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927B1 - 진동 흡수 댐퍼 - Google Patents

진동 흡수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927B1
KR101795927B1 KR1020160049775A KR20160049775A KR101795927B1 KR 101795927 B1 KR101795927 B1 KR 101795927B1 KR 1020160049775 A KR1020160049775 A KR 1020160049775A KR 20160049775 A KR20160049775 A KR 20160049775A KR 101795927 B1 KR101795927 B1 KR 10179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ner space
insert
elastic member
low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404A (ko
Inventor
조양근
Original Assignee
조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양근 filed Critical 조양근
Priority to KR102016004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9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4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 F16F1/44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loaded mainly in compression
    • F16F1/445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loaded mainly in compression the spring material being contained in a generally closed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4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 F16F1/4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loaded mainly in t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되고 제1내부공간이 형성된 하부하우징; 하부가 개구되고 제2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하우징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제1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의 바닥과 점접촉하는 삽입체; 및 상기 제2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삽입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압 또는 전기 등의 수단이 필요없이 진동의 제거가 가능하고, 짧은 시간 내에 설치가 가능하며, 다양하고 넓은 하중범위에 적용이 용이하고, 사용 현장에서 발생하는 편하중, 수평조절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흡수 댐퍼{DAMPER}
본 발명은 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현미경 등 정밀한 측정이 요구되는 장비에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진동 흡수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은 인명 피해를 입히는 대형 지진에서, 원자현미경에 영향을 끼치는 나노급 진동까지 일상생활에 광범위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미세한 진동이라 할지라도 정밀측정 또는 관측 등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이에 따라 정밀측정 또는 관측 등을 통해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진동을 제거(흡수 또는 상쇄 포함)시키는 제진장치들이 다양하게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진장비들 상당수는 공기압을 이용하거나, 또는 전자기기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진동을 제거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며 대부분 고가이다.
탄성부재 기구를 이용하여 단순 제진을 하는 제품도 생산 및 판매되지만, 탄성부재의 좌굴현상이 일어나거나 진동의 전달 방향이 일정하지 않아 효과적인 제진이 되지않을 뿐만 아니라, 광학현미경, 전자저울, 제진테이블 등에 사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프레임구조물이나 기계구성품 등이 요구되므로, 설치 및 이설이 용이하지 않다.
특허문헌 1에는, 하판을 고정대에 대해 3개 이상의 링크에 의해 매달고, 이들의 링크를 진자(振子)로서 작용시킴에 의해, 수평 방향의 고유 진동수를 저하시켜서, 수평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도록 한 제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점탄성체의 정부(頂部)를 압하(押下)하여 그 압축량을 변화시킴에 의해, 코일 탄성부재의 고유 진동수를 저하시킨 채로, 상기 점탄성체와의 조합에 의해 설정되는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는 제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한 제진 장치에서는, 링크를 이용함에 의해 수평 방향의 진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다.
또한, 특허문헌 2에 의한 제진 장치에서는, 제진 장치의 설치 현장에서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 현장에서의 설치 작업이 복잡하다.
JPP2000-161433 A JPP3543758 B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짧은 시간 내에 설치가 가능하며, 다양하고 넓은 하중범위에 적용이 용이하고, 사용 현장에서 발생하는 편하중, 수평조절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진동 흡수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밀한 측정 및 관측 등을 실시할 때, 공기압 또는 전기 등의 수단이 필요없이 진동의 제거가 가능하고, 가격이 저렴한 진동 흡수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압이나 전기를 이용하지 않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사용가능하며, 평탄하지 않은 곳에서도 수평유지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본 발명을 통해 정밀한 측정 및 관측이 가능한 진동 흡수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의 좌굴현상을 방지하는 진동 흡수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삽입체와 하부하우징을 점접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바닥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의 전달을 최소화하는 진동 흡수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를 상부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시키고, 삽입체와 하부하우징을 점접촉시킴으로써, 상부하우징의 회전시 탄성부재와 삽입체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상부하우징의 회전을 원할하게 하는 진동 흡수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는, 상부가 개구되고 제1내부공간이 형성된 하부하우징; 하부가 개구되고 제2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하우징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제1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의 바닥과 점접촉하는 삽입체; 및 상기 제2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삽입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제1내부공간의 바닥면이 하방으로 테이퍼지며 어느 한 점에서 수렴되는 제1꼭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체는 하측이 하방으로 상기 제1꼭지부의 꼭지각보다 좁게 테이퍼지며 어느 한 점으로 수렴되어 상기 제1꼭지부와 접하는 제2꼭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면에 윤활제가 수용되는 오목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웨이브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직경이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제2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삽입체와 결합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홀더; 및 상기 제2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제2내부공간의 천장(天障)에 접한 상태로 하측이 탄성부재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홀더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홀더는 상기 돌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돌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오목한 높이조절홈;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상기 높이조절홈에 삽입됨으로써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상기 상부하우징이 가압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높이조절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홀더는 하측에 상기 높이조절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이 상기 높이조절구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높이조절구의 삽입을 유도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랜지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편의 내측이 상기 하부플랜지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방지편의 내측 곡률은 상기 하부플랜지의 외측 곡률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편은 상기 상부플랜지의 하면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는 외면에 미끄럼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압이나 전기 등의 수단을 이용하지 않은 채 진동의 제거가 가능하고, 짧은 시간 내에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다양하고 넓은 하중범위에 적용이 용이하고, 실내 또는 실외의 사용 현장에서 발생하는 편하중, 수평조절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압이나 전기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단순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체와 하부하우징의 점접촉을 통해 가압상태에서도 상부하우징의 회전으로 수평조절이 용이하고, 바닥으로부터의 진동의 전달이 최소화되므로 정밀한 측정 및 관측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좌굴현상이 방지되고, 점접촉을 통해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내구성의 향상 및 진동 흡수가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나 전기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를 통해, 우수한 내화학성과 내온도성, 내기후성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의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 제2 ,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에서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의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는 하부하우징(100)과 상부하우징(200), 삽입체(300) 및 탄성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100)은 상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이다. 다시 말하면, 하부하우징(100)은 상부가 개구되고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한 홈, 즉 제1내부공간(110)이 형성된다.
하부하우징(100)은 제1꼭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꼭지부(120)는 하부하우징(100)의 제1내부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면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꼭지부(120)는 상기 바닥면이 어느 한 점으로 수렴되게 하방으로 테이퍼짐으로써 형성된다.
하부하우징(100)의 상단 외주면에는 바깥으로 하부플랜지(130)가 돌출되고, 하부하우징(100)의 외주면과 하부플랜지(130)는 서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단차가 하부플랜지(130)의 하단에서 하부하우징(100)의 외주면까지 하방으로 테이퍼진 경사곡면으로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하우징(100)의 바닥 하면에는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방지부재는 시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흡착판을 사용할 수 있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 또는 재질로 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와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부하우징(200)은 하단부가 개구된 중공의 기둥형상이다. 다시 말하면, 상부하우징(200)은 하부가 개구되고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한 홈, 즉 제2내부공간(210)이 형성된다. 상부하우징(200)은 하부하우징(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하부하우징(100)을 커버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20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의 플레이트 또는 기구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플레이트에 적어도 3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구멍에 본 발명의 상부하우징(200)이 삽입되어 나사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와 상부하우징(200)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의 높낮이 및 수평도를 조절가능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현미경과 같은 진동을 배제하여 정밀한 관측을 요하는 기구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미경과 같은 기구의 일측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상부하우징(200)이 삽입될 수도 있다.
상부하우징(200)은 상부플랜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플랜지(240)는 상부하우징(200)의 하단 외주면이 바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부플랜지(240)는 외면에 미끄럼방지수단(2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미끄럼방지수단(241)이 배치된 상부플랜지(240)를 잡은 상태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나 기구의 높낮이 또는 수평도를 용이하게 조절가능하다.
삽입체(300)는 하부하우징(100)의 제1내부공간(110)에 삽입 또는 수용된다. 삽입체(300)는 하부하우징(100)의 제1내부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과 점접촉한다. 다시 말하면, 삽입체는 제2꼭지부(310)가 하방으로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꼭지부(310)는 하부하우징(100)의 제1꼭지부(120)와 점접촉할 수 있다. 제2꼭지부(310)는 삽입체(300)의 하측이 어느 한 점으로 수렴하도록 하방으로 테이퍼짐으로써 형성된다. 다만, 제2꼭지부(310)가 이루는 꼭지각은 제1꼭지부(120)가 이루는 꼭지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2꼭지부(310)의 꼭지각이 제1꼭지부(120)의 꼭지각과 같거나 크다면, 삽입체(300)와 하부하우징(100)의 제1내부공간(110)을 형성하는 바닥면은 점접촉이 불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꼭지부(120)와 제2꼭지부(310) 각각의 꼭지각을 둔각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꼭지각은 제작자의 선택적인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어느 하나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는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상부하우징(100)을 회전시키는데, 제1꼭지부(120)와 제2꼭지부(310)의 점접촉은 이를 용이하게 한다. 즉, 제1꼭지부(120)와 제2꼭지부(310)가 점접촉함으로써 마찰이 최소화되므로, 사용자가 상부하우징(200)을 회전시키더라도 상부하우징(200)은 하부하우징(100)과 상기 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시키기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제1꼭지부(120)와 제2꼭지부(310)는 점접촉함으로써 바닥으로부터 전해지는 진동을 상방으로 전달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통상적으로 플레이트나 관측기구 등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부하우징(200)을 회전시키면 후술하는 탄성부재(400)는 삽입체(300)와 마찰에 의해 꼬임으로써 비틀리게 되지만(좌굴), 상기 점접촉을 통해 상부하우징(200)의 회전시 삽입체(300)가 하부하우징(10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상부하우징(200)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탄성부재(400)는 비틀림 즉, 좌굴이 방지된다.
삽입체(300)는 측면 또는 외주면에 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삽입체(300)는 하부하우징(100)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면에 오목한 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체(300)와 하부하우징(100) 사이에는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윤활제가 사용자의 의도보다 많은 양이 도포된 경우, 제1내부공간(110)에 수용되는 상기 윤활제의 부피에 의해 오히려 삽입체(300)가 하부하우징(100)의 제1내부공간(110)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체(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320)에 상기 윤활제가 일부 수용됨으로써, 진동 흡수를 방해하는 요소를 미연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꼭지부(120)와 제2꼭지부(310)에 윤활제가 도포된 상태로 점접촉하는데, 제1꼭지부(120)와 제2꼭지부(310) 사이에 윤활제가 부족한 경우, 홈(320)에 일부 수용된 윤활제가 흘러나와 제1꼭지부(120)와 제2꼭지부(310)에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삽입체(300)의 외주면과 하부하우징(100)의 내측면은 서로 마주하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이격 거리는 0.1 내지 0.2㎜일 수 있다. 이 경우, 삽입체(300)의 외주면과 하부하우징(100)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0.1㎜보다 작게 형성되면 삽입체(300)의 외주면과 하부하우징(100)의 내측면은 서로 접촉면이 넓어지므로 마찰이 커져 진동을 흡수하기보다 진동의 전달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이격 거리가 0.2㎜보다 크게 형성되면 삽입체(300)는 제1내부공간(110)에서 사방으로 요동칠 수 있으며, 이때 삽입체(300)의 외주면이 하부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접촉하게 되면, 제1꼭지부(120)와 제2꼭지부(310)의 점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삽입체(300)의 외주면과 하부하우징(100)의 내측면의 이격 거리는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제작자가 상대적으로 크기를 크게 제작한 경우, 삽입체(300)와 하부하우징(100) 역시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삽입체(300)의 외주면과 하부하우징(100)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0.2㎜보다 커질 수 있다.
삽입체(300)는 상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부(330)를 포함하고, 후술하는 하부홀더(220)에 돌부(330)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삽입체(300)와 하부홀더(220)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상호 지지된다.
돌부(330)는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오목한 높이조절홈(340)이 형성되고, 높이조절홈(340)에는 높이조절구가 삽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높이조절구(350)는 머리부(미부호)와 몸체부(미부호)로 이루어지고, 상기 머리부는 높이조절홈(340)으로부터의 외부, 즉 제2내부공간(210)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부가 높이조절홈(340)에 삽입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과 높이조절홈(340)의 내주면은 서로 대응하는 나사산(미부호)이 형성되어 나사결합할 수 있고, 상기 나사결합으로 인해 높이조절구(3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높이조절홈(34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구(350)가 높이조절홈(340)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상부하우징(100)의 가압정도를 제한할 수 있고, 후술하는 탄성부재(400)의 가압되는 정도를 제한가능하다.
상부하우징(200)의 제2내부공간(210)에는 탄성부재(400)가 수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상부하우징(200)과 삽입체(300)의 사이에 배치되고, 결과적으로 상부하우징(200)을 하부하우징(100)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지지 가능하다. 만약, 탄성부재(400)가 제1내부공간(110)에 위치하고 삽입체(300)가 제2내부공간(110)에 위치하게 되면,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탄성부재(400)에 1차적으로 전달되고, 그로 인해 공긴 또는 2차적인 진동이 상방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탄성부재(400)가 제1내부공간(110)보다 상방에 위치한 제2내부공간(210)에 수용됨으로써 진동을 제거하는데 최적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재(400)는 웨이브 스프링(wave spring)으로 마련될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탄성부재(400)는 직경보다 가압되지 않은 상태의 높이가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4에는 탄성부재(400)의 직경과 높이가 거의 비슷하게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직경과 높이는 8:7 또는 7:6 와 같은 비율을 가질 수 있고,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부하우징(200)은 제2내부공간(210)에 하부홀더(220)와 상부홀더(230)를 수용할 수 있다. 하부홀더(220)와 상부홀더(230)는 탄성부재(400)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부재(400)의 좌굴을 방지한다.
하부홀더(220)는 탄성부재(400)의 하측을 지지한다. 다시 말하면, 하부홀더(220)는 탄성부재(400)가 이루는 외주면의 크기에 대응하는 내측면을 가지도록 돌부(미부호)가 상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홀더(220)에 의해 탄성부재(40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하부홀더(220)는 삽입체(300)와 결합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하부홀더(220)는 중앙부분에 관통공(221)이 형성되고, 관통공(221)에 삽입체(300)의 돌부(330)가 하측에서 상방으로 삽입된다.
상부홀더(230)는 탄성부재(400)의 상측을 지지한다. 다시 말하면, 상부홀더(230)는 상측이 상부하우징(200)의 천장(天障)에 접하고, 하방으로 돌출된 돌부(미부호)가 마련되며, 상기 돌부의 외주면과 탄성부재(400)의 내주면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부가 탄성부재(400)의 상측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홀더(230)에 의해 탄성부재(400)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부홀더(230)의 상기 돌부에는 하면에 삽입홈(231)이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홈(231)에 높이조절구(350)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다. 덧붙여서 설명하면, 삽입홈(231)은 높이조절구(350)의 머리부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방으로 테이퍼져 삽입을 유도하는 경사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홈(231)에 높이조절구(350)가 삽입되면, 외부의 가압력으로부터 탄성부재(400)가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부하우징(200)이 높이조절구(350)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부하우징(200)이 외부의 가압력으로 가압되는 방향이 비틀어지더라도 제2내부공간(210)에 수용된 구성들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400)는 하부홀더(220)의 돌부와 상부홀더(230)의 돌부에 의해 좌굴이 방지되고, 삽입홈(231)과 삽입홈(231)에 삽입되는 높이조절구(350)에 의해 좌굴이 한층 더 방지되며, 이는 외부의 진동을 흡수하는데 최적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는 진동 주파수 100㎐를 기준으로, 삽입체(300)와 하부하우징(100)의 점접촉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예컨대, 100㎐ 이상)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탄성부재(400)를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예컨대, 100㎐ 이하)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부플랜지(240)의 하측에는 분리방지편(250)이 마련될 수 있다. 분리방지편(250)은 하부하우징(100)과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면이 상부플랜지(240)의 하측면과 접면하고 별도의 결합수단(예컨대, 볼트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분리방지편(250)은 상부플랜지(240)의 하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 원을 형성할 수 있다. 덧붙이자면, 분리방지편(250)의 내측이 하부플랜지(130)의 하방에 위치하고, 분리방지편(250)의 내측 곡률은 하부플랜지(130)의 외측 곡률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방지편(250)의 내측이 형성하는 원의 크기보다 하부플랜지(130)의 외측이 형성하는 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크므로 하부하우징(100)과 상부하우징(200)은 서로 분리가 방지된다. 하부하우징(100)과 상부하우징(200)을 결합시킴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분리방지편(250)의 크기로 인해 결합이 불가능하므로, 분리방지편(250)은 상부플랜지(240)의 하측면의 원 형상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사용자는 외면에 윤활제가 도포된 삽입체(300)를 하부하우징(100)의 제1내부공간(110)에 삽입한다. 이때 제1내부공간(110)의 제1꼭지부(120)와 삽입체(300)의 제2꼭지부(310)는 서로 점접촉을 이루게 된다. 만약 상기 윤활제의 양이 사용자가 짐작하는 미리 정해진 양보다 많다면 삽입체(300)의 외면에 형성된 홈(320)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윤활제는 제1꼭지부(120)와 제2꼭지부(310)의 점접촉하는 지점까지 도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삽입체(300)의 상부 또는 하부하우징(100)의 상부에 하부홀더(220)를 배치한다. 이때 하부홀더(220)에 형성된 관통공(221)에 삽입체(300)의 돌부(330)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되고, 하부홀더(220)와 삽입체(300)는 결합하여 상호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돌부(330)에 형성된 높이조절홈(340)에 높이조절구(350)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삽입시켜 나사결합시킨다.
하부홀더(220)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 또는 웨이브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400)를 배치한다. 이때, 탄성부재(400)의 외주면과 하부홀더(220)에 형성된 돌부의 내주면은 서로 접촉된다.
그리고 탄성부재(400)의 상부에 상부홀더(230)를 배치하는데, 상부홀더(230)에 형성된 돌부는 탄성부재(4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탄성부재(400)의 내주면과 상부홀더(230)의 돌부의 외주면은 서로 접촉된다.
이후, 하부하우징(100)의 상부를 상부하우징(200)이 커버하도록, 상부홀더(230)의 상측과 상부하우징(200)의 천장면을 접촉시켜 별도의 고정부재(예컨대, 볼트 등)를 통해 상부홀더(230)와 상부하우징(200)을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부하우징(200) 외주면의 하단부에 돌출된 상부플랜지(240)의 하면에 복수 개의 분리방지편(250)을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상부하우징(200)과 하부하우징(100)은 분리가 방지된다.
또한 상부하우징(20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미부호)과 상부플랜지(240)의 상부 사이에 탄성재질의 오링(500)을 설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의 조립을 완성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조립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미도시)에 복수 개의 상부하우징(200)을 각각 삽입하고, 상부하우징(20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부플랜지(240)에 형성된 요철과 같은 미끄럼방지수단(241)을 통해 미끄러짐 없이 상부하우징(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부하우징(200)을 회전시키더라도 삽입체(300)와 하부하우징(100)의 점접촉에 의해 마찰이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하우징(200)이 상기 플레이트의 관통공에 깊숙히 삽입된 상태이더라도 상기 플레이트와 상부플랜지(240)는 오링(500)에 의해 접촉이 방지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부플랜지에 대하여 탄성지지되며, 오링(5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와 상부하우징(200)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이 이루어진 후, 정밀한 관측을 위하여 진동을 제거하여야 할 관측기구(예컨대, 전자현미경 또는 광학현미경 등)를 올려 놓는다. 이때, 상부하우징(200)을 다시 회전시켜 상기 플레이트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측기구 등에 의해 외부의 본 발명은 하방으로 가압되고, 탄성부재(400)에 의해 탄성지지되며, 탄성부재(400)는 하부홀더(220), 상부홀더(230) 또는 높이조절구(350)에 의해 좌굴이 방지되어 진동흡수가 용이하며, 사용자는 정밀한 관측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흡수 댐퍼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하부하우징 110 : 제1내부공간
120 : 제1꼭지부 130 : 하부플랜지
200 : 상부하우징 210 : 제2내부공간
220 : 하부홀더 221 : 관통공
230 : 상부홀더 231 : 삽입홈
232 : 경사부 240 : 상부플랜지
241 : 미끄럼방지수단 250 : 분리방지편
300 : 삽입체 310 : 제2꼭지부
320 : 홈 330 : 돌부
340 : 높이조절홈 350 : 높이조절구
400 : 탄성부재 500 : 오링

Claims (14)

  1. 상부가 개구되고 제1내부공간이 형성된 하부하우징;
    하부가 개구되고 제2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하우징을 커버하는 상부하우징;
    상기 제1내부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내부공간의 바닥과 점접촉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면과 마주하는 면에 윤활제가 수용되는 오목한 홈이 형성된 삽입체; 및
    상기 제2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하부하우징 또는 상기 삽입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진동 흡수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제1내부공간의 바닥면이 하방으로 테이퍼지며 어느 한 점에서 수렴되는 제1꼭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체는 하측이 하방으로 상기 제1꼭지부의 꼭지각보다 좁게 테이퍼지며 어느 한 점으로 수렴되어 상기 제1꼭지부와 접하는 제2꼭지부가 형성되는 진동 흡수 댐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웨이브 스프링인 진동 흡수 댐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직경이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진동 흡수 댐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제2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삽입체와 결합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홀더; 및
    상기 제2내부공간에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제2내부공간의 천장(天障)에 접한 상태로 하측이 탄성부재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부홀더를 수용하는 진동 흡수 댐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홀더는 상기 돌부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진동 흡수 댐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는,
    상기 돌부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오목한 높이조절홈;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미리 정해진 깊이만큼 상기 높이조절홈에 삽입됨으로써 외부의 압력으로부터 상기 상부하우징이 가압되는 정도를 제한하는 높이조절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홀더는 하측에 상기 높이조절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하우징이 상기 높이조절구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진동 흡수 댐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높이조절구의 삽입을 유도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진동 흡수 댐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플랜지의 하측에는 상기 하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분리를 방지하는 분리방지편을 더 포함하는 진동 흡수 댐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편의 내측이 상기 하부플랜지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방지편의 내측 곡률은 상기 하부플랜지의 외측 곡률보다 작게 형성되는 진동 흡수 댐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편은 상기 상부플랜지의 하면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되는 진동 흡수 댐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는 외면에 미끄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진동 흡수 댐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진동 흡수 댐퍼.
KR1020160049775A 2016-04-25 2016-04-25 진동 흡수 댐퍼 KR10179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775A KR101795927B1 (ko) 2016-04-25 2016-04-25 진동 흡수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775A KR101795927B1 (ko) 2016-04-25 2016-04-25 진동 흡수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04A KR20170121404A (ko) 2017-11-02
KR101795927B1 true KR101795927B1 (ko) 2017-11-08

Family

ID=6038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775A KR101795927B1 (ko) 2016-04-25 2016-04-25 진동 흡수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501B1 (ko) * 2017-11-29 2019-08-29 (주)아이엠 이동식 태양광 조명 장치
KR102236037B1 (ko) * 2019-05-02 2021-04-05 (주)에스엠텍 방진장치를 구비한 실험용 테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272A (ja) * 1998-07-02 2000-01-21 Audio Gunkyo:Kk 防振装置
KR200311970Y1 (ko) * 2003-02-14 2003-05-01 주식회사 엔.에스.브이 밀폐형스프링마운트
JP2010174913A (ja) * 2009-01-27 2010-08-12 Kurashiki Kako Co Ltd 除振装置
JP2011214707A (ja) * 2010-04-02 2011-10-27 Nabeya Co Ltd 除振マウン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272A (ja) * 1998-07-02 2000-01-21 Audio Gunkyo:Kk 防振装置
KR200311970Y1 (ko) * 2003-02-14 2003-05-01 주식회사 엔.에스.브이 밀폐형스프링마운트
JP2010174913A (ja) * 2009-01-27 2010-08-12 Kurashiki Kako Co Ltd 除振装置
JP2011214707A (ja) * 2010-04-02 2011-10-27 Nabeya Co Ltd 除振マウ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404A (ko)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277B1 (ko) 진동 흡수 댐퍼
KR101795927B1 (ko) 진동 흡수 댐퍼
US6676101B2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RU2361135C1 (ru) Пружинный виброизолятор с нелинейным демпфированием
EP3584457B1 (en) Supporting foot assembly
JP2013533618A (ja) ゴム製脚部をもつ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EP1908983B1 (en) Levelling and damping system for vibrations
JP5208002B2 (ja) 除振装置
JP5947696B2 (ja) 緩み止め具及び当該緩み止め具を備えた減震ストッパ構造
US6782981B2 (en) Antivibration apparatus including a mass damper
JP5973864B2 (ja) 隙間管理具
RU2263357C1 (ru) Демпф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JP5972309B2 (ja) 免震装置、及び免震工法
JP4973094B2 (ja) 圧縮機の支持装置
WO2009128153A1 (ja) 脚装置
JP7086718B2 (ja) 気体ばね式防振装置
US11549564B2 (en) Oscillation damper, in particular for a switch cabinet
KR102133119B1 (ko) 지진파 흡수기능을 갖는 탄성지지장치
JP2012167740A (ja) インシュレータ
RU2269700C1 (ru) Виброизолятор рессорного типа
KR200481912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볼 헤드용 볼
JP7141638B2 (ja) 除振構造
JP4529049B2 (ja) 防振装置
RU2293228C2 (ru) Виброизолятор кочетова тарельчатого типа
JP6068011B2 (ja) 減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