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177B1 -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177B1
KR101795177B1 KR1020150175813A KR20150175813A KR101795177B1 KR 101795177 B1 KR101795177 B1 KR 101795177B1 KR 1020150175813 A KR1020150175813 A KR 1020150175813A KR 20150175813 A KR20150175813 A KR 20150175813A KR 101795177 B1 KR101795177 B1 KR 101795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g
vehicle speed
function
vehicle
predetermin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8841A (ko
Inventor
김용찬
차강주
조재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1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stopping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F02D41/06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at hot start or resta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1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6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driver demands or status
    • F02D2200/602Ped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7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exterior
    • F02D2200/701Information about vehicle position, e.g. from navigation system or GPS sig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7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exterior
    • F02D2200/702Road conditions
    • Y02T10/4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는, ISG(Idle Stop and Go) 기능이 시작된 상태에서 목적지 설정에 따라 차량의 주행중 목적지가 도착하는 지를 탐색하는 네비게이션 모듈; 상기 목적지가 도착하면 작동중인 상기 ISG 기능을 오프하는 제어기; 및 상기 차량의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기는 상기 차량 속도가 미리 설정되는 제 1 차량 속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ISG 기능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ISG 기능을 다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off of Idle Stop and Go function}
본 발명은 ISG(Idle Stop and Go) 기능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잦은 ISG 작동으로 인한 불편함 개선 및/또는 시동 On/Off에 의한 불필요한 시동 연료 절감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차량의 연소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저감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중에 있으며, 이와 동시에 고유가 시대에 발맞추어 차량의 연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도 모색중에 있다.
이러한 노력에 부합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써 ISG(Idle Stop & Go)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실제로 ISG 시스템으로 인해 차량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연비향상이라는 효과까지 발생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여기서 ISG 시스템은 차량의 정차시 엔진의 구동을 정지시켜 엔진이 연소되지 않도록 하고, 이후 차량의 발진시 다시 엔진을 구동시켜 차량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엔진 제어 방식이다.
이러한 ISG 시스템은 차량 정차시 엔진연소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따라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산화탄소 농도 배출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ISG 제어는 차량이 멈출 때마다 엔진을 오프(Off)하는 것으로 ISG 기능을 끄기 위해서는 버튼 조작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부연하면, ISG 취소 버튼이 오프되면, 차량속도가 0인지를 판단하고, 브레이크 페달이 0보다 큰지를 판단하고, 보조 배터리 전압이 일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이들 조건을 충족하면 ISG 기능이 오프된다(단계 S110 내지 S150).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주차 또는 적체된 도로에서 ISG에 의한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왜냐하면, 주행 시 운전자가 차량 속도 조절을 수시로 수행 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ISG 차량 운전자들의 제일 불편함을 느끼는 것이 평형/후진 주차를 위해 기어를 D ↔ R로 변속하는 경우이다.
D단 Idle Stop 상태에서 R단으로 변속 후진시에 엔진이 켜지게 된다. 좁은 구간에 주차를 위해서는 D ↔ R단 변속을 더 많은 횟수로 변속하게 된다. 변속 후 차량 전진/후진시 마다 시동이 켜지고 꺼지는 것이 반복이 되어 오히려 연비에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시동 On/Off에 의해 악셀 반응성이 나빠지게 된다.
1.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4-0061167호 2. 일본공개특허번호 제2009-264289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조작 없이 ISG(Idle Stop and Go)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성 및/또는 연비 절감 효과를 가져다주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을 통한 목적지 도달 정보를 입력받아 주차를 판단하여 ISG 기능을 자동 오프 Off할 수 있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체된 도로 정보 및/또는 낮은 속도에서 잦은 정차가 있을 경우에 ISG 기능을 자동 Off할 수 있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별도의 조작 없이 ISG(Idle Stop and Go)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의성 및/또는 연비 절감 효과를 가져다주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는,
ISG(Idle Stop and Go) 기능이 시작된 상태에서 목적지 설정에 따라 차량의 주행중 목적지가 도착하는 지를 탐색하는 네비게이션 모듈;
상기 목적지가 도착하면 작동중인 상기 ISG 기능을 오프하는 제어기; 및
상기 차량의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 속도가 미리 설정되는 제 1 차량 속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ISG 기능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ISG 기능을 다시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ISG(Idle Stop and Go) 기능이 시작된 상태에서 실시간 도로 정보를 획득하는 네비게이션 모듈; 차량의 주행중 상기 차량의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 및 상기 차량 속도를 제 1 일정시간 동안 취합된 차량 속도 취합 정보를 상기 실시간 도로 정보와 비교하여 실제 도로상 정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ISG 기능을 오프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 속도 취합 정보는 상기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 차량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균 차량 속도를 미리 설정된 제 2 차량 속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 2 차량 속도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기는 제 2 일정 시간 이내 상기 차량이 ISG 해제 조건에 의해 ISG 오프된 ISG 오프 횟수를 제 3 일정 시간 동안 산출하고, 상기 ISG 오프 횟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특정값보다 크면 상기 실제 도로상 정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일정시간은 1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일정시간은 5초이고, 상기 제 3 일정 시간은 1분이며, 상기 특정값은 2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ISG 해제 조건은 상기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된 경우, 브레이크 페달이 온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가 D단 또는 N단에서 R단, P단, 또는 스포츠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 및 브레이크 페달이 온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가 N단에서 D단으로 이동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차량 속도 기준값은 10kph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ISG(Idle Stop and Go) 기능이 시작된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모듈이 목적지 설정에 따라 차량의 주행중 목적지가 도착하는 지를 탐색하는 탐색 단계; 제 3 일정 시간 동안 제어기가 상기 목적지가 도착하면 작동중인 상기 ISG 기능을 오프하는 ISG 기능 오프 단계; 차속 센서가 상기 차량의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 단계;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량 속도를 미리 설정되는 제 1 차량 속도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가 상기 ISG 기능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ISG 기능을 다시 시작하는 ISG 기능 온오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ISG(Idle Stop and Go) 기능이 시작된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모듈이 실시간 도로 정보를 획득하는 도로 정보 획득 단계; 차속 센서가 차량의 주행중 상기 차량의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량 속도 검출 단계; 제어기가 상기 차량 속도를 제 1 일정시간 동안 취합된 차량 속도 취합 정보를 상기 실시간 도로 정보와 비교하여 실제 도로상 정체를 판단하는 도로 정체 판단 단계;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가 ISG 기능을 오프하는 ISG 기능 오프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량 속도를 미리 설정되는 제 1 차량 속도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가 상기 ISG 기능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ISG 기능을 다시 시작하는 ISG 기능 온오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로 정체 판단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평균 차량 속도를 미리 설정된 제 2 차량 속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제 2 차량 속도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기는 제 2 일정 시간 이내 상기 차량이 ISG 해제 조건에 의해 ISG 오프된 ISG 오프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ISG 오프 횟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특정값보다 크면 상기 실제 도로상 정체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조작 없이 ISG 기능을 상황에 따라 자동적으로 오프함으로써 주차 및/또는 적체 도로에서의 잦은 엔진 On/Off에 따른 엔진 시동 노이즈 및/또는 차량 가속의 지연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Idle Stop이 불필요한 곳에서는 해당기능 을 오프함으로써 아이들 스톱(Idle Stop) 시간이 짧은 경우 스톱(Stop)에 의한 연료 이득보다 시동 연료로 소모되는 연료 낭비를 더 절감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ISG(Idle Stop and Go) 기능의 오프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SG 기능의 자동 오프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SG(Idle Stop and Go)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SG(Idle Stop and Go)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차량은 ISG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인 것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운전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ISG 로직이 동작되도록 하는 버튼이 있어서 그 버튼이 눌리어지면 ISG 로직이 동작되거나, 그러한 버튼이 없더라도 차량이 정지하면 소정 시간후에 자동으로 ISG 로직이 동작되는 차량인 것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200)는, 차량에 구성되는 구성요소들과 제어 및/또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제어기(210), 엔진(221), 엔진(221)을 구동하는 엔진 구동부(220), 차량의 시동을 위한 이그니션 스위치(230), 차량의 운행 목적지를 설정하고 도로 교통 정보를 수신하는 네비게이션 모듈(240),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250), 가속 페달(261), 가속 페달(261)을 센싱하여 가속여부를 검출하는 가속 페달 센서(260), 차량의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페달(271), 브레이크 페달(271)의 온오프를 감지하는 브레이크 센서(2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것으로, 이외에도 변속 레버, 변속기, 변속 제어기, 배터리, PAS(Parking Assistant System), ABS(Anti-lock Braking System) 시스템 등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엔진 구동부(220)는 엔진(221)의 시동, 작동, ISG 기능에 따른 아이들 상태를 제어한다. 부연하면, 엔진 구동부(220)는 제어기(2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엔진(221)을 구동시킨다. 또한, 엔진 구동부(200)는 엔진(221)측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미도시), 시동을 위해 엔진(221)의 크랭크축과 연결되는 시동 모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물론, 시동 모터(미도시) 외에도 HSG(Hybrid Starter Generator)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210)는 ISG(Idle Stop and Go) 기능을 실행하여 일정 조건에 따라 ISG 기능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거나 ISG 기능을 온 상태로 변경한다. 부연하면, 네비게이션 모듈(240)을 이용하여 설정된 목적지가 도착하면 작동중인 ISG 기능을 오프한다. 이후, 제어기(210)는 상기 차량 속도가 미리 설정되는 차량 속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ISG 기능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ISG 기능을 다시 시작하는 ISG 기능을 온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주차 위치를 알 수 있다면 자동으로 해당 기능을 Off할 수 있어 매번 버튼을 조작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운전자는 내비게이션을 사용하여 원하는 목적지를 설정한다. 목적지에 도착해서 정차했다는 것은 주차를 준비한다는 것으로 판단하면 될 것이다. 목적지 도달시 자동으로 ISG 기능을 Off 상태로 하게 되면 주차시의 빈번한 ISG 작동을 개선할 수 있다.
또 한편으로, 제어기(210)는 적체된 도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모듈(240)을 통해 입력받아 낮은 속도에서 정차가 반복될 때 ISG 기능을 오프 상태로하는 제어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빈번히 ISG 작동에 의한 불편함과 시동에 의한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엔진(221)은 가솔린을 연료로하는 CVVT(Continuous Variable Valve Timing), DOHC(Double Over Head Camshaft), CVT(Continuous Valve Timing), GDI(Gasoline Direct Injection), MPI(Multi Point Injection) 엔진, 디젤을 연료로하는 CRDI(Common Rail Direct Injection,), HTI(High direction Turbo Intercooler), VGT(Variable Geometry Turbocharge) 엔진, 가스를 연료로하는 LPi(Liquid Propane inj ection) 엔진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신호대기 등으로 인해 정지하게 되어 엔진(221)을 자동정지하기 위해서는 이그니션 스위치(ignition switch)(2300)가 온(ON)되어 있는 상황하에 다음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즉, 차속 센서(250)의 출력신호가 차속 "0(Zero)"을 나타내고, 또한 가속 센서(accelerator sensor)(260)의 출력신호가 가속 페달(261)이 밟히고 있지 않은 것(즉, OFF 상태)을 나타내고, 브레이크 센서(270)의 출력신호가 브레이크(brake) 페달(271)이 밟히고 있는 것(즉, ON 상태)을 나타내어야 한다. 한편,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71)에서 발을 떼고 가속 페달(261)을 밟게 되면 정지되어 있던 엔진(221)을 재시동시키는 조건이 된다.
부연하면, 이그니션 스위치(230)가 온되면 ISG 기능이 시작된다. 이후, 제어기(210)는 이그니션 스위치(230), 차속 센서(250), 가속 페달 센서(260) 및 브레이크 센서(270) 등로부터의 신호를 근거로 엔진 공회전 여부를 판단한 후에 엔진(221)을 자동정지 및 재시동시킨다. 즉, 차량의 시동과 함께 ISG 기능이 시작된 후, 엔진(221)이 ISG 기능에 따라 자동 정지되었다가 ISG 해제 조건이 되면 엔진(221)이 재시동한다.
이러한 ISG 해제 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 상기 ISG 기능에 따라 엔진(221)이 정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271)이 오프된 경우
② 브레이크 페달(271)이 온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미도시)가 D단 또는 N단에서 R단, P단, 또는 스포츠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
③ 브레이크 페달(271)이 온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미도시)가 N단에서 D단으로 이동한 경우
이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ISG 해제 조건이 만족되어 엔진(221)이 재시동하게 된다.
네비게이션 모듈(24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연동되어 차량의 목적지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네비게이션 모듈(240)에는 차량의 운행 목적지를 설정하고, 이 목적지가 도착하면 이를 안내하는 기능이 구성된다. 또한, 실시간 도로 정보를 GPS를 통해 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SG 기능의 자동 오프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2가지 방식의 자동 오프 제어 과정이 기술된다.
이 중 제 1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이그니션 스위치(230)에 의해 차량이 시동되면, ISG(Idle Stop and Go) 기능이 시작되고, ISG(Idle Stop and Go) 기능이 시작된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모듈(도 2의 240)이 목적지 설정에 따라 차량의 주행중 목적지가 도착하는 지를 탐색한다(단계 S310).
탐색 결과, 상기 목적지에 도착하면 제어기(도 2의 210)는 작동중인 상기 ISG 기능을 오프한다(단계 S350).
이후, 차속 센서(250)가 상기 차량의 차량 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기(210)가 상기 차량 속도를 미리 설정되는 차량 속도 기준값(예를 들면, 10kph를 들 수 있음)과 비교한다(단계 S360).
비교 결과, 단계 S360에서 차량 속도가 차량 속도 기준값보다 작으면 ISG 기능을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
이와 달리, 단계 S360에서 차량 속도가 차량 속도 기준값보다 크면 ISG 기능을 온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370).
2가지 방식 중 나머지 하나인 제 2 방식은 다음과 같다.
이그니션 스위치(230)에 의해 차량이 시동되면, ISG(Idle Stop and Go) 기능이 시작되고, ISG(Idle Stop and Go) 기능이 시작된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모듈(도 2의 240)을 통해 실시간 도로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320). 부연하면, 네비게이션 모듈(240)을 통해 현재 운행중인 구간이 적체 도로 구간인지를 확인한다.
즉, 네비게이션 모듈(240)을 통해 획득된 도로 교통 정보가 정체 또는 적체 도로인 경우를 확인을 통해 실제 도로가 정체인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차속 센서(250)에 의해 검출되는 일정시간 동안(예를 들면, 1 분)의 차량 속도를 취합하여 차량 속도 취합 정보(예를 들면 평균 차량 속도)를 생성하고, 이를 미리 설정되는 기준값(예를 들면 약 5kph)과 비교한다(단계 S330).
비교 결과, 단계 S330에서 차량 속도 취합 정보가 기준값보다 크면 단계 S320 내지 단계 S330이 반복 수행된다. 이와 달리, 단계 S330에서 차량 속도 취합 정보가 기준값 보다 작으면, ISG 해제 조건에 의해 일정시간(예를 들면 5초)이내에 ISG 오프된 횟수가 미리 설정되는 특정 시간(예를 들면, 1분)동안 특정 기준값(예를 들면 2회)보다 큰지를 판단한다(단계 S340). 여기서, ISG 오프는 ISG 기능이 시작된 상태에서 엔진(221)의 재시동이 있었는지를 나타낸다.
판단 결과, 단계 S340에서 ISG 오프된 횟수가 2회보다 크지 않으면 단계 S320 내지 S340이 반복 수행된다.
이와 달리, 판단 결과, 단계 S340에서 ISG 오프된 횟수가 2회보다 크면 ISG 기능을 오프 상태로 변경한다(단계 S350). 이하 단계는, 앞서 기술한 단계 S360 내지 S370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00: ISG(Idle Stop and Go)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210: 제어기
220: 엔진 구동부
230: 이그니션 스위치
240: 네비게이션 모듈
250: 차속 센서
260: 가속 페달 센서 261: 가속 페달
270: 브레이크 센서 270: 브레이크 페달

Claims (16)

  1. 삭제
  2. ISG(Idle Stop and Go) 기능이 시작된 상태에서 실시간 도로 정보를 획득하는 네비게이션 모듈;
    차량의 주행중 상기 차량의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센서; 및
    상기 차량 속도를 제 1 일정시간 동안 취합된 차량 속도 취합 정보를 상기 실시간 도로 정보와 비교하여 실제 도로상 정체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ISG 기능을 오프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 속도가 미리 설정되는 제 1 차량 속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ISG 기능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ISG 기능을 다시 시작하며,
    상기 차량 속도 취합 정보는 상기 제 1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 차량 속도이고,
    상기 평균 차량 속도를 미리 설정된 제 2 차량 속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 2 차량 속도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기는 제 2 일정 시간 이내 상기 차량이 ISG 해제 조건에 의해 ISG 오프된 ISG 오프 횟수를 제 3 일정 시간 동안 산출하고, 상기 ISG 오프 횟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특정값보다 크면 상기 실제 도로상 정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일정시간은 1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일정시간은 5초이고, 상기 제 3 일정 시간은 1분이며, 상기 특정값은 2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ISG 해제 조건은 상기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된 경우, 브레이크 페달이 온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가 D단 또는 N단에서 R단, P단, 또는 스포츠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 및 브레이크 페달이 온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가 N단에서 D단으로 이동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량 속도 기준값은 10kp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9. 삭제
  10. ISG(Idle Stop and Go) 기능이 시작된 상태에서 네비게이션 모듈이 실시간 도로 정보를 획득하는 도로 정보 획득 단계;
    차속 센서가 차량의 주행중 상기 차량의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량 속도 검출 단계;
    제어기가 상기 차량 속도를 제 1 일정시간 동안 취합된 차량 속도 취합 정보를 상기 실시간 도로 정보와 비교하여 실제 도로상 정체를 판단하는 도로 정체 판단 단계;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가 ISG 기능을 오프하는 ISG 기능 오프 단계;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차량 속도를 미리 설정되는 제 1 차량 속도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 단계;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기가 상기 ISG 기능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거나 상기 ISG 기능을 다시 시작하는 ISG 기능 온오프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속도 취합 정보는 상기 제 1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 차량 속도이고,
    상기 도로 정체 판단 단계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평균 차량 속도를 미리 설정된 제 2 차량 속도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제 2 차량 속도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기는 제 2 일정 시간 이내 상기 차량이 ISG 해제 조건에 의해 ISG 오프된 ISG 오프 횟수를 제 3 일정 시간 동안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가 상기 ISG 오프 횟수를 미리 설정된 특정값과 비교하여 상기 특정값보다 크면 상기 실제 도로상 정체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일정시간은 1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일정시간은 5초이고, 상기 제 3 일정 시간은 1분이며, 상기 특정값은 2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ISG 해제 조건은 상기 ISG 기능에 따라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된 경우, 브레이크 페달이 온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가 D단 또는 N단에서 R단, P단, 또는 스포츠 모드로 이동하는 경우, 및 브레이크 페달이 온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가 N단에서 D단으로 이동한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량 속도 기준값은 10kp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방법.
KR1020150175813A 2015-12-10 2015-12-10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9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813A KR101795177B1 (ko) 2015-12-10 2015-12-10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813A KR101795177B1 (ko) 2015-12-10 2015-12-10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841A KR20170068841A (ko) 2017-06-20
KR101795177B1 true KR101795177B1 (ko) 2017-11-07

Family

ID=5928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813A KR101795177B1 (ko) 2015-12-10 2015-12-10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165A (ko) 2019-06-11 2020-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746A1 (ko) * 2019-03-11 2020-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행 정보에 기반한 오토 스탑 시스템을 제어하는 인공 지능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939A (ja) * 1999-08-16 2001-02-27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装置
JP2005264926A (ja) * 2004-02-18 2005-09-29 Daiichi Zokei:Kk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5194118A (ja) *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イドルストップ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939A (ja) * 1999-08-16 2001-02-27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装置
JP2005264926A (ja) * 2004-02-18 2005-09-29 Daiichi Zokei:Kk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5194118A (ja) * 2014-03-31 2015-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イドルストップ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165A (ko) 2019-06-11 2020-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841A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07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SG logic
US885839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SG logic
US6802291B2 (en) Automatic engine stop and restart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therefor
US937697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RU2684149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вигателем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вижение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6481535B2 (ja) 惰性走行制御方法及び惰性走行制御装置
JP6020338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6471630B2 (ja) 惰性走行制御方法及び惰性走行制御装置
KR101795177B1 (ko) Isg 기능 자동 오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20374B1 (ko) 내연기관의자동정지장치및자동시동장치
US9188070B2 (en) Vehicle stop control system
JP2004232557A (ja)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8014193A (ja) 内燃機関の駆動システム
JP2011089506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6841141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2004232558A (ja)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5614385B2 (ja) 車載内燃機関の自動停止始動装置
JP2004218562A (ja)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2013024216A (ja) 緊急発進制御装置
KR10099280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아이들 스톱/스타트 제어방법
KR20120059241A (ko) Isg 로직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9144574A (ja) 車両用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4218561A (ja) 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JP6481536B2 (ja) エンジン制御方法及び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5163759A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