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604B1 -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 제형 - Google Patents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604B1
KR101796604B1 KR1020160111009A KR20160111009A KR101796604B1 KR 101796604 B1 KR101796604 B1 KR 101796604B1 KR 1020160111009 A KR1020160111009 A KR 1020160111009A KR 20160111009 A KR20160111009 A KR 20160111009A KR 101796604 B1 KR101796604 B1 KR 101796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h
lysdoca
parathyroid hormone
rhpth
nano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우
전옥철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앤엘델리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앤엘델리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604B1/ko
Priority to PCT/KR2017/008604 priority patent/WO201804394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9Parathyroid hormone, i.e. parathormone; Parathyroid hormone-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the modifying agent being a steroid plant sterol, glycyrrhetic acid, enoxolone or bile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2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particulate, a powder, an adsorbate, a bead or a sphe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형성 촉진 기전의 부갑상선 호르몬(PTH) 혹은 이의 단편인 테리파라타이드(PTH(1-34))에 장관막 투과증진제인 데옥시콜산 유도체(데옥시콜산과 라이신의 결합체)를 1대 10의 몰비율로 혼합하여 이온-이온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체 및 상기 복합체를 장용성 물질로 코팅한 미립자 형태의 제제인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 제형을 제공한다.
따라서 PTH의 장관막 투과율 및 위장관 흡수를 증진시킴으로써 골다공증 치료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 제형 {Oral dosage form of parathyroid hormone comprising the gastrointestinal absorption enhancer}
본 발명은 골형성 촉진 기전의 부갑상선 호르몬(PTH) 혹은 이의 단편인 테리파라타이드(PTH(1-34))에 장관막 투과증진제인 데옥시콜산 유도체를 혼합하여 복합체를 형성시킴으로써 PTH의 장관막 투과율을 증진시키고, 상기 복합체를 장용성 물질로 코팅한 미립자 형태의 제제로 제조하여 약물의 위장관 흡수를 증진시킨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부갑상선 호르몬(PTH; parathyroid hormone)은 부갑상선에서 분비되는 8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로 혈중 칼슘이온의 농도를 조절하는 주요 호르몬 중 하나이다. 이것은 뼈에서 동화작용(뼈 형성)과 이화작용의 기능을 하며 이러한 작용은 PTH에 노출되는 기간 및 패턴에 의해 달라진다. 동화작용은 간헐적인 PTH 노출에 의해 촉진되며 조골세포의 분화와 증식 또는 세포자멸사의 감소를 야기한다. 이화작용은 지속적인 PTH 노출에 의해 촉진되며 RANK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의 발현 증가 및 오스테오프로테게린(osteoprotegerin)의 발현 감소와 관련이 있다.
PTH의 N-말단으로부터 34개의 아미노산 잔기, 즉 테리파라타이드(PTH(1-34))는 뼈와 콩팥에 많이 발현되어있는 type 1 PTH 수용체의 활성화에 필수적이다. PTH(1-34)가 type 1 PTH 수용체에 결합하면 G단백질-의존적 cAMP/단백질인산화효소 A 경로(G protein-dependent cAMP/protein kinase A pathway)를 포함하는 일련의 신호전달 체계가 활성화되고 혈장의 칼슘 농도가 조절된다. 테리파라타이드(teriparatide)는 유전자 재조합 PTH(1-34)(rhPTH(1-34); 인간 유전자 재조합(recombinant human PTH(1-34))로서 임상적으로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과 생식선 억제성 남성의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된다. 간헐적인 테리파라타이드의 투여는 조골세포를 파골세포보다 더 활성화시킴으로써 새로운 뼈의 형성을 자극하며 골다공증에서의 골절 위험을 감소시킨다. 다른 많은 골다공증 치료법들은 이화작용의 성질을 가지지 않고 오로지 파골세포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예방적인 성격의 치료법이다. 이러한 골흡수억제제(antiresorptives)에는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estrogen receptor modulator), 칼시토닌(calcitonin)이 포함된다. 반면, 테리파라타이드는 골절의 위험이 있으며 다른 골흡수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골다공증 치료에 쓰일 수 있다.
테리파라타이드는 현재 넓적다리나 복부에 2년간 1일 1회 피하주사 하는 형태로 투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하주사 방식은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고 환자들이 올바른 주사 방법을 습득해야 하는 불편함을 수반한다. 따라서 환자의 복용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PTH 펩타이드에 대한 경구투여, 경피투여, 비강투여 등의 대체 투여전달시스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경구 투여의 장점으로는 환자의 편리함과 PTH(1-34)의 농도가 Tmax에 도달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증가한다는 점이 있다. 그러나 PTH 경구 전달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펩타이드 자체의 경구 생체이용률이 낮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는 펩타이드의 짧은 반감기, 위산과 소화관의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분해, 높은 분자량(약 4117.72 Da)에 기인한 낮은 위장관 세포막 투과성이 있다.
따라서 환자의 복용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테리파라타이드의 새로운 투여전달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테리파라타이드의 피하주사 방식은 환자에게 통증을 유발하고 환자들이 올바른 주사방법을 습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PTH 혹은 테리파라타이드에 장관막 투과증진제인 데옥시콜산 유도체(데옥시콜산-라이신 결합체)를 혼합하여 복합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장관막 투과율을 증가시키고 상기 복합체를 장용성 물질로 코팅하여 미립자 형태의 제제로 제조함으로써 약물의 위장관 흡수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환자의 복용편의성을 증진시켜 골다공증을 치료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PTH(부갑상선 호르몬) 및 담즙산 유도체이 포함된 나노 복합체를 장용성 물질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PTH는 PTH(1-28), PTH(1-31), PTH(1-34), PTH(1-38) 또는 PTH(1-41) 중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며, 상기 PTH(1-34)는 인간 부갑상선 호르몬의 1번(N-말단)부터 34번째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폴리펩티드로서 유전자 재조합 방법 rhPTH(1-34) 혹은 화학적 합성 hPTH(1-34)에 의해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담즙산 유도체는 데옥시콜산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데옥신콜산 유도체 중에 데옥시콜산에 라이신이 화학적으로 결합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PTH와 상기 담즙산 유도체은 1:1 내지 1:10의 몰비율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 복합체는 입자크기가 10 내지 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장용성 물질"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유드라짓(Eudragit; 메타크릴산-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아세틸호박산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셸락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중합체 성분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쉘락, 유드라짓(Eudragit : 메타크릴산-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아세틸호박산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PTH와 데옥시콜산 유도체의 이온결합에 의한 나노복합체(PTH/데옥시콜산 유도체)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나노복합체를 물에 용해시킨 후 장용성 물질이 용해된 용액에 분산시켜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현탁액을 시린지 펌프로 이중축 초음파 분사 노즐의 내측 주입구로 이동시키는 단계; 4) 이중측 초음파 분사 노즐의 외측 주입구로 장용성 물질 용액을 이동시키는 단계; 5) 초음파 분사노즐의 진동분사에 의해 노즐 내측 약물 용액이 외측 장용성 물질 용액으로 둘러싸인 미세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6) 미세액적이 유동 파라핀에 분사 및 교반되어 미세액적의 껍질이 단단하게 굳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 단계에서 상기 PTH 및 상기 데옥시콜산 유도체는 1:1 내지 1:10의 몰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4)단계이후에 진공필터를 통해 회수하고 헥산으로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PTH에 장관막 투과증진 효과를 지닌 데옥시콜산 유도체를 혼합하여 장용성 물질로 코팅함으로써 장관막 투과울이 증진되어 위장관 흡수가 증진되는 효과가 있어, 기존에 피하 주사용 제제로 사용되는 문제점을 투여 경로를 경구 투여로 변경하여 환자의 복용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 또는 20% (v/v)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TFE; 2,2,2-trifluoroethanol) 수용액상에서 10 μM rhPTH(1-34), LysDOCA(데옥시콜산-라이신), 및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의 원이색성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hPTH(1-34) 입자 크기 분포와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의 입자 크기 분포와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C3T3-E1 세포를 rhPTH(1-34) 또는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와 함께 배양한 후의 세포내 cAMP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랫드(Rat)에서 rhPTH(1-34)의 피하주사 (0.02 mg/kg)와 rhPTH(1-34)의 공장(jejumam) 내 투여 (0.1mg/kg) 또는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 (rhPTH(1-34)로서 0.1mg/kg)의 공장 내 투여 후 rhPTH (1-34)의 정맥 혈장 내 농도-시간 프로파일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를 함유하는 장용성 미립자의 주사전자현미경(SEM) (A) 이미지와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LSM;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B)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H 1.2와 pH 6.8의 용출 시험액에서 장용성 미립자로부터 rhPTH(1-34) 또는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의 in vitro 누적 약물 방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주 동안 ① (OVX-PTH-SC): 10 μg/kg rhPTH(1-34) 1일 1회 피하주사, ② (OVX-PTH-ORAL): 50 μg/kg rhPTH(1-34) 1일 1회 경구투여, ③ (OVX-PTH/LysDOCA-ORAL): rhPTH(1-34)로서 50 μg/kg rhPTH(1-34)/LysDOCA 복합체 경구투여, ④ (OVX-PTH/LysDOCA-MP-ORAL): rhPTH(1-34)로서 50 μg/kg rhPTH(1-34)/LysDOCA 나노복합체를 함유하는 장용-미세입자 경구투여한 sham-operated(SHAM; 플라세보 수술)된 랫드이거나 난소절제(OVX)된 랫드의 정강이뼈에 대한 미세-컴퓨터 단층촬영(μ-CT; micro-computed tomography)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2주 동안 ① (OVX-PTH-SC): 10 μg/kg rhPTH(1-34) 1일 1회 피하주사, ② (OVX-PTH-ORAL): 50 μg/kg rhPTH(1-34) 1일 1회 경구투여, ③ (OVX-PTH/LysDOCA-ORAL): rhPTH(1-34)로서 50 μg/kg rhPTH(1-34)/LysDOCA 복합체 경구투여, ④ (OVX-PTH/LysDOCA-MP-ORAL): rhPTH(1-34)로서 50 μg/kg rhPTH(1-34)/LysDOCA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장용-미세입자 경구투여한 sham-operated(SHAM; 플라세보 수술)된 랫드이거나 난소절제(OVX)된 랫드의 골피질에 대한 미세-컴퓨터 단층촬영(μ-CT; micro-computed tomography)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2주 동안 약물을 투여한 SHAM, OVX, OVX-PTH-SC, OVX-PTH-ORAL, OVX-PTH/LysDOCA-ORAL 및 OVX-PTH/LysDOCA-MP-ORAL rats(각 그룹 당 n=10)의 원위 정강이뼈(distal tibia)에 대한 representative 2D, 3D 이미지를 타나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2주 동안 약물을 투여한 랫드(각 그룹 당 n=10)의 H&E 염색된 근위 정강이뼈(proximal tibia)에 대한 representative 종단 단면(longitudinal cross-sectional)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 제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갑상선 호르몬(PTH; parathyroid hormone)은 파라토르몬(parathormone)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체액에서 칼슘 농도가 저하되면 부갑상선(parathyroid glands)으로부터 분비되어 혈액 속의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고, 주로 뼈(bone), 신장(kidney) 및 장(intestine)에서 작용한다.
상기 테리파라타이드(PTH(1-34))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유전자 재조합 DNA 펩타이드 조각으로, 남성과 여성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된다.
상기 데옥시콜산 유도체는 데옥시콜산과 라이신의 결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데옥시콜산(deoxycholic acid)은 담즙산의 일종으로서 화학식은 C24H40O4, 분자량은 393 g/mol이며 3α,12α-디히드록시콜란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라이신(lysine)은 염기성 α-아미노산의 하나로 화학식은 H2N(CH2)4(NH2)COOH이며 분자량은 146.19 g/mol이다. 동물성 단백질에 많이 존재하고 식물성 단백질에는 그 함유량이 적으며, 필수아미노산으로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으며, 식품의 가공에도 이용된다.
상기 PTH/LysDOCA 나노복합체는 PTH 혹은 PTH 단편에 LysDOCA 유도체가 1 : 1 내지 1 : 10의 몰비율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조예 1: rhPTH(1-34)와 LysDOCA의 이온 결합에 의한 PTH / LysDOCA 나노복합체의 제조
1. LysDOCA(데옥시콜산-라이신)의 합성
얼음 수조 (Ice bath)에서 dry THF (Tetrahydrofuran) (300 mL)에 용해된 데옥시콜산 (DOCA) (24 g, 61.13 mmoL)에 N-메틸몰폴린 (N-methylmorpholine, 7.4 mL, 67.24 mmoL)을 넣은 뒤, 클로로포름산에틸 (ethyl chloroformate) 6.4 mL를 점적하여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을 30분간 교반 (stirring)한 뒤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상기 혼합용액에 H-Lys(Boc)-OMe·HCl (20 g, 67.24 mmoL)를 넣은 뒤 5시간 동안 환류시켰으며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켰다. 최종 15%가 되도록 NaOH (20 mL)를 넣은 뒤 클로로포름 (chloroform)으로 추출하였다. Na2SO4를 사용해 증발건조한 뒤 Lys(Boc)DOCA를 얻었다. 상기 Lys(Boc)DOCA를 염화아세틸 (acetyl chloride, 23.4 mL, 329 mmoL)과 메탄올 (methanol, 100 mL)의 혼합액에서 질소 하에 반나절 동안 교반시켰다. 상기 혼합물을 증발건고 후 증류수에 용해된 잔여물은 클로로포름으로 씻어냈다. 최종 LysDOCA는 동결건조하여 하얀색 가루의 형태로 만들어졌다.
2. PTH/LysDOCA 나노복합체의 합성
상기 PTH/LysDOCA 나노복합체는 상기 rhPTH(1-34)와 상기 LysDOCA의 화학적 결합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rhPTH(1-34) 및 LysDOCA는 각각 따로 1 mg/mL의 농도로 증류수에 용해되었고 상기 제조된 LysDOCA 용액을 상기 제조된 rhPTH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혼합하였다. 상기 두 물질의 결합 몰비율은 rhPTH(1-34) : LysDOCA = 1 : 10이며, PTH/LysDOCA 나노복합체를 얻기 위해 용액을 최종 원심분리한 뒤 곧바로 침전물을 동결건조하였다.
제조예 2: 이중축 초음파 미립화 (coaxial ultrasonic atomization)를 통한 PTH/LysDOCA의 장용성 미립자 제조
상기 rhPTH 또는 PTH/LysDOCA 나노복합체를 함유하는 장용성 미립자는 이중축 초음파 미립화 장치(coaxial ultrasonic atomizer, Sono-Tek Corp., US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rhPTH 또는 PTH/LysDOCA 나노복합체를 물에 용해시킨 뒤 (0.05 g/5 mL), 이를 에탄올(ethanol) : 아세톤(acetone) = 30 : 60 (w/w)을 용매로 하는 95 g Eudragit L100-55 용액 (4 mg/mL)에 분산시켰다. 상기 결과로 생긴 현탁액은 실린지 펌프(syringe pump)를 거쳐 0.5 mL/min의 속도로 내측 주입구(inner inlet; top feed channel)로 운반시켰고, 에탄올(ethanol) : 아세톤(acetone) = 32 : 64 (w/w)을 용매로 하는 4 mg/mL 유드라짓(Eudragit L100-55) 용액은 실린지 펌프를 거쳐 1.5 mL/min의 관류속도로 외측 주입구(outer inlet; side feed channel)로 운반시켰다. 또한 공초점 현미경을 통한 형광 이미지를 얻기 위해, 0.05% (w/w) FITC-dextran(Fluorescein isothiocyanate-dextran)과 RITC(rhodamine B isothiocyanate)를 각각 내측(inner) 현탁액과 외측 장용성 고분자 코팅(outer enteric polymer coating) 용액에 첨가하였다. 120 kHz 초음파진동 분사(atomizer vibration)에 의해 형성된 미세 액적 (microdroplet)은 350 rpm으로 교반시키면서 1% Span 80을 함유하는 유동 파라핀에 수집했다. 그 결과로 생긴 상기 용액은 장용성 미립자를 굳히기 위해 800 rpm으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제조된 장용성 미립자는 진공 필터(vacuum filtration)를 통해 회수하고 헥산(n-hexane)으로 4회 세척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1: rhPTH(1-34)와 LysDOCA의 화학적 결합에 의한 PTH / LysDOCA 나노복합체의 물리화학적 성질 평가
1. 원이색성스펙트럼 측정
상기 PTH/LysDOCA의 2차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20℃에서 수용액(또는 20% v/v TFE)상의 10 μM PTH와 PTH/LysDOCA에 대한 원이색성 분광학을 측정했다. 측정값은 10-mm 큐벳과 JASCO 분광편광계 (spectropolarimeter) (Easton, MD, USA)를 사용해 180 nm ~ 260nm 범위에서 얻었다. 모든 스펙트럼은 배경-보정(background-corrected)이 이루어졌고, mean residue ellipticity를 통해 계산되었으며, 이것들은 10번의 스캔 값의 평균을 대표한다. 상기 PTH/LysDOCA의 2차 구조는 물 또는 20% trifluoroethanol (TFE) 수용액에서 원이색성 분광학(Circular dichroism spectroscopy; CD spectroscopy)을 통해 측정하였다.
도 1은 물 또는 20% (v/v)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TFE; 2,2,2-trifluoroethanol) 수용액상에서의 10 μM rhPTH(1-34), LysDOCA,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의 원이색성 분광 스펙트럼이다. 도 1을 확인하면 208 nm와 222 nm에서 TFE 수용액상 및 물에서의 CD spectra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PTH/LysDOCA의 LysDOCA가 PTH의 2차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PTH의 2차 구조에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안정한 α-나선 분절은 수용체 결합과 PTH의 작용에 중요하기 때문에 PTH/LysDOCA의 2차 구조의 유지는 PTH의 생물학적 활성에 있어 중요하다.
2. 동적광산란법(DLS; dynamic light scattering) 및 투과전자현미경(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측정
상기 PTH/LysDOCA 나노복합체의 입자 크기, 크기 분포, 표면 전하는 동적광산란법 분석기(DLS analyzer, Nano ZS, Malvern Instruments, U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음성 염색(negative staining)된 PTH/LysDOCA 나노복합체의 형태적 평가는 투과전자현미경 (JEM-200, JEOL, Japan)을 통해 수행하였다.
도 2는 rhPTH(1-34) 및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의 입자 크기 분포와 투과전자현미경(TEM) 이미지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PTH/LysDOCA 나노복합체 입자의 직경은 33.3 nm이며 제타 전위(zeta potential)는 2.85이다. 상기 rhPTH 및 LysDOCA의 몰분율이 1 : 10(rhPTH : LysDOCA)일 때, 상기 rhPTH의 표면 음전하는 양전하의 LysDOCA(6.27)에 의해 중화되었고 제타 전위는 14.0으로 측정되었다. 이것은 rhPTH 사슬에 존재하는 최소한 다섯 개의 음전하를 띈 아미노산이 LysDOCA와 정전기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다는 사실과 일치했다. 음성 염색(negative staining)된 상기 PTH/LysDOCA 나노복합체의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는 rhPTH 자체가 다양한 크기의 응집을 형성하는 것과 달리 규칙적으로 잘 형성된 구형의 나노입자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PTH / LysDOCA 나노복합체의 in vitro 생리학적 활성 평가
MC3T3-E1 (전조골세포; Preosteoblast cell, subclone 4, ATCC)는 10% FBS α-MEM을 배지로 하여 5% CO2, 37℃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는 96-well plate에 1x104 cells/well 만큼씩 첨가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생장배지를 제거한 뒤 200 μL PBS (0.5 mM 아이소부틸메틸잔틴; IBMX; isobutylmethylxanthine)로 씻은 후, 0.01 μM, 0.1 μM, 1.0 μM, 10 μM, 100 μM 농도로 PBS (0.5 mM IBMX)에 녹인 rhPTH와 PTH/LysDOCA를 100 μL/well씩 처리하였다.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뒤 100 μL 0.1 M HCl/well을 처리하고 10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이어서 상온에서 600 g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고 각각의 상층액에 존재하는 cAMP의 양은 cAMP competitive ELISA kit (Thermo Scientific, USA)를 사용해 정량하였다.
도 3은 MC3T3-E1 세포를 상기 rhPTH(1-34) 또는 상기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와 함께 배양한 후의 세포내 cAMP 함량이다.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각 그룹 당 n=5)를 의미한다.
in vitro 생물학적 활성 평가는 MC3T3-E1 세포의 용해물(lysate)에 존재하는 cAMP 레벨을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졌다. PTH 수용체 발현 세포에서 상기 rhPTH와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의 cAMP 생산 유도 능력을 평가하였다. 도 3을 확인하면, 0.01 μM 내지 0.1 μM 농도범위 내에서, 상기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에 반응해 나타나는 PTH 수용체 매개 cAMP 생산은 상기 rhPTH에 의한 것과 비슷했다. 이는 도 1에서 나타난 온전한 형태의 2차 구조와 같은 맥락의 결과였다. 1.0 μM PTH/LysDOCA는 분화된 조골세포 내에서의 cAMP 촉진작용을 0.01 μM PTH/LysDOCA에 비해 5.7배 더 높게 유도하였다. 반면, 10 μM 또는 100 μM 농도의 rhPTH, PTH/LysDOCA를 처리하였을 때의 cAMP 수준은 1.0 μM에서보다 감소하였다.
실시예 3: 장관 세포막 투과도 평가
Caco-2 세포막에 대한 상기 rhPTH 또는 상기 PTH/LysDOCA의 투과도는 다음과 같이 평가되었다. Caco-2 세포를 Transwell filter insert (pore size 0.4 μm, surface area 1.12 cm2, Corning Coastar, USA)에 3×105 cells/mL의 농도로 처리한 후 배지(apical 0.5 mL, basolateral 1.5 mL)는 매 48시간 마다 교환하였으며 TEER 값이 >350 Ω·cm2인 세포 단층막(cell monolayer)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12-well transwell에서 21일 내지 29일 동안 세포를 배양한 뒤 filter를 사용해 배지를 제거하였고 세포단층막을 0.5 mL HBSS에서 37℃ 20분간 배양하였다. TEER를 다시 측정한 뒤 filter를 사용해 HBSS를 제거하였다. 이후 HBSS에 200 μM 농도로 용해한 rhPTH 또는 PTH/LysDOCA를 0.5 mL씩 filter에 처리하고 즉시 정측 구획(apical compartment)에서 C0 샘플을 취하였다. 37℃에서 배양하는 동안 0.5, 1, 2, 3, 4, 5시간째마다 기저측 구획(basolateral compartment)에서 200 μL씩 샘플을 취하였다. 샘플들은 membrane filter (0.45 μm, PVDF)를 사용해 여과하였고 분석을 위해 4℃에 보관하였다. 단층막을 통해 투과한 상기 rhPTH 또는 PTH/LysDOCA의 농도는 HPLC로 분석하였다. 샘플은 50 μL씩 분주하여 Kromasil C18 column (250×4.6 mm, 5 μm)이 장착된 HPLC에 주입하였다. 샘플들은 이동상(0.1% w/v trifluoroacetic acid(TFA) with 51%~76% linear gradient acetonitrile containing 0.1% w/v TFA)을 사용하여 1.0 mL/min의 유속으로 25분간 분리되었다. rhPTH와 PTH/LysDOCA의 피크(peak)는 배경 보정(제거)을 하여 220 nm에서 측정하였고, 세포막 투과도(P app )는 다음의 방정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112016084558573-pat00001
(
Figure 112016084558573-pat00002
: 기저측 부분(basolateral side)의 linear appearance rate of mass (μmoL/h)
Figure 112016084558573-pat00003
: 정측 부분(apical side)의 rhPTH, PTH/LysDOCA 초기농도(μM)
Figure 112016084558573-pat00004
: 단층막의 표면 면적 (cm2))
Test material Apparent permeability (P app , cm/s)a
rhPTH (1-34) 3.62 ± 0.45 (× 10-7)c,e
PTH/LysDOCA (1:1) complex 2.93 ± 1.09 (× 10-7)c,e
PTH/LysDOCA (1:3) complex 4.12 ± 0.76 (× 10-7)b,e
PTH/LysDOCA (1:5) complex 7.35 ± 1.12 (× 10- 7)d
PTH/LysDOCA (1:10) complex 10.4 ± 2.41 (× 10-7)
a; rhPTH(1-34)와 PTH/LysDOCA 나노복합체의 Caco-2 세포 단층막에 대한 Papp(apparent permeability coefficient).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n=6)를 의미한다.
b; p < 0.01 PTH/LysDOCA (1:5) 복합체와 비교
c; p < 0.001 PTH/LysDOCA (1:5) 복합체와 비교
d; p < 0.01 PTH/LysDOCA (1:10) 복합체와 비교
e; p < 0.001 PTH/LysDOCA (1:10) 복합체와 비교
통계: one-way ANOVA 후, Tukey’multiple-comparison test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rhPTH와 상기 PTH/LysDOCA의 Caco-2 세포 단층막에 대한 in vitro 투과도를 시험한 결과, 상기 rhPTH : LysDOCA의 몰분율이 1 : 1 내지 1 : 10까지 증가함에 따라, Papp는 2.93±1.09에서 10.4±2.41 (×10-7, cm/s)으로 증가했다. 상기 LysDOCA와 상기 rhPTH의 몰분율이 5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상기 rhPTH의 투과도가 단독 rhPTH(free rhPTH)의 투과도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몰분율이 1 : 10인 PTH/LysDOCA에서의 장측-기저측(apical-to-basal) 방향으로의 Papp는 PTH 단독일 때에 비해 2.87배 증가하였다 [10.4±2.41 vs 3.62±0.45(×10-7, cm/s)]. 따라서 이후 랫드에서의 in vivo 장관흡수와 항-골다공증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PTH/LysDOCA (1:10)를 가지고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4: 랫드에서 경구 투여 후 혈중 약물동력학적 실험
동물실험은 서울대학교 IACUC에서 승인하였으며 NIH guidelines for the Care and Use of Laboratory Animals와 IACUC guidelines에 따라 수행되었다. Sprague-Dawley 랫드 (암컷, 200~250 g)는 Orient Co., Ltd.(Korea)에서 구입하였다. 랫드는 케타민(ketamine, 45 mg/kg)과 자일라진(xylazine, 5 mg/kg)의 복강내주사로 마취시켰다. 마취된 랫드는 소장을 꺼내기 위해 복부를 절개하였고, 400 μL의 rhPTH (0.1 mg/kg) 또는 PTH/LysDOCA (rhPTH로서 0.1 mg/kg) 용액을 근위 공장(proximal jejunum)에 투여하였다.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평가하기 위해 증류수에 녹인 150 μL의 rhPTH (0.02 mg/kg)를 별도로 피하주사 하였다. 약물 투여 후, 예정된 시간마다 혈액샘플 (200 μL)을 취하였고, 즉시 50 μL 시트르산나트륨(sodium citrate, 3.8%)용액과 혼합하였다. 이 샘플들은 2,500 x g, 4℃ 조건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고 분리된 혈장샘플은 분석을 위해 70℃에 보관하였다. 혈장 중 rhPTH의 농도는 human PTH(1-34) ELISA kit (ALPCO Diagnostics, USA)를 사용해 620 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약동학적 파라미터들은 WinNonlin® Software(ver. 5.3; Pharsight Corporation, USA)을 사용하여 non-compartment method를 통해 추정하였다.
도 4는 랫드에서 상기 rhPTH(1-34)의 피하주사 (0.02 mg/kg)와 rhPTH(1-34)의 공장 내 투여 (0.1 mg/kg) 또는 상기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 (rhPTH(1-34)로서 0.1 mg/kg)의 공장 내 투여 후 rhPTH(1-34)의 정맥 혈장 내 농도-시간 프로파일이다.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각 그룹 당 n=4)를 의미한다. 도 4를 확인하면, 0.1 mg/kg rhPTH 공장 내 (intrajejunal) 투여 후 Cmax는 39.16±19.80 pg/mL였고 AUClast는 1,853.2±1,491.8 pg·min/mL이었으며 피하주사와 비교한 상대 생체이용률은 1.06%±0.85%였다. 반면,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 (rhPTH로서 0.1 mg/kg)를 공장 내 투여한 경우 PTH 단독으로 공장 내 투여한 경우와 비교했을 때 Cmax는 11.16배 (437.1±107.2 pg/mL), AUClast는 16.26배 (30,133,243pg·min/mL), 피하주사와 비교한 상대 생체이용률은 16.20배 (17.2%±6.41%) 증가하였다. 따라서 랫드에서 rhPTH의 장관 투과도와 흡수는 LysDOCA와의 복합체 형성을 통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게다가 Tmax는 PTH 피하주사에서 15.0, PTH 공장 내 투여에서 30.0±0.0, PTH/LysDOCA의 공장 내 투여에서 35.0분이었으며 PTH/LysDOCA 공장 내 투여 후의 혈장농도는 120분에 이르기까지 정량을 위한 하한점(lower limit)보다 높게 나타났다.
Test material rhPTH (1-34) rhPTH (1-34) PTH/LysDOCA (1:10) nanocomplex
Administration Subcutaneous Intrajejunal Intrajejunal
Dose of rhPTH (1-34) (mg/kg) 0.02 0.1 0.1
Tmax a(min) 15 ± 0.00 30 ± 0.00 35 ± 8.7
Cmax b(pg/mL) 710.8 ± 97.75 39.16 ± 19.80 437.1 ± 107.2
AUClast c(pgmin/mL) 35,108 ± 9,077.7 1,853.2 ± 1,491.8 30,133 ± 11,243
AUCinf d(pgmin/mL) 36,161 ± 9,843.9 2,688.9 ± 1,299.6 30,790 ± 11,219
Bioavailabilitye(%) 100 1.06 ± 0.85 17.2 ± 6.41
a; Tmax, Cmax에 도달한 시간,
b; Cmax, 최대혈장농도,
c; AUClast, 0에서 마지막 혈장농도 측정시간까지의 혈장농도-시간 곡선 아래 면적,
d; AUCinf, 0에서 무한대까지의 혈장농도-시간 곡선 아래 면적,
e; 생체이용률, (AUClast, intrajejunal/DoserhPTH (1-34), intrajejunal)/(AUClast , subcutaneous/DoserhPTH (1-34), subcutaneous) ×100.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n=4)
실시예 5: PTH / LysDOCA의 장용성 미립자 특성평가
1. PTH/LysDOCA의 장용성 미립자 입자 크기, 표면 형태 및 분포 분석
상기 제조된 PTH/LysDOCA의 장용성 미립자의 크기를 레이저 회절 입자 크기 분석기(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 Mastersizer X, Malvern Instruments Ltd., UK)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제조된 PTH/LysDOCA의 장용성 미립자의 표면 형태 및 분포를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SM-5300, JEOL, Japan) 및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argon/HeNe laser and a Zeiss Axio Observer inverted microscope; JSM 710 NLO and LSM 780 NLO, Carl Zeiss Microscopy GmbH, Germany)을 사용해 측정하였다. FITC-dextran과 RITC의 공초점 형광 이미지는 20×대물렌즈와 각각 488 nm, 568 nm의 여기(excitation) 파장을 사용해 측정하였다.
도 5는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를 함유하는 장용성 미립자의 주사전자현미경(SEM)과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CLSM;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이미지이다. Eudragit L100-55 고분자 물질은 로다민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RITC; rhodamine isothiocyanate, 빨간색)와 혼합되었으며,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를 함유하는 중심(core)은 플로오레세인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표지 덱스트란(FITC; fluorescein isothiocyanate-labeled dextran, 녹색)과 혼합되었다.
상기 rhPTH의 경구 투여용 제형을 위해 이중축 초음파 미립화를 이용해 상기 PTH/LysDOCA 나노복합체를 함유하는 장용성 미립자를 제조하였다. 장용성 미립자를 코어-쉘 구조를 디자인하기 위해 먼저 외측 유속(outer flow rate) (장용성 고분자 물질 용액)을 고정한 상태로 내측 유속(inner flow rate) (약물 용액)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보았다. 내측 유속이 0.5 mL/min보다 작았을 때 더 균질한 미세입자가 얻어졌다. 내측 유속이 0.6 mL/min을 초과할 때에는 장용성 미립자의 코어-쉘 구조를 형성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교반 속도가 800 rpm 이상일 때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보다 균일한 형태의 미립자가 형성되었다. 도 5를 살펴보면, 최적의 조건 하에서 상기 PTH/LysDOCA의 장용성 미립자는 약 80%의 효율로 캡슐화 되었고 입자의 평균 지름은 60.2 μm로 나타났다. 공초점 이미지 역시 대부분의 PTH/LysDOCA가 립자의 중심(core)에 자리 잡고 있으며 장용성 고분자 물질의 쉘에 의해 균질하게 캡슐화 되었다는 것을 시사했다.
2. PTH/LysDOCA의 장용성 미립자로부터 약물의 용출시험
상기 제조된 PTH/LysDOCA의 장용성 미립자로부터 약물의 용출시험은 0.1 N HCl (pH 1.2) 또는 phosphate buffer (pH 6.8)를 함유하는 500 mL의 배지를 가지고 37℃±0.2℃에서 수행하였고, 100 rpm의 USP type 1 (basket) 장치로 시험하였다. 상기 rhPTH 또는 PTH/LysDOCA를 함유하는 장용성 미립자는 경질 젤라틴 캡슐(hard gelatin capsule)로 캡슐화 하였다. 각각의 캡슐은 rhPTH로서 50 mg을 함유하도록 하였다. 용출 시험 시작 후 15, 30, 45, 60, 90, 120분째에 3 mL의 샘플을 취하였다. 필터과정을 거친 후, 용출시험액에 방출된 상기 rhPTH 또는 PTH/LysDOCA의 양은 HPLC-UV detector를 사용해 상기한 기술한 대로 측정하였다.
도 6은 pH 1.2와 pH 6.8의 용출 시험액에서 상기 장용성 미립자로부터 rhPTH(1-34) 또는 PTH/LysDOCA (1:10) 나노복합체의 in vitro 누적 약물 방출률을 나타낸다. 각 값은 평균±표준편차(각 그룹 당 n=6)을 의미한다.
도 6을 살펴보면, pH 1.2의 용출시험액에서는 장용성 미립자는 120분 동안 붕해되거나 약물이 방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pH 6.8의 용출 시험액에서는 120분 동안 90% 이상의 rhPTH 또는 PTH/LysDOCA가 장용성 미립자로부터 완전히 방출되었다.
실시예 6: 난소 적출에 의한 골다공증 유발 랫드 모델( OVX (ovariectomized) rat model)에서 경구 투여 후 미세-컴퓨터단층촬영(μ-CT scanning)과 정강이뼈(tibiae)의 조직학적 관찰
경구 투여된 상기 rhPTH와 PTH/LysDOCA의 골다공증 치료 효과는 60마리의 Sprague-Dawley 랫드 (암컷, 생후 8주 개체)에서 평가되었다. 골다공증 유발을 위해 50마리의 랫드의 양측 난소를 절제하였으며 난소적출 없는 플라세보 수술(SHAM)이 10마리의 랫드에서 수행되었다. 2주 후, 난소 절제한 랫드들은 무작위로 하기의 5개 그룹(각 8마리씩)으로 나누었다.
① OVX (약물투여 안함)
② OVX-PTH-SC (1일 1회, 10 μg/kg rhPTH 피하주사)
③ OVX-PTH-ORAL (1일 1회, 200 μL 3% Mg(OH)2 제산제 투여 후, 50 μg/kg rhPTH 경구투여)
④ OVX-PTH/LysDOCA-ORAL (1일 1회, 200 μL 3% Mg(OH)2 제산제 투여 후, rhPTH로서 50 μg/kg rhPTH/LysDOCA 경구투여)
⑤ OVX-PTH/LysDOCA-MP-ORAL (1일 1회, rhPTH로서 50 μg/kg PTH/LysDOCA 함유 장용성 미립자 경구투여)
약물 투여기간 동안 약물의 용량은 매일 체중에 맞게 조절하였다. 투여가 시작된 지 12주 후 랫드에서 좌·우 정강이뼈(tibiae)를 분리하였고 neutral buffered 4% 포르말린(formalin)으로 고정하였다.
정강이뼈는 그것의 미세구조를 평가하고 구조적 파라미터들과 골밀도(BMD)를 측정하기 위해 In-vivo μ-CT (Skyscan 1076, Bruker Corp., Germany)를 사용해 스캔하였다. X-ray source 세팅은 100kV, 100 μA에 1.0-mm-thick 알루미늄 필터를 통한 beam filtration이었다. 0°에서 360°까지 매 0.5°의 회전단계마다 35mm width ×17mm height 크기의 2D 영상(projection)이 기록되었다. 3D 미세구조의 이미지는 modified Feldkamp back-projec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재구성되었다. 재구성 후 3D 이미지는 무기질 상(mineral phase)을 추출하기 위해 low-pass 필터 (Gaussian filter)되었고 0.0에서 0.04 cross-section의 고정된 범위에서 global thresholding되었다. 해면골(trabecular bone)은 CT-Analyzer 1.13 (Bruker Corp., Germany)를 사용해 semiautomatic contouring함으로써 전체 이미지에서 추출하였다. 정강이뼈의 자세한 분석과 정량을 위해 정강이뼈의 원위부 골간단(distal metaphysis)을 VOI(volume of interest)로 정하였다. VOI는 정강이뼈에 있는 근위부 성장판(proximal growth plate)으로부터 0.54 mm 아래로 1.8 mm이다. 하기의 구조적 파라미터들이 계산되었다.
① BMD
② BV/TV (bone volume fraction)
③ BS/BV (bone surface/volume ratio)
④ Tb.Th (trabecular thickness)
⑤ Tb.Sp (trabecular separation)
⑥ Tb.N (trabecular number)
⑦ Tb.Pf (trabecular pattern factor)
⑧ SMI (structural model index)
정강이뼈의 골간(diaphysis)에 있는 골피질 또한 평가하였다. 골피질의 분석을 위한 VOI는 정강이뼈에 있는 해면골의 VOI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0.54 mm 아래로 0.9 mm이다. 골피질에 대해서도 하기와 같은 구조적 파라미터들이 계산되었다:
① Ct.BMD (cortical bone mineral density)
② Ct.BV (cortical bone volume)
③ Ct.Th (cortical thickness)
④ MMI(polar) (mean polar moment of inertia)
조직학적 관찰을 위해, 포르말린으로 고정된 정강이뼈는 10% EDTA에서 탈칼슘화시켰고 단계적 에탄올(graded ethanol) 처리를 통해 탈수시켰다. 그 후 파라핀 왁스 블록(paraffin wax block)에 담아 5 μm 두께로 절단하였으며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eosin) (H&E)으로 염색하였다. 조직학적 절편들은 광학현미경 (Bx41, Olympus, Japan)으로 관찰하였고 성장판의 중앙부분에 초점을 맞춰 사진 촬영하였다.
폐경 후 골다공증 랫드 모델에서의 in vivo 치료적 효능을 평가하였다. 해면골 미세구조의 특성을 탐구하고 형태학적 파라미터들을 계산하기 위해서 in vivo μ-CT 측정을 수행했다. 도 7을 살펴보면, SHAM(플라세보 수술) 그룹과 비교해서, OVX 대조군은 유의한 수준으로
① BMD (0.1046±0.0391 vs 0.4885±0.0414 g/cm3)
② BV/TV (4.3508%±0.9652% vs 31.0642%±2.6533%)
③ Tb.Th (0.0721±0.0047 vs 0.0814±0.0061 mm)
④ Tb.N (0.5545±0.1530 vs 3.7966±0.3036 mm-1) 감소와
유의한 수준의
① BS/BV (52.3512±4.3507 vs 40.9926±4.0598 mm-1),
② Tb.Sp (0.9234±0.1556 vs 0.1798±0.010 mm),
③ Tb.Pf (17.2727±1.1483 vs 2.5354±2.7166 mm-1),
④ SMI (2.3973±0.0899 vs 1.1430±0.2227)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OVX 랫드에서의 BMD, BV/TV, Tb.Th, Tb.N 감소는 OVX-PTH-SC 그룹과 OVX-PTH/LysDOCA-MP-ORAL 그룹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억제되었다. 도 7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12주째에 OVX-PTH/LysDOCA-MP-ORAL 그룹 (rhPTH로서 50 μg/kg 투여)은 OVX 대조군보다 높은 BMD (0.1666±0.0293 vs 0.1046±0.0391 g/cm3) (159%)를 보였다. 반면, OVX-PTH-ORAL 그룹에선 OVX rat에서 관찰된 BMD의 감소가 유의한 수준으로 억제되지 않았다.
OVX-PTH/LysDOCA-MP-ORAL 그룹은 OVX-PTH-SC 그룹과 유사하게 해면골 미세구조 파라미터에서도 유의한 수준의 개선을 보였다: OVX 대조군에 비해 BV/TV에서 175% (7.6194%±1.4202%), Tb.N에서 174% (0.9673±0.1968 mm-1). 반면, OVX-PTH-ORAL 그룹에선 OVX 랫드에서 관찰된 BV/TV, Tb.N의 감소가 유의한 수준으로 억제되지 않았다. 게다가 OVX 랫드에서의 Tb.Sp, Tb.Pf, SMI 증가가 OVX-PTH-SC 그룹과 OVX-PTH/LysDOCA-MP-ORAL 그룹에선 유의한 수준으로 억제되었지만, OVX-PTH-ORAL 그룹에선 그렇지 않았다.
정강이뼈의 중간축 부분(midshaft region)에 있는 골피질 평가에는 μ-CT가 사용되었고, 도 8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약물투여 12주 후 OVX 대조군의 모든 파라미터들은 SHAM 그룹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97% 낮은 Ct.BMD, 88% 낮은 Ct.BV, 96% 낮은 Ct.Th, 77% 낮은 MMI(polar), 반대로, OVX-PTH/LysDOCA-MP-ORAL 그룹에선 OVX control 그룹에 비해 각각 103%, 114%, 107%, 131% 높은 Ct.BMD, Ct.BV, Ct.Th, MMI(polar)를 보였다. OVX-PTH-ORAL 그룹과 비교했을 땐 OVX-PTH/LysDOCA-MP-ORAL 그룹에서 각각 103%, 115%, 109%, 135% 높은 Ct.BMD, Ct.BV, Ct.Th, MMI(polar)를 보였다. OVX-PTH-SC 그룹 역시 OVX 대조군에 비해 102% 높은 Ct.BMD, 118% 높은 Ct.BV, 110% 높은 Ct.Th, 132% 높은 MMI(polar)를 보였으며 모든 파라미터들의 값이 OVX-PTH/LysDOCA-MP-ORAL 그룹에서와 비슷하였다.
대표적인 3D μ-CT 재구성과 근위부 정강이뼈(proximal tibia)를 가로지르는 종단 단면도(longitudinal cross-sections)는 도 9에 나타나있다. SHAM 그룹에서 관찰된 자연적인 뼈의 성장과 대조적으로, OVX 대조군에선 해면골 구조의 쇠퇴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OVX-PTH-SC 그룹과 OVX-PTH/LysDOCA-MP-ORAL 그룹에선 OVX 대조군이나 OVX-PTH-ORAL 그룹에서보다 치밀한 근위부 정강이뼈의 해면골 미세구조가 나타났으며 이는 rhPTH의 피하주사나 PTH/LysDOCA 함유 장용성 미립자의 경구투여에 기인한 보다 큰 동화작용이 있음을 시사한다.
도 10을 살펴보면, 동일한 경향이 H&E로 염색한 정강이뼈의 조직학적 절편(histological section)에서도 관찰되었다. SHAM 그룹은 붕괴된 형태의 해면골 연결성(connectivity)을 보인 OVX 대조군과 대조적으로, 치밀하고 균일한 형태의 해면골을 보였다. OVX-PTH-SC 그룹과 OVX-PTH/LysDOCA-MP-ORAL 그룹은 OVX 대조군과 OVX-PTH-ORAL 그룹에서보다 증가된 구조적 온전함과 보다 치밀한 해면골 미세구조를 보였다.

Claims (11)

  1. PTH(부갑상선 호르몬) 및 데옥시콜산 유도체로서 데옥시콜산과 라이신의 결합체가 포함된 나노복합체를 장용성 물질로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TH는 PTH(1-28), PTH(1-31), PTH(1-34), PTH(1-38) 및 PTH(1-41)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PTH(1-34)는 rhPHT(1-34) 또는 hPTH(1-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TH에 상기 데옥시콜산 유도체가 1:1 내지 1:10의 몰비율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용성 물질은 쉘락, 유드라짓(Eudragit : 메타크릴산-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아세틸호박산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입자크기가 10 nm 내지 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
  9. 1) PTH 및 데옥시콜산 유도체로서 데옥시콜산과 라이신의 결합체와의 화학적 결합에 의한 나노복합체(PTH/데옥시콜산 유도체)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나노복합체를 물에 용해시킨 후 장용성 물질이 용해된 용액에 분산시켜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현탁액을 시린지 펌프로 이중축 초음파 분사 노즐의 내측 주입구로 이동시키는 단계;
    4) 이중측 초음파 분사 노즐의 외측 주입구로 장용성 물질 용액을 이동시키는 단계;
    5) 초음파 분사노즐의 진동분사에 의해 노즐 내측 약물 용액이 외측 장용성 물질 용액으로 둘러싸인 미세액적을 형성하는 단계;
    6) 미세액적이 유동 파라핀(liquid paraffin)에 분사 및 교반되어 미세액적의 껍질이 단단하게 굳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1) 단계에서 상기 PTH 및 상기 데옥시콜산 유도체가 1:1 내지 1:10의 몰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용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 이후에 진공필터를 통해 회수하고 헥산으로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111009A 2016-08-30 2016-08-30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 제형 KR101796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09A KR101796604B1 (ko) 2016-08-30 2016-08-30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 제형
PCT/KR2017/008604 WO2018043942A1 (ko) 2016-08-30 2017-08-09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 제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009A KR101796604B1 (ko) 2016-08-30 2016-08-30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 제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604B1 true KR101796604B1 (ko) 2017-11-10

Family

ID=6038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009A KR101796604B1 (ko) 2016-08-30 2016-08-30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 제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6604B1 (ko)
WO (1) WO201804394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507A1 (ko) * 2019-03-29 2020-10-08 서울대학교병원 재조합 부갑상선 호르몬을 포함하는 회전근 개 봉합 후 치유용 조성물
KR102216578B1 (ko) * 2019-09-05 2021-02-17 주식회사 아이큐어비앤피 테리파라타이드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92883A (ko) 2020-01-17 2021-07-27 문창상 라이신-데옥시콜산 염의 제조 방법
KR20210109812A (ko) * 2020-02-28 2021-09-07 케이비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부갑상선 호르몬 약제의 경구전달용 나노 복합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1397156E (pt) * 2001-06-01 2007-05-31 Novartis Ag Método para a administração oral da hormona paratireóide ( pth ).
JP4959917B2 (ja) * 2001-08-17 2012-06-27 ノバルティス アーゲー 副甲状腺ホルモンフラグメント用経口送達剤としての5−cnac
CA2531136A1 (en) * 2003-07-04 2005-01-13 Nycomed Danmark Aps Parathyroid hormone (pth) 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oral use
US20050032698A1 (en) * 2003-07-14 2005-02-10 Nps Allelix Corp. Stabilized formulation of parathyroid hormone
WO2007044069A2 (en) * 2005-10-06 2007-04-19 Nastech Pharmaceutical Company Inc. Pth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eon, Ok-Cheol,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82 (2016): 1-10.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4507A1 (ko) * 2019-03-29 2020-10-08 서울대학교병원 재조합 부갑상선 호르몬을 포함하는 회전근 개 봉합 후 치유용 조성물
KR102216578B1 (ko) * 2019-09-05 2021-02-17 주식회사 아이큐어비앤피 테리파라타이드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45345A1 (ko) * 2019-09-05 2021-03-11 주식회사 아이큐어비앤피 테리파라타이드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599388A (zh) * 2019-09-05 2022-06-07 株式会社艾跨Bnp 一种包含特立帕肽的口服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22547120A (ja) * 2019-09-05 2022-11-10 アイキュア ビーエヌピ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テリパラチドを含む経口用薬学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7265303B2 (ja) 2019-09-05 2023-04-26 アイキュア ビーエヌピ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テリパラチドを含む経口用薬学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92883A (ko) 2020-01-17 2021-07-27 문창상 라이신-데옥시콜산 염의 제조 방법
KR20210109812A (ko) * 2020-02-28 2021-09-07 케이비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부갑상선 호르몬 약제의 경구전달용 나노 복합체
KR102383031B1 (ko) * 2020-02-28 2022-04-06 케이비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부갑상선 호르몬 약제의 경구전달용 나노 복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3942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604B1 (ko) 위장관 흡수증진제를 함유하는 부갑상선 호르몬의 경구 투여 제형
JP5841708B2 (ja) 表面被覆微粒子の医薬組成物
Fu et al. Aspartic acid-based modified PLGA–PEG nanoparticles for bone targeting: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EP3154520B1 (en) Matrix stabilized liposomes
Chen et al. Cp1-11 peptide/insulin complex loaded pH-responsive nanoparticles with enhanced oral bioactivity
KR20090054976A (ko) 변형 방출형의 활성 성분 및 양친매성 공중합체에 기초한 미립자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제제
Li et al. Chitosan-stablized bovine serum albumin nanoparticles having ability to control the release of NELL-1 protein
JP6305555B2 (ja) 血糖降下作用の有効成分を有する持続徐放性リポソームゲル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171166A1 (en) Gel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gel composition
CN108096225B (zh) 一种含降钙素脂质体的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AU2011345509B2 (en) Microparticles containing physiologically active peptid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JP2006199589A (ja) 生理活性タンパク質またはペプチドを含有するナノ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当該ナノ粒子からなる外用剤
JP2019528294A (ja) ペプチド、タンパク質及び核酸をカイロミクロン及び体細胞に積載するコレステリルエステル小胞
CN111773181B (zh) 一种载辛伐他汀骨靶向复合脂质纳米粒及其应用
Moore et al. Polymer-coated hydroxyapatite nanoparticles for the delivery of statins
JP2015057418A (ja) 放出制御ペプチド製剤
Xia et al. Ginsenoside Rg3 endows liposomes with prolonged blood circulation and reduced accelerated blood clearance
Hwang et al. Preparation and in vivo evaluation of an orally available enteric-microencapsulated parathyroid hormone (1-34)-deoxycholic acid nanocomplex
AU2020249806A1 (en) A delivery system comprising silicon-containing material
CA3068347A1 (en) Albumin nanoparticl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and ocular diseases
Hu et al. Current advances in sustained-release injectable preparations
RU2797114C2 (ru) Наночастица 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ечения глаз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или рака
CN116763940A (zh) 一种亚麻籽环肽骨靶向纳米递送体系的制备方法及应用
CN109419771A (zh) 十一酸睾酮缓释药物组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KR20240013402A (ko) 테리파라타이드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