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242B1 -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242B1
KR101795242B1 KR1020160046383A KR20160046383A KR101795242B1 KR 101795242 B1 KR101795242 B1 KR 101795242B1 KR 1020160046383 A KR1020160046383 A KR 1020160046383A KR 20160046383 A KR20160046383 A KR 20160046383A KR 101795242 B1 KR101795242 B1 KR 101795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p
stack
vehicle
voltage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507A (ko
Inventor
박효진
구본용
이중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24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H01M8/04358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38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an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2Voltage of the individual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평균속도에 상응하는 흡기 공기량을 나타내는 제1 맵과, 흡기 공기량 및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맵과, 레벨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을 나타내는 제3 맵에 기초하여 연료전지(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결정함으로써,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고도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평균속도에 상응하는 흡기 공기량을 나타내는 제1 맵과, 상기 흡기 공기량 및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맵과,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을 나타내는 제3 맵을 저장하는 맵 저장부; 차량 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부; 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소압력 조절부; 및 제1 맵과 제2 맵 및 제3 맵에 기초하여, 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수소압력을 기준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셀 전압 강하시간과 상기 셀 전압 강하시간 동안의 차량의 평균속도를 이용하여 추가 공기 공급률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AMOUNT IN FUEL CELL VEHICL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수소압력을 기준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셀 전압 강하시간과 상기 셀 전압 강하시간 동안의 차량의 평균속도에 기초하여, 연료전지 차량의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가 적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차량은 수소와 산소의 반응을 통해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한다. 수소는 전극막을 기준으로 애노드(Anode) 측에 공급되며, 공급된 수소의 일부는 반응하지 못하고 재순환되어 다음 반응에 이용된다. 이렇게 공급된 수소는 이론적으로 모두 발전에 이용되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배출 배관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된다.
① 공급된 수소 중 일부는 전극막 사이의 홀을 통해 캐소드(Cathode) 측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② 애노드 측에 공급되는 수소는 일정 농도 이상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농도가 높은 수소를 탱크로부터 빠르게 공급받기 위해 퍼지(purge)를 실시하는데, 이때 수소가 배출된다.
③ 애노드 측은 수소가스 재순환을 위해 폐루프(Closed loop)를 형성하기 때문에 물 배출이 어렵다. 따라서 물 배출을 위해 퍼지를 실시하는데 이때 수소도 함께 배출된다.
이렇게 수소가 다량 배출되는 경우는, 시동 온 시점에 퍼지에 의한 배출, 애노드 측 수소가 크로스 오버(cross over) 되어 캐소드 측에서 배출, 아이들 상태로 공기 공급량이 최저 수준이면서 애노드/캐소드 간 큰 압력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때, 배출 수소의 농도는 대기중 발화 및 폭발위험이 있는 4%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종래의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는,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연료전지 차량의 출고가를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는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센서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등록특허공보 제03952461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평균속도에 상응하는 흡기 공기량을 나타내는 제1 맵과, 흡기 공기량 및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맵과, 레벨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을 나타내는 제3 맵에 기초하여 연료전지(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결정함으로써,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고도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평균속도에 상응하는 흡기 공기량을 나타내는 제1 맵과, 상기 흡기 공기량 및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맵과,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을 나타내는 제3 맵을 저장하는 맵 저장부; 차량 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부; 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소압력 조절부; 및 제1 맵과 제2 맵 및 제3 맵에 기초하여, 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수소압력을 기준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셀 전압 강하시간과 상기 셀 전압 강하시간 동안의 차량의 평균속도를 이용하여 추가 공기 공급률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맵 저장부가 차량의 평균속도에 상응하는 흡기 공기량을 나타내는 제1 맵과, 상기 흡기 공기량 및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맵과,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을 나타내는 제3 맵을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제1 맵과 제2 맵 및 제3 맵에 기초하여, 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수소압력을 기준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셀 전압 강하시간과 상기 셀 전압 강하시간 동안의 차량의 평균속도를 이용하여 추가 공기 공급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평균속도에 상응하는 흡기 공기량을 나타내는 제1 맵과, 흡기 공기량 및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맵과, 레벨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을 나타내는 제3 맵에 기초하여 연료전지(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결정함으로써,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고도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에 이용되는 맵의 일예시도로,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는, 맵 저장부(10), 정보 수집부(20), 공기량 조절부(30), 수소압력 조절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맵 저장부(10)는 차량의 평균속도에 상응하는 흡기 공기량을 나타내는 제1 맵과, 흡기 공기량 및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맵과, 레벨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을 나타내는 제3 맵을 저장한다.
이러한 제1 맵과 제2 맵 및 제3 맵은 연료전지 차량의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고도,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데이터로서, 실험을 통해 산출될 수 있으며,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에 이용되는 맵의 일예시도로서, (a)는 제1 맵을 나타내고, (b)는 제2 맵을 나타내며, (c)는 제3 맵을 나타낸다.
(a)에서 x축은 차량의 평균속도(kph)를 나타내고, y축은 흡기 공기량을 나타낸다. 이때, 평균속도는 셀 전압 강하시간 동안의 차량의 평균속도를 의미한다. 또한, 속도 'v'에서의 흡기 공기량은 'Q'가 된다.
(b)에서 x축은 흡기 공기량을 나타내고, y축은 셀 전압 강하시간을 나타낸다. 이때, 레벨을 구분하는 그래프는 일례로 4개(210, 220, 230, 240)만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에서 '210' 그래프와 '220' 그래프 사이의 구간을 레벨 0으로 설정하고, '220' 그래프와 '230' 그래프 사이의 구간을 레벨 1로 설정하며, '230' 그래프와 '240' 그래프 사이의 구간을 레벨 2로 설정하고, '240' 그래프 이하의 구간을 레벨 3으로 설정한다.
(b)에서 흡기 공기량 'Q'와 제어부(50)에 의해 측정된 셀 전압 강하시간 't'가 만나는 지점(250)은 레벨 2에 속한다.
(c)에서 x축은 레벨을 나타내고, y축은 추가 공기 공급률을 나타낸다. 이때, 레벨 2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은 'b'가 된다. 결국, 기본 공기량(시동시 공기 요구량)에 b를 곱하여 최종 공기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 수집부(20)는 차량의 속도, 수소압력, 연료전지의 냉각수 온도 등을 수집한다. 이러한 정보 수집부(20)는 차량에 구비된 센서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수집할 수도 있고,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할 수도 있다. 이때, 수소압력의 경우 수소압력 조절부(40)를 통해 수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공기량 조절부(30)는 일례로 에어 블로워(air blow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50)의 제어하에 연료전지(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한다. 이때, 공기량 조절부(30)에 의해 조절되는 공기량은 주행풍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량까지 포함할 수도 있고, 주행풍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량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공기량 조절부(30)는 제어부(50)에 의해 결정된 최종 공기량을 연료전지(스택)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수소압력 조절부(40)는 연료전지(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한다. 일례로, 캐소드 측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FcStop' 모드 진입시, 수소의 압력을 'P1'에서 'P2'로 상향 변경한다.
다음으로, 제어부(50)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50)는 차량의 주행거리/운전시간이 임계주기(일례로, 10000km/700시간)를 만족하면 정보 수집부(20)를 활성화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공기량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제어부(50)는 정보 수집부(20)에 의해 수집된 정보가 동작조건을 만족하면, 연료전지(스택)에 공기 공급을 차단하도록 공기량 조절부(30)를 제어하고, 연료전지(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압력을 일정치 증가시키도록 수소압력 조절부(40)를 제어한다. 이때, 동작조건은 스택의 냉각수 온도가 제1 기준범위를 유지하고, 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압력이 제2 기준범위를 유지하며, 차량의 속도가 임계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후, 제어부(50)는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각 셀(일례로 400개)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수소압력이 일정치 증가한 시점부터 각 셀의 전압(OCV: Open Circuit Voltage)이 특정 전압(임계전압)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각각 체크하여 가장 짧은 시간을 셀 전압 강하시간으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1번 셀의 전압이 특정 전압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이 10초, 2번 셀의 전압이 특정 전압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이 20초, 3번 셀의 전압이 특정 전압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이 15초라 하면, 셀 전압 강하시간은 10초가 된다.
이때, 제어부(50)는 셀 전압이 특정 전압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 동안의 차량의 평균속도의 분산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셀 전압 강하시간의 검출 실패로 판단하여 셀 전압 강하시간 검출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즉, 셀 전압이 특정 전압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 동안의 차량의 평균속도의 분산이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결정한 셀 전압 강하시간은 유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폐기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어부(50)는 셀 전압 강하시간과 상기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차량의 평균속도를 검출하였다.
이후, 제어부(5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맵에 기초하여 차량의 평균속도에 상응하는 흡기 공기량을 검출한다.
이후, 제어부(5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맵을 기반으로, 흡기 공기량과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레벨을 검출한다.
이후, 제어부(50)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 맵에 기초하여 레벨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을 검출한다.
이후, 제어부(50)는 기본 공기량(시동시 공기 요구량)에 추가 공기 공급률을 곱하여 최종 공기량을 결정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맵 저장부(10)가 차량의 평균속도에 상응하는 흡기 공기량을 나타내는 제1 맵과, 상기 흡기 공기량 및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맵과,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을 나타내는 제3 맵을 저장한다(301).
이후, 제어부(50)가 제1 맵과 제2 맵 및 제3 맵에 기초하여, 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수소압력을 기준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셀 전압 강하시간과 상기 셀 전압 강하시간 동안의 차량의 평균속도를 이용하여 추가 공기 공급률을 결정한다(302).
본 발명에서 연료전지 차량의 배출가스 내 수소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극 간 크로스 오버량을 연료전지의 ODT(Ocv Decay Time)에 기초하여 추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배출가스 변화량은 시험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한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맵 저장부
20 : 정보 수집부
30 : 공기량 조절부
40 : 수소압력 조절부
50 : 제어부

Claims (15)

  1. 차량 내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스택의 캐소드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공기량 조절부;
    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는 수소압력 조절부; 및
    스택의 캐소드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수소압력을 기준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셀 전압 강하시간과 상기 셀 전압 강하시간 동안의 차량의 평균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택의 캐소드에 공급되는 공기의 추가 공기 공급률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평균속도에 상응하는 흡기 공기량을 나타내는 제1 맵과, 상기 흡기 공기량 및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맵과,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을 나타내는 제3 맵을 저장하는 맵 저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제1 맵과 제2 맵 및 제3 맵에 기초하여 추가 공기 공급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상기 공기량 조절부를 제어하고, 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압력이 기준치가 되도록 상기 수소압력 조절부를 제어하며, 수소압력이 기준치가 된 시점부터 각 셀의 전압이 특정 전압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각각 체크하여 가장 짧은 시간을 셀 전압 강하시간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평균속도의 분산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셀 전압 강하시간의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본 공기량에 추가 공기 공급률을 곱하여 최종 공기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거리 또는 운전시간이 임계주기를 만족하면 상기 정보 수집부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차량의 속도, 수소압력, 스택의 냉각수 온도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택의 냉각수 온도가 제1 기준범위를 유지하고, 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압력이 제2 기준범위를 유지하며, 차량의 속도가 임계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9. 정보 수집부가 차량 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공기량 조절부가 스택의 캐소드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단계;
    수소압력 조절부가 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스택의 캐소드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고 수소압력을 기준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측정한 셀 전압 강하시간과, 상기 셀 전압 강하시간 동안의 차량의 평균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스택의 캐소드에 공급되는 공기의 추가 공기 공급률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맵 저장부가 차량의 평균속도에 상응하는 흡기 공기량을 나타내는 제1 맵과, 상기 흡기 공기량 및 셀 전압 강하시간에 상응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제2 맵과, 상기 레벨에 상응하는 추가 공기 공급률을 나타내는 제3 맵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추가 공급률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맵과 제2 맵 및 제3 맵에 기초하여 추가 공기 공급률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공기량 조절부가 스택에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단계;
    수소압력 조절부가 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압력이 기준치가 되도록 조절하는 단계;
    수소압력이 기준치가 된 시점부터 각 셀의 전압이 특정 전압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각각 체크하는 단계; 및
    가장 짧은 시간을 셀 전압 강하시간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전압 강하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는,
    차량의 평균속도의 분산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 상기 결정된 셀 전압 강하시간의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방법.
  13.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기본 공기량에 추가 공기 공급률을 곱하여 최종 공기량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방법.
  14. 제 9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공급률을 결정하는 단계는,
    차량의 주행거리 또는 운전시간이 임계주기를 만족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방법.
  15.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공급률을 결정하는 단계는,
    스택의 냉각수 온도가 제1 기준범위를 유지하고, 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압력이 제2 기준범위를 유지하며, 차량의 속도가 임계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방법.
KR1020160046383A 2016-04-15 2016-04-15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795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383A KR101795242B1 (ko) 2016-04-15 2016-04-15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383A KR101795242B1 (ko) 2016-04-15 2016-04-15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507A KR20170118507A (ko) 2017-10-25
KR101795242B1 true KR101795242B1 (ko) 2017-11-16

Family

ID=6029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383A KR101795242B1 (ko) 2016-04-15 2016-04-15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68213A (zh) * 2017-11-29 2018-04-27 同济大学 供氢控制装置
KR102614135B1 (ko) * 2018-05-24 2023-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의 공기 공급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1960A (ja) 2008-09-03 2010-03-18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1960A (ja) 2008-09-03 2010-03-18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507A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8728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idle stop of the fuel cell system
US8206858B2 (en) Fuel cell system and starting method therefor
US867969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el cell system having oxygen concentration transient reduction
US8486577B2 (en) Fuel cell system
JP469286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異常検出装置
US7846598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stopping operation of the fuel cell system
CN104143647B (zh) 用于估算燃料电池状态的系统和方法
EP2622672B1 (en) Fuel cell system, method and program of determining cause of negative voltag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070218330A1 (en) Fuel Cell System
JP2008192612A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のオンラインに適応する分極曲線の推定のためのアルゴリズム
JP499226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8110312B2 (en) Fuel cell system and starting method therefor
CN106549176A (zh) Gen2阳极氢气浓度估算的验证和校正
US10329150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urity level of hydrogen gas provided to an anode side of the fuel cell
KR101795242B1 (ko) 연료전지 차량의 공기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123785A1 (en) Fuel cel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5938037A (zh) 用于验证燃料电池系统中检测到的泄漏的系统和方法
JP2008130471A (ja) 燃料電池運転システム
JP5304863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6244966A (ja) 燃料電池の電流−電圧特性学習装置
JP4982977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225702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567238B1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수소 퍼지 장치 및 방법
JP200830570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9083018B2 (en) Fuel cell device comprising a controller including an execution condition setting s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