4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2)에서는, 보강튜브(40)가 체결부재(3)를 통해 연결관(4)과 연결된다. 보강튜브(40)는 2개의 연결관(4)을 서로 연결하는 관체형의 구성요소이다.
보강튜브(40)는, 증기의 출입이 가능한 복수의 내부 통공(45)을 구비한다. 따라서 내부 통공(45)을 통해 본체(30)를 통과한 증기가 내부공간(3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보강튜브의 양단(44)과 인접한 영역에는, 내부 통공(45)이 형성되지 않고, 나머지 영역에 내부 통공(4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통공(45)이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외부 통공(도 3의 21)과 같이 인접한 내부 통공(45)끼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그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강튜브(40)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측면(42)에 본체(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튜브(40)가 배치됨에 따라, 전체 센서튜브(2)의 길이가 길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길이변화에 따른 응력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튜브(40)에 의해, 센서튜브(2)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고, 관체형의 형상을 잘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의 내측면(32)이 보강튜브의 외측면(42)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본체(30)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30)가 덮는 보강튜브의 외측면(42)의 적어도 일부는, 보강튜브의 양단(44)과 인접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본체(30)의 길이는 보강튜브(40)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고, 보강튜브의 양단(44)과 인접한 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더 돌출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보강튜브의 양단(44)과 인접한 영역의 외경(D3)은, 연결관(4)의 단부와 연결되도록 연결관(4)의 단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3)가 너트와 같이 내측면에 나사산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체결부재(3)에 보강튜브(40)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체결부재(3)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대응되는 형태로 보강튜브의 양단(44)과 인접한 외측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튜브(40)의 내경(D4)은, 연결관(4)의 단부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튜브의 내측면(41)과 연결관(4)의 단부의 내측면이 연속되게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버(50)가 본체(3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체(30)가 체결부재(3)에 의해 연결관(4)에 체결되지 않고, 연결관(4)에 체결된 보강튜브의 외측면(42)에 배치되므로, 커버(50)가 본체의 외측면(33)의 일부만을 감쌀 필요가 없는 것이다.
본체(30)는 일 실시예에서의 커버(도 3의 20)와 유사하게, 체결부재(3)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체결부재(3)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식으로 체결부재(3)가 체결될 때,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부재(3) 사이에 끼여서 가압되고 고정될 수 있다.
본체(30)는 경방향을 따라서는, 내측으로부터 보강튜브(40)에 의해서 지지되고, 외측으로부터 커버(5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보강튜브(40)와 커버(50)의 사이에 본체(30)가 끼여서 고정되고, 내부나 외부로부터 본체(30)에 이물질에 의한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튜브(2)가 도 2의 센서튜브(1)의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습도센서(5) 어셈블리가 작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2 : 센서튜브
3 : 체결부재
4 : 연결관
5 : 습도센서
10, 30 : 본체
11, 31 : 내부공간
12, 32 : 본체의 내측면
13, 33 : 본체의 외측면
14 : 본체의 양단
20, 50 : 커버
21, 51 : 외부 통공
40 : 보강튜브
41 : 보강튜브의 내측면
42 : 보강튜브의 외측면
44 : 보강튜브의 양단
45 : 내부 통공
3 : 체결부재
4 : 연결관
5 : 습도센서
10, 30 : 본체
11, 31 : 내부공간
12, 32 : 본체의 내측면
13, 33 : 본체의 외측면
14 : 본체의 양단
20, 50 : 커버
21, 51 : 외부 통공
40 : 보강튜브
41 : 보강튜브의 내측면
42 : 보강튜브의 외측면
44 : 보강튜브의 양단
45 : 내부 통공
Claims (10)
- 습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습도센서에 순환공기를 이용하여 증기를 전달하거나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배출된 순환공기가 유동하는 2개의 연결관을, 서로 연결하는 관체형의 본체; 및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증기가 유입되어 상기 순환공기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소결체로 형성되는, 센서튜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면은,
상기 연결관의 단부와 연결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양단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연결 영역; 및
상기 연결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중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중간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센서튜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소결체에는, 상기 증기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미세통공이 복수 개 형성되는, 센서튜브.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소결체는, 금속 분말을 소결(sintering)하여 형성된 소결체인, 센서튜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소정 크기 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외부 통공이 형성되는, 센서튜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면은,
상기 연결관이 상기 본체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증기가 통과하는 영역인 중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중간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센서튜브. - 습도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습도센서에 순환공기를 이용하여 증기를 전달하거나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배출된 순환공기가 유동하는 2개의 연결관을 서로 연결하고, 증기의 출입이 가능한 복수의 내부 통공을 구비하는 관체형의 보강튜브;
상기 보강튜브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되, 증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소결체로 형성되는 본체; 및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출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센서튜브.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튜브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는, 센서튜브.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튜브의 양단과 인접한 영역의 외경은, 상기 연결관의 단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관의 단부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는, 상기 보강튜브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튜브의 양단과 인접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덮는, 센서튜브. - 전달된 공기 중의 습도를 획득하는 습도센서;
다공성 소결체로 형성된 관체형의 본체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증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센서튜브;
상기 센서튜브와 상기 습도센서의 양단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상기 습도센서와 상기 센서튜브의 사이에서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2개의 연결관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내경은, 상기 센서튜브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관의 단부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습도센서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8784A KR102170028B1 (ko) | 2018-11-27 | 2018-11-27 |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
PCT/KR2019/013317 WO2020111502A1 (ko) | 2018-11-27 | 2019-10-11 |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
EP19889171.5A EP3872484A4 (en) | 2018-11-27 | 2019-10-11 | Sensor tube for humidity sensor and humidity sensor assembly using same |
US17/293,670 US12013312B2 (en) | 2018-11-27 | 2019-10-11 | Sensor tube for humidity sensor and humidity sensor assembly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8784A KR102170028B1 (ko) | 2018-11-27 | 2018-11-27 |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2871A true KR20200062871A (ko) | 2020-06-04 |
KR102170028B1 KR102170028B1 (ko) | 2020-10-26 |
Family
ID=7085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8784A KR102170028B1 (ko) | 2018-11-27 | 2018-11-27 |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2013312B2 (ko) |
EP (1) | EP3872484A4 (ko) |
KR (1) | KR102170028B1 (ko) |
WO (1) | WO20201115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8093B1 (ko) | 2019-11-08 | 2021-07-16 | 한국원자력연구원 | 습도센서의 센서튜브, 습도센서 조립체, 튜브 조립체 및 습도센서 시스템 |
KR102452786B1 (ko) | 2022-03-18 | 2022-10-12 | 한국원자력연구원 | 튜브형 다공 포집 센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18002A (ja) * | 1998-02-03 | 1999-08-10 | Hitachi Ltd | 蒸気漏れ検知装置 |
KR20000001129U (ko) * | 1998-06-20 | 2000-01-25 | 권태웅 | 습도감지장치 |
KR101796918B1 (ko) * | 2017-06-07 | 2017-12-12 | (주)소하테크 |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
KR20180049120A (ko) * | 2015-12-30 | 2018-05-10 | 맷슨 테크놀로지, 인크. | 밀리세컨드 어닐 시스템을 위한 유체 누설 검출 |
Family Cites Families (4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26335A (en) * | 1964-03-24 | Water softener | ||
US2951764A (en) * | 1957-01-25 | 1960-09-06 | Kenneth J Chase | Signal device for food package |
US3033783A (en) * | 1958-04-07 | 1962-05-08 | Permanent Filter Corp | Filte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US3045826A (en) * | 1958-07-28 | 1962-07-24 | Permanent Filter Corp | Filter device |
US3402596A (en) * | 1967-01-31 | 1968-09-24 | Trw Inc | Leak detection system |
DE2431907C3 (de) * | 1974-07-03 | 1978-03-09 | Wolfgang Dipl.-Phys. Dr.- Ing. 7500 Karlsruhe Issel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von Konzentrationsprofilen flüssiger oder gasförmiger Stoffe längs einer Strecke |
US4020697A (en) * | 1975-11-10 | 1977-05-03 | Jander Berthold R | Gas sampling probe |
US4186100A (en) * | 1976-12-13 | 1980-01-29 | Mott Lambert H | Inertial filter of the porous metal type |
US4323777A (en) * | 1980-05-19 | 1982-04-06 | Infrared Industries, Inc. | Hydrocarbon gas analyzer |
US4759227A (en) * | 1983-08-25 | 1988-07-26 | Timmons Robert D | Lysimeter |
DE3562661D1 (en) | 1984-09-19 | 1988-06-16 | Issel Wolfgang | Hollow line for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profiles of liquid or gaseous substances |
US4661249A (en) * | 1985-01-28 | 1987-04-28 | Metallurgical Industries, Inc. | Prefilter device for polymeric material |
US4709150A (en) * | 1986-03-18 | 1987-11-24 | Burough Irvin G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gas |
US4923333A (en) * | 1988-05-12 | 1990-05-08 | Timmons Robert D | Lysimeter for leak detection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
US5222389A (en) * | 1990-04-02 | 1993-06-29 | Gaztech International Corporation | Multi-channel gas sample chamber |
DE4125373A1 (de) * | 1991-07-31 | 1993-02-04 | Siemens Ag | Sensorschlauch zur ueberwachung eines mediums |
DE4125739A1 (de) * | 1991-08-02 | 1993-02-04 | Siemens Ag |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entnahme und messung von proben von einer anzahl verschiedener messstellen |
US5301538A (en) * | 1992-04-20 | 1994-04-12 | Teledyne Industries, Inc. | Process and apparatus for distributed wide range leak detection, location and alarm for pollutants |
US5482677A (en) * | 1993-05-14 | 1996-01-09 | Shell Oil Company | Thermally desorbable passive dosimeter |
DE4424909A1 (de) * | 1994-07-14 | 1996-01-18 | Siemens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Ortung von Schadstoffansammlungen |
DE19612947C1 (de) * | 1996-04-01 | 1997-09-11 | Siemens Ag | 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Leckageerkennung |
US5889217A (en) * | 1996-05-13 | 1999-03-30 | Rossabi; Joseph | Process and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liquid and gas from soil |
DE19721081C1 (de) * | 1997-05-20 | 1998-07-23 | Siemens Ag | Sensorleitung |
US5922974A (en) * | 1997-07-03 | 1999-07-13 | Davison; J. Lynne | Geochemical soil sampling for oil and gas exploration |
DE10060976B4 (de) * | 2000-12-06 | 2005-06-23 | Framatome Anp Gmbh | Vorrichtung zur Leckageerkennung und Leckageortung |
US7255729B2 (en) * | 2003-05-30 | 2007-08-14 | Noritake Co., Limited | Porous cylindrical-body module, structure for supporting porous cylindrical bodies, and method for fastening a supporting member |
DE102005007988A1 (de) * | 2005-02-22 | 2006-08-24 | Framatome Anp Gmbh | Sammelleitung zur Leckageüberwachung und Leckageortung |
CA2507354A1 (en) * | 2005-05-18 | 2006-11-18 | David A. Risk | Prob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concentrations of gaseous components of soil air, and rates of gas transport in soil |
US20070116402A1 (en) * | 2005-06-30 | 2007-05-24 | Infoscitex Corporation | Humidity sensor and method for monitoring moisture in concrete |
DE102005059304B3 (de) | 2005-12-09 | 2007-05-31 | Areva Np Gmbh |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Kalibrieren eines Feuchtigkeitssensors |
US7770435B2 (en) * | 2006-09-01 | 2010-08-10 | Areva Np Gmbh | Pipeline having a collector line and method for leakage monitoring and leakage location |
DE102007042160B3 (de) * | 2007-09-05 | 2008-10-23 | Areva Np Gmbh | Sammelleitung zur Leckageüberwachung und Leckageortung |
DE102008014808B4 (de) * | 2008-03-18 | 2012-01-26 | Areva Np Gmbh | Sensorleitung zur Leckageüberwachung und Leckageort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
US8366811B2 (en) * | 2009-03-03 | 2013-02-05 | Oridion Medical (1987) Ltd. | Drying substances, preparation and use thereof |
DE102009016694A1 (de) * | 2009-04-07 | 2010-10-14 | Linde Aktiengesellschaft | Membranrohr und Reaktor mit Membranrohr |
JP5999421B2 (ja) | 2012-08-10 | 2016-09-28 | 国立研究開発法人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 光ファイバーを用いた水分センサ |
GB2518155B (en) * | 2013-09-11 | 2016-06-01 | Codel Int Ltd | Gas Sensor |
KR101753110B1 (ko) | 2015-06-30 | 2017-07-05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심도가변형 지열정 파이프 |
KR102170027B1 (ko) | 2019-01-24 | 2020-10-26 | 한국원자력연구원 |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
KR102278093B1 (ko) * | 2019-11-08 | 2021-07-16 | 한국원자력연구원 | 습도센서의 센서튜브, 습도센서 조립체, 튜브 조립체 및 습도센서 시스템 |
-
2018
- 2018-11-27 KR KR1020180148784A patent/KR10217002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10-11 WO PCT/KR2019/013317 patent/WO2020111502A1/ko unknown
- 2019-10-11 US US17/293,670 patent/US12013312B2/en active Active
- 2019-10-11 EP EP19889171.5A patent/EP3872484A4/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18002A (ja) * | 1998-02-03 | 1999-08-10 | Hitachi Ltd | 蒸気漏れ検知装置 |
KR20000001129U (ko) * | 1998-06-20 | 2000-01-25 | 권태웅 | 습도감지장치 |
KR20180049120A (ko) * | 2015-12-30 | 2018-05-10 | 맷슨 테크놀로지, 인크. | 밀리세컨드 어닐 시스템을 위한 유체 누설 검출 |
KR101796918B1 (ko) * | 2017-06-07 | 2017-12-12 | (주)소하테크 | 센서 일체형 이산화탄소 및 온습도 측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0028B1 (ko) | 2020-10-26 |
WO2020111502A1 (ko) | 2020-06-04 |
EP3872484A4 (en) | 2021-12-29 |
EP3872484A1 (en) | 2021-09-01 |
US20220011190A1 (en) | 2022-01-13 |
US12013312B2 (en) | 2024-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70027B1 (ko) |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 |
KR102170028B1 (ko) | 습도센서 센서튜브 및 이를 이용한 습도센서 어셈블리 | |
DK2361371T3 (en) | FLUID FLOW METER AND MIXTURES | |
KR101589654B1 (ko) | 다중 유로 유량계 | |
CN104641207B (zh) | 测量设备壳体 | |
KR101749370B1 (ko) | 하우징을 구비한 측정 프로브 | |
US20140069209A1 (en) | Angled port differential pressure flow meter | |
US20140083204A1 (en) | Coriolis mass flowmeter | |
JP6976673B2 (ja) | 超音波検出器および検出装置 | |
FI58565C (fi) | Temperaturmaetningsanordning avsedd att anvaendas vid tryck oever 1500 bar | |
US10808874B2 (en) | Inline fluid damper device | |
CN114144633B (zh) | 管束热交换器 | |
US11226351B2 (en) | Flow-through pipe adapter for optical flow measurement | |
US4884459A (en) | Flow rate converter | |
KR101020073B1 (ko) | 로드셀을 이용한 수위 측정기 | |
KR101671559B1 (ko) | 압력 용기용 방사형 노즐 조립체 | |
CN105806421B (zh) | 一种测试管道 | |
JP2015099040A (ja) | プローブ測定装置及び補正方法 | |
CN111174844A (zh) | 传感器装置及包括该传感器装置的科里奥利质量流量计 | |
US3178942A (en) | Primary metering devices | |
JP2020026999A (ja) | 流量測定装置、及び流量測定装置を適用した配管設備 | |
JP2013040897A (ja) | 圧力測定装置および圧力測定方法 | |
JP3182718B2 (ja) | 差圧流量計の温度検出装置およびその保護管 | |
JPH11281439A (ja) | 流量計の脈動吸収構造 | |
KR940009670A (ko) | 유량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