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066B1 -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 Google Patents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066B1
KR101795066B1 KR1020120079775A KR20120079775A KR101795066B1 KR 101795066 B1 KR101795066 B1 KR 101795066B1 KR 1020120079775 A KR1020120079775 A KR 1020120079775A KR 20120079775 A KR20120079775 A KR 20120079775A KR 101795066 B1 KR101795066 B1 KR 10179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anel
vehicle body
vehicle
fuel injection
bod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2798A (ko
Inventor
박형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0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2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2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차체 레이아웃을 확보하고 차체 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쿼터 이너 패널에는 엘피지 호스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휠 하우스 이너 패널은 그 상단부가 단차진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 하단에서 쿼터 이너 패널에 접합되되, 상기 관통홀이 상대적으로 침하되어 있는 휠 하우스 이너 패널의 쇽업쇼버 마운팅부 상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연료주입구 도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Car body structure}
본 발명은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차체 레이아웃을 확보하고 차체 강성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의 차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통합형 연료주입구는 가솔린 주입구와 엘피지(LPG) 주입구를 차량의 일측에 함께 구비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주유시 고객의 혼동 및 불편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후방 차체에서는 가솔린 주입구(1)와 엘피지 주입구(2, 혹은 엘피지 어댑터)를 구비하는 통합형 연료주입구(3)를 적용함에 따라 엘피지 호스(4)가 실내를 직접 통과하도록 하기 위하여 쿼터 이너 로워 패널을 생략하고 있으며, 레이아웃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각형 구조의 연료주입구 도어(5)와 연료주입구 하우징(6)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후방 차체 구조를 채택하고 있는 차량의 경우, 인도 법규를 만족하기 위하여 엘피지 호스가 실내를 통과하도록 쿼터 이너 로워 패널을 생략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차체 강성이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사각형 구조의 연료주입구 도어와 하우징을 적용함으로 인해 레이아웃 측면에서 유리해지는 이점은 있으나 디자인 측면에서 불리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차체 강성을 개선하고, 또한 차체 내부의 레이아웃 측면과 차체 외부의 디자인 측면에서 유리한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쿼터 이너 패널에는 엘피지 호스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방에 가솔린 필러넥이 배치되어 있는 휠 하우스 이너 패널은 그 상단부가 2단 구조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 하단에서 쿼터 이너 패널에 접합되되, 상기 관통홀이 상대적으로 침하되어 있는 휠 하우스 이너 패널의 쇽업쇼버 마운팅부 상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연료주입구 도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쿼터 이너 패널은 휠 하우스 아우터 패널과 휠 하우스 이너 패널 사이에 접합되어 구성되고, 가솔린 주입구 위치에서 하우징 패널과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쿼터 이너 패널에는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쿼터 아우터 멤버가 접합되어 구성되고, 또한 사이드벨트 리터랙터를 장착하기 위한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체 구조는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종래의 차체 구조에 비해 차체 강성이 증대되고, 차체 내부의 레이아웃을 확보하는 동시에 차체 외부의 디자인 대응시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체 구조는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함에 따라 주유시 고객의 혼동 및 불편을 감소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후방 차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를 차량 내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차체 구조에서는 가솔린 주입구(11)와 엘피지 주입구(12, 혹은 엘피지 어댑터)를 일측에 함께 배치하는 통합형 연료주입구(10)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 통합형 연료주입구(10)는 휠 하우스 아우터 패널(20)과 일체로 접합되어 있는 연료주입구 하우징(13), 이 연료주입구 하우징(13)을 개폐하는 연료주입구 도어(14), 및 연료주입구 하우징(13)에 형성되는 가솔린 주입구(11)와 엘피지 주입구(12)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보이듯이, 상기 연료주입구 하우징(13)을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 패널(13)은 엘피지 어댑터(12)를 장착하는 부분이 굴곡되어 계단 구조(계단폼 형상)를 이루고 있고, 가솔린 주입구(11)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쿼터 이너 패널(30)과 결합되어 있다. 쿼터 이너 패널(30)은 가솔린 필러넥(16)이 관통할 수 있도록 부분 천공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 패널(13)은 계단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굴곡되는 각도 및 단 높이를 차종별 외장 디자인에 맞춰 설정함으로써 주유 작업이 편리하도록 하여 최적의 주유 작업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패널(13)은 그 굴곡된 부분(계단 구조로 된 부분)이 쿼터 이너 패널(30)과 매칭을 회피하도록 이격되어 있다.
상기 쿼터 이너 패널(30)은 엘피지 어댑터(12)에 결합된 엘피지 호스(15)가 차량 실내를 직접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엘피지 호스(15)가 통과하는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홀(31)은 기존 대비 차체 강성을 확보 및 증대하기 위해 엘피지 호스의 조립(배치) 작업이 가능한 크기로 최소화하여 형성된다.
상기 엘피지 호스(15)는 관통홀(31)을 통과하여 차량 실내를 직접 통과함으로써 인도 법규를 만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쿼터 이너 패널(30)은 하단부가 휠 하우스 아우터 패널(20)과 접합되어 결합되고, 상단부가 관통홀(31)의 하단에서 휠 하우스 이너 패널(21)과 접합되어 결합된다.
상기 휠 하우스 이너 패널(21)은 와이어링 하네스(W)와의 갭을 확보하기 위해 접합 플랜지(22)가 일측이 굴곡된 곡면 구조로 형성된다.
그럼 접합 플랜지(22)가 와이어링 하네스(W)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접합 플랜지(22)와 와이어링 하네스(W)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휠 하우스 이너 패널(21)은 상단부(관통홀(31)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가 2단 구조로 절곡되어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휠 하우스 이너 패널(21)은 관통홀(31)을 통과하는 엘피지 호스(15)의 센터를 기준으로 후방 하단부 또는 45°의 대각선 지점에 파팅라인(L)을 설정하고 이 파팅라인(L)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2단 구조 또는 계단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휠 하우스 이너 패널(21)의 상단부는 파팅라인(L)을 기준으로 가솔린 필러넥(16)이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가솔린 필러넥 마운팅부(23)와 쇽업쇼버가 마운팅되는 쇽업쇼버 마운팅부(24)로 구분할 수 있으며, 쇽업쇼버 마운팅부(24)가 가솔린 필러넥 마운팅부(23)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침하된 구조가 된다.
이렇게 쇽업쇼버 마운팅부(24)를 가솔린 필러넥 마운팅부(23)보다 침하된 구조로 낮게 형성하고 엘피지 호스(15)가 통과하는 관통홀(31)(구체적으로, 관통홀의 하부)을 쇽업쇼버 마운팅부(24)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관통홀(31)이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엘피지 주입구(12)와 가솔린 주입구(11)가 근접하게 되어 결국 연료주입구 하우징 및 도어(13,14)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차체 내부의 레이아웃이 유리해지는 동시에 연료주입구 도어(14)의 디자인 대응이 유리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쇽업쇼버 마운팅부(24)의 입력점 강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쇽업쇼버 마운팅부(24)의 패널 두께를 가솔린 필러넥 마운팅부(23)보다 두껍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솔린 필러넥 마운팅부(23)는 0.7㎜의 두께를, 상기 쇽업쇼버 마운팅부(24)는 2.3㎜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쿼터 이너 패널(30)에는 대략 'ㄷ'자형 단면구조를 가지는 쿼터 아우터 멤버(32)가 접합되어 결합된다.
상기 쿼터 아우터 멤버(32)는 연료주입구 하우징(13) 및 엘피지 호스(15)의 간섭 없이 쿼터 이너 패널(30)에 접합되어 내부공간을 가지는 폐단면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차체의 강성(특히, 비틀림 강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쿼터 이너 패널(30)이 1피스(piece)로 구성되어 휠 하우스 이너 패널(21)과 접합됨에 따라 차체의 강성(특히, 비틀림 강성)이 증대된다.
아울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쿼터 이너 패널(30)에는 사이드벨트 리터랙터(S)를 장착하기 위한 안착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벨트 리터랙터(S)를 장착하기 위해 쿼터 이너 패널(30)에 타공하는 홀을 삭제하고 대신 상기 안착홈(33)을 형성함으로써 쿼터 이너 패널(30)의 강성(특히, 비틀림 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체 구조는 가솔린 사양의 경우 엘피지 주입구(12)와 쿼터 이너 패널(30)의 관통홀(31)을 막고, 바이퓨얼(bi-fuel)(혹은 엘피지) 사양의 경우 엘피지 주입구(12)와 관통홀(31)을 개방하는 등 쿼터 이너 패널(30)과 연료주입구 하우징(혹은 하우징 패널)(13)을 사양별로 이원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체 구조는 연료주입구 도어(14)를 원형 구조로 적용함으로써 디자인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차체의 비틀림 정강성을 측정하여 본 결과,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동시에 엘피지 호스가 차량 실내를 관통하도록 된 종래의 차체 구조 대비 비틀림 정강성이 증대되어 차체 강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통합형 연료주입구
11 : 가솔린 주입구
12 : 엘피지 주입구(혹은 엘피지 어댑터)
13 : 연료주입구 하우징(혹은 하우징 패널)
14 : 연료주입구 도어
15 : 엘피지 호스
16 : 가솔린 필러넥
20 : 휠 하우스 아우터 패널
21 : 휠 하우스 이너 패널
22 : 접합 플랜지
23 : 가솔린 필러넥 마운팅부
24 : 쇽업쇼버 마운팅부
30 : 쿼터 이너 패널
31 : 관통홀
32 : 쿼터 아우터 멤버
33 : 안착홈

Claims (4)

  1.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에 있어서,
    쿼터 이너 패널(30)에는 엘피지 호스(15)가 통과하는 관통홀(31)이 형성되고, 휠 하우스 이너 패널(21)은 그 상단부가 단차진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31) 하단에서 쿼터 이너 패널(30)에 접합되되, 상기 관통홀(31)이 상대적으로 침하되어 있는 휠 하우스 이너 패널(21)의 쇽업쇼버 마운팅부(24) 상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연료주입구 도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쿼터 이너 패널(30)은 휠 하우스 아우터 패널(20)과 휠 하우스 이너 패널(21) 사이에 접합되어 구성되고, 가솔린 주입구(11) 위치에서 하우징 패널(13)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쿼터 이너 패널(30)에는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쿼터 아우터 멤버(32)가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쿼터 이너 패널(30)에는 사이드벨트 리터랙터를 장착하기 위한 안착홈(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KR1020120079775A 2012-07-23 2012-07-23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KR10179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775A KR101795066B1 (ko) 2012-07-23 2012-07-23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775A KR101795066B1 (ko) 2012-07-23 2012-07-23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798A KR20140012798A (ko) 2014-02-04
KR101795066B1 true KR101795066B1 (ko) 2017-11-07

Family

ID=5026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775A KR101795066B1 (ko) 2012-07-23 2012-07-23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0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210B1 (ko) * 2020-02-06 2021-10-19 주식회사 새한산업 자동차의 차체 휠하우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520B1 (ko) 2001-05-11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JP2004353455A (ja) 2003-05-27 2004-12-16 Toyota Motor Corp ガス燃料車両の燃料供給システム
EP1449702B1 (en) 2003-01-24 2008-06-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filling system
KR100890139B1 (ko) 2007-11-20 2009-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퓨얼 넥의 마운팅 장치
JP2012081851A (ja) 2010-10-12 2012-04-26 Suzuki Motor Corp 車両のガス燃料充填用バルブ取付部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520B1 (ko) 2001-05-11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구조
EP1449702B1 (en) 2003-01-24 2008-06-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filling system
JP2004353455A (ja) 2003-05-27 2004-12-16 Toyota Motor Corp ガス燃料車両の燃料供給システム
KR100890139B1 (ko) 2007-11-20 2009-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퓨얼 넥의 마운팅 장치
JP2012081851A (ja) 2010-10-12 2012-04-26 Suzuki Motor Corp 車両のガス燃料充填用バルブ取付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2798A (ko) 201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061B1 (ko) 도어트림용 핸들
US8668253B2 (en) Integrated door scuff plate and wire shield
US9623804B2 (en) Folding cargo compartment floor and vehicle rear-end structure
US9132748B2 (en) Seat back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body
JP2006015834A (ja) フロントフェンダ構造
KR101637303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US8870262B2 (en) Motor vehicle, in particular a passenger car
US20190193535A1 (en) Resin back door for vehicle
US20160107510A1 (en) Door structure for vehicle
JP2016147523A (ja) 内装部材構造
US10081231B2 (en) Structure for fixing delta glass for vehicle
KR101795066B1 (ko) 통합형 연료주입구를 채택한 차량의 차체 구조
US20140158462A1 (en) Variable valve for exhaust pipe
US7604285B1 (en) Post-mounting structure of cowl complete panel with improved design freedom of front pillar part
JP2020147255A (ja) 車両後部構造
JP2010526723A (ja) 自動車のドアの取り付け部材
US9193389B2 (en) Side bottom structure of vehicle body for improving crashworthiness and anti-corrosion performance
US9555694B2 (en) Vehicle door assembly
US20200130490A1 (en) Hood weather strip assembly
JP4990986B2 (ja) テールライト構造
US20170355309A1 (en) Door mirror device
JP2014091394A (ja) 自動車の側部構造
CN110576910B (zh) 车身后部构造
JP2001354077A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構造
JP2022040816A (ja) 車両用バック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