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694B1 - 축사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사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694B1
KR101297694B1 KR1020120063387A KR20120063387A KR101297694B1 KR 101297694 B1 KR101297694 B1 KR 101297694B1 KR 1020120063387 A KR1020120063387 A KR 1020120063387A KR 20120063387 A KR20120063387 A KR 20120063387A KR 101297694 B1 KR101297694 B1 KR 101297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feed
unit
informa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
박덕풍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주)세미머티리얼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22078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976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주)세미머티리얼즈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팜앤팜스(주)
Priority to KR102012006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694B1/ko
Priority to PCT/KR2013/005245 priority patent/WO2013187713A1/ko
Priority to PCT/KR2013/005243 priority patent/WO201318771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축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축사 구조물, 상기 축사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가축의 표면 온도를 촬영하는 열화상 촬영부, 상기 복수개의 센서 및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축사 구조물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축사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축사의 환경 정보를 구체적으로 감지하고 이를 제어에 반영함으로써 최적의 사육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감지되는 축사 정보를 관리자 및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육되는 가축의 품질에 대한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축사 운영 시스템 {ANIMAL HOUSE MANAGING SYSTEM}
본 발명은 축사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축이 사육되는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축사를 운영하는 축사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라 함은 닭, 오리, 돼지 및 소와 같은 가축을 사육하기 위한 시설을 의미한다. 이러한 축사는 자연의 기상(氣象)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동시에, 가축의 사육 및 관리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 들어 축산 농가가 대형화 되고 기업화됨에 따라, 축사 시설 또한 대규모로 건축되고 다량의 가축을 밀집된 환경에서 집단 사육하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축사의 운영을 자동화하고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2007-0026984호에도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규모 축사들은 대량의 가축이 밀집된 상태에서 사육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가축들이 정상적으로 생장할 수 있도록 적절한 사육 환경을 제공한다. 다만, 그러나, 종래의 축사의 운영 방식은 축사의 사육 환경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는 것이 어려웠고, 축사가 대형화됨에 따라 구역별 환경 정보를 반영하여 축사를 운영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한국공개특허 2007-0026984호 (2007. 3. 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사의 사육 환경 정보를 정밀하게 파악하여, 이를 반영하여 축사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사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축사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축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축사 구조물, 상기 축사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가축의 표면 온도를 촬영하는 열화상 촬영부, 상기 복수개의 센서 및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축사 구조물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축사 운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축사의 환경 정보를 구체적으로 감지하고 이를 제어에 반영함으로써 최적의 사육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감지되는 축사 정보를 관리자 및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육되는 가축의 품질에 대한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사 운영 시스템이 적용된 축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축사의 길이 방향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축사의 폭 방향 단면을 도시한 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사료 공급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냉기 유입부의 외측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다른 적용예에 따른 냉기 유입부의 외측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축사의 운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축사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 운영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축사 운영 시스템을 적용하는 축사의 일 예로서 닭을 사육하기 위한 계사(鷄舍)를 일 예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소, 돼지, 오리 등의 다른 가축을 사육하기 위한 축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사 운영 시스템이 적용된 축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축사(1)는 벽체 구조물(10) 및 지붕 구조물(20)을 포함하는 건축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가축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벽체 구조물(10)은 축사(1)의 4면 측벽을 형성하면서 수용 공간을 구획한다. 벽체 구조물(10)의 전방에는 관리자 및 가축이 출입할 수 있는 입구(50)가 형성된다. 그리고, 벽체 구조물(10)의 양 측에는 수용 공간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개구부(51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510)에는 태양광이 개구부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양 부재(520)가 설치된다.
지붕 구조물(20)은 벽체 구조물(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축사(1)의 상부 구조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구조물(20)의 상측에는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120)이 설치된다. 태양광 패널(120)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한다.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축사(1)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송전 선로를 따라 외부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지붕 구조물과 벽체 구조물의 구성, 그리고 축사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축사의 길이 방향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축사의 폭 방향 단면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구조물(20)은 벽체 구조물(10)의 상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양측 벽체 구조물(10)의 사이에는 골격을 형성하는 지붕 프레임(30)이 구비되고, 지붕 구조물은 지붕 프레임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지붕 구조물(20)과 태양광 패널(120)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10)이 형성된다. 지지 프레임(110)은 강우 또는 바람 등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격자형 메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면을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110) 상에는 태양광 패널(120)이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붕 위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은 지붕의 경사면을 따라 설치되므로 건물의 방향에 따라 패널의 설치 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지붕의 경사면이 남향으로부터 비껴난 건물에 설치되는 경우 발전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광 패널이 지붕의 경사면이 아닌 지붕 상측에서 수평면을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 상에 설치되므로, 축사의 방향과 상관없이 발전 효율을 고려하여 태양광 패널의 설치 방향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120)은 지붕 프레임 상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잦은 유지 보수가 요구되나, 종래의 경우 태양광 패널이 지붕 경사면에 대형 구조물로 밀착 설치되어 특정 구역을 유지 보수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서는 태양광 패널이 복수개의 열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열 사이를 통해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지지 프레임이 작업자의 보행 통로 기능을 수행하므로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작업자가 지지 프레임 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지지 프레임 상에 레일 등을 이용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별도의 작업 패널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120) 및 지지 프레임(110)은 복수개의 패널 지지부(130)에 의해 지붕 구조물(20) 상측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지지부(130)는 지붕 구조물(20)과 지지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제1 부재(131) 및 지지 프레임(110)과 태양광 패널(120)을 연결하는 제2 부재(132)를 포함한다.
제1 부재(131)의 상단은 지지 프레임(110)을 고정시키도록 체결되고, 하단에는 지붕 구조물의 상면과 밀착되어 설치되는 플랜지(131a)가 형성된다. 이때, 플랜지(131a)에 설치되는 체결구(131b)는 지붕 구조물(20)을 관통하여 지붕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붕 프레임(30)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재(132)의 상단은 태양광 패널(120)을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하단은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태양광 패널(120)은 지지 프레임(110) 및 패널 지지부(130)에 의해 지붕 프레임(30)과 일체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지붕 프레임(30)의 상측에는 태양광 패널(120)의 하측으로 진행하는 공기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팬(790)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의 유동은 경로가 좁아지는 부분에서 유속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공기가 빠르게 진행하는 지붕 구조물(30)과 태양광 패널(120) 사이에 지붕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팬(790)을 설치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게 되는 배출구(770)의 회전팬(780)과 더불어 풍력 발전에 의해 전기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프레임(30)의 하측에는 복수개의 광 조사부(300)가 설치된다. 광 조사부(300)는 가축이 사육되는 수용 공간으로 광을 조사한다. 따라서, 외부 기상 환경과 무관하게 수용공간의 조도를 유지하여, 가축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광 조사부(300)는 각각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의 중심 측에 위치한 광 조사부(300)는 양측에 위치한 광 조사부(300)에 비해 수용 공간의 상측에서 긴 와이어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용 공간 내부에서 위치에 따른 광 조사량의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조사부(300)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모듈로 구성된다. 발광 다이오드는 수명이 길고 에너지 효율이 우수하므로, 장시간 동안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300)에 이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서, 광 조사부(300)는 가시광 대역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살균 효과를 갖는 자외선 대역의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여, 자외선 조사를 통해 수용 공간의 위생 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프레임(30)의 하측에는 사료 공급부(400)가 설치된다. 사료 공급부(400)는 수용 공간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용 공간 곳곳에 사료를 공급하는 구조이다.
도 4는 도 3에서 사료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를 참조하여 사료 공급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 공급부(400)는 사료가 공급되는 공급관(410) 및 공급관에 설치되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사료를 가축에게 제공하는 사료 트레이(tray)(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급관은 일측에 구비되는 사료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사료를 공급관(410) 내부 경로를 따라 이동시킨다. 공급관(410)의 내부에는 스크류 형상의 이동 부재(430)가 구비되어, 이동 부재(430)의 구동(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 부재의 회전)에 따라 사료 저장부에 저장된 사료가 공급관(410)을 따라 이동한다.
사료 트레이(420)는 공급관(410)을 따라 복수개의 위치에 형성된다. 공급관(410)에는 사료 트레이(420)가 설치된 위치마다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공급관(410)을 따라 이동하는 사료가 홀을 통해 사료 트레이(420)로 공급된다. 따라서, 가축은 사료 트레이(420)로 공급된 사료를 직접 섭취할 수 있다.
이러한 사료 공급부(400)는 가축의 생장 주기에 따라 공급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공급관(410) 내부에 설치된 이동 부재(430)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거나, 공급관(410)으로부터 사료 트레이(420)에 사료가 공급되는 홀의 크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수용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와이어(w)가 공급관에 연결되며, 와이어의 구동에 따라 사료 공급부의 높낮이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가축의 성장에 따라 사료 공급부의 높낮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지붕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는 광 조사부(300) 및 사료 공급부(40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 이외에도 수용 공간 내부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촬영기, 열화상카 메라를 비롯하여 사육 환경과 관련되는 각종 정보를 감지하는 다수개의 센서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촬영기, 열화상 카메라 및 각종 센서에 대해서는 별도로 후술한다.
이러한 광 조사부 및 사료 공급부를 비롯한 각종 구성요소는 축사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거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시, 도 2 및 도 3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출입하는 입구 및 수용 공간 사이에 클린룸(clean room)(210)을 형성한다. 클린룸(210)은 수용 공간과 분리된 공간을 형성한다. 클린룸(210)의 상면 또는 측면에는 에어 샤워 유닛(air shower unit)(211)이 구비된다. 에어 샤워 유닛(211)은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 노즐로 구성된다. 이러한 에어 샤워 유닛(211)은 가축이 수용된 수용 공간으로 들어가고자 하는 사람의 몸에 뭍은 먼지 및 병원균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인편에 의해 유해 물질이 수용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자 등의 외부인 출입에 의한 감염을 통제하기 위해 에어 사워를 진행하는 클린룸을 형성하였으나, 사육되는 가축의 종류 및 예방하고자하는 내용에 따라 출입하는 외부인에게 방역 가스를 분사하여 살균을 진행하는 방역실을 구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클린룸(210)과 수용공간 사이에는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부인이 출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게이트(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게이트의 상측 또는 측면에는 에어 커튼 유닛(air curtain unit)(221)이 구비된다. 에어 커튼 유닛(221)은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에어 노즐로 구성된다. 따라서, 게이트(220)가 개방되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클린룸(210)의 공기가 수용 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에어 샤워 중 외부인의 몸에서 떨어진 유해물질이 클린룸으로부터 수용공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벽체 구조물(10)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개구부(510)가 형성되며, 개구부(51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수용 공간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벽체 구조물(10)의 후방에는 배기팬(710)이 형성되어,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킨다. 이러한 배기팬(710)의 강제 배기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며, 가축들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도 3에서는 이러한 공기의 이동 경로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배기팬(710)의 배기가 진행되면 벽체 구조물(10) 양측의 개구부(51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개구부(510)에는 별도의 제1 가이드 부재(511)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가이드 부재(511)는 와이어에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양측 벽체 구조물(10)의 전방에는 냉기가 유입되는 냉기 유입부(6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냉기 유입부(610)는 외부로부터 수용 공간 내측으로 저온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냉기 유입부(610)에는 별도의 제2 가이드 부재(611)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가이드 부재(611)는 와이어(w)에 연결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유입되는 냉기의 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냉기 유입부(610)는 수용 공간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여, 수용 공간의 온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서 냉기 유입부의 외측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를 참조하여 냉기 유입부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 유입부(610)가 형성된 벽체 구조물의 외측에는 냉각 컨테이너(40)가 구비되고, 냉각 컨테이너(40)의 내부에는 외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컨테이너(40)의 내부에는 냉각 필터(620) 및 급수 노즐(630)이 형성된다. 냉각 필터(620)는 메쉬 구조(mesh structure)를 갖는 패널로 형성된다. 급수 노즐(630)은 냉각 필터(620)의 상측에서 물을 분사하여, 냉각 필터(620)의 메쉬 구조를 타고 물이 흘러내리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냉각 필터(620)를 통과하는 공기는 물이 흘러내리는 메쉬 구조를 통과하면서 냉각이 이루어진 상태로 냉기 유입부(610)로 유입된다.
냉각 필터(620)의 하측에는 메쉬 구조를 타고 흘러내린 물이 수용되는 저수부(640)가 형성된다. 저수부(640)에 저장된 물은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실시예와 같이 펌프(650)를 이용하여 다시 급수 노즐(630)을 통해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저수부에는 히터 또는 열교환기 등의 온도조절부재(641)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조절부재(641)는 저수부(저장된)에 저장된 물을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급수 노즐을 통해 냉각 필터(620)로 제공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냉각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는 냉각 필터를 흐르는 물의 온도에 의해 온도가 제어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온도조절부재(641)를 구동하여 수용 공간 내부에 냉기 뿐 아니라 온기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 노즐이 설치된 냉각 필터를 이용하여 수냉식 방식으로 냉기를 형성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는 다른 적용예에 따른 냉기 유입부의 외측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다른 적용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 유입부(610)의 외측에 열교환기(660)를 설치하여 냉기를 형성할 수 있다. 열교환기(660)는 내부에 프레온 가스와 같은 냉매가 통과하는 다수의 미세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공기가 미세관들을 통과하면서 열 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냉기 유입부(610)로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열교환기는 미세관을 따라 진행하는 냉매가 순환하면서 팽창 및 압축되면서 일측에서는 외기의 열을 흡수하고, 타측에서는 외기로 열을 방출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열 교환기를 이용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변경시킴으로써, 냉기뿐만 아니라 온기 또한 선택적으로 수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열교환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델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개구부(510) 및 냉기 유입부(6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에 의해 수용 공간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붕 구조물의 하측을 따라 진행하여 수용 공간의 중심부 상측에서 만나 하측으로 하강하게 된다.
다만, 지붕 구조물(20)의 하측에는 지붕 구조물(2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10)을 비롯하여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지붕 구조물의 하측을 따라 상승하게 되면 다른 구성요소들과 부딪히면서 이동 경로가 불규칙해지고 이동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붕 구조물(20)의 하측을 따라 공기의 상승 경로를 안내하는 유선형 가이드(540)를 설치할 수 있다. 유선형 가이드(540)는 섬유 또는 합성 수지 등의 재질을 이용한 막 또는 패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유선형 가이드(540)는 지붕 구조물(2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지붕 구조물(20)과 유선형 가이드(540) 사이에 각종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5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승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타 구성요소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이러한 유선형 가이드(540)는 별도의 구동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수용 공간 내측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선형 가이드(540)의 위치에 따라 유로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구조물(10)의 일 측면에는 개구부(5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팬(7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양측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외부의 지형 및 기상 상황(예를 들어, 풍향)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사의 일측에 외부 구조물이 인접하여 위치한 경우, 외부 구조물과 인접한 측면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반대변의 개구부에 비해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량 제어팬을 구동하여 양측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일 예로, 유량 제어팬(720)은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는 일측 벽면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부(510)와 대향된 상태에서 배기를 진행하여 대향된 개구부(5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양측 벽체 구조물(10)에 각각 유량 제어팬(720)을 설치하고, 외부의 기상 환경에 따라 유량 제어팬(720)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1)는 배기팬(710)의 구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벽체 구조물(10)의 양측 개구부 및 냉기 유입부(610)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진입하고, 진입된 공기는 상측 중심부로 이동한 후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벽체 구조물(10)의 후방으로 배기되는 방식으로 환기가 진행된다.
여기서, 배기팬(710)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측으로 강제 배기시키는 구성이다. 도 3에서는 배기팬(710)이 2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배기팬(710)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배기팬은 온-오프 제어뿐만 팬의 회전 속도를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배기팬(710)의 운전 속도를 조절하여 위치별 통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배기팬(710)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는 닭 등의 가축이 밀집하여 사육되는 공간을 통과하기 때문에 깃털 및 분진과 같은 이물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팬(710)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는 외부로 배기되기에 앞서 이물질 처리부(730)를 통과한다.
이물질 처리부(730)는 배기팬(710)의 후측에 설치되며,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물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팬(710)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는 이물질 처리부(73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 및 냄새가 제거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물질 처리부(730)를 통과한 공기는 후방에 배치되는 벽면(740)과 부딪히면서 배기가 이루어진다. 이때, 일부의 공기가 배기되지 않고 배기팬(710)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기팬(710)과 후방의 벽면 사이에는 역류 방지 가이드(75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역류 방지 가이드(7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유로(760)와 인접한 상측 벽면에 설치된다. 다만, 이러한 역류 방지 가이드(750)는 배기된 공기의 유로를 고려하여 변경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배기팬(710)을 통해 배기되는 공기는 이물질 처리부(730)를 통과하여 후방의 벽면(740)과 부딪힌 후 상측으로 형성된 배기 유로(760)를 따라 배출구(770) 방향으로 진행한다.
한편, 배출구(770)와 인접한 위치에는 풍력 발전 유닛(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풍력 발전 유닛은 바람을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팬을 회전시키고 이러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구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팬을 회전시킴으로써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 발전 유닛은 배출구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780), 상기 회전팬(78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변속 기어(미도시), 그리고 변속기어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발전 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축사 운영시 배기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풍력 발전 유닛의 회전팬(780)은 배출구(77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배출구(77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배출구(77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측으로 형성되는 배기 유로(760)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따라 단면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풍력 발전 유닛의 회전팬(780)은 배출구와 인접하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풍력 발전 유닛은 배출구(77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운동 에너지 뿐 아니라, 외부의 자연풍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풍력 발전 유닛은 앞서 설명한 지붕 구조물 상측의 팬(780)으로부터 지붕 구조물과 태양광 패널 사이로 진행하는 외기의 운동 에너지까지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전술한 태양광 발전이 기상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에 비해, 풍력 발전 유닛은 축사 운영시 주기적으로 배기되는 공기를 이용하므로 안정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경우 축사에서 배기되는 공기는 폐기(waste air)로서 취급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에너지를 재활용하고, 에너지 자급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축사 운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축사(1)를 운영하는 운영 시스템(9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가축의 종류 및 외부의 기상 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사육 환경이 존재하며, 축사 운영 시스템(900)은 이러한 사육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축사(1)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 운영 시스템(900)은 축사 내부의 환경 및 가축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정보에 근거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를 운전하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축사(1)의 수용 공간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축사 내부에 온도 센서(810), 습도 센서(820), 유해가스 감지센서(830), 풍량 센서(840), 조도 센서(850) 등을 각각 복수개로 설치할 수 있다.
온도 센서(810) 및 습도 센서(820)는 수용 공간 내부의 곳곳에 설치되어 해당 구역의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를 감지한다. 축사 내부에서 가축들이 밀집된 상태로 사육되어 온도가 상승하기 쉽고,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가축의 질병 발생 또는 폐사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온도 센서(810)를 통해 수용 공간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축의 성장 주기에 따라 요구되는 습도가 존재하므로(예를 들어, 병아리의 경우 습도에 매우 약함), 가축의 종류 및 성장 주기에 따라 적정한 습도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습도 센서(82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유해가스 감지센서(830), 풍량 센서(840) 및 조도 센서(850) 또한 축사의 내부 곳곳에 설치된다. 유해가스 감지센서(830)는 주로 외부인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게이트(220) 인접 구역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개구부(510) 및 냉기 유입부(610)의 인접 구역에 설치되어, 유해가스 감지센서(830)의 유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풍량 센서(840)는 유속의 구배가 큰 구역 또는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기되는 구역 등에 설치하여 위치별 유속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조도 센서(850)는 상대적으로 광 조사량이 적은 지역에 설치되어 조사량을 감지하거나, 광 조사부(30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촬영기(860)는 수용 공간 곳곳에 설치되어 가축이 사육되는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관리자가 직접 둘러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축이 사육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촬영기(860)는 사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관심을 갖는 구역을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회전 기능 및 줌(zoom)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영상 촬영기(860)와 더불어 수용 공간 내부에 열화상 카메라(87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열화상 카메라(870)는 가축의 피부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축이 질병 등으로 인해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체온이 정상 범위 이상으로 상승하므로, 열화상 카메라(870)를 이용하여 가축의 건강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열화상 카메라(870) 또한 이상이 의심되는 지역을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회전 기능 및 줌(zoom)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및 영상 촬영기(860)와 열화상 카메라(870)로부터 촬영된 영상정보는 운영 시스템(900)의 모니터링부(910)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부(910)에서 수집된 정보들은 제어부(940)로 전송된다. 여기서, 제어부(940)는 축사 내부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가이드 부재(511), 제2 가이드 부재(611), 배기팬(710), 유량 제어팬(720), 광 조사부(300), 영상 촬영기(860) 및 열화상 카메라(870) 등의 동작 내용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940)는 모니터링부(910)에서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적정한 사육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배기팬(710)을 가속하여 외기가 유입되는 양을 증가시켜 공기 순환을 유도하고, 제1 가이드 부재(511) 및 제2 가이드 부재(611)를 개방하도록 와이어를 제어하여 외기 및 냉기의 유입이 늘어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도 또는 풍량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 특정 구역의 제1 가이드 부재(511) 및 제2 가이드 부재(611)를 제어하여 위치별 공기의 유입량을 제어하거나, 유량 제어팬(720)을 제어하여 해당 구역의 공기 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습도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거나 유해가스가 감지되는 경우에도 제1 가이드 부재(511), 제2 가이드 부재(611), 배기팬(710) 등을 제어하여 습도 및 유해가스를 배기시킬 수 있다.
나아가, 열화상 카메라(870)를 통해 특정 구역에 위치한 가축의 표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한 것이 감지되면, 복수의 영상 촬영기(860) 및 열화상 카메라(870)의 시야를 해당 구역으로 집중시켜 다양한 각도에 따른 정보를 모니터링하며, 나아가 해당 구역을 확대 촬영함으로써 구체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모니터링부(910)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순화시킨 일 예에 불과하며, 이 이외에도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축사 운영 시스템(900)은 모니터링부(910) 및 제어부(940) 이외에도 출력부(920) 및 이상 알림부(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920)는 모니터링부(910)에서 감지된 센싱 정보 및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모니터링부(910)는 모니터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감지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상 알림부(930)는 모니터링부(910)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해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온도 또는 습도가 정상 범위를 넘어선 것으로 감지된 경우, 유해가스가 유입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광 조사부(30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 또는 일부 가축의 표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것이 감지된 경우, 이상 알림부(930)는 이러한 사실을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상 알림부(930)는 출력부(9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축사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축사에서 획득되는 수용 공간의 환경 정보는 각 축사의 운영시스템에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관리 통제실로 제공될 수 있다. 중앙 관리 통제실은 각 축사에서 모니터링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제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통제실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축사의 관리 상태 및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제실의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소비자에게 각 축사에서 사육되고 있는 가축의 상황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축사 운영시스템은 각 축사 구조물 내부의 영상을 촬영한 정보를 중앙 관리 통제실로 전송하며, 소비자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축사의 환경 정보 뿐 아니라 사육되는 환경을 직접 열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각각의 축사의 운영 정보를 관리자 및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리자 및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가축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축사 구조물;
    상기 축사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가축의 표면 온도를 촬영하는 열화상 촬영부;
    상기 복수개의 센서 및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수용 공간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공급부;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축사 구조물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유해감지 감지센서, 풍량 센서, 조도센서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축사 구조물의 배기팬, 유량 제어팬, 또는 외부기가 유입되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가이드 부재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운전을 제어하며,
    상기 사료공급부는 사료 저장부에 저장된 사료가 공급되는 경로를 형성하고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공급관, 상기 공급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료를 이동시키는 스크류 부재 및 상기 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 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사료가 상기 홀을 통해 공급되어 수용되는 사료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축의 생장주기에 따라 상기 스크류 부재의 구동속도 또는 상기 홀의 크기를 제어하여 사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운영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축사 구조물 내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 또는 습도 센서에서 획득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획득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축사 구조물의 배기팬 및 유량 제어팬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운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수집된 정보에 의해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이상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운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서 수집된 정보를 종합 관리 통제실로 전송하기 위한 네트워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종합 관리실로 전송되는 정보는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축사 구조물 내부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운영 시스템.
KR1020120063387A 2012-06-13 2012-06-13 축사 운영 시스템 KR101297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87A KR101297694B1 (ko) 2012-06-13 2012-06-13 축사 운영 시스템
PCT/KR2013/005245 WO2013187713A1 (ko) 2012-06-13 2013-06-13 발전형 축사
PCT/KR2013/005243 WO2013187711A1 (ko) 2012-06-13 2013-06-13 발전형 축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87A KR101297694B1 (ko) 2012-06-13 2012-06-13 축사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694B1 true KR101297694B1 (ko) 2013-08-21

Family

ID=4922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387A KR101297694B1 (ko) 2012-06-13 2012-06-13 축사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69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789B1 (ko) * 2014-02-13 2014-08-26 주식회사 우리프로테크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
KR20150140115A (ko) * 2014-06-05 2015-12-1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습도센서 고정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1896A (ko) * 2015-06-26 2017-01-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환경제어로봇 및 이를 이용한 축사의 환경제어 시스템
KR101730470B1 (ko) * 2015-11-18 2017-05-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지티팜 고상식 축사 자동화 시스템
CN107125158A (zh) * 2017-06-12 2017-09-05 温州科技职业学院 一种蛋鸭生态网床全旱养系统
CN110574708A (zh) * 2018-06-08 2019-12-17 刘丹 养殖场疾控管理系统及其应用的管理装置与巡查机器人
WO2020005038A1 (ko) * 2018-06-29 2020-0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사육장 환경 관리 시스템, 단말 및 그 방법
KR102267047B1 (ko) * 2020-11-10 2021-06-17 김동현 돈사 구조
KR20240007995A (ko) 2022-07-11 2024-01-18 김도근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354U (ko) * 2008-02-15 2009-08-20 진은정 양계용 사료 공급기의 사료통 고정장치
KR20100137312A (ko) * 2009-06-22 2010-12-3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354U (ko) * 2008-02-15 2009-08-20 진은정 양계용 사료 공급기의 사료통 고정장치
KR20100137312A (ko) * 2009-06-22 2010-12-30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사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789B1 (ko) * 2014-02-13 2014-08-26 주식회사 우리프로테크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
KR20150140115A (ko) * 2014-06-05 2015-12-1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습도센서 고정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1667309B1 (ko) 2014-06-05 2016-10-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습도센서 고정부를 구비한 꿀벌통의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01896A (ko) * 2015-06-26 2017-01-05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환경제어로봇 및 이를 이용한 축사의 환경제어 시스템
KR101708258B1 (ko) 2015-06-26 2017-02-21 대한민국 환경제어로봇 및 이를 이용한 축사의 환경제어 시스템
KR101730470B1 (ko) * 2015-11-18 2017-05-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지티팜 고상식 축사 자동화 시스템
CN107125158A (zh) * 2017-06-12 2017-09-05 温州科技职业学院 一种蛋鸭生态网床全旱养系统
CN110574708A (zh) * 2018-06-08 2019-12-17 刘丹 养殖场疾控管理系统及其应用的管理装置与巡查机器人
WO2020005038A1 (ko) * 2018-06-29 2020-01-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사육장 환경 관리 시스템, 단말 및 그 방법
KR102267047B1 (ko) * 2020-11-10 2021-06-17 김동현 돈사 구조
KR20240007995A (ko) 2022-07-11 2024-01-18 김도근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한 스마트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694B1 (ko) 축사 운영 시스템
KR101297693B1 (ko) 방역형 축사
KR101257803B1 (ko) 다층형 복합 시설물
RU2512263C2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онных каналов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загрязнения воздуха в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ой постройке и/или вокруг нее
WO2013187711A1 (ko) 발전형 축사
KR101263993B1 (ko) 창문형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KR101118280B1 (ko) 축사 환기장치의 탈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90621B1 (ko) 복합 시설물
CN110402843A (zh) 一种移动格板畜牧自动养殖系统
KR102310729B1 (ko) 통합 컨트롤 및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비바리움 유리 사육장
US20220264838A1 (en) Hybrid heat recovery system with energy recovery and use thereof
US11202439B2 (en) Evaporative cooling system for an animal barn
KR101333637B1 (ko)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복합 발전형 축사
WO2016199959A1 (ko) 복합 시설물
KR101287129B1 (ko) 태양광 발전형 축사
CN114568344B (zh) 一种生猪养殖疫病监测设备
KR200267416Y1 (ko) 농축산용 공기의 냉각장치
KR102588686B1 (ko) 빌딩형 스마트 가축 사육장
KR101373230B1 (ko) 애완동물 물 공급장치
KR102477872B1 (ko)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스마트 축사
JP5974481B2 (ja) 栽培施設
RU15165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нтиляции коровника
CN212325049U (zh) 一种共享智能宠屋
KR101504512B1 (ko) 기능성 부직포를 갖는 축사 환풍 설비
KR20220105183A (ko)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