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478B1 - 뼈 고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뼈 고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478B1
KR101794478B1 KR1020170063492A KR20170063492A KR101794478B1 KR 101794478 B1 KR101794478 B1 KR 101794478B1 KR 1020170063492 A KR1020170063492 A KR 1020170063492A KR 20170063492 A KR20170063492 A KR 20170063492A KR 101794478 B1 KR101794478 B1 KR 101794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le
body part
bon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엽
권오성
Original Assignee
김정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엽 filed Critical 김정엽
Priority to KR1020170063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33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having indirect contact with screw heads, or having contact with screw heads maintained with the aid of additional components, e.g. nuts, wedges or head covers
    • A61B17/8038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having indirect contact with screw heads, or having contact with screw heads maintained with the aid of additional components, e.g. nuts, wedges or head covers the additional component being inserted in the screw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05Heads, i.e. proximal ends projecting from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1체결공과, 상기 제1-1체결공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2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1바디부; 상기 제1-1바디부의 일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며 선단부에 제1갈퀴가 형성되어, 골절된 골 절편부에 접하여 걸리도록 하기 위한 갈고리부; 상기 제1-1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1-1바디부를 뼈와 결속시키되, 상기 제1-1체결공으로부터 뼈를 향하여 수직으로 체결되거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체결되는 제1-1고정부재; 상기 제1-1바디부의 타단부에 결속되는 제1-2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바디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4체결공과, 상기 제1-4체결공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5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바디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2바디부의 상기 제1-5체결공을 경유하도록, 상기 제1-2바디부 측면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3통공이 형성되는 뼈 고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고정부재를 이용한 골절부 뼈 고정 시술에 있어서, 골절부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인 뼈 고정 시술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뼈 고정 시스템 {Boone fixing system}
본 발명은, 뼈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절 시 본 스크류 및 케이블 이용하여 시술자가 골절에 대해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시술시간 단축 및 시술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켜 환자가 시술 부위에 대하여 빠른 회복을 할 수 있도록 한 뼈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개발된 뼈 고정시스템의 경우 모양은 Hook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내측 Cable 삽입 부분에는 얇은 파이프가 삽입이 되어있어 Cable(Wire)이 Cable Hole을 지나 Bone 에 결착이 되면 상부의 볼트를 이용하여 압착시켜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Hook 와 Body가 서로 결합하는 형태의 경우는 슬라이드 방식의 체결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부 볼트 2개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주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Cable Hole에 파이프를 삽입하는 방식 때문에 Cable 사용 후 사용상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Cable을 사용했던 Cable Hole은 재 사용이 불가하다. Cable Grip Plate 체결 형 경우 슬라이드 홈 부위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경우 이물질 제거도 어렵고 Hook과 Body가 서로 결합 후 볼트로 고정시킬 때 정확히 위치에 삽입이 되지 않으면 볼트를 체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상자의 골절부 치료를 위한 효과적이고 위생적인 시술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0329539호
본 발명은, 골절 시 본 스크류 및 케이블 이용하여 시술자가 골절에 대해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시술시간 단축 및 시술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켜 환자가 시술 부위에 대하여 빠른 회복을 할 수 있도록 한 뼈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1체결공과, 상기 제1-1체결공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2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1바디부; 상기 제1-1바디부의 일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며 선단부에 제1갈퀴가 형성되어, 골절된 골 절편부에 접하여 걸리도록 하기 위한 갈고리부; 상기 제1-1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1-1바디부를 뼈와 결속시키되, 상기 제1-1체결공으로부터 뼈를 향하여 수직으로 체결되거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체결되는 제1-1고정부재; 상기 제1-1바디부의 타단부에 결속되는 제1-2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바디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4체결공과, 상기 제1-4체결공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5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바디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2바디부의 상기 제1-5체결공을 경유하도록, 상기 제1-2바디부 측면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3통공이 형성되는 뼈 고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정부재를 이용한 골절부 뼈 고정 시술에 있어서, 골절부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인 뼈 고정 시술이 가능하다.
둘째, 제1바디부 측면부를 관통하는 제1통공을 형성할 경우, 시술자가 상황에 따라 스크류 및 케이블을 같이 사용하여 골 접합에 대한 밀착력과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제1바디부 측면부를 관통하는 제1통공의 형성여부에 따라, 스크류 또는 케이블의 단독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골절 부위에 대한 적용 범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다양한 방식과 방법으로 시술이 가능하다.
넷째, 제2바디부를 제1바디부와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비교적 광범위의 골절 부위에 대해서도 용이한 시술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의 구성들 중 단독으로 결합된 제2바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의 구성들 중 단독으로 결합된 제2바디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 장착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 장착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좌/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뼈 고정 시스템(100)은, 제1바디부(110), 갈고리부(120), 제1고정부재(141) 및 제2고정부재(142)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재(141)는 제1고정구(1421) 및 제1가압구(14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부(110)는 소정의 바 형상체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바디부(110) 상에는 상기 제1체결공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제2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바디부(110)는 그 길이별로 다양하게 형성되며, 형성된 길이 내에서 상기 제1체결공과 상기 제2체결공 역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바디부(110) 양측면부 중 적어도 일측면부와 저면부 사이의 적어도 일영역에는 제1함입홈(C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함입홈(C1)을 통해 시술자는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상기 뼈 고정 시스템(100)을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취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바디부(110)는 제1바디부(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교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체결공을 향하여 제1통공(T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통공(T1)은 상기 제1바디부(110)의 상기 제2체결공을 경유하도록, 측면부를 관통하는 제1통공(T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통공(T1)과 상기 제2체결공에는 상기 제1바디부(110)와 뼈를 결속하기 위한 와이어가 인입된다.
상기 제1바디부(110)는 타단에 길이방향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제1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함입부 상에는 중공형의 제1고정부(1101)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1101)는 고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제1바디부(110)의 타단을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바디부(110) 타단으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제1함입부와 상기 제1고정부(1101)와 대응하여 형합적으로 체결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제1고정부(1101)는 고리형으로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갈고리부(120)는 상기 제1바디부(110)의 일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되어 연장되며 선단부에 제1갈퀴(1201)가 형성되어, 골절된 골 절편부에 접하여 걸리도록 한다. 상기 갈고리부(120)후면부 저면에는 제2갈퀴(120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갈퀴(1201)와 상기 제2갈퀴(1202)는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갈고리부(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제3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갈고리부(1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바디부(110)의 상기 제3체결공을 경유하도록, 상기 제1바디부(110) 측면부를 관통하는 제2통공(T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41)는 상기 제1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1바디부(110)를 뼈와 결속시킨
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141)는 상기 제1체결공으로부터 뼈를 향하여 수직으로 체결되거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고정부재(141)는 상기 제1체결공상에서 일정 각도로 유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142)는 상기 제1통공(T1) 및 상기 제2체결공에 상기 제1바디부(110)와 뼈를 결속시키기 와이어가 인입되면, 인입된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체결공상에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고정부재(142)의 상기 제1고정구(1421)는 상기 제2체결공을 경유하는 상기 와이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제2체결공 상에 삽입된다. 상기 제1가압구(1422)는 상기 제1고정구(1421)가 와이어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2체결공 상에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1고정구(1421)를 가압한다.
한편, 이러한 결속은 상기 갈고리부(120)의 상기 제2통공(T2)에도 당연히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됨은 물론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의 구성들 중 단독으로 결합된 제2바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의 구성들 중 단독으로 결합된 제2바디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뼈 고정 시스템(200)은, 제1바디부(110), 갈고리부(120), 제1고정부재(141), 제2고정부재(142), 제3고정부재(143), 제4고정부재(144), 제2바디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부재(142)는 제1고정구(1421) 및 제1가압구(1422)를 포함하며, 상기 제4고정부재(144)는 제2고정구(1441) 및 제2가압구(14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부(110)는 타단에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제1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입부 상에는 중공형의 제1고정부(1101)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1101)는 고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바디부(130)는 소정의 바 형상체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4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바디부(130) 상에는 상기 제4체결공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제5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바디부(130)는 그 길이별로 다양하게 형성되며, 형성된 길이 내에서 상기 제4체결공과 상기 제5체결공 역시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바디부(130) 양측면부 중 적어도 일측면부와 저면부 사이의 길이방향을 향하는 영역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함입홈(C2)이 형성된다.
상기 제2바디부(130)는 상기 제2바디부(1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교방향으로부터 상기 제5체결공을 향하여 제2통공(T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통공(T2)은 상기 제2바디부(130)의 상기 제5체결공을 경유하도록, 측면부를 관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통공(T2)과 상기 제5체결공에는 상기 제2바디부(130)와 뼈를 결속하기 위한 와이어가 인입된다.
상기 제2바디부(130)는, 적어도 일단에 길이방향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임된 제2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함입부 상에는 중공형의 제2고정부(1301)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바디부(130)의 상기 제2함입부와 상기 제2고정부(1301)는 상기 제1바디부(110)의 제1함입부와 상기 제1고정부(1101)에 소정의 제5고정부재를 통해 형합적으로 결속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 장착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뼈 고정 시스템 장착방법(S100)은, 먼저 S110 단계는 바 형상체인 제1바디부(110)를 준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S110단계에서 S111단계는 상기 바 형상체인 상기 제1바디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을 형성한다,
S112단계에서 상기 제1체결공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제2체결공을 형성하고, S113단계에서 상기 제1바디부(110)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바디부(110)의 상기 제2체결공을 경유하도록, 상기 제1바디부(110) 측면부를 관통하는 제1통공(T1)을 형성한다.
S113단계에서 상기 제1바디부(110) 타단에 길이방향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된 제1함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함입부 상에는 중공형의 제1고정부(1101)를 연장 형성한다.
다음, S120단계는, 골절된 골 절편부에 접하여 걸리도록 상기 제1바디부(110)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며 선단부에 제1갈퀴(1201)가 구비되는 갈고리부(120)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갈퀴(1201)와 함께 골절된 골 절편부에 접하여 걸리도록, 상기 갈고리부(120) 후면부 저면에 제2갈퀴(1202)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120단계에서 S121단계는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제3체결공을 형성하며, S122단계에서 상기 갈고리부(120)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바디부(110)의 상기 제3체결공을 경유하도록, 상기 제1바디부(110) 측면부를 관통하는 제2통공(T2)을 형성한다.
S130단계는 상기 제1바디부(110)를 뼈에 결속 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S130단계에서 S131단계는 상기 제1통공(T1)에 상기 제1바디부(110)와 뼈를 결속시키기 위하여 와이어를 인입시킨다.
S132단계는 상기 제1바디부(110)와 뼈를 결속시킨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체결공에 제2고정부재(142)를 체결한다.
S133단계는 상기 제1체결공을 통해 제1고정부재(141)로 상기 제1바디부(110)와 뼈를 결속시키되, 상기 제1고정부재(141)를 상기 제1체결공으로부터 뼈를 향하여 수직으로 체결하거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체결한다.
S140단계는 상기 갈고리부(120)는 상기 제2통공(T2)을 통해 상기 S130단계와 유사한 방식으로 뼈에 결속된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 장착방법(S200)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뼈 고정 시스템 장착방법(S200)은 먼저 S210 단계는 바 형상체인 제1바디부(110)를 준비한다.
S220단계는, 골절된 골 절편부에 접하여 걸리도록 상기 제1바디부(110)의 일단부로부터 절곡되며 선단부에 제1갈퀴(1201)가 구비되는 갈고리부(120)를 형성한다.
S230단계는 상기 제1바디부(110)의 타단부에 결속하기 위한 제2바디부(130)를 준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230단계에서 S231단계는 상기 제2바디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4체결공을 형성한다.
S232단계는 상기 제4체결공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5체결공을 형성한다. S233단계는 상기 제2바디부(130)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부터 상기 제2바디부(130)의 상기 제5체결공을 경유하도록, 상기 제2바디부(130) 측면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3통공(T3)을 형성한다.
S234단계는 상기 제2바디부(130) 적어도 일단에 길이방향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임된 제2함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함입부 상에는 중공형의 제2고정부(1301)를 연장 형성한다.
S240단계는 상기 제2바디부(130)를 상기 제1바디부(110)의 타단부에 결속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240단계에서는 상기 제1고정부(1101)가 상기 제2함입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고정부(1301)는 상기 제1함입부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고정부(1101)와 상기 제2고정부(1301) 상호간에 형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고정부(1101)와 상기 제2고정부(1301)가 제2고정부재(142)에 의하여 나사방식으로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제1바디부(110)와 상기 제2바디부(130) 상호간을 형합적으로 결속시킨다.
S250단계는 상호 결속된 상기 제1바디부(110)와 상기 제2바디부(130)를 골절부의 뼈에 결속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250단계에서 S251단계는 상기 제1통공(T1) 내지 상기 제3통공(T3)에 각각 상기 제1바디부(110)와 뼈를 결속시키기 위하여 와이어를 인입시킨다.
S252단계는 와이어를 인입시켜 상기 제1바디부(110)와 상기 제2바디부(130)를 뼈에 결속시킨 뒤, 인입된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체결공과 상기 제3체결공에 상기 제2고정부재(142)를 각각 체결하고, 상기 제5체결공에 상기 제4고정부재를 체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좌/우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 한다.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은 제1-1바디부(211), 갈고리부(220), 제1-1고정부재(241), 제1-2바디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1바디부(211)는 소정형상의 구조체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1체결공(H1-1)과, 상기 제1-1체결공(H1-1)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2체결공(H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1바디부(211)는 타단부에 중앙부 일영역이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는 수용공간(C2)이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단 돌기부(211a)와 하단 돌기부(211b)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 돌기부(211a)와 상기 하단 돌기부(211b)는 상방과 하방간에 동축선상에서 제1-6통공(H1-6)이 형성된다.
상기 갈고리부(220)는 골절된 골 절편부에 접하여 걸리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1바디부(211)의 일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며 선단부에 제1갈퀴(2201)가 형성된다.
상기 제1-1고정부재(241)는 상기 제1-1체결공(H1-1)을 통해 상기 제1-1바디부(211)를 뼈와 결속시키되, 상기 제1-1체결공(H1-1)으로부터 뼈를 향하여 수직으로 체결되거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체결된다.
상기 제1-2바디부(212)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4체결공(H1-4)과, 상기 제1-4체결공(H1-4)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5체결공(H1-5)이 형성된다.
상기 제1-2바디부(212)는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2바디부(212)의 상기 제1-5체결공(H1-5)을 경유하도록, 상기 제1-2바디부(212) 측면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3통공(T1-3)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2바디부(212)는 일단부 상면부와 하면부 적어도 일영역이 일정 깊이로 함입되는 함입부(D!)가 형성되는 중단 돌기부(212a)가 형성되어 상기 제1-1바디부(211)의 상기 타단부에 결속된다. 상기 제1-2바디부(212)의 중단 돌기부(212a)는 상하 방향 상에 제1-7통공(H1-7)이 형성되고 상기 제1-1바디부(211)의 상기 수용공간(C2) 상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1-1바디부(211)와 상기 제1-2바디부(212)는, 상기 중단 돌기부(212a)가 상기 상단 돌기부(211a)와 상기 하단 돌기부(211b)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6통공(H1-6)과 상기 제1-7통공(H1-7)을 경유하도록 체결되는 제6고정부재(213)에 의하여 상호 결속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뼈 고정 시스템의 변형예로서는, 상기 제1-6통공(H1-6)은 장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바디부(212)의 상기 중단 돌기부(212a)는 상기 제1-1바디부(211)의 상기 수용공간(C2) 상에서 일정범위로 유격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6고정부재(213)에 의하여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일정범위는 상기 제1-6통공(H1-6)에 대응하여 상기 제1-7통공(H1-7)이 유동되는 영역에 해당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뼈 고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1-3고정부재(213)가 체결된 상기 갈고리부(220)의 일영역을 상방으로 덮는 제1커버(311)와, 상기 제1-1고정부재(231), 상기 제1-2고정부재(232)가 체결된 상기 제1-1바디부(211)와 제1-3고정부재(233), 제1-4고정부재(234)가 체결된 상기 제1-2바디부(212)의 상방 일영역을 덮는 제2커버(312)를 포함한다. 상기 갈고리부는 선단부 상방에 일정 형상의 돌출부(331)가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311)와 상기 제2커버(312)에 형합되어 상기 갈고리부(220), 상기 제1-1바디부(211), 상기 제1-2바디부(212) 적어도 일부를 상방으로 덮는 제3커버(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3커버(320)는 일단부(321)가 상기 돌출부(331)에 삽입되며, 중단부(211)는 상기 제1커버(311)와 상기 제2커버(312) 사이에 삽입되고, 타단부(322)는 상기 제1-2바디부(212)의 단부 상부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3커버(320)는 플렉시블한 성질이 어느 정도 유지되도록 고무 기타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커버(320)의 상기 타단부(322)와 상기 제1-2바디부(212)의 타단부를 상호 결속시키는 제4커버(332)를 포함하되, 상기 제4커버(332)는 전면부로 돌출되어 상호 대향하는 제1돌기(332a)와 제2돌기(332b)가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332a)는 상기 타단부(322)상에 삽입되며, 상기 제2돌기(332b)는 상기 제1-2바디부(212)의 단부 상에 삽입된다. 상기 제3커버(320)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자성체이며, 상기 제1커버(311) 및 상기 제2커버(312)는 상기 제3커버(320)와 접촉되는 접촉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3커버(320)는 상기 제1커버(311) 및 상기 제2커버(312) 사이에 강제끼움 방식으로 결속된다.
상기 제3커버(320)는 상기 제1-1바디부(211) 및 상기 제1-2바디부(212)와 접촉되는 접촉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1바디부(211) 및 상기 제1-2바디부(212)와의 이격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이격거리 감지센서(SN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커버(311) 및 상기 제2커버(312)와 접촉되는 접촉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커버(311) 및 상기 제2커버(312)와의 이격정도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제2 이격거리 감지센서(SN2) 및 제3 이격거리 감지센서(SN3)가 구비된다.
전술한 이격거리 감지센서(SN1~SN3)들은커버들간의 이탈상태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이를 통해 외부에서도 이를 모니터링하고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다. 청각적 출력수단, 시각적 출련수단의 단일 또는 복합적 선택으로 외부에서 환자 또는 의사 등이 이를 각각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311) 내지 제3커버(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소정의 돌기부가 매트릭스 형태로 다양하게 배치된다. 무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인 가변형 플레이트 조립체 전체의 구성들 중 필요한 곳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제1바디부 1101 : 제1고정부
1102 : 제1마감부재 C1 : 제1함입홈
T1 : 제1통공 H1 : 제1체결공
H2 : 제2체결공 120 : 갈고리부
1201 : 제1갈퀴 1202 : 제2갈퀴
T2 : 제2통공 H3 : 제3체결공
130 : 제2바디부 1301 : 제2고정부
1302 : 제2마감부재 C2 : 제2함입홈
T3 : 제3통공 H4 : 제4체결공
H5 : 제5체결공 141 : 제1고정부재
142 : 제2고정부재 1421 : 제2고정구
1422 : 제2가압구 143 : 제3고정부재
144 : 제4고정부재 145 : 제5고정부재
210 : 제1바디부 211 : 제1-1바디부
212 : 제1-2바디부 213 : 제1-3고정부재
2201 : 제1갈퀴 220 : 갈고리부
241 : 제1-1고정부재 242 : 제1-2고정부재
T1-1 : 제1-1통공 T1-2 : 제1-2통공
T1-3 : 제1-3통공 H1-1 : 제1-1체결공
H1-2 : 제1-2체결공 H1-3 : 제1-3체결공
H1-4 : 제1-4체결공 H1-5 : 제1-5체결공

Claims (10)

  1.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1체결공과, 상기 제1-1체결공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2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1바디부;
    상기 제1-1바디부의 일단부로부터 절곡 연장되며 선단부에 제1갈퀴가 형성되어, 골절된 골 절편부에 접하여 걸리도록 하기 위한 갈고리부;
    상기 제1-1체결공을 통해 상기 제1-1바디부를 뼈와 결속시키되, 상기 제1-1체결공으로부터 뼈를 향하여 수직으로 체결되거나,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체결되는 제1-1고정부재;
    상기 제1-1바디부의 타단부에 결속되는 제1-2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2바디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4체결공과, 상기 제1-4체결공과 이웃하여 상방에서 하방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5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바디부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으로부터 상기 제1-2바디부의 상기 제1-5체결공을 경유하도록, 상기 제1-2바디부의 측면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제1-3통공이 형성되는 뼈 고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1바디부는,
    타단부에 중앙부 일영역이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단 돌기부와 하단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돌기부와 상기 하단 돌기부는 상방과 하방간에 동축선상에서 제1-6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2바디부는,
    일단부 상면부와 하면부 적어도 일영역이 일정 깊이로 함입되는 중단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1바디부의 상기 타단부에 결속되는 뼈 고정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바디부의 중단 돌기부는,
    상하 방향 상에 제1-7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1바디부의 상기 수용공간 상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1바디부와 상기 제1-2바디부는,
    상기 중단 돌기부가 상기 상단 돌기부와 상기 하단 돌기부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6통공과 상기 제1-7통공을 경유하도록 체결되는 제6고정부재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는 뼈 고정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6통은 장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2바디부의 상기 중단 돌기부는 상기 제1-1바디부의 상기 수용공간 상에서 일정범위로 유격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6고정부재에 의하여 결속되는 뼈 고정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일정범위는,
    상기 제1-6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제1-7통공이 유동되는 영역에 해당되는 뼈 고정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3고정부재가 체결된 상기 갈고리부의 일영역을 상방으로 덮는 제1커버와,
    상기 제1-1고정부재, 제1-2고정부재가 체결된 상기 제1-1바디부와 제1-3고정부재, 제1-4고정부재가 체결된 상기 제1-2바디부의 상방 일영역을 덮는 제2커버를 더 포함하는 뼈 고정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부는 선단부 상방에 일정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에 형합되어 상기 갈고리부, 상기 제1-1바디부, 상기 제1-2바디부 적어도 일부를 상방으로 덮는 제3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커버는 일단부가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며, 중단부는 상기 제1커버와 상기 제2커버 사이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2바디부의 단부 상부면에 위치되는 뼈 고정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커버의 상기 타단부와 상기 제1-2바디부의 타단부를 상호 결속시키는 제4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4커버는 전면부로 돌출되어 상호 대향하는 제1돌기와 제2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1돌기는 상기 타단부상에 삽입되며, 상기 제2돌기는 상기 제1-2바디부의 단부 상에 삽입되는 뼈 고정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커버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자성체이며,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3커버와 접촉되는 접촉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자성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 사이에 강제끼움 방식으로 결속되는 뼈 고정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커버는
    상기 제1-1바디부 및 상기 제1-2바디부와 접촉되는 접촉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1바디부 및 상기 제1-2바디부와의 이격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1 이격거리 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와 접촉되는 접촉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와의 이격정도를 각각 감지하기 위한 제2 이격거리 감지센서 및 제3 이격거리 감지센서가 구비되는 뼈 고정 시스템.
KR1020170063492A 2017-05-23 2017-05-23 뼈 고정 시스템 KR101794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492A KR101794478B1 (ko) 2017-05-23 2017-05-23 뼈 고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492A KR101794478B1 (ko) 2017-05-23 2017-05-23 뼈 고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478B1 true KR101794478B1 (ko) 2017-12-01

Family

ID=60921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492A KR101794478B1 (ko) 2017-05-23 2017-05-23 뼈 고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4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60B1 (ko) 2006-02-24 2008-01-17 김선미 골유합술용 대전자부 고정금속판
KR101110075B1 (ko) 2010-06-29 2012-02-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기구
KR101604668B1 (ko) 2016-02-01 2016-03-18 주식회사 아이피컨텍 대퇴골 고정용 가변형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60B1 (ko) 2006-02-24 2008-01-17 김선미 골유합술용 대전자부 고정금속판
KR101110075B1 (ko) 2010-06-29 2012-02-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릎관절 하중 분산을 위한 보조기구
KR101604668B1 (ko) 2016-02-01 2016-03-18 주식회사 아이피컨텍 대퇴골 고정용 가변형 임플란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0794B (zh) 鉗子及使用鉗子的系統
US9987048B2 (en) Vertebral osteosynthesis equipment enabling iliac anchoring of a vertebral bar
KR101926785B1 (ko) 뼈 접합판 및 뼈 접합 시스템
KR100928957B1 (ko) 이웃하는 골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임플란트
US5417692A (en) Bone fixation and fusion system
EP2459085B1 (en) Locking system for orthopedic implants
JP4416359B2 (ja) 骨接合装置
JP2007500069A (ja) 骨板
JP2008546479A (ja) 調節可能な固定用クランプおよび方法
JP2017525548A (ja) 骨固定装置および方法
JPH09313501A (ja) 骨折固定に用いるための外科用固定装置
US9023045B2 (en) Bolt and tool with anti-torque features
BRPI0709624A2 (pt) kit de conjunto de cabo e ponteira de engaste cirúrgico, e, método para reter um fio apertado ao redor de uma estrutura
JP2016506832A (ja) 骨の癒合、安定化または固定化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装置
JP2004527276A (ja) 骨固定装置およびジグ
KR101794478B1 (ko) 뼈 고정 시스템
JP2012528677A (ja) 髄内固定具アセンブリ及び関連方法
JP6129878B2 (ja) 髄内釘の縫合糸による遠位固定
KR101772533B1 (ko) 걸개형 뼈 고정 모듈
KR101834075B1 (ko) 걸개형 뼈 고정 모듈 장착 방법
WO2009134320A2 (en) Anchor apparatus for orthodontic appliances
JP4451844B2 (ja) 縦通材と骨固定要素を固定する装置
KR101840934B1 (ko) 뼈 고정 모듈 및 이의 장착 방법
KR101772535B1 (ko) 가변형 플레이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CA3070859C (en) Surgical drill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